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081U - 골프클럽의 그립 - Google Patents

골프클럽의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081U
KR20080004081U KR2020070004548U KR20070004548U KR20080004081U KR 20080004081 U KR20080004081 U KR 20080004081U KR 2020070004548 U KR2020070004548 U KR 2020070004548U KR 20070004548 U KR20070004548 U KR 20070004548U KR 20080004081 U KR20080004081 U KR 200800040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olf club
center
protrusion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한석
Original Assignee
서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석 filed Critical 서한석
Priority to KR2020070004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081U/ko
Publication of KR20080004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0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2Handles contoured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user's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클럽의 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의 그립 내측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샤프트에 고정시 그립의 외측으로 돌기가 돌출되어 그립을 파지하는 손가락의 마디에 돌기가 각각 위치하게 되며 정확한 그립의 자세가 되고, 골프클럽을 스윙할 때와 임팩트시 그립을 파지한 손바닥 안에서 그립이 흔들리거나 틀어지며 골프클럽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그립자세를 유지하면서 헤드페이스 타점의 정확도와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그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골프클럽의 샤프트 후단부에 고정되는 그립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측면(31a)과 골퍼의 손과 접촉되는 외측면(31b)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면(31b)의 정중앙 선단과 후단에 중앙표시점(3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31); 상기 몸체(31)의 내측면(31a) 정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에 몸체(31)의 중단에서 후단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돌기(40); 및 상기 몸체(31)의 내측면(31a) 정중앙을 중심으로 하부에 몸체(31)의 선단에서 중단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제 2 돌기(41)를 포함하는 골프클럽의 그립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골프클럽의 그립은 그립을 파지하였을 때 몸체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돌기가 그립을 파지하는 양손의 손가락 마디에 각각 위치되어 정확한 그립의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골프클럽의 스윙과 임팩트시 그립을 파지한 손바닥에서 그립이 흔들리거나 틀어지며 골프클럽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 여 정확한 헤드페이스의 타점과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골프클럽, 샤프트, 그립, 돌기, 임팩트

Description

골프클럽의 그립{Grip of Golf Club}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클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제 1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제 2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을 왼손으로 파지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을 오른손으로 파지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을 양손으로 파지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그립 31: 몸체
31a: 내측면 31b: 외측면
32: 중앙표시점
40: 제 1 돌기 41: 제 2 돌기
본 고안은 골프클럽의 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의 그립 내측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샤프트에 고정시 그립의 외측으로 돌기가 돌출되어 그립을 파지하는 손가락의 마디에 돌기가 각각 위치하게 되며 정확한 그립의 자세가 되고, 골프클럽을 스윙할 때와 임팩트시 그립을 파지한 손바닥 안에서 그립이 흔들리거나 틀어지며 골프클럽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그립자세를 유지하면서 헤드 페이스 타점의 정확도와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클럽의 그립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사람들의 많은 관심 속에 몸의 균형과 하체의 지지력, 상체의 강인성을 높여주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정서를 높여주는 대중적인 운동의 하나로 골프를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다.
이러한 골프는 주지하다시피, 미리 정해놓은 홀컵에 얼마나 적은 타수로 골프공을 집어넣느냐에 따라 그 순위를 정하는 경기로써, 드라이브 샷, 아이언 샷, 벙커 샷, 어프로치 샷, 퍼팅 등 다양한 골프클럽을 가지고 다양한 샷을 병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다 적은 타수로 정확하게 홀컵에 넣기 위하여 동일한 스윙에 대하여 샤프트에 대한 헤드의 경사각(로프트), 탄도에 따라 비거리가 다르게 나타나도록 한 우드 또는 아이언과, 그린의 가까운 거리에서 플레이할 때는 웨지, 그린에서 최종적으로 공을 굴려서 홀컵에 공을 넣는 퍼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골프클럽이 사용된다.
즉, 우드는 재질적인 특성에 따라 탄도를 적게 한 대신 로프트가 거의 없어 볼이 직진성을 가지고 멀리 날아가게 되어 있으며, 아이언은 철재로 되며 탄도가 크고 로프트 각이 커 볼이 뜨면서 가깝게 날아가게 되어 있는 것으로, 골프공을 멀리 보낼 때에는 우드를 사용하고 정확한 거리로 골프공을 보낼 때에는 아이언을 활용하게 되며, 따라서 골퍼는 장애물들을 잘 피해 비거리를 계산하여 선택적으로 골프클럽을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골프경기에 있어 남은 거리 및 지형에 따라 골프클럽을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을 타격할 때의 긴 비거리와 헤드페이스의 타점의 정확한 방향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점의 정확도와 비거리의 향상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스윙자세라 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스윙자세는 골퍼가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는 순간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골프클럽의 그립은 일반적으로 샤프트의 후단부에 가죽이나 합성고무의 재질로 된 그립을 고정하여 손으로 파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골퍼가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는 방법에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손바닥 면이 그립과 접촉되는 부분이 적은 상태가 되어 거의 양손의 손가락으로 그립을 쥐는 형태인 오버랩핑 그립(over wrapping grip)과 오른손 새끼 손가락을 왼손의 인지와 중지 사이에 끼우는 형태인 인터락킹 그립(interlocking grip), 양손의 손가락과 손바닥이 그립과 거의 모두 접촉되는 베이스볼 그립(baseball grip)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골퍼가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을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0)의 후단부에 고정된 그립(110)의 중앙 선단부와 후단부에 표시된 중앙표시점을 기준으로 잡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그립방법은 골프클럽의 그립(110)을 파지시 손가락의 마디와 그립(1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그립(110)을 파지한 상태에서 골프클럽을 백스윙시 양손과 그립(110)이 흔들리거나 서로 틀어지며 골프클럽이 회전되어 골퍼가 원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공이 날아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헤드페이스 타점의 정확도와 비거리의 향상에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골퍼의 스윙자세와 함께 타격시 정확한 임팩트라 할 수 있는데, 이때 골프클럽의 샤프트는 스윙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공에 최대한 전달하며 공과의 임팩트시 일어나는 타구감을 골퍼에게 전달해준다. 골퍼의 백스윙에서 다운스윙까지 골프클럽의 샤프트는 엄청난 스트레스와 움직임을 보인다. 임팩트 바로 직전 엄청난 다운스윙의 가속도로 하여금 헤드(120)가 샤프트(100)를 앞서게 되고, 임팩트 순간 헤드(120)는 엄청난 충돌에 의해 뒤로 물러나며 샤프트(100)는 물결치듯 앞뒤로 휘어지는 현상이 몇 번 반복되다 스윙이 끝나면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샤프트의 타구감은 그립을 통해 골퍼의 손에 전해지는 데 이때, 종래의 그립은 상기와 같이 샤프트에 전해지는 힘을 견디지 못하고 그립과 그립을 파지한 손바닥이 틀어지며 골프클럽이 골퍼도 모르게 회전되어 임팩트시 헤드페이스의 타점과 방향이 정확하게 맞지 않아 공이 다른 방향으로 날아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윙과 임팩트시 그립과 손바닥이 흔들리거나 틀어지며 골퍼도 모르게 골프클럽이 회전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함으로써 골퍼는 정확한 그립의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따라서 매번 동일한 자세로 그립을 파지하여 스윙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오른손잡이일 경우 백스윙시 왼손이 그립을 파지한 상태로 임팩트시까지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때 오른손은 이러한 왼손의 파지상태를 안정된 자세로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 클럽의 그립은 상기와 같이 백스윙시 오른손이 정확한 그립의 파지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초보자의 경우 그립을 파지한 오른손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른손의 파지자세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골프 클럽을 스윙하면 임팩트시 오른손이 왼손의 안정된 파지 자세를 유지시켜 주지 못해 정확한 임팩트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프클럽의 그립 내측면 정중앙에서 일측으로 2개로 구분된 돌기를 형성하여 샤프트에 그립을 고정하였을 때 상기 돌기가 그립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골퍼가 그립을 파지시 왼손과 오른손의 손가락 마디에 돌기가 위치되어 정확한 그립의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스윙시와 임팩트시 그립과 손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헤드페이스의 정확한 타점과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클럽의 그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을 도시하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제 1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제 2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골프클럽의 샤프트 후단부에 고정되는 그립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측면(31a)과 골퍼의 손과 접촉되는 외측면(31b)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면(31b)의 정중앙 선단과 후단에 중앙표시점(3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31); 상기 몸체(31)의 내측면(31a)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에 중단부에서 후단부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돌기(40); 및 상기 몸체(31)의 내측면(31a) 중앙을 중심으로 하부에 선단부에서 중단부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제 2 돌기(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기(40)는 그립(30)의 단면상으로 몸체(31) 중앙 후단에 형성된 중앙표시점(32)과 몸체(31) 중심을 지나는 중심수직선(L)과, 상기 그립(30)의 몸체(31) 중심과 제 1 돌기(4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L1) 사이의 각도(θ)가 110°~130°위치되는 곳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40)는 그립(30)의 단면상으로 몸체(31) 중앙 후단에 형성된 중앙표시점(32)과 몸체(31) 중심을 지나는 중심 수직선(L)과, 상기 그립(30)의 몸체(31) 중심과 제 1 돌기(4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L1) 사이의 각도(θ)가 120°위치되는 곳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돌기(41)는 그립(30)의 단면상으로 몸체(31) 중앙 후단에 형성된 중앙표시점(32)과 몸체(31) 중심을 지나는 중심수직선(L)과, 상기 그립(30)의 몸체(31) 중심과 제 2 돌기(4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L1) 사이의 각도(θ)가 180°위치되는 곳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을 왼손으로 파지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을 오른손으로 파지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을 오른손 왼손의 양손으로 파지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클럽은 샤프트(100)와, 상기 샤프트(100)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헤드(120), 상기 샤프트(10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그립(11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30)은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측면(31a)과 골퍼의 손바닥과 접촉되는 외측면(31b)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면(31b)의 정중앙 선단과 후단에 중앙표시점(3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31); 상기 몸체(31)의 내측면(31a)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에 몸체(31)의 중단부에서 후단부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돌기(40); 및 몸 체(31)의 선단에서 중단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제 2 돌기(4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돌기(4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30)의 후단부 단면상으로 중심에서 우측에 형성하되, 상기 그립(30)의 몸체(31) 후단 중심에 형성된 중앙표지점(32)과 그립(30)의 몸체(31) 중심을 지나는 수직방향의 수직중심선(L)과, 그립(30)의 몸체(31) 중심과 돌기(4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L1) 사이의 각도(θ)가 120°, 즉 상기 중앙표시점(32)을 기준으로 4시 방향에 제 1 돌기(4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돌기(4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30)의 후단부 단면상으로 중심에 형성하되, 상기 그립(30)의 몸체(31) 후단 중심에 형성된 중앙표지점(32)과 그립(30)의 몸체(31) 중심을 지나는 수직방향의 수직중심선(L)과, 그립(30)의 몸체(31) 중심과 제 2 돌기(4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L1) 사이의 각도(θ)가 180°, 즉 상기 중앙표시점(32)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 제 2 돌기(4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그립(30)을 샤프트(100)의 후단부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그립(30)의 몸체(31) 내측면(31a)에 샤프트(100)의 후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도 6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30)의 내측면(31a)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 1 돌기(40) 및 제 2 돌기(41)는 상기 샤프트(100)에 의해 그립(30)의 몸체(31) 내측면(31a)에서 외측면(31b)으로 압축되어 밀리며 그립(30)의 몸체(31)에 구비된 제1 돌기(40) 및 제 2 돌기(41)가 위치한 부 분이 몸체의 외측면(21b)으로 돌출되는 제 1 돌기(40) 및 제 2 돌기(4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100)의 후단부에 고정된 그립(30)을 오버랩핑 그립의 그립방법으로 설명하면 골퍼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으로 그립(30)을 새끼 손가락 세 번째 마디와 검지의 중간 마디에 비스듬한 상태에서 새끼 손가락부터 약지, 중지 순으로 조이듯이 잡아간다.
또한, 골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으로 그립(30)을 새끼손가락 세번째 마디와 검지의 중간 마디에 비스듬히 새끼손가락부터 약지, 중지 순으로 조이며 잡는다.
이때, 스윙할 때 상기 그립(30)이 흔들리지 않도록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해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왼손의 새끼 손가락과 약지, 중지로 그립을 잡은 다음 마지막으로 엄지 손가락을 그립의 중심에서 편한 마음으로 오른쪽으로 약간 밀듯이 잡는다.
그리고, 오른손은 왼쪽 손바닥과 합치듯이 편하게 쥐되, 오른손 새끼 손가락을 왼손의 검지 위에 깊숙히 얹는다.
이때, 샤프트(100)에 의해 그립(30)의 제1 돌기(40)와 제 2 돌기(41)가 내측면(31a)에서 외측면(31b)으로 압축되어 밀리며 그립(30)의 외측면(31b)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 1 돌기(40)는 그립(30)의 몸체(31)를 파지하는 골퍼의 왼손 검지 손가락의 첫번째 마디와 중지, 약지의 두번째 마디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기(41)는 그립(30)이 몸체(31)를 파지하는 골퍼의 오른 손 검지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와 중지, 약지의 두 번째 마디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그립(30)의 몸체(31) 외측면(31b)으로 돌출된 제 1 돌기(40)가 그립(30)을 파지하는 골퍼의 왼손 손가락 마디에 각각 위치되며, 또한 그립(30)의 몸체(31) 외측면(31b)으로 돌출된 제 2 돌기(41)가 그립(30)을 파지하는 골퍼의 오른손 손가락 마디에 각각 위치되며, 그립(30)을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함으로써 정확한 그립(30)의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그립(30)의 제 1 돌기(40)는 그립(30)의 내측면(31a) 중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하고, 또한 그립(30)의 제 2 돌기(41)는 그립(30)의 내측면(31a) 선단부에서 중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하여, 왼손과 동시에 오른손의 손가락 마디에도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가 위치되게 실시하여 그립의 자세를 더욱 정확하게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백스윙시 왼손이 그립을 파지한 상태로 오른손은 이러한 왼손의 파지상태를 안정된 자세로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임팩트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골프클럽의 그립을 파지한 양손의 손가락 마디에 그립의 몸체 외측면으로 돌출된 돌기가 각각 위치됨으로써 스윙할 때나 골프헤드의 헤드페이스에 공이 임팩트시 손바닥에서 그립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그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오른손잡이의 그립(30)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왼손잡이일 경우에는 상기 그립(30)의 몸체(31) 내측면(31a)에 돌출형성된 제 1 돌기(40)는 그립(3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방향의 수직중심선(L)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제 2 돌기(41)는 오른손잡이의 경우와 같이, 그립(30)의 후단부 단면상으로 중심에 형성하되, 상기 그립(30)의 몸체(31) 후단 중심에 형성된 중앙표지점(32)과 그립(30)의 몸체(31) 중심을 지나는 수직방향의 수직중심선(L)과, 그립(30)의 몸체(31) 중심과 제 2 돌기(4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L1) 사이의 각도(θ)가 180°, 즉 상기 중앙표시점(32)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골프클럽의 그립은 그립을 파지하였을 때 몸체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돌기가 그립을 파지하는 양손의 손가락 마디에 각각 위치되어 정확한 그립의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립을 파지할 때 손바닥의 편안함과 안정감을 높여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골프클럽의 스윙과 임팩트시 그립을 파지한 손바닥에서 그립이 흔들리거나 틀어지며 골프클럽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헤드페이스의 타점과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골프클럽의 샤프트 후단부에 고정되는 그립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측면(31a)과 골퍼의 손과 접촉되는 외측면(31b)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면(31b)의 정중앙 선단과 후단에 중앙표시점(3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31);
    상기 몸체(31)의 내측면(31a)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에 중단부에서 후단부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돌기(40); 및
    상기 몸체(31)의 내측면(31a) 중앙을 중심으로 하부에 선단부에서 중단부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제 2 돌기(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그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41)는 그립(30)의 단면상으로 몸체(31) 중앙 후단에 형성된 중앙표시점(32)과 몸체 중심을 지나는 중심수직선(L)과, 상기 그립(30)의 몸체(31) 중심과 제 2 돌기(4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L1) 사이의 각도(θ)가 180°위치되는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그립.
KR2020070004548U 2007-03-20 2007-03-20 골프클럽의 그립 KR200800040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48U KR20080004081U (ko) 2007-03-20 2007-03-20 골프클럽의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48U KR20080004081U (ko) 2007-03-20 2007-03-20 골프클럽의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81U true KR20080004081U (ko) 2008-09-24

Family

ID=4132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548U KR20080004081U (ko) 2007-03-20 2007-03-20 골프클럽의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08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566B2 (en) Soft golf club head
US7331876B2 (en) Integrated putter system
US5377979A (en) Backspin reducing putter
JP2013530802A (ja) ゴルフクラブのためのグリップ
US8342979B2 (en) Removably attachable training aid
KR102094571B1 (ko) 골프 클럽
KR100907302B1 (ko) 골프클럽용 그립
US3263998A (en) Method of using a golf club
US20030157993A1 (en) Golf club putter and method of putting
US20090170621A1 (en) Golf grip training aid
US7833108B2 (en) Training head for golf training putter, and method of training
US5842930A (en) Flexi-grip golf club
KR200397962Y1 (ko) 골프클럽의 그립
KR200397928Y1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KR101686931B1 (ko) 골프 퍼터
KR20080004081U (ko) 골프클럽의 그립
US20090054171A1 (en) Golf-bat for centrifugal golf swing
KR20080098999A (ko) 골프클럽 그립
KR20090000467U (ko) 골프클럽용 그립
US20070123365A1 (en) Golf club grip
JP3244323U (ja) ハンドファースト練習クラブ
US20140329621A1 (en) Golf putting method
KR20230126424A (ko) 골프용 메트로놈
KR20080101308A (ko) 탄성 변형 구조 그립을 가지는 골프 클럽
KR200361934Y1 (ko) 연습용 골프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