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558B1 -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 Google Patents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558B1
KR101646558B1 KR1020140061992A KR20140061992A KR101646558B1 KR 101646558 B1 KR101646558 B1 KR 101646558B1 KR 1020140061992 A KR1020140061992 A KR 1020140061992A KR 20140061992 A KR20140061992 A KR 20140061992A KR 101646558 B1 KR101646558 B1 KR 101646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actitioner
lie angle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771A (ko
Inventor
임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컨
Priority to KR102014006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및 배트에 관한 것이다. 이들에는 라이각표시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시 손바닥 등에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스윙 연습시 집중력을 해치지 않음으로써 스윙 연습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라이각이 표시됨에 따라 안정적인 스윙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채 또는 연습스윙용 배트 등 골프를 연습하기 위한 모든 기구의 일측 특히, 끝단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골프 스윙시 각 시점 특히, 백스윙 탑(Back Swing Top), 임팩트(Impact), 및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또는 피니쉬(Finish) 등의 시점을 연습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는 라이각 측정부가 구비된 연습스윙용 배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고 스코어를 낮추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등 각 클럽의 페이스(Face)에 골프공이 정확히 타격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항상 일관성있는 스윙자세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골프 스윙은 리드미컬(rhythmical)한 동작으로 이루어질 때 자세가 안정될 뿐만 아니라 각 클럽별 임팩트시 안정적인 골프공의 탄도 및 비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골프 스윙은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백스윙 탑(Back Swing Top),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피니쉬(Finish) 등 약 7단계로 구분된다.
안정적인 스윙 연습을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82482호를 개시하고 있다. 위 등록특허인 연습용 배트는 백스윙 탑 위치와 피니쉬 위치의 시점을 알림볼이 알람관에 충돌할 때의 소리에 의하여 연습자에게 알려준다. 실내 골프 연습장 등에서는 다른 연습자의 연습에 따른 소음 등으로 인하여 충돌음이 잘 들리지 않는다. 집중력을 요하는 골프 스윙에 있어서 위 충돌음은 자신의 스윙 연습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연습용 배트의 추가 구입에 따른 골프 연습자의 비용 부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골프채와 다른 연습용 배트로 스윙 연습을 하게 되므로 혈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골프 스윙연습 중 어드레스(Posture)가 중요하다. 정상적인 어드레스를 체크하기 위하여 소위 라이각(Lie Angle)을 체크한다. 일반적으로 라이각은 어드레스 했을 때 골프채의 샤프트의 선과 지면과의 사이에서 생각는 뒷쪽 각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샤프트의 길이가 짧은 웨지일 경우에는 라이각이 크고, 이와 반대인 드라이버일 경우에는 라이각이 작다. 한편, 특정 골프채를 기준으로 봤을 때 정상적인 라이각보다 클 경우(예를 들면, 골프공과 발끝사이의 거리가 정상적인 거리보다 멀 때) 골프채의 힐(Heel) 부분이 지면에서 들리게 된다. 정상적인 라이각보다 작을 경우(예를 들면, 골프공과 발끝사이의 거리가 정상적인 거리보다 가까울 때) 골프채의 토우(Toe) 부분이 지면에서 들리게 된다. 힐 부분이 들렸을 때 타겟 방향보다 오른쪽으로 골프공이 날아가게 된다. 슬라이스(Slice) 또는 페이드(Fade) 구질이 된다. 토우부분이 들렸을 때 타겟방향보다 왼쪽으로 골프공이 날아가게 된다. 훅(Hook) 또는 드로우(Draw) 구질이 된다. 어드레스 시 자신의 자세에 의하여 라이각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2482호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시 그립을 잡은 손바닥에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각적인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골프 클럽을 포함한 골프 스윙연습기구의 단부측에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골프 스윙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 중 어드레스시 라이각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골프채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배터리(23); 상기 배터리(23)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연습자의 어드레스시 라이각(θ)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각측정부(41); 및 측정된 상기 라이각(θ)을 상기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라이각측정부(41)는 상기 라이각(θ)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영점조절부(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42)의 일측에는 어드레스시 상기 연습자가 상기 라이각(θ)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방울(44)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하여 고정되며 자중에 의하여 낙하는 이동체(12); 상기 이동체(12)가 내부에 수용되어 자중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본체(11); 및 상기 이동체(12)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유닛(13)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체(12)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 상기 감지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수단(10)으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샤프트(200);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헤드부(100); 및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연습자의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그립부(30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배터리(150); 상기 제1배터리(150)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연습자의 어드레스시 라이각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각측정부(171); 및 상기 라이각을 상기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라이각측정부(171)는 상기 라이각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영점조절부(17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D)의 일측에는 어드레스시 상기 연습자가 라이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방울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샤프트(200)는 중공된 파이프 형상의 제1샤프트(210) 및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제2샤프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200)의 내부에는 길이조절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부(400)는 상기 제2샤프트(220)의 일단과 고정되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회전체(420); 및 상기 회전체(420)에 구비되며, 일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 면접되어 고정되는 고정체(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체(420)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서히 증가는 내경을 갖음으로써 편심된 편심바디(422); 상기 편심바디(422)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421); 및 상기 가이드돌기(421)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돌기(421)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220)와 고정되는 연결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430)는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서히 증가하도록 두께가 점증되는 고정몸체(431); 및 상기 고정몸체(43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돌기(4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헤드부(100)는 연습자가 스윙 연습 중 임팩트시점을 알 수 있도록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수단(130); 및 상기 알림수단(1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습자의 백스윙 및 피니쉬 시점을 알 수 있도록 진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중공된 형상을 갖으며 밀폐된 형상의 통체(141); 상기 통체(14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제2이동체(142); 및 상기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체(141)의 양단측에 구비되는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 상기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2이동체(142)의 이동속도를 계측하며, 계측된 이동속도를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로 환산하기 위한 제어보드(147);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시 손바닥 등에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스윙 연습시 집중력을 해치지 않음으로써 스윙 연습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가 편하고, 골프채 등에 탈부착이 용이함에 따라 실제 골프 게임 중에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 중 어드레스시 라이각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의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의 외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가 장착한 후 연습(백스윙, 임팩트, 피니쉬)하는 연습자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가 장착한 후 연습(어드레스)하는 연습자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중 헤드부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중 그립부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중 길이조절부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도 10의 A-A'부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를 파지한 후 백스윙, 임팩트, 피니쉬한 것을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용 보조기구 및 골프 스윙연습용 배트는 공통적으로 라이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공통적인 요소와 함께 순차적으로 골프 스윙연습용 보조기구 및 골프 스윙연습용 배트를 상술하도록 한다.
[골프 스윙연습용 보조기구]
본 발명의 골프 스윙연습용 보조기구(1)는 감지수단(10), 진동수단(20) 및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감지수단(10)은 내부가 빈 공간이 구비된 본체(11), 본체(11) 내부에서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12), 이동체(12)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유닛(13)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체(11)는 이동체(12)의 수용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가 빈 형상으로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이동체(12)는 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중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본체(1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11) 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체(11)의 양단에는 이동체(12)가 이동하면서 본체(11)의 내벽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돌음을 줄이기 위하여 방음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방음부재(14)는 방음목적의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며, 스펀지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센서유닛(13)은 이동체(12)의 자중에 따른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센서(13a)는 본체(11)의 내벽면 일측에 구비된다. 제2센서(13b)는 제1센서(13a)의 상부측에 구비된다. 이동체(12)가 본체(11)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센서(13a)와 제2센서(1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때 이 센서들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1)측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제어부(21)는 해당 감지신호의 수신에 따라 진동모터(22)에 작동신호를 송출한다. 반대로, 이동체(12)가 제2센서(13b)와 제1센서(13a)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때 제어부(21)측으로 수신된 감지신호에도 불구하고, 제어부(21)는 진동모터(22)에 작동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및 제2센서(13a, 13b)는 광센서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3센서(13c)는 이동체(12)가 본체(11)의 상부측에 구비된 방음부재(14)에 자중에 의하여 충격을 가할 경우 그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체(12)가 방음부재(14) 측으로 충격을 가할 경우 그 충격이 제3센서(13c)측으로 전달된다. 제3센서(13c)는 해당 감지신호를 제어부(21) 측으로 전달한다. 제어부(21)는 진동모터(22)에 작동신호를 송출한다. 제3센서(13c)는 본체(11)의 상부측에만 구비될 수 있고, 하부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진동수단(20)은 제어부(21)의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1)를 진동시킨다. 해당 진동은 그립을 잡고 있는 연습자의 손바닥에 전달된다. 진동수단(20)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2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며, 배터리(23)는 골프 스윙연습보조기구(1)의 일측에 구비된 충전포트(24)를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연결부재(30)는 안착부(31) 및 삽입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1)는 본체(11)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 고정된다. 삽입부(32)는 골프채의 일측 단부에 삽입 고정된다. 안착부(31)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수단(20)에서 발생된 진동이 골프채 특히, 그립 쪽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보조기구(1) 내에는 라이각(θ)을 측정할 수 있는 라이각표시수단(40)이 구비된다. 라이각표시수단(40)은 라이각측정부(41), 표시부(42) 및 영점조절부(43)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각(Lie Angle)은 연습자가 어드레스 했을 때 골프채의 샤프트(Shaft)의 선과 지면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뒷쪽 각도를 의미한다.
도 3, 도4 및 도 6을 참고하면, 연습자가 그립을 잡았을 때 잡은 부분에서 지면과의 가상의 수평선과 그립의 단부에 고정된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1)를 이은 연장선이 이루는 각은 라이각와 동위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라이각은 라이각 측정부(41)에 의하여 측정가능하다. 라이각 측정부(41) 내부에는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가속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등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연습자의 신체조건마다 라이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연습자마다 라이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영점조절부(43)가 구비되며, 라이각을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42)가 구비된다. 연습자는 영점조절부(43)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안정적이라고 생각되는 각도를 영(0)점으로 셋팅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라이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라이각 표시수단(40)은 표시부(42) 뿐만 아니라 수평계(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계(45)는 내부에 물방울(44)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45)를 사용할 수 있다. 내장된 배터리(23)의 전원이 모두 소모되어 표시부(42) 등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표시수단(40)에는 전원스위치(SW), 램프(L)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원스위치(SW)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1) 내부에 구비된 진동모터(22) 및 라이각 측정부(41) 등에 인가되는 전원 등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램프(L)는 전원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도 3, 도4 및 도 6을 참고하면, 라이각 표시수단(40)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으로 인하여 어드레스자세를 자연스럽게 교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연습자가 감각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백스윙}
연습자의 백스윙시 이동체(12) 및 진동수단(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5(a)를 참고하면, 정상적인 백스윙시 그립의 단부에 고정된 골프 스윙연습보조기구(1)의 삽입부(32) 측 부분이 서서히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백스윙 탑에 도달되면, 자중에 의하여 삽입부(32) 방향을 향하고 있던 이동체(12)가 제1센서(13a) 및 제2센서(1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제어부(21)가 제1및 제2센서(13a, 13b)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전달한다. 연습자는 진동모터(22)의 진동을 연습자의 손바닥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현재 백스윙 탑의 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a)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센서(13a 및 13b)와 함께 또는 이들을 대신하여 제3센서(13c)를 사용하게 될 경우 백스윙 탑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본체(11)의 상부측에 위치한 방음부재 측으로 이동체(12)가 떨어진다. 이를 제3센서(13c)가 감지한다. 제어부(21)가 제3센서(13c)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전달한다. 연습자는 진동모터(22)의 진동을 연습자의 손바닥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현재 백스윙 탑의 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임팩트}
연습자는 백스윙 탑에 도달했음을 진동으로 인지한 후 다운스윙으로 전환한다.
도 1 및 도 5(b)를 참고하면, 클럽의 헤드부분이 지면에 놓인 골프공을 향하게 되므로 이동체(12)는 다시 삽입부(32) 측으로 자중에 의하여 내려오게 된다. 이동체(12)가 제2센서(13b) 및 제1센서(13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때에 제어부(21)가 제1 및 제2센서(13a, 13b)의 신호를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진동모터(22)에 작동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임팩트시 골프체의 페이스가 골프공을 타격함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일 수 있다. 연습자는 골프공이 놓인 상태에서 스윙연습시 임팩트의 여부를 확인하기 쉬우나, 골프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연습시 임팩트의 여부를 확인하기는 까다로울 수 있다. 따라서 골프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연습시 제어부(21)는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송출할 수도 있다. 임팩트시 제어부(21)에서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송출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다.
도 2 및 도 5(b)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센서(13a 및 13b)와 함께 또는 이들을 대신하여 제3센서(13c)를 사용하게 될 경우 임팩트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본체(11)의 하부측에 위치한 방음부재 측으로 이동체(12)가 떨어진다. 도 1을 참고할 때 제3센서(13c)는 본체(11)의 상부측에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21)는 제3센서(13c)에서 신호를 받지 못한다. 따라서 제3센서(13c)에 의한 진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팔로우스루}
연습자는 임팩트 후 팔로우스루로 전환된다. 백스윙과 유사하다.
도 1 및 도 5(c)를 참고하면, 팔로우스루시 그립의 단부가 지면을 향하게 되므로 삽입부(32)도 마찬가지로 된다. 이동체(12)는 자중에 의하여 제1센서(13a) 및 제2센서(1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제어부(21)가 제1및 제2센서(13a, 13b)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전달한다. 연습자는 진동모터(22)의 진동을 연습자의 손바닥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현재 팔로우스루 이후 피니쉬의 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c)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센서(13a 및 13b)와 함께 또는 이들을 대신하여 제3센서(13c)를 사용하게 될 경우팔로우스루 또는 그 이후의 피니쉬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본체(11)의 상부측에 위치한 방음부재 측으로 이동체(12)가 떨어진다. 이를 제3센서(13c)가 감지한다. 제어부(21)가 제3센서(13c)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전달한다. 연습자는 진동모터(22)의 진동을 연습자의 손바닥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현재 팔로우스루 또는 피니쉬의 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스윙 연습용 배트]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는 샤프트(200)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헤드부(100), 타측에는 그립부(300)가 구비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샤프트(2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연습자가 그립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 연습을 할 경우 타측에 구비된 헤드부(100)가 스윙궤적을 그리면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일정 강성을 갖는 목재 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200)는 그 중앙에 길이조절부(400)를 구비하여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헤드부}
도 8을 참고하여 헤드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헤드부(100)은 내부가 빈 중공체인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무게추(121), 알림수단(130), 감지수단(140), 제1배터리(15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알림수단(130)에 구비된 제1이동체(131)에 인가되는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자력인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중공체로 그 내부에 무게추수용부(120), 알림수단(130) 및 감지수단(140) 및 제1배터리(150) 등을 구비하기 위하여 제1 내지 3격벽(111, 112, 113)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외통(T)의 내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하우징(110)은 외통(T)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통(T)의 단부에는 캡(C)이 체결된다.
헤드부(100)의 끝 부분측에는 무게추(121)가 구비된다. 무게추(12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무게추 수용부(120)가 구비된다. 무게추 수용부(120)는 무게추 수용부 격벽(122)에 의하여 구획된다. 다수개의 무게추 수용부(120)가 구비됨에 따라 내부에 실장되는 무게추(121)의 갯수를 달리하거나, 무게추(121)의 무게를 조절함으로써 스윙시 연습자가 느끼는 무게감을 상이하게 가져올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알림수단(130)이 구비된다. 알림수단(130)은 내부가 빈 중공체이다. 알림수단(130)의 내부에는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는 제1이동체(131), 제1이동체(131)의 일측에는 금속판(132), 타측에는 메인자성체(133)가 구비된다. 금속판(132)는 캡(C)이 구비된 방향에 형성되며, 메인자성체(133)는 샤프트(200)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알림수단(130)의 제1이동체(131)는 어드레스시 금속판(132)에 면접하여 있다. 연습자가 연습시 백스윙 탑 부분에 이를 때 제1이동체(132)는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된다. 다운스윙 이후 임팩트시 제1이동체(131)는 메인자성체(133)로부터 떨어지면서 금속판(132)에 떨어지면서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이후 피니쉬 동작에 이르면 제1이동체(131)는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된다. 충돌음이 생기기 위해서는 메인자성체(133)가 제1이동체(131)를 끌어당기는 인력보다 스윙에 따른 제1이동체(131)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이 커야한다.
한편 다운스윙되는 배트의 스윙 속도를 더 빠르게 연습하기 위하여 메인자성체(133)가 구비된 부분에 보조자력인가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자력 인가부(160)는 외통(T)의 외부에서 조절가능한 높이조절부(161), 높이조절부(161)의 조절에 따라 메인자성체(133)측과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보조자성체(162)가 구비된다. 높이조절부(161)를 일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보조자성체(162)가 메인자성체(133)와의 거리가 짧아지며, 타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그 반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보조자성체(162)가 일정 거리를 두고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부(163)가 외통(T) 또는 하우징(110)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동체(131)는 알림수단(13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볼(구형)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갖으며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될 수 있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감지수단(140)은 내부가 빈 통체(141), 통체(141) 내부에서 자중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제2이동체(142), 통체(141)의 일측 또는 양단에 구비된 방음부재(143)를 포함한다. 감지수단(140)은 제2이동체(142)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센서(144, 145), 통체(141)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146)을 포함한다. 또한, 감지수단(140)은 제1 및 제2센서(144, 145)의 신호를 감지하여 배트의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하거나, 그립부(300)의 내측에 구비된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신호를 송할 수 있는 제어보드(147)를 포함한다.
연습자가 연습시 백스윙 탑 부분에 이를 때 제2이동체(142)는 자중에 의하여 근접하고 있던 제1센서(144)를 떠나 제2센서(145)측에 다다른다.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에서 순차적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했을 대 제어보드(147)는 해당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진동수단(310)이 작동됨에 따라 연습자의 손에서 진동이 감지된다. 그 반대로 임팩트시에는 제2센서(145) 및 제1센서(144) 순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에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임팩트시에는 제1이동체(131)가 금속판(132)을 타격함에 따라 충돌음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임팩트를 지나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피니쉬(Finish)로 진행될 때 제2이동체(142)는 자중에 의하여 근접하고 있던 제1센서(144)를 떠나 제2센서(145)측에 다다른다.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에서 순차적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했을 때 제어보드(147)는 해당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진동수단(310)이 작동됨에 따라 연습자의 손에서 진동이 감지된다.
제2이동체(142)가 통체(141)의 단부를 타격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통체(14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측에 방음부재(1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센서(144, 145)는 광센서일 수 있다.
한편, 임팩트시 제2이동체(142)가 제2센서(145)를 떠나 제1센서(144) 측으로 이동한 시간 및 제1 및 제2센서(144, 145)간의 거리가 제어보드(147) 측에서 속도로 계산된다. 임팩트시 제2이동체(142)의 낙하속도를 의미한다. 계측된 낙하속도는 제어보드(147)에서 골프공이 골프채에 타격되어 날아가는 비거리로 환산된다. 환산된 비거리가 디스플레이부(D)(도 1참고)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센서(144, 145)간의 거리가 33mm(0.033m)이며, 제2이동체(142)가 제2센서(145)를 떠나 제1센서(144) 측으로 이동한 시간이 0.001sec라고 가정할 때 그 낙하속도는 33m/s가 된다. 골프채 중 칠번(7) 아이언(iron)일 때를 기준으로 33m/s가 되었을 때 골프공의 예상 비거리를 120m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이동체(142)의 낙하속도가 30m/s가 될 때 약 90m, 40m/s가 될 때 160m 등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속도를 비거리로 환산하는 것은 제어보드(147) 내부에 구비된 회로 또는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감지수단(140) 및 디스플레이부(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1배터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배터리(150)에서 공급되는 감지수단(140) 및 디스플레이부(D)으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 조절을 위하여 헤드부(100)의 외측에는 스위치(SW)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배터리(150)의 충전을 위하여 헤드부(100)의 외측에는 충전포트(P)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배터리(150)의 전원이 그립부(300)에 구비된 진동수단(310)에 인가될 경우 제2배터리(32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배트 내에는 라이각(θ)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이각표시수단은 라이각측정부(171), 디스플레이부(표시부; D)(앞서 표시부로 명명하였으나, 여기서는 라이각 뿐만 아니라 비거리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로 변경하도록 한다.), 및 영점조절부(172)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라이각(Lie Angle)은 연습자가 어드레스 했을 때 배트 샤프트(Shaft)의 선과 지면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뒷쪽 각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라이각은 라이각 측정부(171)에 의하여 측정가능하다. 라이각 측정부(171) 내부에는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가속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등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연습자의 신체조건마다 라이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연습자마다 라이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영점조절부(172)가 구비되며, 라이각을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가 구비된다. 연습자는 영점조절부(172)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안정적이라고 생각되는 각도를 영(0)점으로 셋팅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라이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72) 뿐만 아니라 수평계(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계(173)는 내부에 물방울(174)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174)를 사용할 수 있다. 내장된 제1배터리(150)의 전원이 모두 소모되어 디스플레이부(D) 등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립부}
도 9을 참고하여 그립부(300)를 설명한다.
그립부(300)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서 샤프트(2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연습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영역을 제공한다. 일정강성을 가지는 목재 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외주면을 따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폴리머 재질 특히,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 스윙연습을 하기 위함이다.
그림부(300)는 그 내부에 진동수단(310)과 진동수단(31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320)가 내장될 수 있다. 진동수단(310)은 후술하는 감지수단(140)으로부터 해당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길이조절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샤프트(20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길이조절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400)가 구비될 경우는 샤프트(200)는 중공된 파이프 형상의 제1샤프트(210) 및 제1샤프트(210)의 내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샤프트(21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제2샤프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샤프트(210, 220)의 외주면에는 제1 또는 제2샤프트 중 어느 하나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손잡이(41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410)는 제1 또는 제2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샤프트(220)의 외경보다 내경이 큰 제1샤프트(210) 내부에서 회전되며 이동가능한 회전체(420), 회전체(420)의 일측을 둘러싼 고정체(430) 등을 구비한다.
회전체(420)는 가이드돌기(421), 편심바디(422), 편심마디(422)에 의하여 형성된 편심홈부(423) 및 연결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420)는 그 중심(O)으로부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편심바디(422)를 갖는다. 편심바디(422)를 중심으로 양단에는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에서 슬라이딩되되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돌기(421)를 갖는다. 양단에 가이드돌기(421)가 구비된 편심바디(422)로 인하여 어느 하나의 가이드돌기와 마주보는 또 다른 가이드돌기 사이에는 편심홈부(423)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가이드돌기(421)의 외측에는 제2샤프트(22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424)가 구비된다. 연결부(424)와 제2샤프트(2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부(424)의 외주면에 돌출부(425)가 구비되며, 돌출부(425)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샤프트(220)의 내측에는 수용홈(221)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24)와 제2샤프트(220)를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부와 수용홈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424)와 제2샤프트(2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어떤 체결방식이든 무방하다.
한편, 제2샤프트(220)가 제1샤프트(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샤프트(210)의 단부측에는 차단벽(211)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11)은 가이드돌기(421)의 외측면에 닿음으로써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제2샤프트(2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심홈부(423)에는 그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 호 형상의 고정체(430)가 구비된다. 고정체(430)에는 그 내주면이 편심바디(422)의 외주면과 면접되는 고정몸체(431)가 구비되며, 고정몸체(431)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432)가 구비된다.
손잡이(410)를 통하여 제1샤프트(210)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그 내부에 구비된 회전체(420)가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회전체(420)의 편심홈부(423)에 면접된 고정돌기(432)는 편심바디(422)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에 맞닿으면서 편심바디(422)가 편심되어 있음에 따라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을 가압한다. 이로써 위치가 고정된다. 반대로 회전시킬 경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을 가압하던 고정돌기(432)의 힘이 떨어진다. 샤프트(2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진다.
샤프트(2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가상으로 골프채 예를 들면, 드라이버, 아이언, 웨지별 스윙 연습이 가능해진다.
{샤프트 길이조절}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샤프트(210, 220)로 양분된 샤프트(20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대략 중앙부에 구비된 손잡이(410)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손잡이(410)의 회전에 따라 제1 또는 제2샤프트(220)가 회전된다. 내부에 위치한 회전체(420)가 상대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에 면접되어 고정되었던 고정돌기(432)가 풀린다. 제2샤프트(220)를 원하는 길이만큼 제1샤프트(210)의 내측으로 밀어넣거나, 뺌으로써 전체적으로 샤프트(200)의 길이가 조정된다. 이후 손잡이(4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을 고정돌기(432)가 가압하면서 고정된다.
정확한 길이조절을 위하여 제2샤프트(220)의 외주면 측에 해당 골프채별로 표시를 해둘 수 있다.
{스윙 속도 훈련}
다운스윙되는 배트의 스윙 속도를 더 빠르게 연습하기 위하여 메인자성체(133)측에 자성결합된 제1이동체(131)측에 자성을 강화시킨다. 메인자성체(133)가 구비된 부분에 보조자력인가부(160)로 조절가능하다.
보조자성체(162)가 메인자성체(133) 측으로 보다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161)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제1이동체(131) 측으로 인가되는 자력이 강화된다. 그 반대의 경우 제1이동체(131) 측으로 인가되는 자력은 메인자성체(133)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게 될 것이다.
보조자성체(162)에서 제1이동체(131) 측으로 자력이 더 인가되는 경우 보다 빠른 스윙을 통하여 제1이동체(131)가 메인자성체(133)로부터 떨어지게 될 것이므로 스윙 속도를 높이는 훈련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백스윙}
도 12(a)를 참고하면, 연습자가 연습시 백스윙 탑 부분에 이를 때 제1이동체(131)는 금속판(132)을 떠나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된다. 또한, 제2이동체(142)는 자중에 의하여 이동된다.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는 순차적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진동수단(310)이 작동됨에 따라 연습자의 손에서 진동이 감지된다.
{임팩트}
도 12(b)를 참고하면, 연습자가 다운스윙을 거쳐 임팩트시에는 제2센서(145) 및 제1센서(144)순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에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임팩트시에는 제1이동체(131)가 금속판(132)을 타격함에 따라 충돌음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임팩트시 제어보드(147)는 제2이동체(142)가 제2센서(145)를 떠나 제1센서(144) 측으로 이동한 속도를 계산한다. 이동속도는 제어보드(147)에서 골프공이 골프채에 타격되어 날아가는 비거리로 환산된다. 환산된 비거리가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된다.
(팔로우스루)
도 12(b)를 참고하면, 임팩트를 지나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피니쉬(Finish)로 진행될 때 제1이동체는 금속판(132)을 떠나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된다. 제2이동체(142)는 자중에 의하여 근접하고 있던 제1센서(144)를 떠나 제2센서(145)측에 다다른다.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에서 순차적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했을 대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진동수단(310)이 작동됨에 따라 연습자의 손에서 진동이 감지된다.
10 : 감지수단 20 : 진동수단
30 : 연결부재 40 : 라이각표시수단
100 : 헤드부 200 : 샤프트
300 : 그립부 400 : 길이조절부

Claims (8)

  1. 골프채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배터리(23);
    상기 배터리(23)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연습자의 어드레스시 라이각(θ)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각측정부(41);
    측정된 상기 라이각(θ)을 상기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42);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하여 고정되며 자중에 의하여 낙하는 이동체(12); 상기 이동체(12)가 내부에 수용되어 자중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본체(11); 및 상기 이동체(12)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유닛(13)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체(12)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 및
    상기 감지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수단(10)으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각측정부(41)는 상기 라이각(θ)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영점조절부(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42)의 일측에는 어드레스시 상기 연습자가 상기 라이각(θ)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방울(44)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3. 삭제
  4. 샤프트(200);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헤드부(100); 및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연습자의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그립부(30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배터리(150);
    상기 제1배터리(150)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연습자의 어드레스시 라이각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각측정부(171);
    상기 라이각을 상기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
    상기 샤프트(200)는 중공된 파이프 형상의 제1샤프트(210) 및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제2샤프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200)의 내부에는 길이조절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부(400)는,
    상기 제2샤프트(220)의 일단과 고정되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회전체(420); 및
    상기 회전체(420)에 구비되며, 일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 면접되어 고정되는 고정체(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각측정부(171)는 상기 라이각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영점조절부(17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D)의 일측에는 어드레스시 상기 연습자가 라이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방울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1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420)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서히 증가는 내경을 갖음으로써 편심된 편심바디(422); 상기 편심바디(422)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421); 및 상기 가이드돌기(421)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돌기(421)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220)와 고정되는 연결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430)는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서히 증가하도록 두께가 점증되는 고정몸체(431); 및 상기 고정몸체(43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돌기(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는
    연습자가 스윙 연습 중 임팩트시점을 알 수 있도록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수단(130); 및
    상기 알림수단(1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습자의 백스윙 및 피니쉬 시점을 알 수 있도록 진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중공된 형상을 갖으며 밀폐된 형상의 통체(141); 상기 통체(14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제2이동체(142); 및 상기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체(141)의 양단측에 구비되는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 상기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2이동체(142)의 이동속도를 계측하며, 계측된 이동속도를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로 환산하기 위한 제어보드(147);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20140061992A 2014-05-23 2014-05-23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KR101646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992A KR101646558B1 (ko) 2014-05-23 2014-05-23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992A KR101646558B1 (ko) 2014-05-23 2014-05-23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71A KR20150134771A (ko) 2015-12-02
KR101646558B1 true KR101646558B1 (ko) 2016-08-08

Family

ID=5488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992A KR101646558B1 (ko) 2014-05-23 2014-05-23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38726A1 (en) * 2018-08-03 2020-02-0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Dynamic alignment aid for use on golf club grips
KR200494833Y1 (ko) * 2020-03-09 2022-01-06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연습용 골프채
KR200494400Y1 (ko) * 2021-01-18 2021-10-06 김수언 에이밍 및 발 위치 교정을 위한 라인 레이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188A (ja) 2003-07-15 2005-02-10 Tetsuya Miyamoto ゴルフスウィング練習器
KR101240495B1 (ko) 2012-04-26 2013-03-11 이원기 골프클럽 부착식 라이 측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512B1 (ko) * 2008-01-09 2010-06-01 태원근 골프 스윙 내비게이터
KR100982482B1 (ko)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101263876B1 (ko) * 2011-06-22 2013-05-13 (주) 골프존 골프 클럽, 이에 구비되는 그립 및 전원 제어장치와, 골프 클럽에 장착된 전자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188A (ja) 2003-07-15 2005-02-10 Tetsuya Miyamoto ゴルフスウィング練習器
KR101240495B1 (ko) 2012-04-26 2013-03-11 이원기 골프클럽 부착식 라이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71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58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5087047A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081469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동작보정 장치
KR101513473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1646558B1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US7722485B2 (en) Tennis serve ball machine cum training device
CA3017037A1 (en) Signaling device and implement
KR20110008189U (ko) 휴대용 골프 연습 장치 및 세트
KR102287930B1 (ko) 골프 타격 연습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289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WO2014178604A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20120124813A (ko)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KR101355882B1 (ko)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JP6297662B1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用バット
WO2018222297A1 (en) Golf training system
WO2014178609A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KR100502544B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JP2011083356A (ja) スイング練習装置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20160142623A (ko) 골프 게임 및 골프 임펙트 연습 겸용 파워 측정 시스템
KR101081473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
KR101513484B1 (ko) 퍼팅 스윙 연습장치
KR200473338Y1 (ko)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1851461B1 (ko) 타격지점 및 타격시점을 지시하는 레이저 스윙장치.
KR102520867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