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766B1 -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 Google Patents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766B1
KR101067766B1 KR1020080096522A KR20080096522A KR101067766B1 KR 101067766 B1 KR101067766 B1 KR 101067766B1 KR 1020080096522 A KR1020080096522 A KR 1020080096522A KR 20080096522 A KR20080096522 A KR 20080096522A KR 101067766 B1 KR101067766 B1 KR 10106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downswing
ball
block
tim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280A (ko
Inventor
오창윤
Original Assignee
오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윤 filed Critical 오창윤
Priority to KR102008009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7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0Non-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63B60/04Movable ballas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8Normal golf clubs with directly attached we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퍼가 골프채로 골프스윙을 할 때 백스윙의 탑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한 후 다운스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주연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볼을 삽입시키고 그 상, 하부를 차단구 또는 막힘구로서 차단함으로써, 골퍼가 백스윙의 탑에서 다운스윙의 동작으로 연결되기 전 단계에서 중공형 몸체에 삽입된 볼의 슬라이딩 소리가 들리는 시간동안 골퍼가 대기할 수 있게 구성하여 다운스윙의 타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는,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볼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측에는 차단구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막힘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구는 길이조절구로서, 상기 중공형 몸체 상측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측 내주연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구의 외주연부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구가 상기 막힘구를 향하여 나사 회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운스윙, 중공형 몸체, 볼, 길이조절구

Description

다운스윙타임 조정구{Down swing time fitting component}
본 발명은 골퍼가 골프채로 골프스윙을 할 때 백스윙의 탑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한 후 다운스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주연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볼을 삽입시키고 그 상, 하부를 차단구 또는 막힘구로서 차단함으로써, 골퍼가 백스윙의 탑에서 다운스윙의 동작으로 연결되기 전 단계에서 중공형 몸체에 삽입된 볼의 슬라이딩 소리가 들리는 시간동안 골퍼가 대기할 수 있게 구성하여 다운스윙의 타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의 스윙동작은 골퍼가 골프채를 파지하고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하는 1단계의 동작과 백스윙의 탑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하는 동작의 2단계 및 다운스윙에서 피니시까지의 스윙동작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1단계동작은 골프채를 가볍게 파지하고 천천히 일정한 속도와 회전으로 체중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백스윙을 하는 단계의 자세이고 2단계동작은 백스윙의 탑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하는 동작으로 이때 골퍼의 어깨를 최대로 감아 줄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의 급격한 방향전환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며, 3단계의 동작은 헤드업을 하지 않고 골퍼의 머리를 고정된 상태로 다운스윙에서 피니쉬의 스윙동작으로 연결되어지게 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3단계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반복 숙달을 통하여 올바른 스윙자세를 유지하여야 만 좋은 골프 샷을 구사할 수 있는 골퍼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다운스윙의 타임을 조정하기 위하여 도 12에서와 같이 종이컵의 하단부에 1/4 크기의 구멍을 천공하여 종이컵의 상단부 개방된 부위에서 하단부의 구멍이 천공된 부위의 순으로 골프채의 샤프트에 삽입시켜 헤드까지 하강시켜 골퍼가 어드레스자세에서 백스윙하여 백스윙의 탑에 도달하면 헤드부위에 위치하던 종이컵이 샤프트를 따라 하강하여 골퍼가 그립에 파지한 손등까지 미끄러져 내려올 때 까지 정지한 후 다운스윙의 동작을 수행케 함으로 다운스윙의 타임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연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간단하게 종이컵을 이용하여 다운스윙의 타임을 골퍼 스스로 점검하고 연습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골퍼가 연속적인 동작으로 스윙연습을 반복하면 종이컵의 특성상 공기의 저항을 받아 찌끄러지거나 헤드부위에 끼워져서 종이컵이 샤프트를 따라 승강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스윙연습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고 매번 종이컵을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공보 20-0358262(2004.07.29.)
[문헌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3846(2005.08.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이컵을 이용한 다운스윙타임 조절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볼이 삽입되고 그 상, 하부에 차단구 또는 막힘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를 제공함으로써, 골프 스윙을 할 때 백스윙의 탑에서 볼이 중공형 몸체의 내부를 타고 하강하면서 슬라이딩하여 백스윙 탑의 자세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한 동작을 통하여 올바른 다운스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의 내주연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볼이 슬라이딩되면서 소리를 내도록 하여 소리를 통하여 올바른 다운스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중공형 몸체의 상부 내측에 길이조절구를 구비시켜 중공형 몸체 내부의 중공부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각 골퍼의 스윙동작 특성에 따라 볼의 슬라이딩 소리를 길게 또는 짧게 발생시킬 수 있게 볼의 스트로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원 발명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를 골프채의 샤프트로서 사용하여, 상기 샤프트의 내주연부를 통해 볼이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에 별도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를 구비시키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는,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볼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측에는 차단구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막힘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단구는 길이조절구로서, 상기 중공형 몸체 상측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길이조절구의 상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외주연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측 내주연부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구가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측 내주연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어짐으로써 다운스윙타임이 조절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의 내주연부에는 나사산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운스윙타임 조정구가 골프채의 샤프트 내부에 끼워져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는 골프채의 샤프트로서, 그 하측단부에 헤드가 결합되어 골프채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에 따르면, 상기 다운스윙타임 조정구가 샤프트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골프채의 샤프트가 다운스윙타임 조정구로서 구성되어, 골퍼가 백스윙할 때 다운스윙타임 조정구의 볼이 중공형 몸체의 내부를 타고 하강하면서 슬라이딩하여 백스윙 탑의 자세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한 동작을 통하여 올바른 다운스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길이조절구를 구비시켜, 상기 중공형 몸체 내부의 중공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퍼의 다운스윙타임이 천천히 또는 빠르게 컨트롤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골퍼가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한 후 백스윙의 탑 위치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채의 샤프트(S) 내부에 별도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를 설치하거나, 골프채의 샤프트(S)를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로서 구성함으로써, 스윙 시 볼이 슬라이딩하는 소리를 제공하여 소리가 발생하는 시간 동안 동작을 정지한 후 다운스윙에서 피니시까지의 스윙동작을 수행하여 정확한 골프샷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운스윙 타임 조정구(A)의 기본적인 구성은 중공형 본체(10), 차단구(20), 막힘구(30) 및 볼(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공형 본체(10)의 내부에 볼(40)이 삽입되어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되, 그 일측, 중공형 본체(10)의 상측,은 차단구(20)가 구비되고, 그 타측, 중공형 본체(10)의 하측,은 막힘구(3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구(20)와 막힘구(30)는 중공형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된 볼(40)이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나올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면 족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비록 그 대표적인 예로서 나사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걸림구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거나 외주연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테이퍼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차단구(20)와 막힘구(30)를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내부에 삽입시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고, 상 차단구(20)와 막힘구(30) 중 하나는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나 결합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볼(40) 역시 그 형태를 제한하지는 않으나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구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차단구(20)의 하부면과 막힘구(30)의 상부면이 볼록하게 구성되도록 하였으나, 이 역시 볼록부를 통하여 마찰음이 크게 들리도록 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평판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중공형 몸체(10)의 내측에 삽입된 볼(40)이 골프 스윙을 할 때 백스윙의 탑에서 중공형 몸체(10) 내부의 중공부를 타고 하강하면서 슬라이딩하여 백스윙 탑의 자세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한 동작을 통하여 올바른 다운스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중공형 몸체(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차단구(20)를 길이조절구(20a)로서 구성하여 상기 중공 형 몸체(10) 내부 중공부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골퍼의 체형 또는 각 골퍼의 스윙동작 특성에 따라 볼의 슬라이딩 길이를 소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단구(20), 즉 길이조절구(20a)의 외주연부에 나사산(201)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상부측 내주연부에도 나사산(101)을 형성하여,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상측을 통해 상기 길이조절구(20a)가 삽입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상측 외주연부에 형성된 나사산(101)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중공형 몸체(10) 내부의 중공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운스윙타임이 조절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구(20a)의 나사회전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상기 길이조절구(20a)의 상면에 나사홈(202)을 추가로 형성시켜, 상기 나사홈(202)에 드라이버를 삽입시켜 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나사산(101)을 타고 상기 길이조절구(20a)가 용이하게 상, 하 운동을 할 수 있게된다.
또한 앞서 일실시예에서도 설명하였지만 상기 길이조절구(20a)의 하면을 볼록부로서 형성할 경우, 슬라이딩 되는 볼(40)이 볼록부에 접촉하면서 마찰음을 발생시킴으로써, 골퍼가 백스윙 탑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상측 내주연부에만 나사산(101)을 형성하는 것이 아닌, 내주연부 전체에 걸쳐서 나사산(101)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 바, 이는 길이조절구(20a)가 계속해서 나사회전하여 중공부의 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은 물론, 다운스윙타임을 조절할 필요가 없 을 경우에는 길이조절구(20a)를 최하부까지 나사회전하여 상기 길이조절구(20a)가 볼(40) 및 막힘구(30)와 상호 맞닿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추가적으로 중공형 몸체(1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나사산(101)을 타고 볼(40)이 슬라이딩되면서 경쾌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볼(40)이 상기 나사산(101)과의 접촉을 통해 발생하는 소리와 상기 볼(40)이 상기 길이조절구(20a)의 볼록부와 접촉될때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구(20a)에는 상, 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0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40)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돌기로 인하여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는 골프채의 샤프트(S)의 내부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 7과 같이, 골프채의 후단을 통하여 샤프트(S) 내부로 상기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를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되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상측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면 상기 원통형 몸체(10)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샤프트(S)의 선단에 거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를 골프채와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아닌, 도 8에서와 같이,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를 골프채의 샤프트(S)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상기에서 설명된 중공형 몸체(10)를 종래의 샤프트(S)로 하여 구성하고, 상기 샤프트(S)의 타측 단부에 헤드(H)를 결합시키고, 그 일측에는 그립(G)을 결합시켜 골프채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종래의 샤프트(S)를 중공형 몸체(10)로 하여 구성할 경우, 상기 샤프트(S)의 형상과 관계없이, 도 9에서와 같이, 그 중공부가 원통형으로 구성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샤프트(S)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101)의 피치(나사산과 나사산의 길이)를 넓히거나 좁히는 조정을 통하여 볼(40)이 슬라이딩되면서 발생되는 소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중공형 몸체(10)의 내주연 약 1/2위치에서 즉, 중앙에서 하측으로 나사산(101)의 각도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볼(40)이 천천히 슬라이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골프채의 샤프트(S) 내에 삽입되거나, 샤프트(S)로서 사용되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는 도 10, 11와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 도 10, 11에서는 골프채의 샤프트(S) 내에 본 발명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가 삽입되어 사용되는 형태를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골퍼가 골프채의 그립(G)을 파지하고 어드레스자세를 취하면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 내부의 볼(40)은 막힘구(30)의 내측에 접촉하고 있다가 백스윙의 동작을 취하여 백스윙 탑에 위치하면 볼(40)이 원통형 몸체(1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101)을 타고 접촉하면서 슬라이딩하여 하강하면서 마찰음이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차단구(20), 즉 길이조절구(20a)의 볼록부에 접촉하면서 마찰음을 발생시켜 관통공(203)을 통하여 골퍼에 전달하여 백스윙 탑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백스윙 탑의 위치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하는 순간에 골퍼는 어깨를 최대로 감아주고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의 급격한 방향전환을 방지하여 정확한 골프샷으로 피니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이 골프채에 적용된 상태의 구조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종래의 다운스윙타임 조정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중공형 몸체 20: 차단구 20a: 길이조절구
30: 막힘구 40: 볼 101, 201: 나사산
102: 플랜지 202: 나사홈 203: 관통공

Claims (5)

  1.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에 있어서,
    상기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는 중공형 몸체(10)의 내부에 볼(40)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상측에는 차단구(20)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막힘구(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구(20)는 길이조절구(20a)로서, 상기 중공형 몸체(10) 상측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길이조절구(20a)의 상면에 나사홈(202)이 형성되고 외주연부에 나사산(201)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상측 내주연부에도 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구(20a)가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상측 내주연부에 형성된 나사산(101)을 따라 이동되어짐으로써 다운스윙타임이 조절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10)의 내주연부에는 나사산(101)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스윙타임 조정구(A)가 골프채의 샤프트(S) 내부에 끼워져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10)는 골프채의 샤프트(S)로서, 그 하측단부에 헤드(H)가 결합되어 골프채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KR1020080096522A 2008-10-01 2008-10-01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KR10106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522A KR101067766B1 (ko) 2008-10-01 2008-10-01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522A KR101067766B1 (ko) 2008-10-01 2008-10-01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280A KR20100037280A (ko) 2010-04-09
KR101067766B1 true KR101067766B1 (ko) 2011-09-28

Family

ID=4221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522A KR101067766B1 (ko) 2008-10-01 2008-10-01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749B1 (ko) * 2017-07-20 2018-06-18 박장영 한손 파지형 원심력스윙 골프연습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169Y1 (ko) * 2004-11-20 2005-03-09 정병하 연습용 골프클럽
KR100489838B1 (ko) * 2004-03-02 2005-05-17 김정규 골프스윙보조장치
KR200393846Y1 (ko) 2005-06-03 2005-08-25 김정규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KR100862335B1 (ko) 2007-07-06 2008-10-13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838B1 (ko) * 2004-03-02 2005-05-17 김정규 골프스윙보조장치
KR200376169Y1 (ko) * 2004-11-20 2005-03-09 정병하 연습용 골프클럽
KR200393846Y1 (ko) 2005-06-03 2005-08-25 김정규 결착 클립을 가진 골프스윙 보조장치
KR100862335B1 (ko) 2007-07-06 2008-10-13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280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2960B (zh) 高爾夫球桿及包括選擇性控制桿頭聲音之構造的高爾夫球桿頭
US6955610B1 (en) Sports training apparatus
US8821323B2 (en) Swing trainer for exercise
US20050245324A1 (en) Golf club weight training device
US20170348578A1 (en) Portable cocking practice device
US11660519B2 (en) Golf swing playing aid device
US7717812B2 (en) Water-based sport training
US74351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nnis swing training
KR101067766B1 (ko)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WO2005082469A1 (en) Improved golf club grip
US5882267A (en) Golf putting trainer
JP2017507700A (ja) 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機器
CA2459075A1 (en) Golf tee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US20050107181A1 (en) Golf putter shaft and grip and method for gripping golf club
KR100862335B1 (ko)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JP3087684U (ja) ゴルフクラブの調整装置
US73228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nnis swing training
US6431992B1 (en) Golf swing training club
USD868914S1 (en) Golf training device
JP2021512773A (ja) 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練習クラブ
KR101197305B1 (ko) 골프 퍼터
US7591733B1 (en) Device for reducing effect of dominant hand on golf swing
KR20180054123A (ko) 형상 조절이 가능한 골프 드라이버
JP2006101918A (ja) ヘッドの重心位置可変式ゴルフクラブ
US20150265884A1 (en) Golf club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