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615B1 -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615B1
KR100926615B1 KR1020070117666A KR20070117666A KR100926615B1 KR 100926615 B1 KR100926615 B1 KR 100926615B1 KR 1020070117666 A KR1020070117666 A KR 1020070117666A KR 20070117666 A KR20070117666 A KR 20070117666A KR 100926615 B1 KR100926615 B1 KR 10092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olf club
backswing
practic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941A (ko
Inventor
박재섭
Original Assignee
박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섭 filed Critical 박재섭
Priority to AU200734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7347500A1/en
Priority to PCT/KR2007/006624 priority patent/WO2008102946A1/en
Priority to EP07851592A priority patent/EP2114538A1/en
Priority to JP2009549508A priority patent/JP5001381B2/ja
Priority to BRPI0721252-6A2A priority patent/BRPI0721252A2/pt
Publication of KR2009000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Abstract

본 발명은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은, 샤프트와;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과; 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동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실제 사용하는 골프클럽의 중량 및 무게중심과 차이가 거의 나지 않고, 골프클럽 외에 별도의 장비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어 연습용 골프클럽으로 직접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연습함으로써 연습 효율이 향상되며, 샤프트에서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이동 거리가 길어 사용자는 타격음 뿐만 아니라 이동부재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잘못된 백스윙 자세 및 속도를 쉽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골프, 클럽, 백스윙, 속도, 이동

Description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THE GOLF CLUB FOR BACKSWING PRACTICE}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자세는 어드레스(adress)→백스윙(back swing)→백스윙의 탑→다운스윙(down swing)→임팩트(impact)→팔로스루(Follow through)→피니쉬(finish)로 세분된다.
특히, 드라이브샷 또는 티샷과 같이 골프공을 강하게 타격하여 먼 거리를 날려 보내려고 하는 경우 골프클럽을 어깨 너머로 백스윙한 다음 골프클럽을 강하게 회동시켜 골프공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골프공의 비거리는 골퍼가 골프체를 회동시키는 속도와 힘에 의해서도 좌우되지만 기본적으로는 백스윙의 거리에 따라 골프공의 비거리가 결정되므로 골프공을 멀리 날려 보내려고 하는 경우에는 백스윙의 자세와 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백스윙을 연습하기 위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백스윙 자세 및 백스윙 속도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 골프장갑이나 손목고정대에 착용하여 슬라이딩볼의 타격음으로 백스윙시 골프클럽의 위상을 알리도록 한 '골프용 백스윙 위상 알림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3018호)가 안출되었 다.
하지만, 위와 같은 장치는 골프장갑이나 손목고정대에 착용해야 해 슬라이딩볼의 이동 거리가 짧아 사실상 타격음을 통해서만 골프클럽의 위상을 확인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어깨를 축으로 하여 어깨로부터 손목까지의 거리에서 슬라이딩볼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반지름이 짧게 되어 슬라이딩볼의 이동이 부정확할 때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슬라이딩볼의 이동 거리가 짧아 골프 초보 연습자가 백스윙을 연습하기에 매우 힘든 것이다.
또한, 골프장갑이나 손목고정대를 준비하지 않았을 때는 백스윙을 연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저항판(70)이 설치되어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514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장치는 직접 골프공을 타격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실전 연습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또, 실제 경기할 때 사용하는 골프 클럽에서 느껴지는 중량감, 무게중심과 달라 실전 백스윙 시와 연습 백스윙 시 스윙 자세 및 속도가 달라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위와 같이 골프 클럽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실제 사용하는 골프클럽의 중량 및 무게중심과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골프클럽 외에 별도의 장비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어 본 발명의 골프클럽으로 직접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연습함으로써 연습 효율을 향상시키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골프클럽의 샤프트에서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이동 거리가 길어 사용자는 타격음 뿐만 아니라 이동부재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잘못된 백스윙 자세 및 속도를 쉽게 교정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샤프트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다수 개의 이동부재를 설치하여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진동 및 음량을 증폭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스윙 자세 및 속도를 교정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구간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탄성부재를 설치하거나 이동부재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진동을 보다 쉽게 느낄 수 있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은, 샤프트와;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과; 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동부재;로 구성된다.
또,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조샤프트와; 보조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과; 보조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동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샤프트 또는 보조샤프트의 외주면에 칸막이가 설치되어 다수 개의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고, 이동부재는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샤프트 또는 보조샤프트의 양측 끝단과 상기 이동부재는 최소 하나 이상은 자석으로 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부재 또는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구간의 일측 끝단 또는 양측 끝단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실제 사용하는 골프클럽의 중량 및 무게중심과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이 제공된다.
또, 골프클럽 외에 별도의 장비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어 본 발명의 골프 클럽으로 직접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연습함으로써 연습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골프클럽의 샤프트에서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이동 거리가 길어 사용자는 타격음 뿐만 아니라 이동부재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잘못된 백스윙 자세 및 속도를 쉽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샤프트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다수 개의 이동부재를 설치하여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진동 및 음량을 증폭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스윙 자세 및 속도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구간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탄성부재를 설치하거나 이동부재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진동을 보다 쉽게 느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샤프트(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프클럽의 샤프트(10)와 같은 재질 및 중량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반 샤프트(10)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두께가 일정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래로 내려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의 것도 있는데 이 두 경우 모두에 대하여 샤프트(10)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샤프트(10)의 형태는 원형이며 폭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그립(30)은 샤프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다.
그립(30)은 일반적으로 샤프트(10)에 설치하는 그립(30)처럼 공지되어 있는 것을 설치하여 구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헤드(20)는 샤프트(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60)을 타격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20) 역시 그립(30)과 마찬가지로 공지되어 있는 헤드(20)를 샤프트(10)의 하부에 고정시키면 된다.
헤드(20)가 샤프트(10)에 고정되는 방식은 종래의 방식처럼 헤드(20)에 샤프트(10) 하부를 끼우는 홈을 형성한 다음 샤프트(10)를 그 홈에 끼운 후 용접 또는 본딩 방법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역시 이러한 방법으로 헤드(20)를 샤프트(10) 하부에 고정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이동부재(40)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40)가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중력에 의해 이동부재(40)가 샤프트(1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데, 도 3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퍼의 스윙에 따라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샤프트(10)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며, 이동부재(40)는 샤프트(10)의 외주면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바람직한 백스윙 시 샤프트(10)가 지면과 평행한 면을 지날 때를 나타내었다.
즉, 지면과 수직인 면으로부터 샤프트(10)의 각도가 90도를 넘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정상적으로 천천히 백스윙을 하게 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40)가 샤프트(10)의 끝단에서 천천히 그립(3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빠른 속도로 백스윙을 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이동부재(40)는 샤프트의 끝단에서 그립(30)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바람직한 백스윙을 하게 되면 샤프트(10)가 지면과 평행한 면을 지나면서 천천히 이동부재(40)가 구르는 소리가 발생하나 빠른 속도로 백스윙을 하게 되면 이동부재(40)가 이동하지 않게 되어 골퍼는 이를 구분하여 자신의 백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이용해 바람직한 백스윙의 탑 자세를 도시한 것이다.
일정한 속도로 천천히 백스윙을 하게 되면 도 3에서 도 4의 위치에 도달하면서 이동부재(40)가 그립(30)측 끝단까지 이동해 '탁' 하면 부딪히는 소리를 내게 된다.
이 과정은 샤프트(10)가 지면과 평행한 면을 지나면서 천천히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 빠른 속도로 백스윙을 하게 되면 백스윙의 탑에 이를 때까지 이동부재(40)는 그립(30)손 측에 위치한 후 완전히 백스윙의 탑에 이른 후 빠른 속도로 헤드(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골퍼는 소리와 진동을 통해 이러한 차이점을 인식하게 되어 느리면서 일정한 속도로 백스윙을 하는 법을 터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골프클럽을 이용해 백스윙의 탑에서 바람직하게 빠른 속도로 다운스윙을 하게 되면 이동부재(40)는 원심력에 의해 샤프트(10)의 헤드(20) 쪽으로 이동하고, 임팩트를 지나 팔로스루가 된 후 피니쉬 때 완전히 헤드(20) 쪽끝단에 닿게 되면서 '딱'하는 소리를 내어 골퍼에게 알려주게 된다.
특히, 빠른 속도로 다운스윙이 되므로 이동부재(40)는 빠른 시간 내에 샤프트(10)의 헤드(20) 반대편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반해 빠른 속도로 다운스윙이 되지 않을 경우 다운스윙을 하는 동안 이동부재(40)가 구르는 소리와 진동이 발생되므로 골퍼는 올바른 다운스윙의 느낌을 배울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기존의 골프채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접목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골프 클럽의 샤프트(10)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조샤프트(50)와;
보조샤프트(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30)과;
보조샤프트(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60)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20)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보조샤프트(5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동부재(4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기존의 골프채에 보조샤프트(50)를 끼우고, 보조샤프트(50) 외주면을 따라 이동부재(40)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보조샤프트(50)의 한 예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샤프트(10)에 끼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샤프트(10)의 옆에 부착 하는 형태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샤프트(10) 또는 보조샤프트(50)의 중간 중간 칸막이(11)를 설치하고, 칸막이(11)에 의해 분할된 공간마다 하나씩의 이동부재(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백스윙시 이동부재(40)의 이동거리가 짧아져 보다 쉽게 스윙 감을 찾을 수 있고, 임팩트 시 하나의 음이 아닌 '다다닥' 하는 여러 음을 들음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임팩트의 느낌을 찾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칸막이(11)에 의해 분할된 각 구간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게 되면 이러한 '다다닥'하는 음향을 보다 확실히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칸막이(11)에 의해 분할된 각 구간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일측방향으로 서서히 그 길이를 길게 형성하거나 짧게 형성할 경우 이동부재(40)가 이동하면서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타격음을 내게 되므로 연습시 음향에 의한 효과가 보다 증가하게 된다.
또, 샤프트(10) 또는 보조샤프트(50)의 양측 끝단과 상기 이동부재(40)는 최소 하나 이상은 자석으로 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형성하여 자석을 이용해 이동부재(40)가 일측 끝단으로 이동할 때 보다 강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부재(40), 또는 이동부재(40)가 이동하는 구간의 일측 끝단 또는 양측 끝단에 탄성부재(12)를 설치하여 탄성부재(12)에 의해 진동을 보다 잘 느끼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샤프트(10) 또는 보조샤프트(50)의 외주면에 주름을 형성하게 되면 이동부재(40)가 이동하면서 주름과 부딪히면서 이동하도록 하여 이동속도를 조절하고, 진동과 소음을 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클럽은 백스용 연습용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골프 룰에 어긋나지 않는 한 실전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골프클럽은 퍼터, 드라이버 등 모든 종류의 클럽에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해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해 바람직한 백스윙 시 중간 진행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해 바람직한 백스윙 시 백스윙의 탑에 이른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해 다운스윙 시 중간 진행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에 칸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에 칸막이와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을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샤프트 11 : 칸막이
12 : 탄성부재 20 : 헤드
30 : 그립 40 : 이동부재
50 : 보조샤프트

Claims (7)

  1.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30)과;
    상기 샤프트(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60)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20)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동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칸막이가 설치되어 다수 개의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이동부재(40)는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2. 골프 클럽에 있어서,
    골프 클럽의 샤프트(10)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조샤프트(50)와;
    상기 보조샤프트(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되어 있는 그립(30)과;
    상기 보조샤프트(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60)을 타격하도록 된 헤드(20)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샤프트(5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동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샤프트(50)의 외주면에 칸막이가 설치되어 다수 개의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이동부재(40)는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 또는 보조샤프트(50)의 양측 끝단과 상기 이동부재(40)는 최소 하나 이상은 자석으로 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40) 또는 이동부재(40)가 이동하는 구간의 일측 끝단 또는 양측 끝단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 또는 보조샤프트(50)의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에 의해 분할된 각 구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20070117666A 2007-02-24 2007-11-19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2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7347500A AU2007347500A1 (en) 2007-02-24 2007-12-18 The golf club using moving ball
PCT/KR2007/006624 WO2008102946A1 (en) 2007-02-24 2007-12-18 The golf club using moving ball
EP07851592A EP2114538A1 (en) 2007-02-24 2007-12-18 The golf club using moving ball
JP2009549508A JP5001381B2 (ja) 2007-02-24 2007-12-18 移動部材(ボール)が具備されたゴルフクラブ(thegolfclubusingmovingball)
BRPI0721252-6A2A BRPI0721252A2 (pt) 2007-02-24 2007-12-18 Taco de golfe utilizando bola mó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8967 2007-07-10
KR1020070068967 200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41A KR20090005941A (ko) 2009-01-14
KR100926615B1 true KR100926615B1 (ko) 2009-11-11

Family

ID=4048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666A KR100926615B1 (ko) 2007-02-24 2007-11-19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82B1 (ko) * 2012-01-27 2014-01-28 양영옥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515B1 (ko) * 2014-04-04 2015-07-14 김영관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886A (en) * 1975-09-19 1977-06-07 Toyonari Katsube Golf swing timing device
KR960010595Y1 (ko) * 1993-11-30 1996-12-20 권흥국 연습용 골프채의 타격음 발생장치
US5711718A (en) * 1997-01-30 1998-01-27 Mueller; Daniel Golf swing improvement device
KR20070078942A (ko) * 2006-01-31 2007-08-03 임수희 교정 및 연습을 위한 골프클럽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886A (en) * 1975-09-19 1977-06-07 Toyonari Katsube Golf swing timing device
KR960010595Y1 (ko) * 1993-11-30 1996-12-20 권흥국 연습용 골프채의 타격음 발생장치
US5711718A (en) * 1997-01-30 1998-01-27 Mueller; Daniel Golf swing improvement device
KR20070078942A (ko) * 2006-01-31 2007-08-03 임수희 교정 및 연습을 위한 골프클럽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82B1 (ko) * 2012-01-27 2014-01-28 양영옥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41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1381B2 (ja) 移動部材(ボール)が具備されたゴルフクラブ(thegolfclubusingmovingball)
KR20060025532A (ko) 골프스윙연습장치 및 방법
WO2008011425A2 (en) Golf tee with body stance alignment feature
KR100926615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80223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US9333408B1 (en) Golf swing aid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100907143B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10724B1 (ko)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079882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311959Y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100926614B1 (ko) 칸막이를 구비한 골프클럽
US5842930A (en) Flexi-grip golf club
KR100502544B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KR100907144B1 (ko) 이동부재를 이용한 골프 클럽
KR102458865B1 (ko) 골프 스윙연습기
KR100910725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101285956B1 (ko) 연습용 골프채
KR20190066858A (ko) 골프클럽용 샤프트
CN212262328U (zh) 用于提高飞行距离的高尔夫练习绳
KR200283862Y1 (ko) 골프 스윙연습기
KR200328282Y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KR20120047483A (ko) 가요성 골프티
KR20230126424A (ko) 골프용 메트로놈
KR20220080665A (ko) 기준점을 활용한 일반 퍼터와 사이드 퍼터의 겸용 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