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813A -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 Google Patents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813A
KR20120124813A KR1020110042668A KR20110042668A KR20120124813A KR 20120124813 A KR20120124813 A KR 20120124813A KR 1020110042668 A KR1020110042668 A KR 1020110042668A KR 20110042668 A KR20110042668 A KR 20110042668A KR 20120124813 A KR20120124813 A KR 2012012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assembly
swing
golf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256B1 (ko
Inventor
최선미
정종근
Original Assignee
최선미
정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미, 정종근 filed Critical 최선미
Priority to KR102011004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256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using electro-magnetic, magnetic or ultrasonic radiation emitted, reflected or interrupted by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85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골프 스윙 연습은 물론 실제 사용되는 헤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샤프트어셈블리(10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후방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되는 그립(20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헤드어셈블리(30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윙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전후좌우로 레이저(laser)가 조사되도록 하는 레이저장치와; 스윙 상태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스윙상태감지장치(400)와; 상기 레이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어셈블리(500)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어셈블리(300)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라운딩과 같은 실전 골프 스윙 연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Golf training device having a swing-analysis function}
본 발명은 골프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골프 스윙 연습은 물론 스윙연습시 자신의 스윙궤도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스윙 자세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실제 사용되는 헤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골프가 대중적인 스포츠로 널리 퍼져 있으며, 신체 및 정신건강에 많은 도움이 되는 스포츠로 인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해서 원하는 장소의 홀(hole)에 넣는 운동으로 골퍼는 공의 타격(임팩트)시 올바른 자세를 갖는 것이 필요한 운동이다.
골프스윙은 골프클럽의 헤드를 어떤 특정한 궤도로 움직이면서 골프공을 원하는 거리와 방향으로 정확하게 날려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올바른 골프스윙을 하기 위해서는 골퍼의 스윙을 위한 일련의 자세(어드레스-테이크 어웨이-백스윙-다운스윙-임팩트-팔로우 스로우-피니쉬)가 매우 중요하다.
즉, 골프는 다른 어느 운동보다도 자세가 중요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자세의 요소로는 스윙의 각도 및 궤도, 스윙의 시간 및 리듬, 스윙시의 체중이동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반복하여 자신에 맞는 이상적인 자세를 필요시 항상 동일하게 재현하는 것이 골프 연습의 목표다.
골퍼가 잔디 위에 놓여있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스윙을 하는 동안 신체의 무게 중심이 발뒤꿈치와 발바닥모지구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쏠리도록 신체의 발란스를 유지해야만 안정된 골프스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골프는 척추를 중심으로 어깨와 허리를 회전운동을 시키면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운동으로, 스윙 시에 올바르고 편안한 어드레스 자세를 요구하게 하는 스포츠이다.
이러한 골프는 실외에서 실시되는 스포츠로 날씨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비가 오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에는 즐기기 힘든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골프 연습장치가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골프연습 장치는, 전면에 그물망으로 형성된 주머니를 설치하여 실제 사용되는 골프클럽으로 볼을 타격하여 스윙자세와 타격 연습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넓은 공간과 높은 공간이 필요하므로 야외에서 하거나, 회원제로 운영되는 골프연습장(스크린골프연습장)에서 할 수밖에 없으므로 꾸준한 스윙연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실내에서 골프연습을 하는 경우에는 실제 골프클럽의 피칭웨지에서 드라이버까지의 길이가 약 90~115cm이므로 스윙 시 천장, 또는 주변의 가구 등에 부딪히기 때문에 스윙이 불가능하여 단지 퍼팅연습만 할 수 있기 때문에 골퍼가 연습장 이외의 곳 즉, 가정, 사무실 또는 회원으로 가입되어있지 않은 다른 골프연습장을 통해 자신의 골프 스윙자세교정 및 스윙연습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각종 골프용 스윙연습기가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스윙연습기는 골프채를 휘두르는 효과만을 가지오는 것이므로, 자신이 정확한 자세와 스윙 궤도를 유지하고 있는지는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자신의 자세와 스윙궤도를 알기 위해서는 거울 앞에 서서 자신의 자세를 살펴보는 정도이므로, 정확한 스윙궤도를 알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골프 연습기는 실제로 바닥을 치면서 연습 가능한 구조가 아니라, 끝부분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땅바닥에 실제로 헤드가 접촉하지 않고, 단지 스윙만 흉내내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스윙 연습이 실전과 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적인 골프연습장 이외의 장소인 가정이나 사무실 등 좁은 실내 공간 및 천장 높이에 제한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골프스윙 연습을 실제와 같이 즐길 수 있는 골프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퍼의 스윙을 위한 일련의 자세(어드레스-테이크 어웨이-백스윙-다운스윙-임팩트-팔로우 스로우-피니쉬)를 정확히 조준하여 연습할 수 있음은 물론, 스윙 순간에 자신의 스윙궤도를 정확히 알 수 있는 골프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제 사용되는 아이언이나 드라이버의 헤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실전처럼 연습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샤프트어셈블리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의 후방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되는 그립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의 전방에 구비되는 헤드어셈블리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윙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전후좌우로 레이저(laser)가 조사되도록 하는 레이저장치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윙 상태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스윙상태감지장치와; 상기 그립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이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저장치는, 상기 그립의 일측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레이저가 투사(透射)되도록 하는 후방레이저어셈블리와; 상기 후방레이저어셈블리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 및 좌우 방향으로 레이저가 투사(透射)되도록 하는 전방레이저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레이저어셈블리는, 상기 충전어셈블리의 일단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후방레이저발생기와; 상기 후방레이저발생기가 안착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어셈블리로부터 상기 레이저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에는, 좌우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발생기 및 제2레이저발생기와, 전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방레이저발생기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의 일측에는, 상기 전방레이저발생기의 레이저 발생 방향과 수직되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방보조레이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윙상태감지장치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임팩트날개와; 상기 임팩트날개가 원위치되도록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복귀부재와; 상기 임팩트날개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임팩트날개와 부딪히는 보조임팩트날개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의 외관파이프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임팩트날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임팩트날개고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에 의하면, 가정과 같은 실내에서 골프채를 휘두르는 것과 같은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실내에서 퍼팅연습은 물론 피칭웨지에서 가장 긴 드라이버 골프클럽까지 모두 연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윙을 하면서 자신의 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후좌우로 레이저가 투사되어 매트에 표시되므로, 자신의 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바로 점검하여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윙상태감지장치가 구비되므로, 청각적으로도 스윙의 상태 및 임팩트 순간을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임팩트날개가 충돌되면서 발생되는 충돌음에 의해 임팩트 순간을 청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보조임팩트날개의 충돌음으로 인하여 헤드어셈블리가 상방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 등을 청각적으로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그립커버 등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의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임팩트날개를 지지하는 복귀부재의 압축력이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임팩트 순간에 정확히 임팩트날개가 충격음을 내도록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실제 사용되는 아이언이나 우드 및 드라이버의 헤드를 샤프트어셈블리 전방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실제로 티샷을 하는 것과 같이 헤드가 바닥에 닿도록 스윙 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실전에 가까운 스윙연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방보조레이저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테이크 어웨이 자세에서 고개를 들지 않고도 자신의 스윙상태를 바로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초보자도 보다 정확한 스윙 연습 및 분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와 함께 사용되는 매트의 일례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의 외관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1)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샤프트어셈블리(10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되는 그립(200)와, 착탈 가능한 헤드어셈블리(300)와, 스윙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전후좌우로 레이저(laser)가 조사되도록 하는 레이저장치와, 스윙 상태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스윙상태감지장치(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1)는, 전체적으로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끝단부에는 실제 사용되는 골프채의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파이프(110)와, 상기 외관파이프(11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200)가 결합되는 샤프트로드(120)와, 상기 외관파이프(1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어셈블리(300)가 결합되는 헤드연결로드(1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관파이프(1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외관파이프(110) 내측에는 상기 스윙상태감지장치(400) 등이 내장된다.
상기 그립(20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샤프트로드(120)의 후단에 구비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샤프트로드(120)를 감싸게 된다.
상기 그립(200)은 내부가 비어있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립(200)은 후방(도 1에서는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외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그립(200)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크도록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경우에 손이 그립(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그립(200)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경우에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엠보싱(embossing)과 같은 미끄럼방지구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립(200)은, 여러 형태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따라 적당한 그립(2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쥬니어용과 일반용으로 구분되거나, 초보자용과 숙련자용 등으로 구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그립(200)을 교환하여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립(200)의 후측(상방)에는, 상기 레이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어셈블리(500)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어셈블리(5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충전케이스(510)와, 상기 충전케이스(510)의 내측에 내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충전지(52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충전케이스(510)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샤프트로드(120)와 아래에서 설명할 후방케이스(620)와 결합되는 샤프트결합부(530) 및 후방결합부(540)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결합부(530)와 후방결합부(540)는, 상기 충전케이스(51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결합부에는, 볼트(bolt) 등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볼트홀(H)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케이스(510)에는 전원이 유입되는 충전지잭(550)이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충전지잭(550)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상기 충전지(5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단자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충전지(520)는 충전식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즉, 상기 충전지(520)는 상기 충전지잭(550)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에너지를 충전하며, 이러한 충전지(520)에서 충전된 전기는 다수의 레이저발생기(610,710,720,730)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레이저장치는, 상기 그립(200)의 후측(상측)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레이저가 투사(透射)되도록 하는 후방레이저어셈블리(600)와, 상기 후방레이저어셈블리(60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전방 및 좌우 방향으로 레이저가 투사(透射)되도록 하는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레이저어셈블리(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어셈블리(500)의 후방(상측)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후방레이저발생기(610)와, 상기 후방레이저발생기(610)가 안착되는 후방케이스(620)와, 상기 충전어셈블리(500)로부터 상기 레이저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6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케이스(6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결합단부(6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단부(622)에는 상기 후방결합부(540)의 볼트홀(H)에 대응되는 다수의 볼트홀(H)이 형성되어, 볼트(B) 등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단부(622)가 상기 후방결합부(540) 내측으로 삽입되어, 볼트(B)에 의해 결합되면, 상기 후방레이저어셈블리(600)가 상기 충전어셈블리(500)의 후방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케이스(620)의 일측(도 1 및 도 2에서는 좌측)에는 후방레이저발생기(610)가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케이스(620)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후방홀(612)이 형성되고, 이러한 후방홀(612)에는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방케이스(6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충전어셈블리(500)로부터 상기 레이저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63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스위치(630)는,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것으로, 누름에 따라 온(on)/오프(off)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한번 전원스위치(630)를 누르면 전원이 온(on)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오프(off)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스위치 버튼 원리는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전반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외관파이프(110)의 선단부(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발생기(710) 및 제2레이저발생기(720)가 좌우로 설치되며, 전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방레이저발생기(730)가 상하로 내장 설치된다.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의 상하단에는, 상기 외관파이프(110)와 헤드연결로드(130)가 결합되는 외관연결단(740) 및 전방결합단(750)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외관연결단(740) 및 전방결합단(750)이 다수의 볼트(B) 등에 의해 상기 외관파이프(110)와 헤드연결로드(130)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에는, 좌우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발생기(710) 및 제2레이저발생기(720)가 각각 좌우에 구비된다.
그리고, 전방(도 1 및 도 2에서는 하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방레이저발생기(730)가 상하로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전방레이저발생기(730)는 상기 충전지(5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레이저(laser)를 발생시켜 전방(도 1 및 도 2에서는 하방)으로 레이저(laser)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레이저발생기(710)와 제2레이저발생기(720) 및 전방레이저발생기(730)는, 상기 충전지(5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지(520)와 제1레이저발생기(710), 제2레이저발생기(720) 및 전방레이저발생기(730) 사이에는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 내부에 전원선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지(520)와 제1레이저발생기(710), 제2레이저발생기(720) 및 전방레이저발생기(73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헤드연결로드(130)는,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와 결합된다. 즉, 상기 헤드연결로드(130)의 상단은 볼트(B) 등에 의해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의 전방결합단(750)에 장착되고, 하단은 상기 헤드어셈블리(300)와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헤드연결로드(130)와 헤드어셈블리(300)의 결합을 위해 헤드연결소켓(140)이 더 사용된다.
상기 헤드어셈블리(300)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전방에 구비되며, 골프채의 실제 헤드가 되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헤드어셈블리(300)는, 실제 골프채의 헤드가 장착되므로, 아이언헤드나 우드헤드 또는 드라이버헤드 등이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헤드어셈블리(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골프공(도시되지 않음)과 부딪히는 헤드본체(310)와, 상기 헤드본체(310)가 헤드연결로드(130)에 결합되도록 하는 헤드연결부(3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장치에 의해 레이저(laser)가 전후좌우로 각각 투사(透射)된다. 즉, 상기 후방레이저발생기(610)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laser)는 상기 그립(200)의 후방으로 나가게 되며, 상기 전방레이저발생기(730)에서 발생된 레이저(laser)는 상기 헤드어셈블리(300) 옆으로 통과하여 전방으로 나가게 되고, 상기 제1레이저발생기(710) 및 제2레이저발생기(720)에서 발생된 레이저(laser)는 좌측 및 우측으로 투사(透射)되어 사용자의 스윙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윙상태감지장치(400)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스윙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윙상태감지장치(400)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임팩트날개(410)와,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원위치되도록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복귀부재(420)와 상기 임팩트날개(410)와 부딪히는 보조임팩트날개(440)와, 상기 임팩트날개(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임팩트날개고정재(4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임팩트날개(4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임팩트날개(410)는 상기 샤프트로드(120)를 따라 전후(도 1,2에서는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로드(120)의 외경은 상기 임팩트날개(41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상기 복귀부재(420)는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전방(도 1,2에서는 하방)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후방(도 1,2에서는 상방)으로 원위치하도록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귀부재(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귀부재(420)의 하단에는, 상기 임팩트날개(410)와 대응되는 보조임팩트날개(45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는 상기 임팩트날개(410)와 선택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팩트날개(410)와 마찬가지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샤프트로드(120)의 하반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임팩트날개(440)에는 상기 복귀부재(420)의 하단부가 일부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수용턱(442)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의 하단의 내측의 내측을 상단에 비해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복귀부재(420)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돌출된 턱이 상기 수용턱(442)이다.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에 수용되는 복귀부재(420)의 길이는,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의 상하 길이 및 복귀부재(420)의 탄성력 및 사용자의 스윙속도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그립(200)을 잡고 스윙연습기를 휘두르는 경우에, 상기 임팩트날개(410)의 원심력이 상기 복귀부재(420)의 탄성력을 능가하게 되면,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에 부딪히게 된다. 즉 상기 임팩트날개(410)에 눌려 상기 복귀부재(420)가 모두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임팩트날개(410)의 하단이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의 상단에 부딪혀 소리가 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소리를 듣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귀부재(420)의 일측에는 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복귀부재(4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임팩트날개(410)의 하방이동을 저지하는 힘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외관파이프(110)의 상단부에는 임팩트날개고정재(430)가 구비된다. 상기 임팩트날개고정재(430)는 상기 외관파이프(110) 상단을 차폐하여, 상기 외관파이프(110)와 샤프트로드(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스윙연습기가 거꾸로 세워졌을 때 상기 임팩트날개(410)와 와서 부딪혀 소리가 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임팩트날개고정재(430)에는, 전방보조레이저(732)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팩트날개고정재(430)의 좌측으로는 상기 제1레이저발생기(710)와 같은 레이저발생기가 더 구비되어, 제1레이저발생기(710)와 같이 좌측으로 레이저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전방보조레이저(732)는, 상기 전방레이저발생기(730)를 보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윙 상태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테이크 어웨이(TAKE AWAY) 자세를 취할 때, 스윙 궤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방레이저발생기(730)에서 발생되는 빛이 후측(우측)을 비추게 되므로 사용자가 우측으로 머리를 돌려야 한다. 따라서, 바닥을 주시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머리가 우측으로 돌리지 않고 바닥을 주시한 상태에서도 테이크 어웨이(TAKE AWAY) 자세가 바르게 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이용된다.
도 4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1)를 가지고 스윙연습을 하는 경우에 같이 사용하게 되는 퍼팅 연습 겸용 스윙 매트(600)의 일례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매트(600)에는 각각의 스윙 샷을 하는 경우에 놓여지는 골프공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가로로 그으진 다수의 선은 각 스윙 샷을 하는 경우의 스윙궤도를 나타내는 스윙라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프 연습기(1)에서 투사되는 레이저(laser) 빛의 방향을 상기 매트(600)의 각 위치와 비교하면, 실제 클럽별 골프공의 위치와 스윙궤도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A'방향은 골프공이 날아가는 목표방향을 의미하며, 'B'방향은 골프공이 날아가는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C'방향은 스윙을 하는 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사용자의 전방)을 의미하며, 'D'방향은 스윙을 하는 사용자와 가까워지는 방향(사용자의 후측 방향)을 의미한다.
미설명부호 'S'와 'L'은 골프 연습기(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호이다. 즉, 'S'는 실제로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를 가정한 '셋팅점'(실제 골퍼 연습시 아이언 7번을 사용하는 경우의 공 위치)이며, 'L'은 골프공이 셋팅점에 놓여지는 경우의 바람직한 스윙궤도를 보여주는 '스윙라인'이다. 그리고, 'ℓ'은 사용자(골퍼)가 서 있는 경우의 발폭(두 발 사이의 거리)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S1','S2','S3','S4','S5','S6'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1)로부터 투사되는 각 레이저 빛이 임의의 순간에 위치되어야 하는 '기준점'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1'은 상기 셋팅점(S)으로부터 목표방향(A)으로 사용자의 왼발로부터 발폭(ℓ)의 1~1.5배 거리에 있는 위치를 나타내며, 'S2'는 상기 셋팅점(S)으로부터 목표 반대방향(B)으로 사용자의 오른발로부터 발폭(ℓ)의 1~1.5배 거리에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S3'과 'S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1'과 'S2'의 위치로부터 후방(D)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의 발 앞부분으로부터 좌우로 발폭(ℓ)의 1~1.5배 거리에 있는 위치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S5'과 'S6'은 상기 'S3'과 'S4'로부터 좌우로 더 연장된 임의 위치를 나타낸다. 즉, 'S5'은 목표방향(A)에 있는 전방벽(W1)에 위치하며, 'S6'은 목표 반대방향(B)에 있는 후방벽(W2)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S5'과 'S6'의 높이는 사용자의 귀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셋팅점(S)과 각 기준점(S1,S2,S3,S4,S5,S6)의 위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사용하고자 하는 골프채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1)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1)는, 초보자나 숙련자 또는 주니어나 성인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다. 즉, 상기 그립(200) 등은 사용자의 신체상황이나 골프 숙련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교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스윙 파워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는 조절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임팩트시의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1)를 사용하는 경우를 실제 골프채를 이용하여 연습하는 경우의 각 단계와 비교하여 설명한다.(도 4 참조)
(가) 어드레스( ADDRESS )
어드레스 자세는 최초 스윙을 위해 자세를 잡는 것으로, 이러한 어드레스 자세에서는 상기 헤드어셈블리(300)가 하측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 연습기(1)의 상기 전방레이저발생기(73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laser) 빛(이하 '전방빛'이라 한다.)은 상기 매트(600)의 셋팅점(S)에 투사되며, 상기 후방레이저발생기(720)에서 발생된 레이저(laser) 빛(이하 '후방빛'이라 한다.)은 골프 스윙 연습자(이하 '골퍼'라 한다)의 배꼽부분 또는 배 중앙 아래쪽에 투사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제1레이저발생기(71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laser) 빛(이하 '제1빛'이라 한다.)은 골프 연습기(1)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스탠스 발폭(ℓ)의 중앙지점(두 발 사이의 지점)을 향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레이저발생기(132)에서 발생되는 레이저(laser) 빛(이하 '제2빛'이라 한다.)은 골퍼의 앞 방향(C) 천정을 향하게 된다.
(나) 테이크 어웨이( TAKE AWAY )
상기와 같은 어드레스 자세에서 왼팔을 펴고 왼쪽어깨를 궤도에 따라 골프 연습기(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백스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셋팅점(S)을 향하고 있는 전방빛은 상기 스윙라인(L)을 따라 점차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전방빛이 상기 스윙라인(L)을 벗어나는 경우는 스윙자세가 바르지 못함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백스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빛이 목표 반대방향(B)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제1빛은 목표방향으로부터 점차 이동하여 상기 매트(600)의 기준점(S4)에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빛은 우측 벽의 기준점(S5)을 향하여 조사되고, 상기 전방보조레이저(732)에서 발생된 보조빛은 매트의 셋팅점(S)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도 자신의 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테이크 어웨이(TAKE AWAY)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방빛은 우측 벽의 기준점(S5)을 향하여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우측으로 고개를 돌려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자세가 흐트러지게 된다. 반면, 사용자는 고개를 들지 않고 상기 전방보조레이저(732)에서 발생된 보조빛이 상기 매트의 셋팅점(S)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스윙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테이크 어웨이(TAKE AWAY)가 완료되면, 골프 연습기(1)는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빛은 골퍼의 배를 향하다가 점차 목표방향(A)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제2빛은 천정을 향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빛이 상기 매트(600)의 기준점(S4)을 벗어나 'C'방향 쪽을 가리키게 되면, 클럽의 헤드가 열려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제1빛이 상기 매트(600)의 기준점(S4)을 벗어나 'D'방향 쪽을 가리키게 되면, 클럽의 헤드가 닫혀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계속적으로 백스윙(Back swing)을 하게 되면, 상기 헤드어셈블리(300)가 상방을 향하게 된다.
상기 헤드어셈블리(300)가 상방을 향하게 되면, 상기 전방빛은 천정을 향하여 투사(透射)되고, 상기 후방빛은 상기 매트(600)의 기준점(S2)에 투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1빛은 후방의 목표반대방향(B)을 향하여 벽의 기준점(S5)에 투사(透射)되고, 상기 제2빛은 전방의 목표 방향(A)의 벽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헤드어셈블리(300)가 상방으로 향하여 지면에 대해 거꾸로 세워지므로,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상기 그립(200) 쪽으로 내려오면서 상기 임팩트날개고정재(430)에 부딪혀 "탁"소리를 내게 된다. 따라서, 골퍼는 골프 연습기(1)가 거꾸로 세워져 지면과 수직이 되었음을 청각으로도 인식하게 된다.
(다) 탑스윙( TOP OF THE SWING )
상기와 같이 헤드어셈블리(300)가 상방의 탑(Top)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몸의 회전을 계속하게 되면, 상기 헤드어셈블리(300)는 전방의 목표방향(A)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빛은 목표방향(A)으로 투사되며, 후방빛은 목표 반대방향(B)을 향하여 뒷벽의 기준점(S5)에 투사된다.
이와 같은 탑스윙 자세에서는 상기 제1빛은 천정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제2빛은 상기 매트(600) 위의 기준점(S1)과 셋팅점(S) 사이의 스윙라인(L)을 가리키게 되어 오버스윙을 방지한다.
(라) 다운스윙( DOWN SWING ) 및 임팩트( IMPACT )
상기와 같은 탑스윙 자세에서 감겨진 상체를 풀어줌으로 다운스윙을 시작한다. 다운스윙시의 스윙궤도는 상기에서 설명한 테이크 어웨이(TAKE AWAY) 및 탑스윙(TOP OF THE SWING) 때의 스윙궤도와 유사한 궤도를 가진다. 즉, 방향만 반대가 되고, 스윙궤도는 동일한 궤도는 아니지만 유사한 궤도를 가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골프 연습기(1)의 그립(200)을 잡은 상태에서 손을 당겨 내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후방빛은 상기 매트(600)의 스윙라인(L)을 따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헤드어셈블리(300)는 원을 그리면서 아래로 내려온다.
이때 골퍼는, 상기 제1빛이 상기 기준점(S4)으로 이동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자신의 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바로(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운스윙(DOWN SWING)시에는, 후방빛이 상기 매트(600)의 스윙라인(L)을 지나도록 하여야 정확한 스윙이 된다.
이러한 다운스윙(DOWN SWING)시, 상기 제1빛이 기준점(S4)의 앞쪽('D'방향)을 가리키면 골프 연습기(1)의 헤드가 닫혀 있음을 의미하므로, 이때에는 실제 골프 스윙시 훅(hook)을 유발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빛이 기준점(S4)의 뒤쪽('C'방향)을 가리키면, 골프 연습기(1)의 헤드가 열려있다는 의미이며, 이때에는 실제 골프 스윙시 슬라이스(slice)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다운스윙(DOWN SWING)이 계속되면, 상기 헤드어셈블리(300)가 하방으로 내려와 상기 어드레스 자세보다 체중이 좌측에 있고 허리는 45도 정도 회전하여 꼬여 있는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는 실제로는 골프채의 헤드 부분이 골프공을 쳐내는 임팩트 순간이 된다.
이러한 임팩트(IMPACT) 순간의 상태는 상기 어드레스(ADDRESS)시의 자세보다 체중이 좌측에 있고 허리는 45도 정도 회전하여 꼬여 있는 상태가 된다. 즉, 골프 연습기(1)의 전방빛은 상기 매트(600)의 셋팅점(S)에 투사되며, 상기 후방빛은 골퍼를 향하게 된다. 그리고, 제1빛은 스탠스 발폭(ℓ)의 중앙지점을 향하게 되고, 제2빛은 골프 앞쪽의 천정을 향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전방빛이 상기 매트(600)의 셋팅점(S)을 벗어나게 되면, 스윙이 잘못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임팩트(IMPACT) 순간에는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헤드어셈블리(30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에 부딪혀 '탁'하는 충격음을 발생하게 된다. 즉, 골퍼가 다운스윙을 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임팩트날개(410)는 헤드어셈블리(300) 측으로 나가려 하게 되고, 이러한 원심력은 상기 복귀부재(420)를 압박하여 임팩트(IMPACT) 순간에는 강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상기 보조임팩트날개(440)와 충돌하여 충돌음을 내게 되는 것이다.
(마) 팔로우스로우( FOLLOW THROW )
상기와 같은 임팩트(IMPACT) 후에도 스윙은 계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빛은 상기 스윙라인(L)을 따라 혹은 근접한 상태로 좌측 목표방향(A)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빛은 목표 반대방향(B)으로 투사되어 골프 연습기(1)는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제1빛은 목표방향(A)으로 점차 이동하여 상기 매트(600)의 기준점(S3)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빛이 상기 매트(600)의 기준점(S4)을 벗어나 'C'방향 쪽을 가리키게 되면, 클럽의 헤드가 닫혀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제1빛이 상기 매트(600)의 기준점(S3)을 벗어나 'D'방향 쪽을 가리키게 되면, 클럽의 헤드가 열려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팔로우스로우(FOLLOW THROW)가 계속 진행되면, 상기 후방빛은 상기 매트(600)의 스윙라인(L)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기준점(S1)을 지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헤드어셈블리(300)가 다시 상방을 향하게 되므로,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상기 그립(200) 쪽으로 내려오면서 상기 임팩트날개고정재(430)에 부딪혀 "탁"소리를 내게 된다. 따라서, 골퍼는 골프 연습기(1)가 거꾸로 세워져 지면과 수직이 되었음을 청각으로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빛은 전방의 목표방향(A)을 향하여 벽의 기준점(S6)에 투사(透射)되고, 상기 제2빛은 후방의 목표반대방향(B)의 벽을 향하게 된다.
(바) 피니쉬( FINISH )
상기와 같은 팔로우스로우(FOLLOW THROW)를 진행되어 스윙이 계속되면, 골퍼의 자세는 상기 탑스윙(TOP OF THE SWING)때와 대칭되는 자세가 되어 스윙이 마무리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전방빛은 목표 반대방향(B)으로 투사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고, 후방빛은 목표방향(A)을 향하여 벽의 기준점(S6)에 투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2빛은 상기 매트(600) 위의 기준점(S2)과 셋팅점(S)사이의 스윙라인(L)를 가리키게 되어 정확한 스윙궤도로 인도하게 되고, 상기 제1빛은 천정을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연습기를 사용한 스윙연습의 전체 동작이 완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샤프트어셈블리 110. 외관파이프
200. 그립 300. 헤드어셈블리
400. 스윙상태감지장치 410. 임팩트날개
420. 복귀부재 450. 보조임팩트날개
500. 충전어셈블리 600. 후방어셈블리
610. 후방레이저발생기 700. 전방어셈블리
710. 제1레이저발생기 720. 후방레이저발생기
730. 전방레이저발생기

Claims (5)

  1.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샤프트어셈블리(10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후방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되는 그립(20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헤드어셈블리(30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윙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전후좌우로 레이저(laser)가 조사되도록 하는 레이저장치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윙 상태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스윙상태감지장치(400)와;
    상기 그립(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이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어셈블리(50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어셈블리(300)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장치는,
    상기 그립(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레이저가 투사(透射)되도록 하는 후방레이저어셈블리(600)와;
    상기 후방레이저어셈블리(60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전방 및 좌우 방향으로 레이저가 투사(透射)되도록 하는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레이저어셈블리(600)는,
    상기 충전어셈블리(500)의 일단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후방레이저발생기(610)와;
    상기 후방레이저발생기(610)가 안착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620)와;
    상기 후방케이스(62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어셈블리(500)로부터 상기 레이저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에는,
    좌우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발생기(710) 및 제2레이저발생기(720)와, 전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방레이저발생기(730)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레이저어셈블리(700)의 일측에는,
    상기 전방레이저발생기(730)의 레이저 발생 방향과 수직되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방보조레이저(73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상태감지장치(400)는,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임팩트날개(410)와;
    상기 임팩트날개(410)가 원위치되도록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복귀부재(420)와;
    상기 임팩트날개(41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임팩트날개(410)와 부딪히는 보조임팩트날개(440)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00)의 외관파이프(110)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임팩트날개(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임팩트날개고정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KR1020110042668A 2011-05-04 2011-05-04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KR101263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668A KR101263256B1 (ko) 2011-05-04 2011-05-04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668A KR101263256B1 (ko) 2011-05-04 2011-05-04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813A true KR20120124813A (ko) 2012-11-14
KR101263256B1 KR101263256B1 (ko) 2013-05-10

Family

ID=4751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668A KR101263256B1 (ko) 2011-05-04 2011-05-04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2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621A (ko) 2015-05-26 2016-12-06 정소라 퍼팅 연습 시스템
KR20210037221A (ko) * 2019-09-27 2021-04-06 김학선 스윙 연습 기기
KR20220015929A (ko) * 2020-07-31 2022-02-08 이재식 지능형 골프 스윙 연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064B1 (ko) 2018-09-07 2018-12-19 안국수 골프 스윙 분석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918Y1 (ko) * 2001-03-19 2001-10-26 이상기 조립식 골프채
KR200316628Y1 (ko) 2003-03-13 2003-06-18 김석헌 연습용 골프채
KR200316627Y1 (ko) 2003-03-13 2003-06-18 김석헌 연습용 골프채
KR20080021099A (ko) * 2008-02-17 2008-03-06 정종근 실내골프 스윙자세교정 및 스윙연습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621A (ko) 2015-05-26 2016-12-06 정소라 퍼팅 연습 시스템
KR20210037221A (ko) * 2019-09-27 2021-04-06 김학선 스윙 연습 기기
KR20220015929A (ko) * 2020-07-31 2022-02-08 이재식 지능형 골프 스윙 연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256B1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095B1 (ko) 골프 스윙연습기
US20080085787A1 (en) Batting Tee Apparatus
US8784239B2 (en) Batting training device
WO2016196607A1 (en) Alignment training mat for golf
US7946927B2 (en) Golf training aid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7024942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101263256B1 (ko)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JP2010512200A (ja) 充気式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具
CN102245268B (zh) 高尔夫挥杆的训练设备
KR20110131610A (ko)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US2013024480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060122003A1 (en) Portable golf swing position training aid kit
JP6474497B2 (ja) ダウンブロースイング演習装置
KR20190086308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311959Y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20120050948A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KR20150134771A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US20110034263A1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n athletes swing
US4566696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method
US10661140B2 (en) Golf-training apparatus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20160114299A (ko) 레이저(laser)를 이용한 골프스윙연습기
KR100679465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제어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골프 스윙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