KR200222235Y1 -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 Google Patents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235Y1
KR200222235Y1 KR2020000032361U KR20000032361U KR200222235Y1 KR 200222235 Y1 KR200222235 Y1 KR 200222235Y1 KR 2020000032361 U KR2020000032361 U KR 2020000032361U KR 20000032361 U KR20000032361 U KR 20000032361U KR 200222235 Y1 KR200222235 Y1 KR 200222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
mat
practice
terminal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2020000032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235Y1/ko

Links

Landscapes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여 골프에 입문하는 초심자를 위한 다운 브로우의 성공 여부와 헤드업을 하였는지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전원공급 수단과 음향발생장치, 그리고 다운 브로우가 되는 위치에 스위칭 수단을 형성하여 타격이 정확하게 다운 브로우를 이룰 때에 음향 효과를 나타내게 하여 다운 브로우의 성공 여부와 헤드업을 하였는지는 스스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mat for down brought practice}
본 고안은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를 잘 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골프채의 특성을 잘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아이언의 경우에는 골프채로 골프공을 다운 브로우로 하여야 방향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다운 브로우는 골프채의 하단부가 골프공이 놓여진 지면을 스치면서 타격함에 있어서 골프공을 타격한 다음 골프공이 놓여져 있던 위치를 바로 지난 위치의 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초심자의 경우 대부분 골프채의 하단부가 골프공이 놓여진 바로 아래쪽의 지면에 직접 접촉하게 되고, 그나마도 자신이 다운 브로우를 쳤는지, 치지 못하였는지 알 수가 없다.
또한 골프 연습을 하면서 샷 이후에 헤드 업(head up)을 하게 되는데, 초심자는 연습 과정에서 다운 브로우 및 헤드 업에 대한 자세를 교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자세 교정은 코치로부터 지도를 받아야 함으로, 스스로 연습을 할 경우에는 자신의 폼에 대한 인식을 정확히 할 수 없다.
골프 연습을 하면서 스위한 자세의 상태를 인식하도록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90286호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고안은 정확히 다운 브로우가 될 때에 스위치 접점에 의하여 연습용 매트에 설치된 램프가 순간적으로 점등되게 함으로써 연습자가 다운 브로우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골프에 입문하는 초심자를 위하여 다운 브로우의 성공 여부와 헤드업을 하였는지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전원공급수단과 다운 브로우의 위치에 스위칭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 작동 시에 작동하는 음향발생장치를 설치하여 타격이 정확하게 다운 브로우를 이룰 때에 특정한 음향이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로도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적인 특징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놓여지며,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가 표시된 인조 잔디 매트를 구비하는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를 형성함에 있어서,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음향발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전원공급수단은 베이스에 형성되는 건전지 수납부로 되어 대략 3(V)의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칭수단은 다운 브로우를 이루는 위치에서 인조 잔디 매트가 놓여지는 베이스의 상부 평면 위에 한 쌍의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위쪽으로는 적정한 간격을 두고 인조 잔디 매트의 바닥면에 접촉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는 인조 잔디 매트가 놓여지는 베이스의 테두리에 설치되거나 , 또는 실내에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베이스를 포함한 매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이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위칭 수단의 접촉단자가 부착된 부위의 상부면이 타격될 때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되어 음향발생장치로부터 특정한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즉 골퍼가 골프채를 스윙하면서 골프공을 타격한 다음 계속 아래쪽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다운 브로우의 위치에 도달하면 인조 잔디 매트의 접촉단자가 베이스에 형성된 양쪽 단자에 접점이 되어 건전지의 전류가 회로에 흐르면서 발생하는 음향으로써 다운 브로우의 성공 여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이 구체화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이고, 도 2는 분리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다운 브로우 매트(1)는 베이스(2)와 인조잔디매트(3)로 구성된다.
베이스(2)는 인조잔디매트(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 테두리(2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테두리(20)의 양쪽 변부에는 건전지가 수납되는 건전지수납부(21)(21a)가 형성되어 건전지(4)(4a)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음향발생장치(5)(5a)가 형성되어 있다.
건전지수납부(21)(21a)에는 건전지수납커버(23)(23a)를 구비하고, 음향발생장치(5)(5a)는 망체형으로 되는 커버(24)(24a)를 구비한다.
상기한 건전지수납부(21)(21a)와 램프수납부(22)(22a), 그리고 건전지수납커버(23)(23a)의 구조는 일반적인 전기 제품에 적용되는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건전지(4)(4a)는 3(V)의 전류를 음향발생장치(5)(5a)에 공급한다.
건전지(4)(4a)는 스위치(6)(6a)에 의하여 음향발생장치(5)(5a)에 각각 전류를 공급한다.
스위치(6)(6a)는 골프채(200)의 샷이 있을 때 베이스(2)와 인조잔디매트(3)의 접촉에 의하여 작동한다.
이러한 스위칭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스위치(6)는 베이스(2)의 상부 바닥면 위에서 한쌍의 단자(60)(60a)가 형성되고, 스위치(6a)는 다른 한편에는 또 다른 한쌍의 단자(61)(61a)를 구비한다.
인조잔디매트(3)는 골프공(100)이 놓여지는 위치와 타격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 ┣ 모양의 위치 지정선(30)(30a)이 형성되어 있고, 위치 지정선(30)(30a)상에서 골프공(100)이 놓여지는 위치로부터 다운 브로우를 이루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60)(60a)(61)(61a)와 협력하여 스위칭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에는 단자(60)(60a)의 상부에서 적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접촉단자(62)가 고정되고, 그 바닥면의 다른 한편에는 단자(61)(61a)의 상부에서 적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접촉단자(62a)가 고정된다.
따라서 스위치(6)는 베이스(2)의 상부 수평면 위에 고정되는 두 개의 단자(60)(60a)와 인조잔디매트(3)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접촉단자(62)로 구성되고, 또 하나의 스위치(6a)는 상기 스위치(6)와 같이 베이스(2)의 상부 수평면 위의 다른 한쪽에 고정되는 두 개의 단자(61)(61a)와 인조잔디매트(3)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접촉단자(62a)로 구성된다.
즉 도 2 및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운 브로우 매트(1)에서 한편의 건건지(4), 음향발생장치(5), 스위치(6)는 위치 지정선(30)쪽에서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고, 다른 한편의 건전지(4a), 음향발생장치(5a), 스위치(6a)는 반대편의 위치 지정선(30a)쪽에서 또 하나의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6)(6a)가 형성되는 위치는 골프공(100)이 놓여지는 위치로부터 다운 브로우를 이루는 위치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프채(200)를 스윙하면 도면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포물선을 그리며 하강 곡선을 그리며 골프공(100)을 타격한 다음 다운 브로우 위치의 인조잔디매트(3)를 스치게 될 때에 인조잔디매트(3)가 살짝 눌려지면서 인조잔디매트(3)의 접촉단자(6)는 베이스(2) 상의 단자 (60)(60a)와 접점되고, 접촉단자(6a)의 경우에는 단자(61)(61a)와 접점이 되어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서 사용하는 쪽의 음향발생장치(5)(5a)로부터 다운 브로우 상태를 알리는 음향이 선별적으로 발생하고, 골프채(200)가 상승 곡선을 그릴 때에는 인조잔디매트(3)의 자체적인 탄성에 의하여 접촉단자(62)(62a)가 다시 단자(60)(60a)(61)(61a)로부터 탈락되어 스위치(6)(6a)가 단락되어 음향발생장치(5)(5a)의 작동이 정지됨으로서 골퍼는 정확한 다운 브로우의 성공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운 브로우의 성공 여부와 함께 헤드 업을 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다운 브로우를 하였을 때 음향의 발생이 있었으면 헤드 업을 안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골프 연습을 하면서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 스스로 다운 브로우의 성공 여부와 헤드 업을 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자율적인 자세 교정 훈련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베이스와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가 표시된 인조 잔디 매트 사이에서 다운 브로우를 이루는 위치에 스위칭수단이 형성되는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를 형성함에 있어서,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음향발생장치를 형성하여 다운 브로우 시 음향이 발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KR2020000032361U 2000-11-20 2000-11-20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KR200222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61U KR200222235Y1 (ko) 2000-11-20 2000-11-20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61U KR200222235Y1 (ko) 2000-11-20 2000-11-20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235Y1 true KR200222235Y1 (ko) 2001-05-02

Family

ID=7309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361U KR200222235Y1 (ko) 2000-11-20 2000-11-20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2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92B1 (ko) 2010-05-31 2012-10-29 강현철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WO2016190528A1 (ko) * 2015-05-22 2016-12-01 김양수 다운 블로우 스윙 연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92B1 (ko) 2010-05-31 2012-10-29 강현철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WO2016190528A1 (ko) * 2015-05-22 2016-12-01 김양수 다운 블로우 스윙 연습장치
GB2553999A (en) * 2015-05-22 2018-03-21 Soo Kim Yang Down-blow swing practic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9171A (zh) 用于练习的高尔夫推杆
US4560166A (en) Golfer's head movement indicating device
US4223891A (en) Golf stroke analyzer
US2007024942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US3870314A (en) Golf practice machine
KR200222235Y1 (ko)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US5707297A (en) Practice device for golfers
KR20070105292A (ko) 골프 스윙 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헤드업 방지 장치
JP2012029858A (ja) ゴルフボール拾い上げパター
KR200190286Y1 (ko)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US20010041622A1 (en) Golf swing training club
KR100483036B1 (ko) 골프 연습 장치
KR100815650B1 (ko) 골프 퍼터
EP1699533A1 (en) Putting practice kit and method
KR101042789B1 (ko) 골프용 티
US20040023727A1 (en) Golf training device
CN212998300U (zh) 一种单人篮球训练传球器
KR101288959B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2259688B1 (ko) 스윙 연습 기기
KR101131192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311966Y1 (ko) 골프 타점 확인장치
KR200461622Y1 (ko) 배드민턴용 손잡이
KR200424823Y1 (ko) 휴대용 골프퍼팅연습기
US20200047040A1 (en) Equipment Feedback System
WO2004105897A1 (en) Golf practi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