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934Y1 - 연습용 골프클럽 - Google Patents

연습용 골프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934Y1
KR200361934Y1 KR20-2004-0015482U KR20040015482U KR200361934Y1 KR 200361934 Y1 KR200361934 Y1 KR 200361934Y1 KR 20040015482 U KR20040015482 U KR 20040015482U KR 200361934 Y1 KR200361934 Y1 KR 200361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ead
golf club
impact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해선
Original Assignee
손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해선 filed Critical 손해선
Priority to KR20-2004-0015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63B69/36212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with a flexible member fixed on the club and rotating around a fixed suppo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인 그립과,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와, 그립과 헤드를 연결해주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골프클럽에 있어서, 샤프트의 헤드 인접부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부를 구성하되, 힌지부는 샤프트가 펴지는 위치에서부터 헤드와 샤프트의 하단부가 백스윙시 뒤쪽으로 꺾이는 방향으로 120°회동가능하게 구성하여서 된 연습용 골프클럽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백스윙시 헤드를 포함한 샤프트의 하단부가 뒤로 젖혀졌다가 다운스윙시 샤프트가 점차 펴지면서 임펙트시에는 샤프트가 곧은 상태로 타구가 이루어지므로 스윙자세가 올바르지 않으면 타구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임펙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자신의 스윙자세가 올바른지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대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또 이러한 교정된 자세로 무수히 연습하게 되면 제대로 된 스윙자세가 사용자의 몸에 자연스럽게 배이게 되어 일반 골프클럽을 사용하더라도 정확한 스윙자세를 통해 정확한 임팩트가 가능해지는 것이며, 팔로스로시에는 샤프트가 펴진 상태 그대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임펙트시의 타구방향이 훅이나 슬라이스 나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헤드부위가 뒤로 젖혀졌다 똑바로 펴지는 과정에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타격강도가 향상되므로 이를 꾸준히 연습하면 일반 골프클럽을 가지고도 강한 임펙트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연습용 골프클럽{Practice golf club}
본 고안은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트의 헤드부 인접부위가 백스윙시에는 꺾였다가 다운스윙시 원위치로 점차 복귀되고 임팩트시에는 샤프트가 곧게 펴지면서 공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자세에서만 임팩스가 가능토록 하여 스윙의 올바른 자세를 연습할 수 있고, 임팩트시에 공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켜 실제 골프클럽을 사용하면서도 강한 임팩트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골프는 미리 정해놓은 홀컵에 얼마나 적은 타수로 골프공을 집어넣느냐에 따라 그 수준을 가늠하는 경기로서, 보다 적은 타수에 정확하게 홀인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스윙력에 대해서도 샤프트에 대한 헤드의 경사각(로프트), 탄도에 따라 비거리가 다르게 나타나도록 한 우드 또는 아이언과 같은 다수의 골프클럽이 활용된다.
즉, 우드는 재질적인 특성에 따라 탄도를 적게 한 대신 로프트가 거의 없어 볼이 직진성을 가지고 멀리 날아가게 되어 있으며, 아이언은 철재로 되며 탄도가 크고 로프트 각이 커 볼이 뜨면서 가깝게 날아가게 되어 있는 것으로, 골프공을 멀리 보낼 때에는 우드를 사용하고 정확한 거리로 골프공을 보낼 때에는 아이언을 활용하게 되며, 따라서 골퍼는 장애물들을 잘 피해 비거리를 계산하여 선택적으로 골프클럽을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골프경기에 있어 남은 거리 및 지형에 따라 골프클럽을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을 타격할 때의 긴 비거리와 타구의 정확한 방향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할 것이다.
타구의 정확도와 비거리의 향상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골퍼의 스윙자세와 함께 타격시 정확한 임팩트라 할 수 있는바, 공을 타격할 때 좋은 스윙자세를 유지하면서 클럽헤드의 페이스 중앙에정확히 공을 임팩트하여야만 타구의 정확도가 유지됨과 동시에 파워가 실려 비거리가 향상될 수 있으나, 초보자의 경우에는 공을 클럽헤드의 페이스 중앙에 정확히 맞추는 것 자체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 스윙시의 정확한 자세를 모르거나, 스윙시의 정확한 자세는 알고 있으나 스윙시 자신도 모르게 자세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이 스윙시 정확한 자세가 나오지 않으면 정확한 임팩트 역시 불가능해지게 되므로 높은 레슨비를 지불하면서 프로들의 지도를 받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골프 대중화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골프 연습기가 시중에 널리 유포되어 있으나 이러한 골프 연습기를 통해서는 골프클럽을 잡고 공을 무작위로 타격하는 기술만을 익히는 것뿐 실질적으로 올바른 스윙자세와 이를 통한 골프공의 정확한 임팩트를 익힐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 기능성에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샤프트의 헤드 인접부위에 샤프트가 펴지는 위치에서부터 헤드와 샤프트의 하단부가 백스윙시 뒤쪽으로 꺾이는 방향으로 120°회동가능하게 힌지부를 구성하여 골프클럽을 백스윙할 때 헤드와 샤프트의 하단부가 뒤쪽으로 꺾였다가 다운스윙시 점차 펴지면서 임팩트시 샤프트가 완전히 펴져 정확한 임팩트가 가능해지고, 팔로스로우시에는 곧은 자세를 유지하여 타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연습용 골프클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의 힌지부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그립 2 : 헤드
3 : 샤프트 100 : 힌지부
101 : 힌지핀 110 : 제 1회전부
120 : 제 2회전부 121 : 미끄럼 접촉면
122 : 베어링 수용홈 123 : 베어링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인 그립(1)과,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2)와, 그립(1)과 헤드(2)를 연결해주는 샤프트(3)로 이루어진 골프클럽에 있어서, 샤프트(3)의 헤드 인접부위에 힌지부(100)를 구성하되, 이 힌지부(100)는 샤프트(3)가 펴지는 위치에서부터 헤드(2)와 샤프트(3)의 하단부가 백스윙시 뒤쪽으로 꺾이는 방향으로 120°회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힌지부(100)는, 샤프트(3) 하단부의 분할부위 중 헤드(2)측에 고정되며, 그 중앙에 힌지핀(101)이 굴대 설치되는 제 1회전부(110)와; 샤프트(3) 하단부의 분할부위 중 그립(1)측에 고정되며, 직경과 폭은 제 1회전부(110)보다는 크게 구성되고, 측벽면 중간이 제 1회전부(110)와 동일한 폭으로 샤프트(3)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20°까지 개방되어 그 내부에 외측 테두리와 동심원상으로 제 1회전부(110)의 외경과 동일한 미끄럼 접촉면(121)이 형성되며, 양측 중앙부에 힌지핀(101)이 제 1회전부(110)와 함께 굴대 설치된 제 2회전부(12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윙의 첫단계인 백스윙을 하게 되면 헤드(2)측 샤프트(3)의 하단부와 연결된 제 1회전부(110)가 제 2회전부(120) 내측의 미끄럼 접촉면(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뒤쪽으로 꺾이게 되고, 그 꺾임각도는 제 2회전부(120)의 형상에 따라 120°로 제한된다.
이때, 헤드(2) 및 샤프트(3)의 하단부가 120°이상 꺾이게 되면 원심력은 증가될 것이나 헤드(2) 및 샤프트(3)가 임펙트시 곧게 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헤드(2) 및 샤프트(3)의 하단부가 90°미만으로 꺾이게 되면 원심력이 감소하여 임팩트시 힘을 낼 수 없는 단점이 있는바,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은 최대 120°로 꺾일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적당하게 백스윙하여 90°이상 120°미만의 꺾임각도를 갖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하게 되면 뒤쪽으로 꺾여있던 헤드(2) 및 샤프트(3)의 하단부가 점차 펴지게 되며, 임팩트시에는 샤프트(3)가 곧게 펴진 상태가 되어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이고, 이후 샤프트(3)가 곧게 펴진 상태에서 팔로스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스윙자세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공을 맞추기 어렵고 맞춘다하더라도 훅이나 슬라이스가 나며, 뒷땅을 치거나 공의 윗부분을 타격하거나, 헛스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을 사용할 때 골프공이 제대로 타격되지 않으면 자신의 스윙자세에 문제가 있음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제대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스윙시의 자세, 다운스윙시의 자세, 임펙트시의 자세, 팔로스로우시의 자세, 피니쉬 자세 등이 바른지 바르지 않은지 스스로 몸으로 느끼면서 교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정된 자세로 무수히 연습하게 되면 제대로 된 스윙자세가 사용자의 몸에 자연스럽게 배이게 되어 일반 골프클럽을 사용하더라도 정확한 스윙자세를 통해 정확한 임팩트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백스윙시 뒤쪽으로 꺾여있던 헤드(2)와 샤프트(3)의 하단부가 다운스윙시 점차 회전되면서 펴지게 되므로 임펙트시에는 그 원심력에 의해 타격강도가 일반 골프클럽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30%이상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이러한 타격강도를 직접 느끼면서 점차 자신감을 가지고 임펙트시에 힘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스스로 채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습용 골프클럽으로 무수히 연습하게 되면 임펙트시에 힘을 모아서 줄 수 있는 기술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몸에 배이게 되어 일반 골프클럽을 사용하더라도 타구의 비거리가 늘어남은 물론 그 방향성 역시 매우 양호해지는 것이다.
한편, 헤드(2) 및 샤프트(3)의 하단부가 백스윙 및 다운스윙시 힌지부(110)의 힌지핀(101)을 축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지 않고 옆으로 틀어질 경우 아무리 스윙자세가 좋아도 훅이나 슬라이스가 날 수밖에 없는데,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의 힌지부(110)는 헤드(2)측 샤프트(3)에 연결된 제 1회전부(110)가 그립(1)측 샤프트(3)에 연결된 제 2회전부(120)의 내측에 수납되어 그 미끄럼 접촉면(121)을 따라 미끄럼 접촉하는 상태에 있으며, 또한 제 2회전부(120)가 제 1회전부(110)보다는 직경이 크게 구성되므로 제 1회전부(110)와 연결된 샤프트(3)가 제 2회전부의 개방된 부위 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헤드(2) 및 샤프트(3)의 하단부가 틀어지지않고 힌지부(110)의 힌지핀(101)을 축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은 스윙자세만 제대로 이루어지면 정확한 임펙트가 가능하여 타구의 비거리가 신장되고, 그 방향성 역시 양호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습용 골프클럽은 임펙트시 펴진 샤프트(3)가 팔로스로시에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골프공이 임펙트시의 타구방향 그대로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샤프트(3) 하단부의 분할부위 중 헤드(2)측에 고정되며, 그 중앙에 힌지핀(101)이 굴대 설치되는 제 1회전부(110)와; 샤프트(3) 하단부의 분할부위 중 그립(1)측에 고정되며, 직경과 폭은 제 1회전부(110)보다는 크게 구성되고, 측벽면 중간이 제 1회전부(110)와 동일한 폭으로 샤프트(3)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20°까지 개방되어 그 내부에 외측 테두리와 동심원상으로 제 1회전부(110)의 외경보다는 크게 베어링 수용홈(122)이 형성되며, 베어링 수용홈(122)에는 다수의 베어링(123)이 제 1회전부(110)의 외경부위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양측 중앙부에 힌지핀(101)이 제 1회전부(110)와 함께 굴대 설치된 제 2회전부(120)로 힌지부(110)를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를 가지면서 헤드(2)를 포함한 샤프트(3)의 하단부가 베어링(123)에 의해 구름접촉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회전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백스윙시 헤드를 포함한 샤프트의 하단부가 뒤로 젖혀졌다가 다운스윙시 샤프트가 점차 펴지면서 임펙트시에는 샤프트가 곧은 상태로 타구가 이루어지므로 스윙자세가 올바르지 않으면 타구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임펙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자신의 스윙자세가 올바른지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대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윙자세를 교정할수 있고, 또 이러한 교정된 자세로 무수히 연습하게 되면 제대로 된 스윙자세가 사용자의 몸에 자연스럽게 배이게 되어 일반 골프클럽을 사용하더라도 정확한 스윙자세를 통해 정확한 임팩트가 가능해지는 것이며, 팔로스로시에는 샤프트가 펴진 상태 그대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임펙트시의 타구방향이 훅이나 슬라이스 나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헤드부위가 뒤로 젖혀졌다 똑바로 펴지는 과정에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타격강도가 향상되므로 이를 꾸준히 연습하면 일반 골프클럽을 가지고도 강한 임펙트가 가능해지게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손잡이인 그립(1)과,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2)와, 상기 그립(1)과 상기 헤드(2)를 연결해주는 샤프트(3)로 이루어진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의 헤드 인접부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부(110)를 구성하되, 상기 힌지부(110)는 상기 샤프트(3)가 펴지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헤드(2)와 상기 샤프트(3)의 하단부가 백스윙시 뒤쪽으로 꺾이는 방향으로 120°회동가능하게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클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00)는,
    상기 샤프트(3) 하단부의 분할부위 중 헤드(2)측에 고정되며, 그 중앙에 힌지핀(101)이 굴대 설치되는 제 1회전부(110)와,
    상기 샤프트(3) 하단부의 분할부위 중 그립(1)측에 고정되며, 직경과 폭은 상기 제 1회전부(110)보다는 크게 구성되고, 측벽면 중간이 상기 제 1회전부(110)와 동일한 폭으로 상기 샤프트(3)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20°까지 개방되어 그 내부에 외측 테두리와 동심원상으로 상기 제 1회전부(110)의 외경과 동일한 미끄럼 접촉면(121)이 형성되며, 양측 중앙부에 상기 힌지핀(101)이 상기 제 1회전부(110)와 함께 굴대 설치된 제 2회전부(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클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00)는,
    상기 샤프트(3) 하단부의 분할부위 중 헤드(2)측에 고정되며, 그 중앙에 힌지핀(101)이 굴대 설치되는 제 1회전부(110)와,
    상기 샤프트(3) 하단부의 분할부위 중 그립(1)측에 고정되며, 직경과 폭은 상기 제 1회전부(110)보다는 크게 구성되고, 측벽면 중간이 상기 제 1회전부(110)와 동일한 폭으로 상기 샤프트(3)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120°까지 개방되어 그 내부에 외측 테두리와 동심원상으로 상기 제 1회전부(110)의 외경보다는 크게 베어링 수용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수용홈(122)에는 다수의 베어링(123)이 상기 제 1회전부(110)의 외경부위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양측 중앙부에 상기 힌지핀(101)이 상기 제 1회전부(110)와 함께 굴대 설치된 제 2회전부(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클럽.
KR20-2004-0015482U 2004-06-03 2004-06-03 연습용 골프클럽 KR200361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82U KR200361934Y1 (ko) 2004-06-03 2004-06-03 연습용 골프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82U KR200361934Y1 (ko) 2004-06-03 2004-06-03 연습용 골프클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251A Division KR100693883B1 (ko) 2004-06-03 2004-06-03 연습용 골프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934Y1 true KR200361934Y1 (ko) 2004-09-16

Family

ID=4943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482U KR200361934Y1 (ko) 2004-06-03 2004-06-03 연습용 골프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9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72A2 (ko) * 2009-12-31 2011-07-07 Gang Og Goo 골프 퍼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72A2 (ko) * 2009-12-31 2011-07-07 Gang Og Goo 골프 퍼터
WO2011081372A3 (ko) * 2009-12-31 2011-11-17 Gang Og Goo 골프 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6742B2 (en) Golf club head with visual swing indicator
EP2429666B1 (en) Visual swing indicator golf club head
JP2012526620A (ja) 調節可能なパターアラインメントエイド
JP2013530802A (ja) ゴルフクラブのためのグリップ
US11931637B2 (en) Sports training aid
US6767293B2 (en) Golf club putter and method of putting
US9333408B1 (en) Golf swing aid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200361934Y1 (ko) 연습용 골프클럽
US7104897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0693883B1 (ko) 연습용 골프클럽
US7150685B1 (en) Golf club
US20050197201A1 (en) Rotating and axially moving putter grip
US6780118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20080101308A (ko) 탄성 변형 구조 그립을 가지는 골프 클럽
KR200314223Y1 (ko) 골프의 퍼팅 및 스윙 연습용 골프채
KR20100061950A (ko) 연습용 골프클럽
US20120100928A1 (en) Performance Putter Systems
KR101079611B1 (ko) 골프 퍼터
JP2006223395A (ja) ゴルフクラブ
WO2007013716A1 (en) Grip of golf club
JP2004313776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20080004081U (ko) 골프클럽의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