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878B1 - 골프 스윙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878B1
KR102159878B1 KR1020190018680A KR20190018680A KR102159878B1 KR 102159878 B1 KR102159878 B1 KR 102159878B1 KR 1020190018680 A KR1020190018680 A KR 1020190018680A KR 20190018680 A KR20190018680 A KR 20190018680A KR 102159878 B1 KR102159878 B1 KR 10215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ollision member
moving passage
colli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420A (ko
Inventor
유준호
Original Assignee
유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준호 filed Critical 유준호
Priority to KR102019001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8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그립부, 이동 통로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사용자의 백스윙에 따라 이동 통로의 샤프트 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는 충돌 부재, 및 이동 통로의 타단에 설치되어 충돌 부재와의 충돌시 충격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음 발생 부재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 장치{APPARATUS FOR TRAINING GOLF SWING}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퍼터 등의 클럽으로 정지된 공을 타격하여 일정 거리에 정해진 홀컵에 홀인시키는 경기로서, 독특한 재미와 함께 그 운동 효과 또한 뛰어나 최근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스포츠 종목이다.
이와 같은 골프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고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클럽을 통한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기초가 되는 것이 바른 스윙 자세를 익히는 것이다.
이러한 골프 스윙의 바른 자세는 대체로 클럽의 그립을 잡는 방법, 클럽 페이스의 정렬, 스윙 궤적 및 리듬과 템포, 그리고 공의 임팩트시의 타이밍 조절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이를 위한 골프 스윙 연습시 스윙 자세는 연습자가 스스로 체득한 스윙 습관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이를 바른 자세로 교정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473호 (2015. 04. 20. 공고)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골프 백스윙의 리듬과 템포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그립부, 이동 통로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사용자의 백스윙에 따라 이동 통로의 샤프트 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는 충돌 부재, 및 이동 통로의 타단에 설치되어 충돌 부재와의 충돌시 충격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음 발생 부재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제공된다.
이동 통로는 기둥 형상을 갖고, 충돌 부재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 통로와 접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돌 부재에는 이동 통로 내에서 충돌 부재의 이동시 공기 유동을 위한 공기 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동로는 충돌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통로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충돌 부재의 외주면에는 이동 통로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평면이 형성되고, 공기 유동로는 충돌 부재의 평면과 이동 통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이동 통로에 마련되어 충돌 부재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조절부는, 이동 통로의 일단에 마련되어 이동 통로의 일단에서의 충돌 부재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충돌 부재의 외주면과 이동 통로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동 통로 내에서 충돌 부재의 이동시 공기 유동을 위한 공기 유동로가 형성되고, 속도 조절부는, 이동 통로 일단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이동 통로의 일단에서 공기 유동로를 좁히는 통로 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조절부는, 충돌 부재의 이동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이동 통로의 일단에 마련되는 마찰력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돌 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속도 조절부는, 이동 통로의 일단에 배치되어 충돌 부재에 인력을 제공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리를 듣고 다운 스윙으로 시작하도록 하여 충분한 백스윙을 유도하고 성급한 다운 스윙을 억제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골프 백스윙과 다운 스윙의 리듬과 템포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그립부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그립부 내부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이용한 백스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이용한 백스윙 과정 중 충돌 부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속도 조절부의 각 변형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하여 실제 클럽을 모사하여 제작된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로서, 샤프트(110), 헤드부(120), 그립부(130), 관 부재(132), 이동 통로(134), 관통홀(136), 충돌 부재(140), 돌기(142), 충격음 발생 부재(150), 공기 유동로(160), 속도 조절부(통로 감소보(172), 마찰력 보강부(174), 마그넷(176)), 및 댐퍼(18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돌 부재(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백스윙의 정점(top)을 효과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골프 백스윙의 리듬과 템포를 효과적으로 습득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돌 부재(140)는 그립부(130) 내의 이동 통로(13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백스윙에 따라 샤프트(110)의 포지션이 백스윙 정점에 근접하는 경우 충격음 발생 부재(150)와 충돌을 일으켜 사용자에게 충격음과 함께 진동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백스윙의 탑 포지션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자신에게 최적화된 백스윙의 리듬과 템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샤프트(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10)는 탄성을 갖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샤프트(11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다운 스윙시 사용자에게 헤드부(120)의 무게가 느껴지도록 보다 부드러운 스윙 리듬과 템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헤드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무게를 갖는 중량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윙 연습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헤드부(120)는 실제 골프 클럽에 비해 무겁게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20)는 실제 골프 클럽의 헤드 무게에 비해 수배 이상의 큰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헤드부(120) 내에는 무게추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무게추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석에 부착되어 있다. 다운 스윙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무게추는 자석으로부터 분리되었다가 다시 부착되면서 충격음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충격음에 의해 사용자는 다운 스윙시 올바른 임팩트 타이밍을 연습할 수 있게 된다.
그립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스윙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는 부분으로서, 샤프트(11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립부(130)의 표면은 고무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스윙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립부(1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부재(1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이동 통로(1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립부(130)의 단부에는 이러한 이동 통로(134)와 연결되어 이동 통로(134)의 내외부 간 공기를 유동시키는 관통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립부(1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로(134)를 형성하는 중공형의 관 부재(132)가 설치될 수 있다. 관 부재(132)는 금속, 예를 들어 스틸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관 부재(132)에 의해 구획되는 이동 통로(1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횡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로(134)는 직경이 일정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립부(130) 내의 관 부재(132)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110)는 이를 위해 관 부재(132)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단부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110) 단부, 즉 이동 통로(134)의 일단에는 충돌 부재(140)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 에너지가 감쇄되도록 고무 등 재질의 댐퍼(180)가 설치될 수 있다.
충돌 부재(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로(134)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충돌 부재(140)는 사용자의 백스윙에 의해 그립부(130)의 포지션(지상에 대한 각도)이 변경에 따라 이동 통로(134)의 샤프트(110) 측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충돌 부재(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일부가 이동 통로(134)와 접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충돌 부재(140)의 외주면 일측에는 공기 유동로(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부재(140)에 공기 유동로(160)가 형성됨으로써 충돌 부재(140)의 이동시 이를 기준으로 한 이동 통로(134) 양측 간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충돌 부재(140)가 공기 저항 없이 이동 통로(134) 내에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부재(140)의 외주면에는 이동 통로(134)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평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기 유동로(160)는 충돌 부재(140)의 평면과 이동 통로(134)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충돌 부재(140)의 샤프트(110) 측 일단에는 충돌 부재(140)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부재(140)의 단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돌기(142)를 형성함으로써 충돌 부재(140)와 댐퍼(180)의 충돌시 댐퍼(180)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충돌 부재(140)의 외주면 일부가 관 부재(132)의 내주면에 접하는 경우를 일 예로서 제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충돌 부재(140)가 완전한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충돌 부재(140)의 외주면 전체가 이동 통로(134)의 내주면에 접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충동 부재의 이동을 위해서는 충돌 부재(140)를 관통하도록 공기 유동로(160)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충격음 발생 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로(134)의 타단에 설치되어 충돌 부재(140)와의 충돌시 충격음과 함께 진동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백스윙에 따라 헤드부(120)가 점차 상측을 향하게 되면, 충돌 부재(140)는 자중에 의해 관 부재(132)의 이동 통로(134)를 따라 그립부(130)의 단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결국에는 이동 통로(134) 타단의 충격음 발생 부재(150)와 충돌을 일으키게 된다.
충돌 부재(140)와 충격음 발생 부재(150)는 충격음과 진동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양자 모두 리지드한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충돌 부재(140)의 위치 에너지는 충격음과 진동 에너지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다운 스윙의 시작 시점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충격음 발생 부재(150)는 판형 부재로 이루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충격음 발생 부재(150)는 링 타입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 그립부(130)의 관통홀(136) 위치와 대응되는 공기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백스윙에 따른 충돌 부재(140)의 이동 메커니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도 4(a)와 같은 어드레스 상태에서 도 5(1)과 같이 그립부(130) 내 충돌 부재(140)는 관 부재(132) 하단의 댐퍼(180) 상에 유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백스윙을 시작하여 도 4(b)와 도 4(c) 상태를 지나면서 헤드부(120)가 상측을 향하여 샤프트(110)가 직립 상태에 이를 수 있으며 이 경우 충돌 부재(140)는 도 5(2)와 같이 이동 통로(134)의 샤프트(110) 측 일단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후 도 5(2)와 같은 샤프트(110) 직립 상태 이후 도 4(d)와 도 4(e)의 상태에 이르기까지 충돌 부재(140)는 이동 통로(134) 내에서 계속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로(134)의 타단에 마련된 충격음 발생 부재(150)와 충돌하여 충격음과 함께 진동 에너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다운 스윙의 시작 시점을 알려주게 된다.
이 경우, 이동 통로(134)의 일단에는 속도 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속도 조절부이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속도 조절부에 의해 충돌 부재(140)는 이동 통로(134)의 일단에서 슬라이딩 이동 동작의 스타트가 지연되거나 이동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충돌 부재(140)는 슬라이딩 이동의 시작 지점에서 자중에 의한 위치 에너지를 최대치로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4(b)의 상태 이후부터는 그립부(130) 내 이동 통로(134)에 하향 경사가 형성되어 자중에 의한 충돌 부재(140)의 이동이 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도 4(e)와 같이 백스윙의 정점에 이르기 전에 충돌 부재(140)가 충격음 발생 부재(150)까지 도달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속도 조절부에 의해 충돌 부재(140)의 초기 이동 시점 및/또는 속도를 지연시켜 샤프트(110)가 도 4(c) 또는 도 5(2)와 같은 직립 상태에 이르기 전에는 충돌 부재(140)가 슬라이딩 이동을 시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부재(140)는 위치 에너지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후 도 4(d)와 도 4(e)의 상태에서 이동 통로(134)에 경사가 형성되어 이동 저항이 발생함에도 도 5(e)와 같은 백스윙의 정점까지 슬라이딩 이동이 지속되어 최적의 위치에서 충격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충돌 부재(140)의 속도 조절을 위한 속도 조절부의 각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로(160)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충돌 부재(140)의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돌 부재(140)의 외주면과 이동 통로(134)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동 통로(134) 내에서 충돌 부재(140)의 이동시 공기 유동을 위한 공기 유동로(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통로 감소보(172)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로(134) 일단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이동 통로(134)의 일단에서 공기 유동로(160)를 좁힐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부재(132)의 일단에서 외주면의 일부를 내측으로 압입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충돌 부재(140)와 이동 통로(134)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로(160)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유동 저항이 증가되어 충돌 부재(140)의 일단에서의 이동 시작 시점 및/또는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 보강부(174)는 충돌 부재(140)의 이동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이동 통로(134)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이동 통로(134) 일단의 내주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돌 부재(140)의 이동 시작 시점 및/또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176)은 이동 통로(134)의 일단에 배치되어 충돌 부재(140)에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충돌 부재(140)의 일면은 금속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샤프트(110) 단부, 구체적으로는 샤프트(110)와 댐퍼(180) 사이에 마그넷(176)을 설치함으로써 충돌 부재(140)의 이동 시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176)의 자력은 충돌 부재(140)와 이동 통로(134) 간 작용하는 마찰력과 충돌 부재(140)의 최대 위치 에너지의 합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골프 스윙 연습 장치
110: 샤프트
120: 헤드부
130: 그립부
132: 관 부재
134: 이동 통로
136: 관통홀
140: 충돌 부재
142: 돌기
150: 충격음 발생 부재
160: 공기 유동로
172: 통로 감소부
174: 마찰력 보강부
176: 마그넷
180: 댐퍼

Claims (10)

  1.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이동 통로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사용자의 백스윙에 따라 상기 이동 통로의 상기 샤프트에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는 충돌 부재; 및
    상기 이동 통로의 타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백스윙에 따라 상기 이동 통로의 타단으로 이동한 상기 충돌 부재와의 충돌시 충격음을 발생시키는 충격음 발생 부재; 및
    상기 이동 통로에 마련되어 상기 충돌 부재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 조절부는,
    상기 이동 통로 내에서 상기 샤프트와 인접한 일단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백스윙 시작 이후 상기 헤드부가 상측을 향하는 상기 샤프트 직립 상태에 이르기 이전에, 상기 충돌 부재가 상기 이동 통로의 일단에서 상기 충격음 발생 부재 측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이동 통로는 직경이 일정한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충돌 부재는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이동 통로와 접하고 직경이 일정한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충돌 부재에는 상기 이동 통로 내에서 상기 충돌 부재의 이동시 공기 유동을 위한 공기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충돌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동 통로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로는 상기 충돌 부재의 평면과 상기 이동 통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 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내외부 간 공기를 유동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음 발생 부재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링 타입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그립부의 관통홀 위치와 대응되는 공기 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속도 조절부는,
    상기 이동 통로 일단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통로의 일단에서 상기 공기 유동로를 좁히는 통로 감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 감소부는 상기 이동 통로 일단의 일부를 내측으로 압입하여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충돌 부재와 상기 이동 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 유동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상기 통로 감소부에 의한 상기 공기 유동로의 단면적 감소에 따라, 상기 충돌 부재가 상기 이동 통로의 일단에서 상기 충격음 발생 부재 측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이동 통로의 일단에는 상기 충돌 부재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 에너지가 감쇄되도록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충돌 부재의 상기 샤프트 측 일단에는 상기 충돌 부재 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충돌 부재와 상기 댐퍼의 충돌시 상기 댐퍼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8680A 2019-02-18 2019-02-18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215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80A KR102159878B1 (ko) 2019-02-18 2019-02-18 골프 스윙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80A KR102159878B1 (ko) 2019-02-18 2019-02-18 골프 스윙 연습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239A Division KR20200110732A (ko) 2020-09-18 2020-09-18 골프 스윙 연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20A KR20200100420A (ko) 2020-08-26
KR102159878B1 true KR102159878B1 (ko) 2020-09-24

Family

ID=7229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680A KR102159878B1 (ko) 2019-02-18 2019-02-18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558A (ko) 2022-01-25 2023-08-01 최승원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74U (ja) * 1992-10-06 1994-04-26 洋一 大塚 野球、ゴルフ、テニス等の球技用スイング練習具
US7115043B2 (en) * 2003-05-22 2006-10-03 Swing King, Llc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1513473B1 (ko) 2013-04-30 2015-04-20 주식회사 베스컨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8814714B1 (en) * 2014-03-20 2014-08-26 Gabriel Hjertstedt Swing train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558A (ko) 2022-01-25 2023-08-01 최승원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20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7635B1 (en) Swing speed trainer
US7618328B2 (en) Golf swing trainer
US8187124B2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US8348779B2 (en) 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US9687718B1 (en) Swing speed trainer
US20070004532A1 (en) Head assembly of golf club
KR102159878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JP2023549326A (ja) ゴルフスイング演習装置
KR102504994B1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JP2020081853A (ja) 練習用バット
JP7126295B2 (ja) 教育用ゴルフクラブ
KR20200110732A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JP4293868B2 (ja) 素振り用練習器
JP2022076033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100910724B1 (ko)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20190013090A (ko)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2458865B1 (ko) 골프 스윙연습기
KR20090005941A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JP3198188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JP2023028037A (ja) 練習用ゴルフクラブ
JP6573209B1 (ja) 練習用バット
KR102460431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150128226A (ko) 골프연습용배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