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226A - 골프연습용배트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용배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226A
KR20150128226A KR1020140055263A KR20140055263A KR20150128226A KR 20150128226 A KR20150128226 A KR 20150128226A KR 1020140055263 A KR1020140055263 A KR 1020140055263A KR 20140055263 A KR20140055263 A KR 20140055263A KR 20150128226 A KR20150128226 A KR 2015012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swing
sound
bat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남
최인호
Original Assignee
김성남
최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남, 최인호 filed Critical 김성남
Priority to KR102014005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8226A/ko
Publication of KR2015012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으로 파지가능한 막대형상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 끝단에 일정한 무게감을 형성하면서 배트를 스윙시 일정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도록 연습배트를 형성하여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정확한 임팩트 타이밍을 충격음과 소리를 이용하여 연습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골프연습용 배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골프연습용 배트는 헤드부(20)의 측면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40)과; 상기 관통홀(40)에 끼워지고 이동관(32)이 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수용부재(30); 및 상기 수용부재(30)의 하방에 격벽(44)으로 구획되어 격벽(44)이 받은 충격음으로 울림이 이루어지는 울림공간부(34)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골프연습용배트{Golf swing training bat's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드라이버샷이나 아이언샷 등과 같은 골프 스윙연습을 위한 골프연습용 배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으로 파지가능한 막대형상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 끝단에 일정한 무게감을 형성하면서 배트를 스윙시 일정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도록 연습배트를 형성하여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정확한 임팩트 타이밍을 충격음과 소리를 이용하여 연습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골프연습용 배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는 드라이버, 아이언, 퍼터 등의 클럽으로 정지된 공을 타격하여 일정거리에 정해진 홀컵에 홀인 시키는 경기로서, 독특한 재미와 함께 그 운동효과 또한 뛰어나 최근 많은 사람이 즐기는 스포츠 종목이다.
이와 같은 골프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고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클럽을 통한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기초가 되는 것이 바른 스윙자세를 익히는 것이다.
이러한 골프 스윙의 바른 자세는 대체로 클럽을 양손으로 바르게 잡는 방법과 임팩트시 클럽페이스가 골프공과 직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클럽페이스가 공에 닿는 순간 가장 강하고 빠른 속도로 강력한 타격을 가하는 임팩트 타이밍조절 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며, 특히 골프공을 가장 멀리 날려보내야 하는 드라이버샷의 경우에는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이 무엇보다도 더욱 중요한 요소에 해당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드라이버샷 등의 골프 스윙 연습시 스윙자세는 연습자가 스스로 체득한 스윙습관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이를 바른 자세로 교정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일반적인 골프채를 사용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에는 골프채가 가벼워 억지로 팔에 힘을 주어 무게감을 형성하면서 스윙감을 익혀야하므로 스윙 자세를 교정하여 정확한 스윙자세를 유지하거나 부드러운 스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골프 배트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10707호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야구 배트 형태를 갖는 것으로, 다운 스윙시 임팩트 시점에서 강하고 빠르게 스윙이 이루어지게 되면, 헤드부에 형성된 관통홀에서 독특한 소리가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소리를 이용하여 임팩트 시점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 방식은 관통홀의 방향이 스윙 방향과 맞추어 스윙이 이루어지게 하지 않으면 소리가 나지 않는 문제와 함께 선단 헤드부에서 선단으로 하중이 집중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2482호에서는 골프 스윙 연습시 헤드부 전체에 하중이 분산되지 않고 하측으로 하중이 집중되도록 헤드부에 금속재질의 중량추를 일체로 내장하는 한편, 상기 헤드부의 내측 가운데 부분에 제1알림관과 제2알림관을 내장 설치하여 상기 제1알림관의 내부에 내장되어 위치이동 되는 제1알림 볼의 충돌음에 의해 백스윙 및 팔로우 스윙시 탑 및 피니쉬 시점의 타이밍과 위치를 가늠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2알림관의 내부에 내장되어 위치 이동되는 제2알림볼의 충돌음에 의해서는 임팩트 타이밍을 가늠하도록 하여 백스윙의 탑에서부터 임팩트 및 팔로우 스윙의 피니쉬 시점까지 사용자가 각 위치 및 타이밍을 가늠하면서 스윙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기술은 중량추를 설치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추를 관통하여 관통홀을 형성시키게 되어 제조과정이 쉽지 않고, 특히 관통홀의 방향을 맞추어 스윙이 이루어져야만 소리가 나게 되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75119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156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193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2482호
본 발명은 골프스윙연습시 헤드부 하부의 하중변형을 이루는 구조로 제작되어 스윙궤도에 따라 수용부재가 이동되면서 하중편차를 이루도록 하여 스윙궤도에 따른 스윙 연습시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 연습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방식에 의해 골프 배트를 제작하는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관통홀을 통하여 골프스윙연습시 소정의 피리소리가 형성되어 클럽페이스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골프그립이 씌워지고 하부에 헤드부를 형성하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골프연습배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측면에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고 이동관이 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하방에 격벽으로 구획되어 격벽이 받은 충격음으로 울림이 이루어지는 울림공간부를 포함하는 골프연습용배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수용부재는 내부의 공간부 중앙에 세워진 중심축에 파이프형태의 이동관이 승강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 상부를 밀봉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골프연습용배트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재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이동관은 상기 골프연습배트의 선회하는 각도에 따라 점차 이동관의 이동이 시작되며,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위치에서는 이동관이 울림공간부의 상부에 배치된 격벽과 부딪침으로 소리가 울리도록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울림공간부는 전체가 사각 또는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아치형상의 아치형관통공이 형성된 골프연습용배트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버샷이나 아이언샷과 같은 골프클럽을 잡고 스윙하는 동작과 같이 연습배트를 통하여 스윙연습을 이룸으로써 연습배트의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수용부재가 임팩트하는 지점에서 수용부재가 완전히 하향이동을 이룸과 동시에 임팩트 시점에서 인지될 수 있는 최대의 소리를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임팩트 시점임을 인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습자는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양호하고 안전하게 배트의 헤드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용부재가 정확한 임팩트 시점에서 소리가 날 수 있도록 하여 스윙의 임팩트를 파악하면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습배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습배트의 종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부재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부재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배트가 백스윙의 탑에서 임팩트 및 팔로우스윙의 피니쉬시점까지 위치이동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배트가 백스윙의 탑에서 임팩트 및 팔로우스윙의 피니쉬시점까지 스윙되는 상태에서 수용부재의 위치이동을 나타낸 헤드부의 단면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에 의해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는 여러 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본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습배트를 전체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습배트를 종 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부재를 요부 분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부재를 요부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연습배트(100)는 일정길이 갖는 샤프트(10)의 선단에 헤드부(20)를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10)에는 골프그립(12)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헤드부(20)에는 골프연습배트(100)의 스윙위치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관(32)을 내장한 수용부재(30)가 헤드부(20) 측면에서 관통되는 관통홀(4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재(30)는 하부에 소리울림이 이루어지는 울림공간부(34)와, 상부에는 공간부(38)에 세워진 중심축(36)과, 그리고 중심축(36)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관(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울림공간부(34)는 전체가 사각 또는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재(30)의 하단부에 폐쇄된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38)와 격벽(44)으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44)은 얇은 판 상으로 이루어지고 공간부(38)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울림공간부(34)로 전달하는 것이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공간부(38)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중심축(36)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이동관(3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관(32)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축(36)의 직경보다 넓은 내경을 가지고 있어서 중심축(36)에 결합한 상태로 장애가 없이 이동 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중심축(36)의 상부는 수용부재(30)의 상부를 덮는 마개(46)의 중심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골프스윙 연습시 정확한 스윙 궤적과 임팩트 시점을 확인하면서 효과적인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중심축(36)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관(32)은 금속형태가 바람직하고 골프배트(10)의 헤드부(20)에는 스윙시 소리가 나게 하는 관통홀(40)을 형성하여 수용부재(30)를 삽입하여줌으로써 안전한 스윙동작에 따라 수용부재(30)가 자중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지면서 격벽(44)을 타격하면 울림공간부(34)에서는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헤드부(20)에는 내부적으로 무게를 주어 하중이 하부로 쏠리게 하는 수용부재(30)를 끼우고 상기 수용부재(30)의 내측에서 이동관(32)이 중심축(36)에 안내되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어 골프연습배트(100)의 스윙이 이루어지면서 원심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하는 것으로 이동관(32)이 왕복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부(20) 내부에 수용부재(30)를 일정 길이로 잘라서 무게를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헤드부(20)의 내측으로 수용부재(30)를 끼워 헤드부(12)의 무게가 하측을 향하므로, 스윙동작이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헤드부(20)에는 상기 수용부재(30)의 하부에 아치형 관통공(50)이 마련되어 방향성을 갖고 스윙을 하면 아치형 관통공(50)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샤프트(10)의 상측에 끼워지는 골프그립(12)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기존 방식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아치형 관통공(50)과 상기 수용부재(30)는 방식에 관계가 없는 스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골프연습배트(100)를 이용하여 골프스윙동작, 예컨대 풀스윙, 쓰리쿼터스윙, 하프스윙, 퀴터스윙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동작구간에 따라 헤드부(20)에 실장되어 있는 수용부재(30)의 이동관(32)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로 인해서 소리도 상이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골프연습배트(100)의 헤드부(22)에는 먼저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홍(40)에 수용부재(30)가 끼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수용부재(30)에는 중심축(36)을 따라 이동관(32)이 이동하는 통로를 확보하는 동시에 헤드부(20)에 무게를 주어 부하가 헤드부(20)의 선단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재(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각 또는 원통형 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헤드부(20)의 측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40)에 수용부재(30)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중심축(36)에 결속되어 이동가능한 이동관(32)이 수용부재(30)의 공간부(38)에서 이동하면서 격벽(44)에 일시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관(32)이 격벽(44)에 부딪힐 때 울림공간부(34)에서는 외부로 울림이 일어남과 동시에 고유의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관(32)은 중심축(36)에 결속되어 이동되므로 골프연습배트(100)의 방향에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스윙 연습을 하게 되면 울림공간부(34)에서 임팩트시점에서 소리를 내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골프연습배트(100)를 이용한 통상적인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골프 스윙연습시 상기 골프그립(12)를 잡고 백스윙 연습을 하게 되면, 골프연습배트(100)의 선회하는 각도에 따라 점차 이동관(32)의 이동이 시작되며,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위치에서는 이동관(32)이 울림공간부(34)의 상부에 배치된 격벽(44)을 부딪히어 울리게 함으로써 연습자에게 임팩트 순간임을 인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즉, 어드레스(Address)-백스윙(Back Swing)-톱스윙(Top of Swing)-다운스윙(Down Swing)-임팩트(Impact) 이전까지 연습자에게 전달되는 골프연습배트(10)의 헤드부(20) 하부 무게감 전달은 골프공이 위치한 임팩트 이전까지 골프공을 주시하는 연습자의 시선이 이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먼저 얼굴을 돌리게 되어 자세가 흐트러지는 불안정한 자세를 교정받을 수 있는 훈련이 된다.
상기와 같이 헤드부(20) 내에서 스윙 각도에 따라 유동되는 이동관(32)은 도 6에서와 같이 격한 임팩트 위치가 될 때 하강하면서 격벽(44)과 부딪치고 울림공간부(34)에서 소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리를 통한 임팩트 위치를 인지시키면서 연습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골프스윙의 임팩트 시점은 공이 놓여져 있다고 생각되는 지점을 지나는 순간이 최상이라고 알려져 있는 관계로, 본 발명의 골프연습배트(100)를 이용하여 스윙 연습을 할 때 이동관(32)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격벽(44)과 부딪치게 되는 시점을 임팩트 시점에 맞추어 연습을 하면 최상의 임팩트 시점을 확인하며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연습배트(100)는 중심축(36)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운동을 할 수 있는 이동관(32)이 하강하면서 격벽(44)에 부딪히면서 울림공간부(34)를 통하여 소리를 발생하여, 정확한 임팩트 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스윙 연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골프연습배트(100)의 하방에 아치형 관통공(50)을 형성하여 스윙시 아치형 관통공(50)에 의해 소리를 내게 되어 청각적으로 임팩트 시점의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아치형 관통공(50)은 일 방향이 관통되는 아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골프연습배트(100)의 방향성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스윙을 하여도 소리를 낼 수 있다.
10; 샤프트 12; 골프그립
20; 헤드부 30; 수용부재
32; 이동관 34; 울림공간부
36; 축심축 38; 공간부
40; 관통홀 50; 아치형관통공
100; 골프연습매트

Claims (5)

  1. 상부에 골프그립(12)이 씌워지고 하부에 헤드부(20)를 형성하는 샤프트(11)로 이루어진 골프연습배트(100)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의 측면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40)과;
    상기 관통홀(40)에 끼워지고 이동관(32)이 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수용부재(30); 및
    상기 수용부재(30)의 하방에 격벽(44)으로 구획되어 격벽(44)이 받은 충격음으로 울림이 이루어지는 울림공간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배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3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38) 중앙에 세워진 중심축(36)에 파이프형태의 이동관(32)이 승강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38) 상부를 밀봉하는 마개(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배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30)의 공간부(38)에 설치되는 이동관(32)은 상기 골프연습배트(100)의 선회하는 각도에 따라 점차 이동관(32)의 이동이 시작되며,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위치에서는 이동관(32)이 울림공간부(34)의 상부에 배치된 격벽(44)을 부딪침으로 소리가 울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배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공간부(34)는 전체가 사각 또는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배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는 아치형상의 아치형관통공(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배트.
KR1020140055263A 2014-05-09 2014-05-09 골프연습용배트 KR20150128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263A KR20150128226A (ko) 2014-05-09 2014-05-09 골프연습용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263A KR20150128226A (ko) 2014-05-09 2014-05-09 골프연습용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226A true KR20150128226A (ko) 2015-11-18

Family

ID=5483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263A KR20150128226A (ko) 2014-05-09 2014-05-09 골프연습용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82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293A (ko) 2019-05-16 2020-11-25 양진영 타격 타이밍 연습장치
CN113703036A (zh) * 2021-08-31 2021-11-26 宁波瑞能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用于声学相控阵测地下管道位置的管道发声装置及方法
CN113703036B (zh) * 2021-08-31 2024-05-28 宁波瑞能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用于声学相控阵测地下管道位置的管道发声装置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293A (ko) 2019-05-16 2020-11-25 양진영 타격 타이밍 연습장치
CN113703036A (zh) * 2021-08-31 2021-11-26 宁波瑞能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用于声学相控阵测地下管道位置的管道发声装置及方法
CN113703036B (zh) * 2021-08-31 2024-05-28 宁波瑞能环境能源技术有限公司 用于声学相控阵测地下管道位置的管道发声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1404B2 (en) Golf practice bat having additional built-in weight for adjusting top, impact and finish timing
US6860817B2 (en) Golf club
KR101513473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9687718B1 (en) Swing speed trainer
US20070004532A1 (en) Head assembly of golf club
EP3407982B1 (en) Sports training aid
KR102284739B1 (ko)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WO2013130874A1 (e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200472276Y1 (ko)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KR102504994B1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US20080242436A1 (en) Move Power System For Golf
KR20150128226A (ko) 골프연습용배트
KR10080223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US10709952B2 (en) Tennis stroke practice device
KR102159878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JP2022076033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100907143B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US6712720B2 (en) Method for practicing golf shots
KR20090005941A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432280Y1 (ko) 골프용 스윙 연습장치
KR102458865B1 (ko) 골프 스윙연습기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KR101605732B1 (ko) 골프연습용 배트 소리장치
US20090227387A1 (en) Practice putter with pointed striking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