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171B1 -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 Google Patents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171B1
KR101959171B1 KR1020180097434A KR20180097434A KR101959171B1 KR 101959171 B1 KR101959171 B1 KR 101959171B1 KR 1020180097434 A KR1020180097434 A KR 1020180097434A KR 20180097434 A KR20180097434 A KR 20180097434A KR 101959171 B1 KR101959171 B1 KR 10195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wing
weight
golf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희
Original Assignee
이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희 filed Critical 이두희
Priority to KR102018009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럽의 헤드에 자력으로 스윙연습용구를 결합하여 헤드무게를 느끼면서 하체의 무게중심 이동과 레깅동작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면서 임팩트 순간까지 볼을 끝까지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스윙자세를 확보하면서 정타와 비거리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연성재질로 반구형상으로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 중앙에 골프클럽의 헤드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요입게 형성하는 결합홈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경질재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반구형상의 마감캡과;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하여 헤드와 분리하였을 때 굴러다니는 것을 방지하는 평평면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결합홈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돌출부 양측에 형성하여 헤드의 앞뒷면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을 내장하는 포켓과; 상기 포켓의 양측방에 중량체를 가감하여 스윙연습용구의 무게를 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포켓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골프용 스윙연습용구{SWING EXERCISE DEVICE FOR GOLF}
본 발명은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의 헤드에 탈부착하여 스윙연습과정에서 골프클럽의 헤드무게를 느낄수 있도록 하면서 레깅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비거리를 늘릴 수 있도록 개선한 스윙연습용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홀의 일 측에 구비되는 티박스에 골프클럽 중 가장 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여 보낸 후, 필요에 따라 우드 또는 아이언을 이용한 세컨샷과 서드샷을 수행하여 티박스 대향 위치의 그린 근처로 보내거나 그린에 올리게 되고, 그린근처에서는 어프로치샷을 수행하여 그린에 볼을 올리게 되며, 그린 상의 볼은 퍼터를 이용하여 홀컵에 넣는 스포츠 종목의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골프를 하기 위해서는 골프클럽을 이용한 스윙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스윙은 백스윙(Back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로우(Follow Through)로 이어지는 스윙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주로 골프의 스윙연습은 항상 정확한 스윙자세를 유지하여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정확하고 일정한 스윙동작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클럽을 이용하여 스윙연습을 수행하는 데,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어깨에 강한 힘이 들어가거나 부드러운 스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공을 임팩트(Impact)할 때 공을 타격하기도 전에 몸의 회전과 함께 고개가 들려지면서 돌아가는 헤드 업(Head Up) 현상이 발생되어 공을 정확하게 타격 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초보자들은 공을 타격한 후 헤드 업이 되었는지, 공을 타격하기 전에 헤드 업이 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었으므로 임팩트가 이루어질 때 공을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연습용 골프클럽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여러가지 연습용 클럽이나 도구 또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샤프트그립(10)이 있고, 상기 샤프트그립(10) 하단에 샤프트로드(20)를 고정하는 고정구(30)와, 상기 고정구(30) 전방으로 고정되는 샤프트로드(20)와 상기 샤프트로드(20) 끝단에 경량물(40)과, 매트에 위치된 골프공(101)을 조준하는 빔(50)과 골프연습용 매트(100)로 구성된 골프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그립(10) 중앙은 하단으로 개방된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0)는 샤프트로드(20)의 길이방향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샤프트로드(20)는 샤프트그립(10) 내부로 수용하되 수용 여부에 따라 길이가 선택적으로 축소되거나 선택적으로 연장되며, 골프연습매트(100)는 상기 골프연습매트(100)에 인쇄되거나 위치시킨(골프공 형상을 위치할 수 있음) 복수의 골프공은 골프채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골프공에 조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골프공에 각각 골프채에 해당하는 일련번호를 갖도록 한 상태에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샤프트로드(20)로부터 샤프트그립(10)의 길이를 조절하여, 복수의 골프공 중 이용자가 빔으로 조준하고자 하는 골프공을 선택하여 골프연습기(1)의 빔을 발생시켜 선택한 골프공을 향하여 스윙궤도를 따라 스윙연습을 진행 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구(30) 후방은 샤프트로드(20)를 관통하여 샤프트그립(10) 전방 외벽 원주연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고정구(30)의 전방에 해당하는 내측 원주연은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향할수록 점차 반지름이 커지는 경사면(31)을 형성하며 샤프트로드(2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형성한 복수의 걸림홈(21)을 상기 샤프트로드(20)의 원주연을 따라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21)에 원주연을 따라 복수의 볼(33)을 수용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손잡이용 그립이 형성된 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되어 연결체가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유동되도록 형성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끝단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체를 따라 유동되는 스윙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사슬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윙체는 골프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체와 고정부를 통해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은, 외주면에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 1 봉과, 상기 제 1 봉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봉에 대하여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연결되고 중앙에 밴드고정부를 형성하는 제 2 봉과, 상기 제 2 봉에 나사결합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스틱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 1 원형 프레임과 제 2 원형프레임; 상기 원형 프레임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재단되어, 절반은 제 1 원형 프레임에 부착되고, 나머지 절반은 제 2 원형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 1 저항막과 제 2 저항막; 상기 제 1 저항막에 구비되어 제 1 원형 프레임과 제 2 원형프레임이 90도 각도로 교차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지밴드; 및 상기 제 1 저항막 또는 상기 제 2 저항막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연결부를 감싸고 상기 상기 스틱부의 밴드고정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특허 제 10 - 1848999 - 0000 호 특허 제 10 - 1431249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52022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은, 그립에 대하여 샤프트로드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로드의 단부에 빔을 가지는 경량물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천장이 낮은 곳에서도 용이하게 연습할 수 있고 빔을 통하여 스윙궤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입과, 샤프트의 끝단에 연결체로 스윙체를 결합하여 스윙체의 변화를 통하여 스윙자세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입과, 샤프트에 저항막을 결합하여 스윙과정에서 공기저항을 받도록 함으로서 코킹이 빨리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타입으로 구분된다.
첫번째의 경우에는, 샤프트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서 그 단부에 경량물이 있더라도 중량감을 가감할 수 있게 할 수 있다고 되어 있으나, 천장이 낮은 실내에서는 샤프트의 길이를 실제 골프클럽과 같은 길이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헤드무게를 실질적으로 느끼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샤프트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올바른 스윙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힘들게 되므로 실질적인 스윙연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두번째의 경우에는, 샤프트에 대하여 스윙체가 연결체로 결합되어 있어 백스윙 탑 위치에서 스윙체가 일시적으로 중력에 의하여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 힘에 의하여 백스윙탑 동작을 유지하는 것이 힘들어 흔들리는 동작이 발생하게 되므로 자연스러운 연속동작의 구현이 힘들게 된다.
특히 백스윙탑에서 임팩트를 위하여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스윙체가 다시 흔들리게 되므로 안정된 스윙을 유지하지 못하여 정상적인 궤도유지가 힘들고 레깅동작의 실현이 어렵고 클럽을 엎어치게 되는 캐스팅동작이 일어날 우려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세번째의 경우에는 샤프트의 단부에 저항막을 결합하여 백스윙과정과 임팩트 및 팔로우스루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항상 공기저항을 받게 되므로 연습과정에서는 천천히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본인의 스윙궤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클럽으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연습 때의 공기저항에 의하여 느린 스윙과는 달리 과도하게 빨라지는 스윙으로 인하여 볼을 정확하게 보지 못하고 몸이 먼저 돌아가는 현상과 헤드를 타겟방향으로 돌리거나 타격을 위하여 머리를 들게 되는 헤드업 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정상적인 스윙을 유지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윙연습용구들은 실제 골프클럽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구성된 도구를 이용하여 연습을 한 후 실제 클럽을 이용하여 스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갭에 의하여 구력이 많은 경력자 또는 낮은 핸디 스코어를 가지는 골퍼들 외에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연습과정에서 중량체에 의하여 과도하게 오버스윙이 이루어지거나 중량체를 견디기 위하여 그립을 강하게 잡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실제 스윙과정에서는 골프클럽의 무게와 연습과정에서의 무게차이 등으로 인하여 올바른 스윙이 어렵게 되거나 스윙으로 볼을 타격하였을 때 악성 훅이나 슬라이스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핸드퍼스트(Hand First) 후 헤드라스트(Head Last)를 통하여 임펙트가 이루어지는 정상 스윙이 아닌, 헤드퍼스트로 인한 캐스팅(Casting) 현상이나, 스쿠핑(Scooping)현상을 배제할 수 없고, 백스윙탑에서 하제의 골반이 선행하여 리드하면서 상체가 따라오면서 오른팔이 옆구리와 거의 연접하듯이 내려오는 레깅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정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뒷땅이나 탑볼 등으로 인하여 비거리 손실을 보게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연성재질로 반구형상으로 구비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의 저면 중앙에 골프클럽의 헤드(10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요입게 형성하는 결합홈(103)과; 상기 몸체(101)의 상부에 경질재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반구형상의 마감캡(105)과; 상기 몸체(101)의 저면에 형성하여 헤드(102)와 분리하였을 때 굴러다니는 것을 방지하는 평평면(106)과; 상기 몸체(101)의 내부에 결합홈(103)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돌출부(109) 양측에 형성하여 헤드(102)의 앞뒷면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111)을 내장하는 포켓(110)과; 상기 포켓(110)의 양측방에 중량체(114)를 가감하여 스윙연습용구(100)의 무게를 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포켓(113)을 포함하여;
클럽의 헤드에 자력으로 스윙연습용구를 결합하여 헤드무게를 느끼면서 하체의 무게중심 이동과 레깅동작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면서 임팩트 순간까지 볼을 끝까지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스윙자세를 확보하면서 정타와 비거리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골프클럽의 헤드(특히 아이언)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중랑의 가감을 통하여 연습장이나 실제 필드에서도 몇번의 연습을 통하여서도 바로 안정된 스윙과 더블어 헤드무게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안정된 스윙밸런스를 유지하여 실제 스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골프클럽의 헤드에 결합하여 연습스윙(빈스윙)을 수행함으로서 실제 헤드무게보다 더 무거움을 체감하여 백스윙 탑에서 헤드는 계속하여 오버되려는 힘이 작용하고 하체는 타격을 위하여 골반이 타격방향으로 리드하면서 상체를 이끌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체중이동을 가능하게 함과 더블어 레깅동작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실제 스윙에도 적용되어 안정되고 바른 스윙동작을 가능하게 하므로 정타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올바른 스윙궤도와 스윙밸런스를 유지하면서 레깅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캐스팅이나 스쿠핑동작을 배제할 수 있게 되므로 정타를 통한 비거리 향상을 가능하게 하면서 타구방향을 바르게할 수 있게 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골프용 스윙연습용구(100)는, 고무나 실리콘 및 우레탄과 같은 연성재질로 반구형상의 몸체(101)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01)의 저면 중앙에는 골프클럽(특히 아이언)의 헤드(10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요입된 형태의 결합홈(103)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01)는 얇은 두께를 가지고 내부가 비어 있도록 구성하고, 결합홈(103)의 깊이(D)는 헤드(102)에 결합하였을 때 헤드(102)의 저면부인 솔(104)이 충분하게 노출되어 연습스윙 과정에서 지면(잔디) 또는 매트와 직접적으로 연접하는 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헤드(102)의 상부면에서 헤드(102)의 저면까지의 거리(L)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몸체(101)의 상부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재로 성형되는 반구형상의 마감캡(105)을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구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몸체(101)와 마감캡(105)의 결합은, 몸체(101)의 상단부 내경에 걸림돌기(107)를 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하고, 마감캡(105)의 하단부 외경에는 걸림돌기(107)가 위치할 수 있는 돌기홈(108)을 링과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서로 치합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101)와 마감캡(105)은 결합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마감처리하여도 되고, 접착제 처리 없이 이용자가 쉽게 분해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몸체(101)의 저면에는 평평면(106)을 형성하여 스윙연습용구(100)를 헤드(102)와 분리하였을 때 굴러다니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분실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101)의 내부에는 결합홈(103)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돌출부(109)의 양측에는 포켓(110)을 형성하여 헤드(102)의 앞뒷면과 자력으로 강하게 부착되어 스윙과정에서도 이탈되지 않도록 자석(111)을 내장하도록 한다.
상기 자석(111)은 스윙과정에서 헤드(102)와 자력으로 결합되지만 혹여 이탈될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거나 포켓(110)과 일체형 또는 별도의 단속캡(112)으로 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포켓(110)의 양측방에는 무게 조절을 위한 무게조절포켓(113)를 더 형성하여 금속판(금속편)과 같은 중량체(114)을 가감하여 스윙연습용구(100)의 무게를 이용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윙연습용구(100) 자체의 무게와 중량체(114)의 무게를 더한 전체무게가 40g미만의 저중량인 경우에는 스윙연습과정에서 헤드무게를 느끼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전체무게가 40 ∼ 50g까지의 중중량의 경우에는 스윙연습과정에서 하체의 무게중심 이동과 클럽을 백탑 위치에서 임팩트 직전까지 끌고 내려오는 레깅(Lagging)동작을 연습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전체무게가 70g전후인 고중량의 경우에는 헤드스피드의 증가와 비거리 증가를 위한 연습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분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반구형상의 몸체(101) 상부에 평면형상의 마감캡(105)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형태의 예시이다.
반구형상 또는 평면형상의 마감캡(105)을 몸체(101)에 결합할 때에는, 마감캡(105)의 상면에 이용자의 시선을 스윙연습용구(100)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와 모양의 표식 또는 이미지(사진이나 그림 또는 도안)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인쇄 및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마커(115)를 가지도록 하여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몸체(101)를 자석(111)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110)과 중량체(114)를 수용하기 위한 무게조절포켓(113)을 가지고 헤드(102)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측몸체(116)와 헤드(102)의 배면에 부착되는 후측몸체(117)로 양분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측 및 후측몸체(116,117)는 플랙시블(유연)한 브리지(118)로 연결하전측 및 후측몸체(116,117)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사용과 보관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의 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전측 및 후측몸체(116,117)의 연결을 브리지(118)의 중앙에 경첩같은 타입의 힌지(120)를 구비하여 자유롭게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자석(111)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110)과 중량체(114)를 수용하기 위한 무게조절포켓(113)을 본 발명에서는 헤드(102)의 앞면과 뒷면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헤드(102)의 토우방향과 넥방향으로 다수개를 연장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마커(115)를 브리지(118)와 힌지(120)의 표면에 형성하여 이용자가 연습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트레이닝 또는 시선을 헤드방향에 집중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필요한 경우에는 몸체(101)의 표면에도 마커(115)를 가지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101)에 포켓(110)과 무게조절포켓(113)을 형성하여 중량체(114)를 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처음부터 스윙연습용구(100)를 연습용도에 맞게 무게를 설정하여 무게 가변이 되지 않도록 하는 여러개를 세트화 형태로 구성하여도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스윙연습용구(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윙연습용구(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테이블(책장 등)에 안치하여 두거나, 별도의 보관용 상자(서랍 등)에 보관하여 두면 되는 데, 테이블에 안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윙연습용구(100)의 몸체(101) 저면에 형성되는 평평면(106)에 의하여 용이하게 안치되므로 굴러서 낙하하게 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윙연습용구(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골프클럽의 헤드(102)에 부착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스윙과 같은 동작을 구현함으로서 스윙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스윙연습을 통하여 헤드무게를 느끼는 것과 하체의 무게중심이동, 레깅동작의 익힘 및 정타연습과 비거리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윙연습용구(100)를 헤드(102)에 결합할 때에는, 몸체(101)의 저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결합홈(104)에 헤드(102)를 끼워 넣으면, 몸체(101)의 내측에 요입홈(104)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돌출부(109)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포켓(110)에 자석(111)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몸체(101)는 헤드(101)의 전면(페이스면)과 뒷면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되므로 스윙연습을 하더라도 스윙연습용구(100)가 탈락되는 현상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윙연습용구(100)를 헤드(102)에 결합하여 스윙연습시에는, 몸체(101)에 대하여 마감캡(105)을 분해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이용자가 목적하는 연습상태에 맞게 마감캡(105)을 개방한 후 포켓(110) 측방에 일체로 더 형성한 무게조절포켓(113)에 중량체114)를 가감한 후 마감캡(105)을 결합한 후 스윙연습을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마감캡(105)을 분해결합할 수 없도록 한 경우에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중량에 맞는 스윙연습용구(100)를 운동목적과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여 헤드(102)에 결합한 후 연습스윙을 수행하면 된다.
연습스윙을 수행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윙과 같이 클럽을 잡고 백스윙, 백스윙탑, 레깅, 임팩트 및 팔로우스로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스윙궤적을 가지도록 연습하면 된다.
이 과정에서 저중량의 스윙연습용구(100)를 헤드(102)에 결합한 경우에는 헤드무게를 느끼는 용도로 사용하면 되는 데, 헤드무게를 느끼면서 스윙을 수행하게 되므로 올바른 스윙과정을 체감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스윙궤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중량 및 고중량의 스윙연습용구(100)를 헤드(102)에 결합한 경우에는 헤드무게를 느낌과 동시에 백스윙탑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무게에 의하여 헤드는 계속하여 백스윙의 연장동작을 이루려는 힘이 발생하고, 이용자는 볼을 타격하기 위하여 백스윙의 연장동작의 반대방향으로 클럽을 끌고 내려오려는 레깅동작이 헤드무게의 증가로 인하여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인하여 이용자의 하체는 클럽을 끌고 내려오는 레깅동작 보다 선행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무게중심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정상적인 레깅동작과 하체의 무게중심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에는 헤드스피드를 증가시키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백스윙 탑에서 작용 및 반작용에 의하여 하체의 무게중심이동과 레깅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정상적이고 안정된 스윙궤도를 유도하게 되므로 정확한 임팩트순간을 만들 수 있게 되고, 결국에는 볼을 정확하게 타격하여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용자는 스윙연습용구(100)의 마감캡(105)이나 브리지(118) 또는 힌지(120)의 표면에 더 구비하는 마커(115)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되므로 볼을 타격순간까지 응시하여 몸이 먼저 타켓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이용자의 머리가 타겟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헤드업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볼을 타격시 악성 슬라이스, 악성 훅 및 탑볼과 같은 미스샷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클럽의 헤드에 자력으로 스윙연습용구를 결합하여 헤드무게를 느끼면서 하체의 무게중심 이동과 레깅동작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면서 임팩트 순간까지 볼을 끝까지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스윙자세를 확보하면서 정타와 비거리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101; 몸체 103; 결합홈
105; 마감캡 106; 평평면
107; 걸림돌기 108; 돌기홈
110; 포켓 111; 자석
112; 단속캡 113; 무게조절포켓
114; 중량체 115; 마커
116; 전측몸체 117; 후측몸체
118; 브리지 120; 힌지

Claims (3)

  1. 연성재질로 반구형상으로 구비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의 저면 중앙에 골프클럽의 헤드(10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요입게 형성하는 결합홈(103)과;
    상기 몸체(101)의 상부에 경질재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마감캡(105)과;
    상기 몸체(101)의 저면에 형성하여 헤드(102)와 분리하였을 때 굴러다니는 것을 방지하는 평평면(106)과;
    상기 몸체(101)의 내부에 결합홈(103)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돌출부(109) 양측에 형성하여 헤드(102)의 앞뒷면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111)을 내장하는 포켓(110)과;
    상기 포켓(110)의 양측방에 중량체(114)를 가감하여 스윙연습용구(100)의 무게를 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포켓(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2. 연성재질로 구비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는, 자석(111)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110)과 중량체(114)를 수용하기 위한 무게조절포켓(113)을 가지고 헤드(102)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측몸체(116)와;
    자석(111)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110)과 중량체(114)를 수용하기 위한 무게조절포켓(113)을 가지고 헤드(102)의 배면에 부착되는 후측몸체(117)를 포함하고;
    상기 전측몸체(116)와 후측몸체(117)는 플랙시블한 브리지(118) 또는 경첩 형태의 힌지(120)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3. 삭제
KR1020180097434A 2018-08-21 2018-08-21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KR10195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34A KR101959171B1 (ko) 2018-08-21 2018-08-21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34A KR101959171B1 (ko) 2018-08-21 2018-08-21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171B1 true KR101959171B1 (ko) 2019-03-15

Family

ID=6576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34A KR101959171B1 (ko) 2018-08-21 2018-08-21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712A (ko) 2021-10-01 2023-04-10 (주) 레온 스윙연습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아이언 커버
KR20230060810A (ko) 2021-10-28 2023-05-08 (주) 레온 회전기능이 구비된 골프스윙기기
KR20230172669A (ko) 2022-06-15 2023-12-26 양충모 임팩트 가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191A (en) 1983-03-01 1986-05-13 Stewart Donald R Golf club weighting device
US7048640B2 (en) 2004-04-29 2006-05-23 Albert James Light Golf club weight training device
KR100709302B1 (ko) 2005-08-01 2007-04-20 이남용 골프 연습용 충격 방지구
KR101125246B1 (ko) 2009-12-23 2012-03-21 장정녀 개량된 헤드 구조에 의해 퍼팅의 방향과 거리의 정확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골프 퍼터
KR200463887Y1 (ko) 2010-08-30 2012-12-03 진재삼 골프 퍼팅 연습용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191A (en) 1983-03-01 1986-05-13 Stewart Donald R Golf club weighting device
US7048640B2 (en) 2004-04-29 2006-05-23 Albert James Light Golf club weight training device
KR100709302B1 (ko) 2005-08-01 2007-04-20 이남용 골프 연습용 충격 방지구
KR101125246B1 (ko) 2009-12-23 2012-03-21 장정녀 개량된 헤드 구조에 의해 퍼팅의 방향과 거리의 정확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골프 퍼터
KR200463887Y1 (ko) 2010-08-30 2012-12-03 진재삼 골프 퍼팅 연습용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712A (ko) 2021-10-01 2023-04-10 (주) 레온 스윙연습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아이언 커버
KR20230060810A (ko) 2021-10-28 2023-05-08 (주) 레온 회전기능이 구비된 골프스윙기기
KR20230172669A (ko) 2022-06-15 2023-12-26 양충모 임팩트 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9099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006027625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101959171B1 (ko)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CA2574585A1 (en) Wearable golf swing training a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702757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EP2190539A1 (en) Golf training aid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9168445B2 (en) Adjustable golf training and teaching device for head and chin adjustment with stereo view of golf ball
JP4106081B2 (ja) ゴルフグローブ
JP6313462B2 (ja) 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機器
US8512161B2 (en) Golf glove training device
US20110165956A1 (en) Smart Golf Club
US10092808B2 (en) Golf teaching aid
US20210146212A1 (en) Wrist and elbow stabilizer for sports training
US7204767B2 (en) Swing programmer apparatus
US7857706B2 (en) Peripheral target stand training system
JP7471755B2 (ja) ゴルフ練習器具
US11338187B2 (en) Golf club for practicing swings
KR10254688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US20240001212A1 (en) Golf trainer device
KR20230047712A (ko) 스윙연습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아이언 커버
KR20230126424A (ko) 골프용 메트로놈
KR20230032249A (ko) 골프 스윙을 위한 투웨이 연습 배트
KR200376541Y1 (ko)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US20130203520A1 (en) Golf train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