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308A - 골프 퍼팅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308A
KR20190086308A KR1020180004674A KR20180004674A KR20190086308A KR 20190086308 A KR20190086308 A KR 20190086308A KR 1020180004674 A KR1020180004674 A KR 1020180004674A KR 20180004674 A KR20180004674 A KR 20180004674A KR 20190086308 A KR20190086308 A KR 20190086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putting
golf ball
path
p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두호
Original Assignee
(주) 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레온 filed Critical (주) 레온
Priority to KR102018000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308A/ko
Publication of KR2019008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91Balls fixed to a movable, tiltable or flexible a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8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 동작에 따른 구질파악이 용이하고 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골프공이 놓여져 퍼팅되어 전진하는 전진경로와 귀환되는 귀환경로를 이루는 평탄부와, 퍼팅된 골프공이 상승하는 상승경로를 이루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골프 매트; 경사부의 양측에 세워져 골프공을 안내하는 한편 퍼터 헤드의 저면이 닿을 경우에 안내되는 안내 곡면이 형성된 퍼터 안내대; 전진 경로 또는 상승 경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퍼터 헤드의 페이스에 의해 타격되는 2개의 타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퍼가 퍼팅시에 밀어치는지 때려치는지 굴리는지 퍼팅 동작에 따른 본인의 구질파악을 용이하게 하여, 일관된 골프퍼터 스매싱 훈련으로 당겨치거나 밀어치는 동작을 예방하고 밀고 굴러치는 기술습득을 가능하게 하고, 밀고 굴려치는 동작 습득을 위한 골프공이 없는 상황에서 백스윙 없이 빈 스윙으로 타격체만 타격하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여 거리 감각 습득이 용이하게 하며, 타격된 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 퍼팅 연습장치{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PUTTING}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동작에 따른 구질파악이 용이하고 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다양한 지형의 18홀을 돌면서 드라이브 샷, 아이언 샷, 벙커 샷 및 퍼팅 등을 행하면서 골프공을 퍼팅그린의 홀컵에 넣는 스포츠 경기로써, 최저 타수로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선수가 우승한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퍼팅(putting)이라 함은 퍼터라는 클럽으로 그린 위에서 공을 굴려 홀 컵에 집어 넣는 것으로 드라이버로 티샷을 하고 아이언으로 그린 위로 올라가는 세컨 샷을 하고 그린 위에 올라간 공을 최종적으로 홀 컵에 집어 넣는 것을 말한다.
퍼팅(putting)은 다양한 형상의 그린 상에서 그린의 상태 및 형상에 따른 방향설정 및 골프공의 속도를 나타내는 타격세기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홀컵에 골프공을 퍼팅하는 골프의 피니쉬 동작에 해당하며, 골프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정확한 퍼팅 기술의 습득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확한 퍼팅을 하기 위해서는 첫째, 스윙거리 즉, 골프 퍼터(Putter)의 왕복이동거리가 너무 짧거나 길지 않아야 하며, 둘째, 골퍼의 시선이 골프공에 수직 상방에 위치하여야 하고, 셋째, 퍼터 페이스(Putter Face)가 골프공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바로 접해야 한다.
그러나, 초심자는 물론 숙달자라 하더라도 올바른 자세의 퍼팅을 익히기는 쉽지 않다. 또한, 실제 퍼팅시에는 심리적 부담까지 가중되어 불안정한 스윙동작에 의해 흔들림이 많고, 타구 방향이 뒤틀리는 등 실수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내에서 손쉽게 연습할 수 있는 퍼팅 연습장치를 많이 사용한다.
골프의 기력(技力) 향상을 위해서는 정확한 퍼팅 기술의 연마가 거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가 있으나 종래에는 효과적인 퍼팅 연습기가 개발되지 않아 아마추어 골퍼(Golfer)들은 이의 효과적인 연습에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에 있었다.
특히 정확한 퍼팅을 구사하려면 퍼터 페이스(putter face)가 스윙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유지하면서 또한 호형상이 아닌 직선 상태로 움직여야만 공을 목적하는 방향에 곧바르게 굴러 보낼 수가 있는 것인 바, 대다수의 아마추어 골퍼들은 이러한 요령이 부족하여 대부분 퍼터 페이스가 공에 직각면으로 타접되지 않으므로 타구 방향이 뒤틀리게 되는 에러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평소 퍼팅 연습시에 자신의 스윙 괘도 형성이 단순히 감각이나 육안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교정하기 위하여서는 정확한 퍼팅 연습용 기구가 필요로 되는 것이다.
골프 퍼팅시에 퍼팅 동작은 밀어치는 동작과, 때려지는 동작과, 굴리는 동작과, 밀고 굴려치는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밀어치는 동작은 골프공의 중심부분을 밀어치려는 동작으로서, 몸의 중심이 양쪽 어께중심으로 되어 있어 퍼팅 동작에서 어께가 먼저 돌아가거나 머리가 먼저 돌아가(헤드업동작) 몸통이 흔들리게 되며, 초보골퍼들이 주로 사용하는 타법에 의한 동작이다. 때려치는 동작은 골프공 상단부분을 때려치는 동작으로서, 몸통 중심은 하체 왼발에 두는 동작으로 아마추어 싱글골퍼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는 타법에 의한 동작이다. 굴리는 동작은 골프공 중앙 하단 부분을 들어주는 느낌의 퍼팅 자세로 몸의 중심이 골반에 있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 하지만 거리감각을 맞추는데 어려운 동작이다. 밀고 굴려치는 동작은 몸의 중심을 골반에 두고 골프공 중앙 하단을 밀면서 굴리는 동작으로 많은 프로 골퍼들이 사용하는 타법에 의한 동작이다.
종래의 퍼터 타격 연습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인조잔디 매트에 공이 들어갈 수 있는 목표장치를 구성하여 직접 하나의 공을 타격하여 그 장치에 넣는 방식과, 본인이 사용하는 퍼터가 아닌 단순 연습용으로만 고안된 특수한 장치가 부착된 퍼터 기구를 이용하여 퍼터타격 자세 등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하나의 공을 일률적으로 그 목표장치를 향하여 타격운동을 하기 때문에 타격된 공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잘못 진행하여도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함에 있어서 단순하게 퍼터타격 자세의 문제인지 퍼터타격의 균형성에 의한 문제인지 아니면 본인의 컨디션에 의한 문제인지가 쉽게 파악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타격된 공이 의도한 대로 잘 진행된다 하더라도 그 원인 또한 파악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일관된 퍼터타격의 균형감각을 습득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퍼터 타격 자세의 교정훈련에는 조금의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나 중점적이고도 기본적인 실제의 퍼터 타격의 균형감각을 숙련시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연습시에 본인이 직접 경기에 사용하는 퍼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고 하나의 퍼터타격 동작에 의한 타격의 균형 정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9209호(등록일: 2008.03.20.)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9416호(등록일: 2012.03.15.)
본 발명의 목적은 퍼팅 동작에 따른 구질파악을 용이하게 하여 밀고 굴려치는 기술습득 및 거리감각 습득이 용이하고 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골프공이 놓여져 퍼팅되어 전진하는 전진경로와 귀환되는 귀환경로를 이루는 평탄부와, 퍼팅된 골프공이 상승하는 상승경로를 이루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골프 매트; 경사부의 양측에 세워져 골프공을 안내하는 한편 퍼터 헤드의 저면이 닿을 경우에 안내되는 안내 곡면이 형성된 퍼터 안내대; 전진 경로 또는 상승 경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퍼터 헤드의 페이스에 의해 타격되는 2개의 타격체를 포함한다.
2개의 타격체는 지지대의 단부에 볼이 형성되고, 볼이 타격되면 기울어진 후 원위치하는 자립형 타격체로 되어 있고, 2개의 볼 중에 먼저 타격되거나 동시에 타격되었음을 알리는 알람부가 구비된다. 2개의 타격체는 바디와 헤드를 가진 오뚜기 형태로서, 오뚜기 헤드가 타격되면 기울어진 후 원위치하는 자립형 타격체로 되어 있고, 2개의 오뚜기 헤드 중에 먼저 타격되거나 동시에 타격되었음을 알리는 알람부가 구비된다.
골프 매트나 골프 매트에 설치된 경로 안내대에 구비되어, 평탄부에서 굴러가는 골프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받아 골프공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연산하고 처리하는 CPU와, CPU의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경사부의 상단에는 경사면을 타고 상승한 골프공이 투입되어 낙하하는 퍼팅 홀이 형성되고, 퍼팅 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백 패널이 설치되어, 퍼팅 홀을 통해 낙하한 골프공이 백 패널에서 리턴하여 귀환경로를 통해 귀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퍼가 퍼팅시에 밀어치는지 때려치는지 굴리는지 퍼팅 동작에 따른 본인의 구질파악을 용이하게 하여, 일관된 골프퍼터 스매싱 훈련으로 당겨치거나 밀어치는 동작을 예방하고 밀고 굴러치는 기술습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고 굴려치는 동작 습득을 위한 골프공이 없는 상황에서 백스윙 없이 빈 스윙으로 타격체만 타격하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여 거리 감각 습득이 용이하게 하며, 타격된 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퍼팅 동작에 따라 퍼팅 헤드가 타격체를 타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퍼팅된 골프공이 전진하고 상승하여 귀환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서 퍼팅 연습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서 퍼팅 연습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서 퍼팅 연습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 퍼팅 연습장치(100)는 골프 매트(110)와, 퍼터 안내대(120)와, 타격체(130)와, 백 패널(140)과, 경로 안내대(150) 및 화면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골프 매트(110)는 평탄부(111)를 이루는 주 매트(110A)와, 경사부(112)와 홀컵부(113)을 이루는 보조 매트(110B)로 이루어지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골프 매트(110)는 일반적인 골프 매트에 사용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제 필드 환경과 유사한 정도로 골프공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골프공이 직접 접촉되는 상면은 일반적인 합성섬유 또는 벨보아(velboa), 벨세, 아크릴사 등의 직물류로 조직된 인조잔디나 카페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 매트(110A)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100)가 설치되는 바닥에 깔리어 평탄부(111)를 이루며, 보조 매트(110B)는 주 매트(110A) 상의 퍼터 안내대(120) 사이에 설치되어 경사부(112)와 홀컵부(113)를 이룬다.
평탄부(111)는 골프공이 안착위치(G)에 놓여져 퍼팅되어 전진하는 전진경로(P1)와 귀환하는 귀환경로(P3)를 이루게 한다. 경사부(112)는 퍼팅된 골프공이 전진경로(P1)를 따라 안내되어 상승하는 상승경로(P2)를 이루게 한다. 경사부(112)는 전진경로(P1)를 따라 이동한 골프공의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도록 상승경로(P2)를 이루게 하므로, 평면을 기준으로 긴 거리를 진행하도록 타격된 골프공도 상승경로(P2)에서는 그 이동거리가 짧아지게 하여 좁은 실내에서도 연습이 가능하게 한다.
경사부(112)의 하측에는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매트 받침대(도시안됨)가 설치되어 경사부(112)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부(112)의 경사각도의 조절에 따라 좁은 실내에서도 중장거리에 대해 퍼팅 세기 연습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장거리 연습일 경우에는 경사각도를 크게 하고 중거리 연습일 경우에는 경사각도를 작게 하여 연습한다. 경사각도는 제어블록도(도 3)의 후술하는 조작부(172)의 조작에 따라 조작하여 조절한다.
홀컵부(113)는 경사부(112)를 통과한 골프공이 진입할 수 있도록 경사부(112)의 후방 상단부에 평탄하게 형성되며, 홀컵부(113)의 끝단에는 골프공이 투입되어 낙하하는 퍼팅 홀(113a)이 형성된다.
퍼터 안내대(120)는 경사부(112)의 양측에 세워져 골프공을 안내하는 한편 퍼터 헤드(PH)를 안내하며, 퍼터 헤드(PH)의 저면이 닿을 경우에 안내되도록 경사부(112)를 따라 곡면을 이룬 안내 곡면(121)을 구비한다. 안내 곡면(121)은 사용자의 퍼터 스윙 궤적에 대응하도록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퍼터 안내대(120)는 퍼팅시에 스윙 동작이 익숙하지 않을 경우에 안내 곡면(121)을 따라 퍼터 헤드(PH)를 안내하므로 퍼팅 동작의 교정이 용이하게 한다.
타격체(130)는 상승경로(P2)를 이루는 경사부(112)의 양측에 세워진 퍼터 안내대(120)에 설치되어, 퍼터 헤드(PH)의 페이스에 의해 타격되는 2개의 타격체, 즉 제1 타격체(131)와 제2 타격체(132)로 되어 있다. 제1, 제2 타격체(131, 132)는 지지대(131a, 132a)의 단부에 볼(131b, 132b)이 형성되고, 볼(131b, 132b)이 퍼터 헤드(PH)의 페이스에 의해 타격되면 기울어진 후 원위치하는 자립형 타격체로 되어 있다. 자립형 타격체(131, 132)는 지지대(131a, 132a)에 설치되는 탄성 복원스프링이나 탄성 복원재 등으로 구현된다.
볼(131b, 132b)에는 2개의 볼(제1 타격체의 볼과 제2 타격체의 볼) 중에 먼저 타격되거나 동시에 타격되었음을 알리는 알람부가 구비된다. 알람부는 제어블록도(도 3)의 후술하는 제2 감지센서(174), 램프(175) 또는 음향출력부(176)로 구현된다.
백 패널(140)은 골프 매트(110)의 주 매트(110A)의 후단에 퍼팅 홀(113a)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퍼팅 홀(113a)을 통해 낙하나 골프공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하며, 리턴하여 귀환경로(P3)를 통해 귀환하게 한다. 백 패널(140)은 테두리의 내부에 망이나 탄성판재가 설치된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경로 안내대(150)는 주 매트(110A)의 일측변에 설치되어 전진경로(P1)를 이루게 하는 전진경로 안내대(151)와, 주 매트(110B)의 타측변에 설치되어 귀환경로(P3)를 이루게 하는 귀환경로 안내대(152)로 이루어진다. 전진경로 안내대(151)와 귀환경로 안내대(152)의 전단부에는 제어블록도(도 3)의 후술하는 제1 감지센서(173)가 설치된다. 귀환경로 안내대(152)의 후단에는 퍼팅 홀(113a)에 투입되어 낙하하여 백 패널(140)에 부딧친 골프공을 앞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삼각 형태의 후단 안내턱(152a)이 구비되고, 귀환경로 안내대(152)의 전단에는 앞측으로 나오는 골프공이 안착위치(G)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삼각형태의 전단 안내턱(152b)이 구비된다.
화면 표시부(160)는 주 매트(110A)의 전단 우측에 설치되어 골퍼가 퍼팅시에 골프공의 위치와 방향 및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하여 자신의 동작을 교정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기기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퍼팅 동작에 따라 퍼팅 헤드가 타격체를 타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5는 퍼팅된 골프공이 전진하고 상승하여 귀환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100)는 CPU(171)와 조작부(172)와 제1 감지센서(173) 및 제2 감지센서(174)의 신호를 입력받아 골프공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연산하고 처리하여 회면표시부(160)와 램프(175)와 음향출력부(176)를 통해 결과가 출력되면서 제어된다. CPU는 화면표시부(160)에 이어져 설치되거나 스마트폰 등 별도의 무선통신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조작부(17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부(112)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고 연습하고자 하는 코스(단거리 코스, 중거리 코스, 장거리 코스)를 선택하도록 조작하며, 화면표시부(160)에 구비되거나 스마트폰 등 별도의 무선통신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17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진경로 안내대(151)와 귀환경로 안내대(152)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퍼팅되어 전진경로(P1)를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발광부(173a)와 수광부(173b)로 이루지는 광센서로 이루어진다. 제2 감지센서(17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볼(131b, 132b)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압전센서 등의 충격감지센서로서, 퍼터 헤드(PH)의 페이스에 의해 볼(131b, 132b)이 타격되었음을 감지한다.
램프(175)는 제2 감지센서(174)의 감지신호를 받은 CPU(171)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LED 등으로 되어 있으며, 볼(131b, 132b)에 내장되거나 별도로 설치된다. 음향출력부(176)는 제2 감지센서(174)의 감지신호를 받은 CPU(171)의 제어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되어 있으며, 퍼터 안내대(120) 등에 설치된다.
골프공을 안착위치(G)에 위치시키고 골퍼가 퍼터 헤드(PH)로 골프공을 퍼팅하게 되면, 도 5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골프공은 평탄부(111)의 전진경로(P1)를 따라 이동하여 경사부(112)의 상승경로(P2)를 따라 상승하고, 홀컵부(113)에서 퍼팅홀(113a)에 투입되면 낙하한다. 낙하된 골프공은 백 패널(140)의 차단에 따라 방향을 전환하여 귀환경로 안내대(152)에 의해 안내되는 한편, 전단 안내턱(152b)의 유도에 따라 안착위치(G) 방향으로 귀환하게 되며, 골퍼는 귀환되는 공으로 반복적으로 퍼팅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골프공이 평탄부(111)의 전진경로(P1)를 따라 이동할 때, 발광부(173a)와 수광부(173b)로 된 제1 감지센서(173)에서 골프공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여 CPU의 연산 및 처리에 따라 화면표시부(160)에 골프공의 이동 및 방향을 표시한다.
그리고, 골프공을 타격한 퍼터 헤드(PH)는 전진경로 안내대(151)의 안내에 이어 퍼터 안내대(120)의 안내곡면(121)에 퍼터 헤드(PH)의 저면이 닿으면서 안내되어 골프공과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1 타격체(131)와 제2 타격체(132)를 타격하게 된다. 퍼터 안내대(120)의 안내곡면(121)이 퍼터 헤드(PH)을 안내하므로 골퍼는 골프공을 타격한 후에 퍼터를 움직이는 올바른 동작습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터 헤드(PH)가 왼쪽(안착 위치에서 타격체를 바라볼 때)에 위치한 제1 타격체(131)를 먼저 타격하여 제1 타격체(131)가 먼저 기울어지면, 퍼터 헤드(PH)의 페이스가 열려 맞아 골프공은 오른쪽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는데, 제2 감지센서(174)의 감지에 따라 CPU(171)가 제1 타격체(131)에 설치된 램프(175)에 점등되기만 하게하여 골퍼에게 알려주고, 필요에 따라 음향출력부(176)를 통해 골퍼에게 알려준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터 헤드(PH)가 오른쪽(안착 위치에서 타격체를 바라볼 때)에 위치한 제2 타격체(132)를 먼저 타격하여 제2 타격체(131)가 먼저 기울어지면, 퍼터 헤드(PH)의 페이스가 닫혀 맞아 골프공은 왼쪽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는데, 제2 감지센서(174)의 감지에 따라 CPU(171)가 제2 타격체(132)에 설치된 램프(175)에 점등되기만 하게하여 골퍼에게 알려주고, 필요에 따라 음향출력부(176)를 통해 골퍼에게 알려준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터 헤드(PH)가 왼쪽과 오른쪽(안착 위치에서 타격체를 바라볼 때)에 위치한 제1 타격체(131) 및 제2 타격체(132)를 동시에 타격하여 제1 및 제2 타격체(131)가 동시에 기울어지면, 퍼터 헤드(PH)의 페이스가 올바르게 골프공을 타격하여 직진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는데, 제2 감지센서(174)의 감지에 따라 CPU(171)가 제1 타격체(131)와 제2 타격체(132)에 설치된 램프(175)에 모두 점등되게 하여 골퍼에게 알려주고, 필요에 따라 음향출력부(176)를 통해 골퍼에게 알려준다.
이와 같이, 골퍼는 퍼터 헤드의 페이스가 열려 맞는지, 닫혀 맞는지, 올바르게 맞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골퍼는 밀어 치는지, 때려 치는지, 굴리는지 본인의 구질 파악이 용이하게 되어, 반복된 골프 퍼터 스매싱 훈련으로 당겨 치거나 밀어치는 동작을 예방하여, 밀고 굴려 치는 기술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또한, 골퍼는 밀고 굴려치는 동작 습득을 위한 골프 공이 없는 상황에서 백 스윙없이 빈 스윙으로 타격체만 타격하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여 거리 감각 습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200)는 제1 타격체(231)와 제2 타격체(232)로 이루어지는 타격체(230)가 바디와 헤드를 가진 오뚜기 형태로서, 오뚜기 헤드가 타격되면 기울어진 후 원위치하는 자립형 타격체로 되어 있고, 2개의 타격체에는 2개의 오뚜기 헤드 중에 먼저 타격되거나 동시에 타격되었음을 알리는 알람부가 구비된다. 이때, 제1 타격체(231)과 제2 타격체(232)는 전진경로(P2)의 양측에 설치되며, 타격되었음을 알리는 램프는 오뚜기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200)의 골프 매트(210), 퍼터 안내대(220), 백 패널(240), 경로 안내대(250) 및 화면 표시부(260) 등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예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서 퍼팅 연습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타격체가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타격체(331, 332)는 원주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퍼터 헤드(PH)에 의해 타격되는 경우 안내 곡면(321)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할 수 있다. 타격체(331, 332)는 원주면을 갖는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체가 안내 곡면(321)을 이탈하지 않고 전진할 수 있도록 안내 곡면(321)에는 안내 곡면(321)을 따라 레일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322)에는 거리에 따른 눈금(A1, A2, A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눈금에 따라 실제 거리를 가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격체가 A1 지점까지 전진하는 경우 1 m 퍼팅을 나타낼 수 있고, 타격체가 A2 지점까지 전진하는 경우는 1.5 m 퍼팅을 나타낼 수 있다. 눈금(A1, A2, A3) 지점에는 감지센서(미도시)가 배치되어 CPU에 퍼팅 거리를 알려줄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공 대신 타격체(331, 332)를 타격하여 퍼팅 연습을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를 동시에 타격하는 경우(도 4c 참조), 각 타격체(331, 332)는 퍼터 안내대(320)의 레일홈(322) 안으로 진입하여 안내 곡면(321)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할 수 있다. 타격체(331, 332)는 전진한 후에 다시 안내 곡면(321)을 따라 내려와서 사용자는 다음 퍼팅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타격하는 경우(도 4a 또는 도 4b 참조), 각 타격체의 전진 속도가 다르므로 육안으로 정확한 타격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퍼터 헤드의 페이스가 열려 맞거나 닫혀 맞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서 퍼팅 연습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때 중심축이 되는 회전심(334)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심(334)은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가 보다 직선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주며, 또한 타격체(331, 332)들이 안내 곡면 상의 레일홈(322)에 진입한 후에도 레일홈(322)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제4 실시예에서도 제3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공 대신 타격체(331, 332)를 타격하여 퍼팅 연습을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를 동시에 타격하는 경우(도 4c 참조), 각 타격체(331, 332)는 퍼터 안내대(320)의 레일홈(322) 안으로 진입하여 안내 곡면(321)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할 수 있다. 타격체(331, 332)는 전진한 후에 다시 안내 곡면(321)을 따라 내려와서 사용자는 다음 퍼팅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타격하는 경우(도 4a 또는 도 4b 참조), 각 타격체의 전진 속도가 다르므로 육안으로 정확한 타격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퍼터 헤드의 페이스가 열려 맞거나 닫혀 맞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서 퍼팅 연습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33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봉(333)은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가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를 연결하며, 타격체들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한다. 연결봉(333)은 사용자가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타격하는 경우, 타격체(331, 332)가 비스듬하게 전진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5 실시예에서도 제3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공 대신 타격체(331, 332)를 타격하여 퍼팅 연습을 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를 동시에 타격하는 경우(도 4c 참조), 타격체(331, 332)는 연결봉(333)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퍼터 안내대(320)의 레일홈(322) 안으로 진입하여 안내 곡면(321)을 따라 회전하면서 나란하게 전진할 수 있다. 타격체(331, 332)는 전진한 후에 다시 안내 곡면(321)을 따라 내려와서 사용자는 다음 퍼팅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격체(331)와 제2 타격체(332)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타격하는 경우(도 4a 또는 도 4b 참조), 타격체(331, 332)가 연결봉(333)에 의해 비스듬하게 전진하므로 레일홈(322)과 접촉하여 레일홈(332) 상단부까지 진입하지 못하거나 이탈함으로써 정확한 타격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비스듬게 전진하는 방향에 따라 퍼터 헤드의 페이스가 열려 맞거나 닫혀 맞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골프 퍼팅 연습장치
110 : 골프 매트 110A : 주 매트
110B : 보조 매트 111 : 평탄부
112 : 경사부 113 : 홀컵부
120 : 퍼터 안내대 121 : 안내 곡면
130 : 타격체 131 : 제1 타격체
132 : 제2타격체 140 : 백 패널
150 : 경로 안내대 151 : 전진경로 안내대
152 : 귀환경로 안내대 160 : 화면 표시부
171 : CPU 172 : 조작부
173 : 제1 감지센서 174 : 제2감지센서
175 : 램프 176 : 음향 출력부

Claims (5)

  1. 골프공이 놓여져 퍼팅되어 전진하는 전진경로와 귀환되는 귀환경로를 이루는 평탄부와, 퍼팅된 골프공이 상승하는 상승경로를 이루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골프 매트;
    상기 경사부의 양측에 세워져 골프공을 안내하는 한편 퍼터 헤드의 저면이 닿을 경우에 안내되는 안내 곡면이 형성된 퍼터 안내대;
    상기 전진 경로 또는 상기 상승 경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퍼터 헤드의 페이스에 의해 타격되는 2개의 타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타격체는 지지대의 단부에 볼이 형성되고, 볼이 타격되면 기울어진 후 원위치하는 자립형 타격체로 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볼 중에 먼저 타격되거나 동시에 타격되었음을 알리는 알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타격체는 바디와 헤드를 가진 오뚜기 형태로서, 오뚜기 헤드가 타격되면 기울어진 후 원위치하는 자립형 타격체로 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오뚜기 헤드 중에 먼저 타격되거나 동시에 타격되었음을 알리는 알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매트나 상기 골프 매트에 설치된 경로 안내대에 구비되어, 상기 평탄부에서 굴러가는 골프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받아 골프공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연산하고 처리하는 CPU와,
    상기 CPU의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는 원주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퍼터 헤드에 의해 타격되는 경우 상기 안내 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20180004674A 2018-01-12 2018-01-12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190086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674A KR20190086308A (ko) 2018-01-12 2018-01-12 골프 퍼팅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674A KR20190086308A (ko) 2018-01-12 2018-01-12 골프 퍼팅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08A true KR20190086308A (ko) 2019-07-22

Family

ID=6746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674A KR20190086308A (ko) 2018-01-12 2018-01-12 골프 퍼팅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63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5560A (zh) * 2021-07-30 2021-10-29 柴力军 一种深井救援装置
CN113941132A (zh) * 2021-10-19 2022-01-18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旋转型高尔夫挥杆练习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09Y1 (ko) 2006-12-12 2008-03-31 홍두호 음파골프퍼팅연습기 및 음파골프퍼팅연습용 음향발생기
KR200459416Y1 (ko) 2009-04-17 2012-03-23 주식회사 태광커머스 골프 퍼팅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09Y1 (ko) 2006-12-12 2008-03-31 홍두호 음파골프퍼팅연습기 및 음파골프퍼팅연습용 음향발생기
KR200459416Y1 (ko) 2009-04-17 2012-03-23 주식회사 태광커머스 골프 퍼팅 연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5560A (zh) * 2021-07-30 2021-10-29 柴力军 一种深井救援装置
CN113565560B (zh) * 2021-07-30 2024-03-29 淮北智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深井救援装置
CN113941132A (zh) * 2021-10-19 2022-01-18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旋转型高尔夫挥杆练习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9484B2 (en) Golf swing ball impact teaching tool
US7214140B2 (en) Golfer training aid
US2007024942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101882750B1 (ko) 다기능 골프용 퍼터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5513842A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100349769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0489418B1 (ko)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KR20190086308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US3873097A (en) Golf putting device
US4023811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2523698B1 (ko) 골프 스윙의 체중 이동 및 힙 턴 연습장치
KR101263256B1 (ko)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JP6246321B2 (ja) パッテング練習具
JP6474497B2 (ja) ダウンブロースイング演習装置
KR100981703B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US6554716B1 (en) Golf “swing for accuracy” mat
US4566696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method
KR200220556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20090005941A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JP3228946U (ja) ゴルフスイング矯正マット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