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541Y1 -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 Google Patents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541Y1
KR200376541Y1 KR20-2004-0032820U KR20040032820U KR200376541Y1 KR 200376541 Y1 KR200376541 Y1 KR 200376541Y1 KR 20040032820 U KR20040032820 U KR 20040032820U KR 200376541 Y1 KR200376541 Y1 KR 200376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cylindrical body
glove
f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20-2004-0032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541Y1/ko
Priority to PCT/KR2005/000446 priority patent/WO200508247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골프용 장갑(1)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기구(10)가 결착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골프스윙 보조기구(10)는 원통체(12)의 내부에 형성된 홈(14)에 금속구(16)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체(12)의 내부 홈(14)의 일측에는 금속으로 된 충격음 발생판(18)이 설치되고, 상기 원통체(12)의 양단에는 캡(22)(24)을 결합하되, 타측 캡(22)은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골퍼에게 가장 근접되고 착용하기 간편한 골프용 장갑에 골프스윙 보조기구(10)가 결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골프 스윙시 일정한 리듬감을 느끼면서 골프스윙을 실시함과 아울러 헤드업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Golf gloves for sensing swing feeling}
본 고안은 골프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스윙을 할 때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과 피니시(Finish)에서 충격음을 발생시켜 골퍼에게 충격음에 의하여 백 스윙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의 멈춘 듯한 시간차를 알려주어서 다운 스윙(Down swing)을 하게 함으로써 스윙의 리듬감을 유지하고,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골프스윙 보조기구를 장착하여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에는 골프가방, 각 클럽은 물론, 이를 뒷받침 해주기 위한 모자, 신발 장갑 등을 비롯하여 골프경기에 필요한 착용품이 있다. 상기 장갑의 경우 골프채의 그립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필수용품으로서, 그립에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부드러운 가죽소재로 제작된 제품이 있는 바, 골프경기에서 티 그라운드의 시발점에서 시작하는 강한 티샷은 물론 필드에서의 스윙시 대부분 골프장갑을 착용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착용되는 골프용 장갑은 그립을 잡고 행하는 모든 경기와 같이, 소재의 부드러움과 미끄러움 방지, 그 외에 통기성 등을 고려한 제품이 대부분 시판되고 있다.
한편, 골프의 스윙은 크게 3번의 스윙 박자로 구분할 수가 있는데,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 스윙 동작까지가 '하나',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 정지하는 듯한 동작에서 '둘', 그리고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순간적으로 스윙을 하면서 '셋', 이렇게 3박자의 리듬을 지켜 주어야만 좋은 스윙을 구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볍고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백 스윙을 하는 것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 정지하는 듯한 동작과,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머리를 고정하고 타구의 방향을 보려고 성급하게 헤드 업(Head up)을 하지 않는 것이 골프 샷의 좋고 나쁨을 결정한다고 할 정도로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감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많은 훈련과 반복된 연습으로도 완벽하게 체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이를 필드에서 일정하게 구사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백 스윙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의 정지하는 듯한 동작과 피니시(Finish) 까지를 골퍼가 감각으로 직접 느낄 수 있다면 스윙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고, 좋은 골프 샷을 구사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과 피니시(Finish)에서 금속구와 충격판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리와 진동을 통하여 백 스윙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의 멈춘 듯한 시간차를 알려주어서 스윙의 리듬감을 유지하고,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골프스윙 보조 장치를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58262호로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골퍼가 골프스윙시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충격음을 청취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편하고 저렴하게 골프스윙 보조기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고안의 목적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은 골프스윙 보조기구를 골프용 장갑에 장착하여 골퍼들이 간편하게 스윙감각을 습득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충격음을 골퍼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퍼에게 전달되는 충격음의 시간 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골프용 장갑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기구가 결착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골프스윙 보조기구는 원통체의 내부에 형성된 홈에 금속구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체의 내부 홈의 일측에는 금속으로 된 충격음 발생판이 설치되며, 상기 원통체의 양단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캡이 조립되어 타측 캡에서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수단은 상기 장갑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무밴드이거나,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원통체가 탈착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탈착구이거나, 또는 상기 원통체와 결착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주면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체결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원통체의 내주면에는 홈 걸림턱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캡의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의 내주면에는 원통체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체들의 내주면에는 금속구가 안착되어 자유낙하를 제어할 수 있는 홈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통들의 내부에는 복수의 홈과, 금속구 및 충격음 발생판를 포함하는 원통체로 구성되는 골프스윙 보조기구가 제공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장치의 개략 구성도 및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골프용 장갑(1)의 손등 부위 착용밴드에 골프스윙 보조기구(10)가 고무밴드(2)에 의해 결착되어 있다.
상기 골프스윙 보조기구(10)는 원통체(12)의 내부에 형성된 홈(14)에 금속구(16)가 삽입되고, 원통체(12)의 내부 홈(14)의 일측에는 금속으로 된 충격음 발생판(18)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충격음 흡수판(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충격음 흡수판(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캡(22) 자체가 흡음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통체의 양단은 캡(22)(24)으로 조립되어 있다. 캡이 조립되는 원통체(12)의 외주면 단부에는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있어 캡(22)(24)의 내주면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22a)(24a)가 걸림턱(12a)의 경사부를 타고 삽입되어 걸림턱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된다.
캡(22)(24)의 상판에는 원통체(12)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금속구(16)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음이 원통체(12)의 내부에서 공명되어 외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다수의 통공(22b)(24b)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장갑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기구를 결착하는 방법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밴드(2)가 원통체(12)의 상면을 감싸는 상태로 고무밴드(2)의 양단이 장갑(1)의 손등 부위 착용밴드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원통체(12)가 탈착가능하도록 개구부(4a)가 형성된 탈착구(4)를 장갑(1)의 손등 부위 착용밴드의 상면에 고정시켜 골프스윙 보조기구를 탈착식으로 결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스윙 보조기구(10)가 원통체(12)와 일체로 형성된 결착구(6)를 장갑(1)의 손등부위 착용밴드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기구가 구비된 골프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스윙을 실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백 스윙 동작 상태도로서, 도면에서 (a)는 백 스윙 동작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투시도이고, (b)는 백 스윙 동작의 정상(Top of swing)에서의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투시도이며, (c)는 다운 스윙(Down Swing)시 (d)는 피니시(Finish) 자세에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투시도이다.
최초의 어드레스 자세에서는 금속구(16)는 충격음 발생판(18)과 이격된 상태이고,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 스윙(a)을 할 때에는 가볍고 천천히 일정한 속도와 자세 이동을 통하여 스윙이 이루어지므로 금속구(16)의 위치가 역경사면의 위치로 옮겨지더라도 원심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최초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아주 짧은 시간동안 정지하는 듯한 동작에서 금속구(16)가 자체 중량과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어 충격음 발생판(18)을 타격하면서 충격음이 발생된다. 이때, 골퍼는 충격음을 감지하여 다운스윙(Down swing)을 구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골퍼는 백 스윙(a)을 가볍고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실시하고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정지하는 듯한 동작의 시간차를 발생하는 충격음으로 감지한 후에 다운 스윙(Down swing)을 함으로써 '어드레드-백 스윙(a)-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다운 스윙(Down swing)'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스윙 속도와 자세의 리듬감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다운 스윙(Down swing)(c) 직후에 금속구(16)는 원통체(12)의 홈(14)에서 충격음 발생판(18)의 반대편으로 이동되어 스윙이 끝난 피니시(Finish)까지 금속구(16)의 위치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하여 역경사면으로 바뀌어도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피니시(Finish)의 정지하는 동작(d)에서 금속구(16)는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면서 다시 충격음 발생판(18)과 타격하여 충격음이 발생되며, 골퍼는 이러한 충격음을 감지한 후 머리를 돌려 타구 방향을 주시함으로써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스윙 동작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금속구가 충격음 발생판(18)을 타격하는 일정한 시간차와 일정한 크기의 충격음을 부여하기 위하여 원통체(12)의 내주면에는 금속구(16)가 안착되어 자유낙하를 제어하는 홈 걸림턱(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구(16)가 충격음 발생판(18)을 타격하는 시간차를 조절하기 위하여 원통체(12')의 내주면에는 홈 걸림턱(14'a)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캡의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나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체(12')의 일단에 결합되는 캡(22')의 내주면에는 원통체의 나사부(12'a)와 체결되는 나사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2')을 원통체(12')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22')과 원통체의 홈 걸림턱(14'a) 사이에서 금속구(16)가 안착되는 공간이 더욱 확보되면서 금속구(16)가 홈 걸림턱(14'a)에 의해 안착되는 부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골퍼가 스윙동작시, 백 스윙 동작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역경사면으로 위치한 금속구(16)가 홈 걸림턱(14'a)에 머무는 시간이 증대됨과 아울러 낙하가 실시되므로 충격음의 시간차를 더 가지게 된다.
따라서 캡(22')의 풀리는 거리를 조정하여 금속구(16)가 홈 걸림턱(14'a)에 안착되는 부위의 넓이를 조절함으로써 백 스윙 동작시 정상(Top of swing)(b)에서 멈추는 듯한 시간차를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변형예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홈(14)(14')을 갖는 원통체(12")와 그 내부에 금속구(16)(16') 및 충격음 발생판(18)(18') 등이 복수개 구비된 골프스윙 보조기구가 제공가능하다. 이러한 변형례의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용 장갑은 물론이거니와, 손목 보호대, 팔찌로 제조됨으로써 골퍼의 손목에 착용하거나, 상의의 소매 부분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한 것으로,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하여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은 골프용 장갑(1)에 골프스윙 보조기구(10)를 결착함으로써 골퍼가 스윙동작을 실시할 때,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금속구가 중력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충격음에 의하여 골퍼에게 전달하여 백 스윙(a)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멈춘 듯한 시간차를 알려주어서 리듬감을 유지하며 골프스윙을 할 수 있게 하고, 피니시(Finish)의 정지 동작(d)에서 충격음이 발생될 때까지 머리를 고정하도록 하여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골프용 장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기구가 골프용 장갑에 장착되는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골프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스윙 동작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변형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골프용 장갑 2 ; 고무밴드
4 ; 탈착구 6 ; 결착구
10 ; 골프스윙 보조기구 12,12'12" ; 원통체
12a ; 걸림턱 12'a ; 나사부
14,14' ; 홈 14a,14'a ; 홈 걸림턱
16,16' ; 금속구 18,18 ; 충격음 발생판
20,20 ; 충격음 흡수판 22,24 ; 캡
22a,24a ; 걸림부 22b,24b ; 통공
22'a,24'a ; 통공 22'b,24'b ; 나사부

Claims (10)

  1. 골프용 장갑(1)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기구(10)가 결착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골프스윙 보조기구(10)는 원통체의 내부에 형성된 홈(14)에 금속구(16)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체의 내부 홈(14)의 일측에는 금속으로 된 충격음 발생판(18)이 설치되며, 상기 원통체의 양단에는 캡(22)(24)이 조립되되 타측에 조립된 캡(22)이 충격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상기 장갑(1)의 착용밴드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무밴드(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상기 장갑(1)의 착용밴드에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원통체(12)가 탈착가능하도록 개구부(4a)가 형성된 탈착구(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상기 장갑(1)의 착용밴드에 상기 원통체(12)와 일체로 형성된 결착구(6)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2)의 외주면 단부에는 걸림턱(12a)이 형성되고, 상기 캡(22)(24)의 내주면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12a)에 의해 체결되는 걸림부(22a)(2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2')의 외주면에는 캡이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나사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캡(22')의 내주면에는 원통체의 나사부(12'a)와 체결되는 나사부(2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7. 제 1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2)(12')의 내주면에는 금속구(16)가 안착되어 자유낙하를 제어할 수 있는 홈 걸림턱(14a))(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2)(12')는 내부에 복수의 홈(14)(14')과, 금속구(16)(16') 및 충격음 발생판(18)(18')를 포함하는 원통체(12")로 구성되어 골프스윙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9. 제 1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2)(12')의 양단에 조립되는 캡(22)(22')(24)에는 각각 통공(22b)(24b)(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2)(12')는 내부에 복수의 홈(14)(14')과, 금속구(16)(16') 및 충격음 발생판(18)(18')를 포함하는 원통체(12")로 구성되어 골프스윙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KR20-2004-0032820U 2004-02-27 2004-11-19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KR200376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20U KR200376541Y1 (ko) 2004-11-19 2004-11-19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PCT/KR2005/000446 WO2005082473A1 (en) 2004-02-27 2005-02-17 Golf swing assistance apparatus, golf glove and electronic wristwatch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20U KR200376541Y1 (ko) 2004-11-19 2004-11-19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541Y1 true KR200376541Y1 (ko) 2005-03-09

Family

ID=4367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820U KR200376541Y1 (ko) 2004-02-27 2004-11-19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5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215Y1 (ko) 스윙연습용 골프채
KR101513473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8460121B2 (en)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
KR101359481B1 (ko) 골프스윙연습기
CA2885077C (en) Swing training device
KR101959171B1 (ko)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KR100771737B1 (ko) 교정 및 연습을 위한 골프클럽어셈블리
KR200376541Y1 (ko)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JP2014030703A (ja) スイング補助装置
WO2006082841A1 (ja) ゴルフスウィング練習用補助具
WO2015049935A1 (ja) ゴルフ用手袋
KR200393846Y1 (ko)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US3722890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US7204767B2 (en) Swing programmer apparatus
US11338187B2 (en) Golf club for practicing swings
KR20110006506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0275009Y1 (ko) 골프스윙연습채
JP6355223B1 (ja) ゴルフアプローチショット練習具
KR20230126424A (ko) 골프용 메트로놈
KR20230047712A (ko) 스윙연습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아이언 커버
JP3114554U (ja) ゴルフクラブ素振り用練習具
US20180256963A1 (en) Disk Shaped Apparatus for Racquet Sports
KR101605732B1 (ko) 골프연습용 배트 소리장치
KR200358262Y1 (ko) 골프스윙보조장치
WO200308019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