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846Y1 -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846Y1
KR200393846Y1 KR20-2005-0015903U KR20050015903U KR200393846Y1 KR 200393846 Y1 KR200393846 Y1 KR 200393846Y1 KR 20050015903 U KR20050015903 U KR 20050015903U KR 200393846 Y1 KR200393846 Y1 KR 200393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golf swing
cylindrical body
bind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20-2005-0015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Abstract

본 고안은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프 장갑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결착 하는 수단으로 결착 클립을 가지도록 하여, 골프 스윙을 할 때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과 피니시(Finish)에서 충격음을 발생시켜 골퍼에게 충격음에 의하여 백 스윙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의 멈춘 듯한 시간차를 알려주어서 다운 스윙(Down swing)을 하게 함으로써 스윙의 리듬감을 유지하고,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골퍼에게 가장 근접되고 착용하기 간편하게 골프 장갑에 결착하고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Golf Swing Assistance Apparatus with fixing clip}
본 고안은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프 장갑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결착 하는 수단으로 결착 클립을 가지도록 하여, 골프 스윙을 할 때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과 피니시(Finish)에서 충격음을 발생시켜 골퍼에게 충격음에 의하여 백 스윙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의 멈춘 듯한 시간차를 알려주어서 다운 스윙(Down swing)을 하게 함으로써 스윙의 리듬감을 유지하고,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골퍼에게 가장 근접되고 착용하기 간편하게 골프 장갑에 결착하고 분리가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에는 모자, 신발, 장갑 등을 비롯하여 필요한 용품이 있는데, 상기 장갑의 경우 골프채의 그립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필수용품으로 골프경기에서 티 그라운드의 시발점에서 시작하는 강한 티샷은 물론 필드에서의 스윙시 대부분 골프 장갑을 착용한다.
한편, 골프의 스윙은 크게 3번의 스윙 박자로 구분할 수가 있는데,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 스윙 동작까지가 '하나',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 정지하는듯한 동작에서 '둘', 그리고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순간적으로 스윙을 하면서 '셋', 이렇게 3박자의 리듬을 지켜 주어야만 좋은 스윙을 구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볍고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백 스윙을 하는 것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 정지하는 듯한 동작과,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머리를 고정하고 타구의 방향을 보려고 성급하게 헤드 업(Head up)을 하지 않는 것이 골프 샷의 좋고 나쁨을 결정한다고 할 정도로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감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많은 훈련과 반복된 연습으로도 완벽하게 체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이를 필드에서 일정하게 구사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백 스윙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의 정지하는 듯한 동작과 피니시(Finish) 까지를 골퍼가 감각으로 직접 느낄 수 있다면 스윙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고, 좋은 골프 샷을 구사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과 피니시(Finish)에서 금속구와 충격판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음을 통하여 백 스윙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에서의 멈춘 듯한 시간차를 알려주어서 스윙의 리듬감을 유지하고, 다운 스윙(Down swing)에서 피니시(Finish)까지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골프스윙 보조 장치를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58262호로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골퍼가 골프스윙시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충격음을 청취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골프 장갑을 교체할 때에는 즉시 분리 가능하고 다시 결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고안의 목적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은 골프스윙 보조장치에 결착 클립을 제공하여 골프 장갑에 착용함으로써 골퍼들이 편리하게 스윙감각을 습득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프스윙 보조장치의 충격음을 골퍼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골프 장갑을 교체할 때에는 즉시 분리 가능하고 다시 결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골프 장갑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결착하는 수단으로 결착 클립을 가지되, 상기 골프스윙 보조장치는 원통체의 내부에 형성된 홈에 금속구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체의 내부 홈의 일측에는 금속으로 된 충격음 발생판이 설치되며, 상기 원통체의 양측면에는 캡이 조립되면서 일측면과 캡사이에는 결착 클립이 삽입 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조립된 캡이 충격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체의 내주면 양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의 외주면에는 원통체의 나사부와 체결되어 조립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체의 타측면의 캡에는 금속구가 안착되어 백 스윙을 할 때, 금속구가 원심력에 반발하여 자유낙하를 원활하게 하면서 충격흡수효과를 가진 탄성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의 상판에는 원통체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금속구에 의하여 발생된 충격음이 원통체의 내부에서 공명되어 외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골프 장갑(1)의 손등 부위 착용밴드에 골프스윙 보조장치(10)를 결착하는 수단으로 결착 클립(2)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골프스윙 보조장치(10)는 원통체(12)의 내부에 형성된 홈(14)에 금속구(16)가 삽입되고, 원통체(12)의 내부 홈(14)의 일측에는 금속으로 된 충격음 발생판(18)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충격음 흡수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충격음 흡수판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캡(22) 자체가 충격흡수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으며, 도 4 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스윙을 할 때 안착된 금속구(16)가 원심력에 반발하여 자유낙하를 원활하게 하도록 하면서 충격흡수효과를 가진 충격 흡수부재(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충격 흡수부재(20)의 재질로는 고무, 합성수지, 스펀지,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원통체의 양단은 캡(22)(24)으로 조립되어 있다. 캡이 조립되는 원통체(12)의 양측면 내주면에는 나사부(12a)(12b)가 형성되어 있어 캡(22)(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2a)(24a)와 조립되며, 이때 결착 클립(2)은 원통체(12) 내주면 나사부(12a)와 캡(22)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2a)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어진다.
캡(22)(24)의 상판에는 원통체(12)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금속구(16)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음이 원통체(12)의 내부에서 공명되어 외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다수의 통공(22b)(24b)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골프 장갑(1)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장치(10)를 결착하는 방법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 장갑(1)의 손등 부위 착용밴드의 상면에 결착 클립(2)으로 결착되어 지며 골프스윙 보조장치(10)를 사용하지 않거나 골프 장갑(1)을 교체할 때에는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장치가 결착된 골프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스윙을 실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는 스윙 동작 상태도로서, 도면에서 (a)는 백 스윙 동작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투시도이고, (b)는 백 스윙 동작의 정상(Top of swing)에서의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투시도이며, (c)는 다운 스윙(Down swing)시 (d)는 피니시(Finish) 자세에서 골프스윙 보조기구의 투시도이다.
최초의 어드레스 자세에서는 금속구(16)는 충격음 발생판(18)과 이격된 상태이고,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 스윙(a)을 할 때에는 가볍고 천천히 일정한 속도와 자세 이동을 통하여 스윙이 이루어지므로 금속구(16)의 위치가 역경사면의 위치로 옮겨지더라도 원심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최초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아주 짧은 시간동안 정지하는 듯한 동작에서 금속구(16)가 자체 중량과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어 충격음 발생판(18)을 타격하면서 충격음이 발생된다. 이때, 골퍼는 충격음을 감지하여 다운스윙(Down swing)을 구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골퍼는 백 스윙(a)을 가볍고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실시하고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정지하는 듯한 동작의 시간차를 발생하는 충격음으로 감지한 후에 다운 스윙(Down swing)을 함으로써 '어드레스-백 스윙(a)-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다운 스윙(Down swing)'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스윙 속도와 자세의 리듬감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다운 스윙(Down swing)(c) 직후에 금속구(16)는 원통체(12)의 홈(14)에서 충격음 발생판(18)의 반대편으로 이동되어 스윙이 끝난 피니시(Finish)까지 금속구(16)의 위치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하여 역경사면으로 바뀌어도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피니시(Finish)의 정지하는 동작(d)에서 금속구(16)는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면서 다시 충격음 발생판(18)과 타격하여 충격음이 발생되며, 골퍼는 이러한 충격음을 감지한 후 머리를 돌려 타구 방향을 주시함으로써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착 수단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는 골프용 장갑은 물론이거니와, 상의의 소매 부분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내용은 후술하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 넓게 개설한 것으로,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하여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10)는 골프 장갑(1)의 손등 부위에 결착 클립(2)으로 결착되어 골퍼가 스윙동작을 실시할 때,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금속구가 중력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충격음에 의하여 골퍼에게 전달하여 백 스윙(a)과 백 스윙의 정상(Top of swing)(b)에서 멈춘 듯한 시간차를 알려주어서 리듬감을 유지하며 골프스윙을 할 수 있게 하고, 피니시(Finish)의 정지 동작(d)에서 충격음이 발생될 때까지 머리를 고정하도록 하여 헤드 업(Head up)을 예방할 수가 있으며, 골프스윙 보조장치(10)를 사용하지 않거나 골프 장갑(1)을 교체할 때에는 즉시 분리 가능하고 다시 결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골프 장갑에 골프스윙 보조장치를 결착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스윙 보조장치의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골프 장갑에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스윙 동작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골프 장갑 2 ; 결착 클립
10 ; 골프스윙 보조장치 12,; 원통체
12a,12b ; 나사부 14 ; 홈
16; 금속구 18; 충격음 발생판
20; 충격 흡수부재 22,24 ; 캡
22a,24a ; 나사부 22b,24b ; 통공

Claims (4)

  1. 골프 장갑(1)의 손등 부위에 골프스윙 보조장치(10)를 결착하는 수단으로 결착 클립(2)을 가지되, 상기 골프스윙 보조장치(10)는 원통체(12)의 내부에 형성된 홈(14)에 금속구(16)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체(12)의 내부 홈(14)의 일측에는 금속으로 된 충격음 발생판(18)이 설치되며, 상기 원통체(12)의 양측면에는 캡(22)(24)이 조립되면서 일측면과 캡(22)사이에는 결착 클립(2)이 삽입 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조립된 캡(24)이 충격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2)의 양측면 내주면에는 나사부(12a)(12b)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캡(22)(24)의 외주면에는 원통체(12)의 나사부(12a)(12b)와 체결되는 나사부(22a)(2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2)의 타측면 캡(24)에는 충격흡수효과를 가진 충격 흡수부재(2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22)(24)의 상판에는 원통체(12)의 내부에서 금속구(16)에 의하여 발생된 충격음이 원통체(12)의 내부에서 공명되어 외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다수의 통공(22b)(24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KR20-2005-0015903U 2005-06-03 2005-06-03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KR200393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903U KR200393846Y1 (ko) 2005-06-03 2005-06-03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903U KR200393846Y1 (ko) 2005-06-03 2005-06-03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846Y1 true KR200393846Y1 (ko) 2005-08-25

Family

ID=4369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903U KR200393846Y1 (ko) 2005-06-03 2005-06-03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8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66B1 (ko) 2008-10-01 2011-09-28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66B1 (ko) 2008-10-01 2011-09-28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566B2 (en) Soft golf club head
JP5497200B2 (ja) 錘が内蔵されたトップ、インパクト、及びフィニッシュタイミング調節用ゴルフ練習バット
KR100916888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410215Y1 (ko) 스윙연습용 골프채
JP2011519706A (ja) 野球スイング練習器
KR101513473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1359481B1 (ko) 골프스윙연습기
JP2006265804A (ja) 衝撃吸収ノンスリップグローブ
KR20160135209A (ko) 스윙 훈련 디바이스
KR200393846Y1 (ko)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JP3197683U (ja) 剣道練習具
JP2005348753A (ja) ゴルフスイング補助装置
KR101868749B1 (ko) 한손 파지형 원심력스윙 골프연습기구
JP5739942B2 (ja) スイング補助装置
KR100489838B1 (ko) 골프스윙보조장치
KR200376541Y1 (ko) 스윙감각을 느낄 수 있는 골프용 장갑
US3722890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JP3065192U (ja) ゴルフ練習用具
KR20110006506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0907143B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358262Y1 (ko) 골프스윙보조장치
KR101833751B1 (ko) 반발력이 향상된 골프클럽 헤드
US11338187B2 (en) Golf club for practicing swings
KR200469447Y1 (ko) 연습용 골프채
KR102159451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