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228A -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228A
KR20160099228A KR1020150021394A KR20150021394A KR20160099228A KR 20160099228 A KR20160099228 A KR 20160099228A KR 1020150021394 A KR1020150021394 A KR 1020150021394A KR 20150021394 A KR20150021394 A KR 20150021394A KR 20160099228 A KR20160099228 A KR 2016009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club
core body
weight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율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율도
Priority to KR102015002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9228A/ko
Publication of KR2016009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5/00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 A63B15/005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with a weight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lub due to centrifugal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시 궤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스윙방향에 대한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1)으로, 그립(10)과 웨이트(20) 사이에 샤프트(30)가 연결되되 상기 샤프트(30)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심체(32)와, 상기 심체(32)의 외곽을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지지체(34)로 이루어져 있어 그립(10)의 파지시 심체(32)의 전면 또는 후면이 스윙방향(진행방향)을 향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백스윙에서부터 다운스윙, 어드레스, 임팩트, 팔로우 스윙 및 피니시 동작에 이르기까지 스윙 궤도를 따라 정확하게 방향 즉, 심체(32)의 전면 또는 후면이 이 스윙 궤도를 따라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스윙 연습을 함으로써 스윙 궤도와 방향의 정확한 연습을 할 수 있게 되어 몸으로 스윙 궤도를 체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GOLF CLUB FOR EXERCISE SWING}
본 발명은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스윙 궤도(스윙 플레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윙 방향의 정확도 향상과 임팩트의 정확도 향상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모든 스포츠 종목이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골프는 다른 종목에 비해 스윙 자세가 대단히 중요하다. 골프에서 스윙은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스윙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타격의 정확성과 스피드가 결정되게 되고, 정확한 타격과 빠른 스피드에 의해 비거리를 최대한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스윙동작은 끊임없는 반복 연습에 의해서 터득가능하지만, 아주 숙달된 프로골퍼의 경우에도 끊임없이 스윙연습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세가 불안해지고 경기에서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이미 당연한 사실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프로골프가 아닌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일정한 스윙 자세를 계속해서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스윙 연습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프로골퍼들과는 달리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시간 및 공간상 용이하지 않은 것은 물론, 제한된 공간에서 실제와 같은 느낌으로 스윙 연습을 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한편,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4를 비롯한 종래의 스윙 연습용 동작을 위한 연습용 클럽은 스윙 궤도 유지 및 방향에 중점을 둔 것이라기 보다는 단순히 비거리를 늘리기 위한 스피드 향상이나 타격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므로 스윙 궤도 및 스윙 방향의 정확도 향상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골프스윙에 있어 정확한 방향과 임팩트(거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스윙 플레인(Swing Plane), 즉 스윙 궤도이다. 이 스윙 플레인이 일정하게 되면 임팩트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일정한 선상에서 움직이는 클럽 헤드는 원심력이 가속돼 헤드 스피드가 최고에 달하게 된다.
스윙 플레인은 몸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는 커다란 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클럽헤드는 그 원의 바깥쪽을 따라 이동한다. 가장 이상적인 스윙 플레인은 어드레스 때 클럽 샤프트의 끝과 어깨를 연결하는 연장선상이다. 그리고 그 스윙 플레인이 임팩트때 어드레스 때의 샤프트 라인과 겹치면 볼은 똑바로 날아가게 된다.
최초로 공이 출발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스윙 플레인이다. 스윙 플레인에 따라 강한 임팩트를 만들어 낼 수도 있고, 전혀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골퍼들이 열심히 올바른 스윙을 배우는 것은 바로 올바른 스윙 플레인을 만들어가기 위한 과정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아쉽게도 대부분의 하이핸디 골퍼들은 스윙 플레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실제로 대부분의 비기너들은 아웃-인의 스윙 플레인을 가지고 있으면서 이를 간과하고, 슬라이스를 교정하기 위해 엉뚱한 곳에서 너무도 많은 노력을 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을 자주 보곤 한다.
스윙플레인에 따라 스윙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인사이드 투 인사이드는 다운스윙시 클럽이 샤프트라인과 일치하는 경우로, 클럽이 안쪽에서 들어와 임팩트를 지나 안쪽으로 돌아 나가는 평면을 말한다. 스윙이 안정되고 공이 똑바로 날아가게 된다.
둘째, 아웃사이드 투 인사이드는 다운 스윙시 클럽이 샤프트라인의 위쪽으로 내려와서 임팩트를 지나면서 안쪽으로 급격히 돌아 나가는 평면으로 초보자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형태로 슬라이스를 유발한다.
셋째, 인사이드 투 아웃사이드는 다운 스윙 시 클럽이 샤프트라인의 아래쪽으로 내려와서 임팩트를 지나면서 바깥으로 쭉 뻗어나가는 평면으로 페이스가 그대로라면 슬라이스, 페이스를 닫으면 큰 훅이 되어 방향 조절이 어렵게 된다.
인사이드 투 인사이드의 올바른 스윙 플레인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 백스윙을 올바른 스윙 플레인 위에 올려 놓는 것 부터 시작해야 한다.
초보자들은 오르팔을 지나치게 구부리고 클럽을 몸 뒤로 당기면서 스윙 플레인의 바깥으로 벗어나는 실수를 범한다. 이러면 오른팔이 사실상 제대로 뻗거나 폭을 확보하지도 못한 채 몸 뒤에 가로막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볼을 맞히기 위해 내려오면서 궤도를 심하게 조정해야 한다. 그 결과 팔만을 이용한 약한 스윙을 하게되고, 몸의 다른 부분에서 낼수 있는 지렛대 효과를 이용하지 못해 비거리에 손해를 보고 공이 잘못된 방향으로 출발하게 된다.
테이크어웨이시 오른팔을 쭉 뻗으며 폭을 확보할 수 있다면, 남은 백스윙이 제대로 풀리고, 클럽은 바람직한 스윙면을 벋어나지 않는다.
이는 백스윙의 전 과정이 팔로만 이루어져서는 안되고, 클럽이 몸안에서 뻗어나지 않은 채로 전체적인 몸통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9362호(2010.12.09. 공개) 발명의 명칭; 스윙 단계에 따라 길이가 자동으로 신축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2281호(2010,10.19. 공개) 발명의 명칭; 골프 스윙 연습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0496호(2013.05.16. 공개) 발명의 명칭; 골프 스윙 연습장치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78785호(2001.04.25. 등록) 고안의 명칭; 골프 연습구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에서 스윙 궤도(스윙 플레인)를 정확하게 연습할 수 있는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그립과 웨이트 사이에 샤프트가 연결된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으로,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심체와, 상기 심체의 외곽을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웨이트의 내부에는 임팩트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받아 슬라이딩 되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임팩트시 슬라이더가 웨이트의 바닥을 타격하도록 하여 임팩트를 가하는 연습도 겸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는 스프링의 반대편에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평상시 슬라이더가 웨이트의 천정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의 샤프트의 심체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판스프링의 전면 또는 후면이 스윙 방향의 정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스윙 연습을 할 때, 정상적인 스윙 궤도(스윙 플레인)를 따라 스윙을 할 경우에는 심체가 유연하게 꺾일 수 있는 상태에서 백스윙에서부터 팔로우스윙 및 피니시 동작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임팩트시점에서 슬라이더가 웨이트 내부 공간의 바닥을 타격하여 타격음이 발생하게 되나, 골프 클럽 즉, 웨이트가 정상적인 스윙 궤도를 벗어나거나 스윙 방향이 틀어지게 되면 심체가 꺾이지 않고 뻗뻗하게 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정상적인 임팩트를 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이를 반복 연습하는 것에 의해 연습자의 몸이 정상적인 스윙 궤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맞추어지게 되어 스윙 방향과 임팩트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습용 골프 클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습용 골프 클럽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습용 골프 클럽의 측단면도,
도 4는 임팩트시 웨이트 내부의 슬라이더 이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1)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그립(10)과 웨이트(20) 사이에 샤프트(30)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샤프트(30)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심체(32)와, 상기 심체(32)의 외곽을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지지체(34)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샤프트(30)는 강직한(rigid) 상태의 일반적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파이프 또는 환봉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유연한 즉, 임의로 꺾여질 수 있는 강판 스프링으로 된 심체(32)와 이 심체(32)의 외곽을 감싸는 지지체(34)로 이루어져 있는 점에 있어서 기존의 일반 골프 클럽이나 스윙 연습용 클럽과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샤프트(30)를 형성하는 심체(32)는 도 2 및 도 3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에서 파악되는 바와 같이 소정 두께와 소정 폭을 갖는 강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소정 이상의 외력을 받게 될 경우 심체(32)의 전,후면 방향으로는 탄성적으로 벤딩될 수 있고, 심체(32)의 좌우 즉, 폭 방향으로는 벤딩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연습용 골프 클럽(1)은 그립(10)의 표면에 상기 심체(32)의 날부(edge)에 일치되는 위치에 방향 표시(12)가 되어 있으며, 그립(10)의 파지시 방향표시(12)를 보면서 심체(32)의 전면 또는 후면이 스윙 방향의 정면을 향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백스윙에서부터 다운스윙, 어드레스, 임팩트, 팔로우 스윙 및 피니시 동작에 이르기까지 스윙 궤도를 따라 정확하게 방향 즉, 심체(32)의 전면 또는 후면이 이 스윙 궤도(스윙 플레인)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스윙 연습을 함으로써 스윙 궤도와 방향의 정확한 연습을 할 수 있게 되어 몸으로 스윙 궤도를 체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골프 클럽을 잡고 정상적인 스윙 궤도를 따라 스윙을 할 경우에는 심체(32)가 유연하게 꺾일 수 있는 상태에서 백스윙에서부터 팔로우스윙 및 피니시 동작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골프 클럽 즉, 웨이트(20)가 정상적인 스윙 궤도를 벗어나거나 스윙 방향이 틀어지게 되면 심체(32)가 유연하게 꺾이지 않고 뻗뻗하게 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연습자가 몸으로 느끼게 되므로 정상적인 스윙 방향을 향하도록 연습자가 자신의 몸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 부호 31은 그립(10) 내부의 관체로, 이 관체(31)의 내부에 샤프트(30)의 심체(32)가 고정핀(33) 등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관체(31)의 내부로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체(34)의 상단이 끼움결합되어 있다.
또, 부호 35는 샤프트(30)의 하단에 부착된 어댑터로, 이 어댑터(35)의 상측에 샤프트(30)의 심체(32) 하단이 고정핀(36)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34)의 하단이 끼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35)의 하부에는 웨이트(2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방식 등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웨이트(20)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공간(20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 공간(20a)에는 임팩트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받아 슬라이딩되고 스프링(22)에 의해 복귀되는 슬라이더(24)가 구비되어 임팩트시 슬라이더(24)가 웨이트(20)의 바닥(21)을 타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4)는 스프링(22)의 반대편에 영구자석(26)이 구비되어 평상시 슬라이더(24)가 웨이트(20)의 천정(23; 어댑터(35)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임팩트시 원심력을 받아 스프링(22)의 탄성력 및 영구자석(26)의 자력을 이기면서 하강하여 웨이트(20)의 바닥(21)에 닿아 충격음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임팩트시의 힘조절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웨이트(20)의 외부에는 스윙 연습시 심체(32)가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웨이트(20)가 연습자의 신체에 접촉하거나 기타 주변의 사물에 부딪히게 될 수도 있으므로 안전을 고려하여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캡(27)이 씌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의 사용하여 스윙 연습을 할 때, 심체(32)가 백스윙 및 피니시 동작에서 중력 및 원심력에 의해 유연하게 구부러지게 되면 심체(32)의 외측을 감싸는 지지체(34)가 심체(32)의 급격한 벤딩을 막아주는 것은 물론 다시 원래의 직선 상태로 복귀하도록 해주게 됨으로써 샤프트(30) 선단의 웨이트(20)가 연습자의 신체를 가격하거나 주위의 사물과 충돌하게 되는 등의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샤프트(30)의 심체(32)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정상적인 스윙 궤도(스윙 플레인)를 따라 스윙을 할 경우에는 심체(32)가 유연하게 꺾일 수 있는 상태에서 백스윙에서부터 팔로우스윙 및 피니시 동작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골프 클럽 즉, 웨이트(20)가 정상적인 스윙 궤도를 벗어나거나 스윙 방향이 틀어지게 되면 심체(32)가 꺾이지 않고 뻗뻗하게 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연습자는 이때 자신의 스윙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것을 느끼게 되면서 연습자의 몸이 정상적인 스윙 궤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복 연습하는 것에 의해 자세의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의해 스윙 궤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골프 클럽은 스윙 연습시 임팩트 존을 지날때 헤드 스피드를 최대화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더(24)가 영구자석(26)의 자력과 스프링(22)의 탄성을 이기면서 웨이트 내부 공간(20a)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바닥(21)을 타격하게 됨으로써 연습자가 임팩트의 정확도 즉, 임팩트의 시점도 정확하게 느끼게 해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4)는 임팩트 후 팔로우 스윙과정에서 원심력이 상쇄되면서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영구자석(26)에 의해 다시 웨이트 내부공간(20a)의 천정(23)에 부착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은 상세히는 스윙 궤도(스윙 플레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윙 방향의 정확도와 임팩트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골프 클럽
10 : 그립
12 : 방향 표시
20 : 웨이트
20a : 내부 공간
21 : 바닥
22 : 스프링
23 : 천정
24 : 슬라이더
26 : 영구자석
27 : 완충캡
30 : 샤프트
32 : 심체
34 : 지지체

Claims (3)

  1. 그립(10)과 웨이트(20) 사이에 샤프트(30)가 연결된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1)으로;
    상기 샤프트(30)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판스프링으로 된 심체(32)와, 상기 심체(32)의 외곽을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지지체(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20)의 내부에는 임팩트시 발생하는 원심력을 받아 슬라이딩되고 스프링(22)에 의해 복귀되는 슬라이더(24)가 구비되어 임팩트시 슬라이더(24)가 웨이트(20)의 바닥(21)을 타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는 스프링(22)의 반대편에 영구자석(26)이 구비되어 평상시 슬라이더(22)가 웨이트(20)의 천정(2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20150021394A 2015-02-12 2015-02-12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160099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394A KR20160099228A (ko) 2015-02-12 2015-02-12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394A KR20160099228A (ko) 2015-02-12 2015-02-12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228A true KR20160099228A (ko) 2016-08-22

Family

ID=5685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394A KR20160099228A (ko) 2015-02-12 2015-02-12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92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749B1 (ko) * 2017-07-20 2018-06-18 박장영 한손 파지형 원심력스윙 골프연습기구
US20200179782A1 (en) * 2018-12-10 2020-06-11 Monish Kundra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785A (ja) 1989-08-23 1991-04-03 Fujitsu Kiden Ltd 反転型表示器の照明方法
KR20100112281A (ko) 2009-04-09 2010-10-19 허국진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100129362A (ko) 2009-05-30 2010-12-09 목송균 스윙 단계에 따라 길이가 자동으로 신축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
KR20130050496A (ko) 2011-11-08 2013-05-16 허국진 골프 스윙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785A (ja) 1989-08-23 1991-04-03 Fujitsu Kiden Ltd 反転型表示器の照明方法
KR20100112281A (ko) 2009-04-09 2010-10-19 허국진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100129362A (ko) 2009-05-30 2010-12-09 목송균 스윙 단계에 따라 길이가 자동으로 신축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
KR20130050496A (ko) 2011-11-08 2013-05-16 허국진 골프 스윙 연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749B1 (ko) * 2017-07-20 2018-06-18 박장영 한손 파지형 원심력스윙 골프연습기구
US20200179782A1 (en) * 2018-12-10 2020-06-11 Monish Kundra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WO2020123429A1 (en) * 2018-12-10 2020-06-18 Monish Kundra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10905934B2 (en) 2018-12-10 2021-02-02 Monish Kundra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625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US8177654B2 (en) Golf training system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KR102504994B1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1032103B1 (ko) 그립 아래의 한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KR101959171B1 (ko)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US3429577A (en) Golf practice device
US7004850B1 (en) Training golf club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140000944U (ko)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KR102524787B1 (ko) 듀얼 그립형 골프 스윙 연습 클럽
US8920260B1 (en) Golf club putter with roller putting head
KR20200040631A (ko) 휴대용 골프스윙 임펙트 및 릴리즈 연습기
KR101720671B1 (ko) 골프스윙 보조기구
KR101781892B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JP2022076033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JP4293868B2 (ja) 素振り用練習器
KR101120849B1 (ko) 퍼팅 연습 장치
JP2002253721A (ja) ゴルフクラブのスイング軌道練習用具及びスイング軌道練習方法
US7156753B2 (en) Golf putter head
KR100907143B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JP3125158U (ja) ゴルフクラブ
JP2006296462A (ja) スイング練習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ング練習機
US11717736B2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102520878B1 (ko)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