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169Y1 - 연습용 골프클럽 - Google Patents

연습용 골프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169Y1
KR200376169Y1 KR20-2004-0032912U KR20040032912U KR200376169Y1 KR 200376169 Y1 KR200376169 Y1 KR 200376169Y1 KR 20040032912 U KR20040032912 U KR 20040032912U KR 200376169 Y1 KR200376169 Y1 KR 200376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golf
shaft
head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하
Original Assignee
정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하 filed Critical 정병하
Priority to KR20-2004-0032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1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클럽의 샤프트 내에 2개의 금속 볼을 삽입하여 백스윙의 정점인 톱(Top)과, 골프공의 임팩트(Impact)시 샤프트 내부에서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올바른 자세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한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인 그립(1)과,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2)와, 상기 그립(1)과 상기 헤드(2)를 연결해주는 샤프트(3)로 이루어진 골프클럽에 있어서, 골프클럽의 백스윙 시에는 백스윙의 정점인 톱 시점을 알리기 위해 상기 그립(1) 쪽으로 이동하여 소리가 나도록 하고, 골프클럽의 다운스윙 시에는 골프공의 임팩트 시점을 알리기 위해 상기 헤드(2) 쪽으로 이동하여 소리가 나도록 샤프트(3)의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금속볼(10,11)을 삽입하여서 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습용 골프클럽{Practice golf club}
본 고안은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의 샤프트 내에 2개의 금속 볼을 삽입하여 백스윙의 정점인 톱(Top)과, 골프공의 임팩트(Impact)시 샤프트 내부에서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올바른 자세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한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골프는 미리 정해놓은 홀컵에 얼마나 적은 타수로 골프공을 집어넣느냐에 따라 그 수준을 가늠하는 경기로서, 보다 적은 타수에 정확하게 홀인 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스윙력에 대해서도 샤프트에 대한 헤드의 경사각(로프트), 탄도에 따라 비거리가 다르게 나타나도록 한 우드 또는 아이언과 같은 다수의 골프클럽이 활용된다.
즉, 우드는 재질적인 특성에 따라 탄도를 적게 한 대신 로프트가 거의 없어 볼이 직진성을 가지고 멀리 날아가게 되어있으며, 아이언은 철재로 되며 탄도가 크고 로프트 각이 커 볼이 뜨면서 가깝게 날아가게 되어 있는 것으로, 골프공을 멀리 보낼 때에는 우드를 사용하고 정확한 거리로 골프공을 보낼 때에는 아이언을 활용하게 되며, 따라서 골프 연습자는 장애물들을 잘 피해 비거리를 계산하여 선택적으로 골프클럽을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골프경기에 있어 남은 거리 및 지형에 따라 골프클럽을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을 타격할 때의 긴 비거리와 타구의 정확한 방향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할 것이다.
타구의 정확도와 비거리의 향상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골프 연습자의 스윙자세와 함께 타격시 정확한 임팩트라 할 수 있는바, 공을 타격할 때 좋은 스윙자세를 유지하면서 클럽헤드의 페이스중앙에 정확히 공을 임팩트 하여야만 타구의 정확도가 유지됨과 동시에 파워가 실려 비거리가 향상될 수 있으나, 초보자의 경우에는 공을 클럽헤드의 페이스 중앙에 정확히 맞추는 것 자체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 스윙시의 정확한 자세를 모르거나, 스윙시의 정확한 자세는 알고 있으나 스윙 시 자신도 모르게 자세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이 스윙 시 정확한 자세가 나오지 않으면 정확한 임팩트 역시 불가능해지게 되므로 높은 레슨비를 지불하면서 프로들의 지도를 받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골프 대중화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골프 연습기가 시중에 널리 유포되어 있으나 이러한 골프 연습기를 통해서는 골프클럽을 잡고 공을 무작위로 타격하는 기술만을 익히는 것뿐 실질적으로 올바른 스윙자세와 이를 통한 골프공의 정확한 임팩트를 익힐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 기능성에 한계가 있다.
예컨대 스윙 연습 시 골프 연습자에 따라서는 톱에서 필요 이상으로 클럽을 치켜드는 오버스윙 버릇이 생길 수도 있고, 다운 블로우(Down blow)시 골프공을 치는 순간인 임팩트 시점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여 폴로우 스로우(Follow through)에 대한 잘못된 버릇이 생기기 쉽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골프클럽의 샤프트 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금속 볼을 삽입하여 백스윙의 정점인 톱과, 골프공의 임팩트 시 샤프트 내부에서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올바른 자세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한 연습용 골프클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인 그립과,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와, 상기 그립과 상기 헤드를 연결해주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골프클럽에 있어서, 골프클럽의 백스윙 시에는 백스윙의 정점인 톱 시점을 알리기 위해 상기 그립 쪽으로 이동하여 소리가 나도록 하고, 골프클럽의 다운스윙 시에는 골프공의 임팩트 시점을 알리기 위해 상기 헤드 쪽으로 이동하여 소리가 나도록 샤프트의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금속볼들을 을 삽입하여서 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인 그립(1)과,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2)와, 상기 그립(1)과 상기 헤드(2)를 연결해주는 샤프트(3)로 이루어진 골프클럽(100)의 샤프트(3) 내부에 2개의 금속볼(10,11)을 삽입하여 골프클럽(100)의 백스윙이나 다운스윙시 이들 금속볼(10,11)이 그립(1)과 헤드(3)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서로 부딪히는 소리가 나도록 하여 백스윙의 정점인 톱시점과 임팩트시점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2a에 서와 같이 백스윙 시에는 백스윙의 정점인 톱 시점을 알리기 위해 그립(1) 쪽으로 이동하여 소리가 나도록 하였으며, 또한 골프클럽(100)의 다운스윙 시에는 골프공의 임팩트 시점을 알리기 위해 헤드(2) 쪽으로 이동하여 소리가 나도록 샤프트(3)의 내부에는 이 삽입되어 있다.
도1에서 미설명 부호 111은 마개이며, 111a는 공기 유입출구를 나타낸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연습자(200)가 골프공(300)을 치기 위해 어드레스 상태에서 골프클럽(100)을 화살표(A)방향으로 백스윙할 경우 샤프트(3)내부에서 헤드(2)쪽으로 있던 금속볼(10,11)은, 골프클럽(100)이 지면과 수평이 된후 좀더 상향으로 백스윙될 경우 그립(1)쪽을 향해 화살표(B)방향으로 굴러내려 오게 된다.
이렇게 골프클럽(100)을 백스윙하는 과정에서 도2b와 같이 좀더 골프클럽(100)을 치켜올리면 금속구(10,11)가 그립(1)쪽으로 완전히 굴러내려와서 이들 금속구들(10,11)이 부딪치는 소리가 나게 되는바, 이때가 소위 백스윙의 정점인 톱 오브 스윙(Top of swing)인바, 이때 골프 연습자는 이를 감지하여 더 이상 골프클럽(100)을 치켜 올리지 않고(백스윙을 하지 않고) 다운스윙을 할 준비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도2b에 도시한 상태에서 골프 연습자가 골프클럽(100)을 다운 스윙할 경우 도3a에서와 같이 골프클럽(100)이 화살표(C)방향으로 내려오게 되면, 샤프트(3)내에 있던 금속볼(10,11)은 골프클럽(100)이 지면과 수평이 된 후 좀더 하향으로 다운스윙되어 헤드(2)쪽을 향해 화살표(D)방향으로 굴러내려 오게 된다.
이렇게 골프클럽(100)을 다운스윙하는 과정에서 도3b와 같이 좀더 골프클럽(100)을 다운 블로윙하여 골프헤드(2)의 중심이 최저점에 이르러 골프공(300)을 임팩트 하기 전에는 금속구(10,11)가 헤드(2)쪽으로 완전히 굴러 내려와서 이들 금속구들(10,11)이 부딪치는 소리가 나게 되는바, 이때가 임팩트 시점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골프 연습자는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을 사용할 때 골프공이 제대로 타격되지 않으면 자신의 스윙자세에 문제가 있음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제대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스윙시의 자세, 다운스윙시의 자세, 임팩트시의 자세, 팔로스로우시의 자세 등이 올바른지의 여부를 스스로 몸으로 느끼면서 교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정된 자세로 무수히 연습하게 되면 제대로 된 스윙자세가 사용자의 몸에 자연스럽게 배이게 되어 일반 골프클럽을 사용하더라도 정확한 스윙자세를 통해 정확한 임팩트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골프클럽(100)의 샤프트(3) 내에 2개의 금속 볼(10,11)을 삽입하여 백스윙의 정점인 톱(Top)과, 골프공의 임팩트(Impact)시 샤프트(3) 내부에서 금속 볼(10,11)이 서로 부딪히는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올바른 자세를 연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다른 연습용골프클럽의 단면도;
도2a와 도2b는 백스윙 시 골프클럽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a와 도3b는 다운스윙 시 골프클럽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그립 2: 헤드
3: 샤프트 10,11: 금속 볼

Claims (1)

  1. 손잡이인 그립(1)과,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2)와, 상기 그립(1)과 상기 헤드(2)를 연결해주는 샤프트(3)로 이루어진 골프클럽에 있어서:
    골프클럽의 백스윙 시에는 백스윙의 정점인 톱 시점을 알리기 위해 상기 그립(1) 쪽으로 이동하여 소리가 나도록 하고, 골프클럽의 다운스윙 시에는 골프공의 임팩트 시점을 알리기 위해 상기 헤드(2) 쪽으로 이동하여 상호 부딪혀서 소리가 나도록 샤프트(3)의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금속볼(10,11)을 삽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클럽.
KR20-2004-0032912U 2004-11-20 2004-11-20 연습용 골프클럽 KR200376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12U KR200376169Y1 (ko) 2004-11-20 2004-11-20 연습용 골프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12U KR200376169Y1 (ko) 2004-11-20 2004-11-20 연습용 골프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169Y1 true KR200376169Y1 (ko) 2005-03-09

Family

ID=4367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12U KR200376169Y1 (ko) 2004-11-20 2004-11-20 연습용 골프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169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21B1 (ko) 2006-10-10 2008-02-05 박재섭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862335B1 (ko) 2007-07-06 2008-10-13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KR100907144B1 (ko) * 2007-09-05 2009-07-09 박재섭 이동부재를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07143B1 (ko) * 2007-09-04 2009-07-09 박재섭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10725B1 (ko) * 2007-09-05 2009-08-05 박재섭 스프링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10724B1 (ko) * 2007-09-05 2009-08-05 박재섭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26614B1 (ko) 2007-09-05 2009-11-11 박재섭 칸막이를 구비한 골프클럽
KR101067766B1 (ko) * 2008-10-01 2011-09-28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JP2020018672A (ja) * 2018-08-02 2020-02-06 紘司 林 素振り用練習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21B1 (ko) 2006-10-10 2008-02-05 박재섭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862335B1 (ko) 2007-07-06 2008-10-13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KR100907143B1 (ko) * 2007-09-04 2009-07-09 박재섭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07144B1 (ko) * 2007-09-05 2009-07-09 박재섭 이동부재를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10725B1 (ko) * 2007-09-05 2009-08-05 박재섭 스프링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10724B1 (ko) * 2007-09-05 2009-08-05 박재섭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26614B1 (ko) 2007-09-05 2009-11-11 박재섭 칸막이를 구비한 골프클럽
KR101067766B1 (ko) * 2008-10-01 2011-09-28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JP2020018672A (ja) * 2018-08-02 2020-02-06 紘司 林 素振り用練習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246B1 (ko) 개량된 헤드 구조에 의해 퍼팅의 방향과 거리의 정확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골프 퍼터
US8696484B2 (en) Golf aid
US20030008724A1 (en) Golf putter
US20130231199A1 (e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JP6388879B2 (ja) ゴルフクラブ
WO2008011425A2 (en) Golf tee with body stance alignment feature
US6767293B2 (en) Golf club putter and method of putting
US9333408B1 (en) Golf swing aid
US11426645B2 (en) Golf ball putting alignment system and method
US20170326427A1 (en) Golf swing teaching device
KR200397928Y1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US20170106265A1 (en) Ricoshot
US9044654B2 (en) Golf putter
US20060199663A1 (en) Putting alignment system
KR200299155Y1 (ko) 강선을 갖는 골프 퍼터
KR20090005941A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US6712720B2 (en) Method for practicing golf shots
KR20150128226A (ko) 골프연습용배트
KR102250134B1 (ko) 뒤땅 방지를 위한 골프스윙 연습용 골프채
US200701233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rdinating golf swing and ball distance
US20040097297A1 (en) Golf swinging training tool
KR200314281Y1 (ko) 퍼터헤드
KR200361934Y1 (ko) 연습용 골프클럽
US8047929B2 (en) Golf club with near vertical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