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724B1 -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724B1
KR100910724B1 KR1020070089806A KR20070089806A KR100910724B1 KR 100910724 B1 KR100910724 B1 KR 100910724B1 KR 1020070089806 A KR1020070089806 A KR 1020070089806A KR 20070089806 A KR20070089806 A KR 20070089806A KR 100910724 B1 KR100910724 B1 KR 10091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quid material
golf club
golf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887A (ko
Inventor
박재섭
Original Assignee
박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섭 filed Critical 박재섭
Priority to KR102007008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724B1/ko
Priority to US12/312,591 priority patent/US20100184526A1/en
Priority to JP2009549508A priority patent/JP5001381B2/ja
Priority to EP07851592A priority patent/EP2114538A1/en
Priority to BRPI0721252-6A2A priority patent/BRPI0721252A2/pt
Priority to AU2007347500A priority patent/AU2007347500A1/en
Priority to PCT/KR2007/006624 priority patent/WO2008102946A1/en
Publication of KR2009002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8Normal golf clubs with directly attach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63B60/04Movable ballas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63B2053/0495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moving on impact, slidable, spring or otherwise elastically bi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과; 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와; 샤프트의 이동통로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액상물질;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실제 사용하는 골프클럽의 중량 및 무게중심과 차이가 거의 나지 않고, 골프클럽 외에 별도의 장비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어 연습용 골프클럽으로 직접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연습함으로써 연습 효율이 향상되며, 액상물질이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스윙 속도 및 중력, 원심력 등에 의해 이동하면서 음향,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이용하여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및 팔로우 스윙의 연습 및 스윙 효과가 향상된다.
골프, 클럽, 스윙, 속도, 이동

Description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THE GOLF CLUB USING LIQUID}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자세는 어드레스(adress)→백스윙(back swing)→백스윙의 탑→다운스윙(down swing)→임팩트(impact)→팔로스루(Follow through)→피니쉬(finish)로 세분된다.
특히, 드라이브샷 또는 티샷과 같이 골프공을 강하게 타격하여 먼 거리를 날려 보내려고 하는 경우 골프클럽을 어깨 너머로 백스윙한 다음 골프클럽을 강하게 회동시켜 골프공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골프공의 비거리는 골퍼가 골프체를 회동시키는 속도와 힘에 의해서도 좌우되지만 기본적으로는 백스윙의 거리에 따라 골프공의 비거리가 결정되므로 골프공을 멀리 날려 보내려고 하는 경우에는 백스윙의 자세와 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다운 스윙 및 임팩트 시에도 스윙의 속도가 중요하며, 팔로스루 시 정점에서 스윙을 멈추는 동작 등도 중요하다.
본 발명은 특별히 백스윙의 연습 효과를 향상시키며, 아울러,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스루 등에도 액상물질의 진동, 타격음 등을 이용하여 스윙 연습 효과를 향상시키고, 실제 스윙시에도 정확한 자세와 스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백스윙 자세 및 백스윙 속도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 골프장갑이나 손목고정대에 착용하여 슬라이딩볼의 타격음으로 백스윙시 골프클럽의 위상을 알리도록 한 '골프용 백스윙 위상 알림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3018호)가 안출되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장치는 골프장갑이나 손목고정대에 착용해야 해 슬라이딩볼의 이동 거리가 짧아 사실상 타격음을 통해서만 골프클럽의 위상을 확인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어깨를 축으로 하여 어깨로부터 손목까지의 거리에서 슬라이딩볼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반지름이 짧게 되어 슬라이딩볼의 이동이 부정확할 때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슬라이딩볼의 이동 거리가 짧아 골프 초보 연습자가 백스윙을 연습하기에 매우 힘든 것이다.
또한, 골프장갑이나 손목고정대를 준비하지 않았을 때는 백스윙을 연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저항판(70)이 설치되어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514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장치는 직접 골프공을 타격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실전 연습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또, 실제 경기할 때 사용하는 골프 클럽에서 느껴지는 중량감, 무게중심과 달라 실전 백스윙 시와 연습 백스윙 시 스윙 자세 및 속도가 달라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위와 같이 골프 클럽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실제 사용하는 골프클럽의 중량 및 무게중심과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골프클럽 외에 별도의 장비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어 본 발명의 골프클럽으로 직접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연습함으로써 연습 효율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또한, 골프클럽의 샤프트에서 이동하는 액상물질의 이동 거리가 길어 사용자는 타격음 뿐만 아니라 액상물질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출렁거림을 통해 잘못된 백스윙 자세 및 속도를 쉽게 교정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액상물질이 이동하면서 스윙 속도 및 샤프트의 기울기에 따라 액상물질이 이동통로 내에서 출렁거리는 현상을 이용하여 출렁거림에 따른 촉감을 극대화시키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과; 샤프트의 하부에 설 치되어 있고,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와; 샤프트의 이동통로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되, 탄성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축과 팽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액상물질;으로 구성된다.
또,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과; 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와; 샤프트의 이동통로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일측이 이동통로 일측 끝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샤프트의 기울어짐 및 사용자의 스윙에 따라 이동통로를 따라 수축 및 팽창하도록 되어 있는 액상물질;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실제 사용하는 골프클럽의 중량 및 무게중심과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이 제공된다.
또, 골프클럽 외에 별도의 장비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어 본 발명의 골프클럽으로 직접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연습함으로써 연습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액상물질이 이동하면서 스윙 속도 및 샤프트의 기울기에 따라 액상물질이 이동통로 내에서 출렁거리는 현상을 이용하여 출렁거림에 따른 촉감이 극대화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샤프트(1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프클럽의 샤프트(10)와 같은 재질 및 중량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전과 같은 연습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일반 샤프트(10)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두께가 일정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래로 내려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의 것도 있는데 이 두 경우 모두에 대하여 샤프트(10)의 이동통로(11)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통로(11)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체가 일정하게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샤프트(10)는 내부에 이동통로(11)만 형성한 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내부 이동통로(11)에서 이동하는 물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11)를 따라 벽면에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벽면에 홀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이동통로(11)를 따라 일측을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내부확인창을 설치함으로써 내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샤프트(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통로(11)는 후술하는 헤드(20)와 연결된 채 상,하단이 모두 막힌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이동통로(11) 내부를 이동하는 물체를 사용자가 쉽게 집어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샤프트(10) 상부에 마개를 설치해 마개를 통해 이동통로(11) 내부에 물체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그립(30)은 샤프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50)으로 잡도록 되어 있다.
그립(30)은 일반적으로 샤프트(10)에 설치하는 그립(30)처럼 공지되어 있는 것을 설치하여 구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헤드(20)는 샤프트(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60)을 타격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20) 역시 그립(30)과 마찬가지로 공지되어 있는 헤드(20)를 샤프트(10)의 하부에 고정시키면 된다.
헤드(20)가 샤프트(10)에 고정되는 방식은 종래의 방식처럼 헤드(20)에 샤프트(10) 하부를 끼우는 홈을 형성한 다음 샤프트(10)를 그 홈에 끼운 후 용접 또는 본딩 방법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역시 이러한 방법으로 헤드(20)를 샤프트(10) 하부에 고정시키면 된다.
물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샤프트(10)의 이동통로(11)를 이동하는 물체를 미리 집어 넣은 다음 본딩이나 용접을 통해 헤드(20)를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 이동통로(11) 내부에 삽입되는 물체의 크기를 변경시키거나 하나의 이동물체가 아닌 다수 개의 이동물체를 집어넣고자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헤드(20)와 샤프트(10)는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각각 나사산을 형성해 볼트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액상물질(40)은 샤프트(10)의 이동통로(11)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통로(1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액상물질(40)이 샤프트(10)의 이동통로(11)에 삽입된 상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중력에 의해 액상물질(40)이 샤프트(10)의 이동통로(11) 하단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데, 도 3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퍼의 스윙에 따라 이동통로(11) 내부에서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액상물질(40)의 특징은 위치에너지의 변화에 따라 파장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쉽게 표현하면 출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일정한 가속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경우에는 한번에 액상물질(40)이 밀려 이동하나 매질의 속도가 변하게 되면 파장이 발생하여 이동통로(11) 내벽면에는 철석거리는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동간에는 액상물질(40)이 이동통로(11) 내벽면과 부딪히면서 '철썩'하는 마찰음을 내게 되는데, 사용자의 스윙 속도에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면서 소리를 내지 않거나 거친 '철썩'하는 소리를 내게 되어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윙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샤프트(10)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며, 액상물질(40)은 샤프트(10)의 이동통로(11)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바람직한 백스윙 시 샤프트(10)가 지면과 평행한 면을 지날 때를 나타내었다.
즉, 지면과 수직인 면으로부터 샤프트(10)의 각도가 90도를 넘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정상적으로 천천히 백스윙을 하게 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상물질(40)이 이동통로(11)의 끝단에서 천천히 그립(3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이용해 바람직한 백스윙의 탑 자세를 도시한 것이다.
부드럽고 천천히 백스윙을 하게 되면 도 4에서 도 5의 위치에 도달하면서 액상물질(40)이 이동하면서 그립(30)측 이동통로(11) 끝단까지 이동해 '철썩' 하면서 부딪히는 소리를 내게 된다.
이때, 어드레스 자세에서부터 백스윙의 탑 자세에 도달할 때까지 부드럽고 천천히 동작을 취함으로 인해 액상물질(40)은 부드럽게 이동하게 되고, 이때는 특별한 출렁거림과 소음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즉, 이 과정은 샤프트(10)가 지면과 평행한 면을 지나면서 천천히 이루어지게 되며, 느린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액상물질(40)이 부드럽게 이동하면서 출렁거림과 소음이 최소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빠른 속도로 백스윙을 하게 되면 원심력 및 스윙 속도에 따른 출렁거림이 발생하게 되고, 액상물질(40)이 이동통로(11) 내벽면과 접촉과 떨어짐을 반복하면서 출렁거림과 '철썩' 하는 소음을 일으키면서 이동하게 되어 잘못된 백스윙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골퍼는 소리와 출렁거림을 통해 이러한 차이점을 인식하게 되어 느리면서 일정한 속도로 백스윙을 하는 법을 터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이용해 백스윙의 탑에서 바람직하게 빠른 속도로 다운스윙을 하게 되면 액상물질(40)은 원심력에 의해 샤프트(10)의 이동통로(11)의 헤드(20)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는 정상적인 스윙 시 액상물질(40)이 헤드(2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느리게 스윙할 경우 출렁거림이 강 해지게 된다.
임팩트를 지나 팔로스루가 된 후 피니쉬 때에는 액상물질(40)이 완전히 헤드(20) 쪽 이동통로(11) 끝단에 닿게 되면서 '철썩'하는 소리와 함께 액상물질(40)의 위치를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샤프트(10)에 홀을 형성하거나 내부확인창을 형성했을 경우 직접 연습을 하고 있는 골퍼는 물론 골퍼의 백스윙 동작을 체크하는 강사나 주변 사람들 까지도 잘못된 점을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연습의 효율이 좋아진다.
특히, 이처럼 내부확인창이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액상물질(40)을 야광 또는 발광부재로 형성할 경우 야간 연습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동통로(11)를 샤프트(10) 전체 길이에 해당되는 만큼 하나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로(11)의 중간 중간 칸막이(13)를 설치하고, 칸막이(13)에 의해 분할된 공간마다 하나씩의 액상물질(4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백스윙시 액상물질(40)의 이동거리가 짧아져 보다 쉽게 스윙 감을 찾을 수 있고, 임팩트 시 하나의 음이 아닌 여러 음을 들음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임팩트의 느낌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로(11)를 하나만 형성한 채 샤프트(10) 전체 길이에 비해 짧게 하여 상부나 하부 또는 중간 부분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액상물질(40)의 내부에 이동통로(11)의 내벽면과 부딪혀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충격음발생부재(41)를 한개 내지 다수 개 삽입하여 보다 음향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프 클럽은 비단 백스윙 연습시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필드 플레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이용해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이용해 바람직한 백스윙 시 중간 진행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이용해 바람직한 백스윙 시 백스윙의 탑에 이른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이용해 잘못된 백스윙 시 중간 진행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이용해 잘못된 백스윙 시 백스윙의 탑에 이른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을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에 칸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샤프트 11 : 이동통로
13 : 칸막이
20 : 헤드 30 : 그립
40 : 액상물질 50 : 손
60 : 골프공 70 : 공기저항판

Claims (2)

  1. 골프 클럽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통로(11)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50)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30)과;
    상기 샤프트(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60)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20)와;
    상기 샤프트(10)의 이동통로(11)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통로(11)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액상물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통로(11)는 칸막이(13)에 의해 다수 개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질(40) 내부에 이동통로(11)의 내벽면과 부딪혀 충격음을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음발생부재(41)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20070089806A 2007-02-24 2007-09-05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1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806A KR100910724B1 (ko) 2007-09-05 2007-09-05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US12/312,591 US20100184526A1 (en) 2007-02-24 2007-12-18 Golf club using moving ball
JP2009549508A JP5001381B2 (ja) 2007-02-24 2007-12-18 移動部材(ボール)が具備されたゴルフクラブ(thegolfclubusingmovingball)
EP07851592A EP2114538A1 (en) 2007-02-24 2007-12-18 The golf club using moving ball
BRPI0721252-6A2A BRPI0721252A2 (pt) 2007-02-24 2007-12-18 Taco de golfe utilizando bola móvel
AU2007347500A AU2007347500A1 (en) 2007-02-24 2007-12-18 The golf club using moving ball
PCT/KR2007/006624 WO2008102946A1 (en) 2007-02-24 2007-12-18 The golf club using moving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806A KR100910724B1 (ko) 2007-09-05 2007-09-05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887A KR20090024887A (ko) 2009-03-10
KR100910724B1 true KR100910724B1 (ko) 2009-08-05

Family

ID=4069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806A KR100910724B1 (ko) 2007-02-24 2007-09-05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7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521B1 (ko) * 2018-11-13 2020-01-28 채병곤 교육용 골프 클럽
KR20220013868A (ko) 2020-07-27 2022-02-04 최용수 골프 클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2279A (en) 1990-07-16 1992-01-21 Hull Harold L Liquid filled golf club
JPH07289670A (ja) * 1994-04-22 1995-11-07 Yoshio Uchino ゴルフクラブ
KR980000883U (ko) * 1996-06-14 1998-03-30 김영억 골프클럽
KR200376169Y1 (ko) * 2004-11-20 2005-03-09 정병하 연습용 골프클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2279A (en) 1990-07-16 1992-01-21 Hull Harold L Liquid filled golf club
JPH07289670A (ja) * 1994-04-22 1995-11-07 Yoshio Uchino ゴルフクラブ
KR980000883U (ko) * 1996-06-14 1998-03-30 김영억 골프클럽
KR200376169Y1 (ko) * 2004-11-20 2005-03-09 정병하 연습용 골프클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521B1 (ko) * 2018-11-13 2020-01-28 채병곤 교육용 골프 클럽
WO2020101184A1 (ko) * 2018-11-13 2020-05-22 채병곤 교육용 골프 클럽
JP2022508920A (ja) * 2018-11-13 2022-01-19 ゴン チャエ、ビョン 教育用ゴルフクラブ
US11291893B2 (en) 2018-11-13 2022-04-05 Byung Gon CHAE Educational golf club
JP7126295B2 (ja) 2018-11-13 2022-08-26 ゴン チャエ、ビョン 教育用ゴルフクラブ
KR20220013868A (ko) 2020-07-27 2022-02-04 최용수 골프 클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887A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1381B2 (ja) 移動部材(ボール)が具備されたゴルフクラブ(thegolfclubusingmovingball)
US9687718B1 (en) Swing speed trainer
KR20060025532A (ko) 골프스윙연습장치 및 방법
JP2007044148A (ja)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アセンブリー
KR200472276Y1 (ko)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KR100910724B1 (ko)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2504994B1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080223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JP2023549326A (ja) ゴルフスイング演習装置
JP7126295B2 (ja) 教育用ゴルフクラブ
KR100926615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07144B1 (ko) 이동부재를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07143B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79882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10725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926614B1 (ko) 칸막이를 구비한 골프클럽
KR101337757B1 (ko) 스윙 연습 골프채
KR200438370Y1 (ko) 내부 이동부재를 갖는 야구배트
KR100489838B1 (ko) 골프스윙보조장치
KR102159878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JP4293868B2 (ja) 素振り用練習器
KR100502544B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KR100671222B1 (ko) 골프용 임팩트 첵킹장치
KR101833751B1 (ko) 반발력이 향상된 골프클럽 헤드
KR102458865B1 (ko) 골프 스윙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