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862Y1 - 골프 스윙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862Y1
KR200283862Y1 KR2020020013172U KR20020013172U KR200283862Y1 KR 200283862 Y1 KR200283862 Y1 KR 200283862Y1 KR 2020020013172 U KR2020020013172 U KR 2020020013172U KR 20020013172 U KR20020013172 U KR 20020013172U KR 200283862 Y1 KR200283862 Y1 KR 200283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all
swing
annul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흥국
Original Assignee
권흥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흥국 filed Critical 권흥국
Priority to KR2020020013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862Y1/ko

Links

Landscapes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임팩트볼(10)의 상부와 접하는 받침링(30)의 하부에는 제 1환형요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제 1환형요홈(21)의 내측으로는 제 1환형마그네틱(25)을 결합시키며, 임팩트볼(1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환형요홈(21)과 대응되도록 제 1환형요홈(21)과 동일한 형상의 제 2환형요홈(1)을 형성하고, 상기 제 2환형요홈(1)의 내측으로는 표면 상부가 상기 제 1환형마그네틱(25)의 표면과 각기 다른 극성을 갖는 제 2환형마그네틱(5)을 결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윙과정에서 임팩트볼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되어 임팩트 시점과 충격음의 발생시점이 정확히 일치되므로 스윙동작의 정확한 교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골프 스윙연습기{A swing trainer for golf}
본 고안은 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샤프트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임팩트볼 과 샤프트의 상단부에 고정된 받침링이 각기 다른 극성을 갖는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윙과정에서 임팩트볼 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골프용 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골프의 연습에는 우드나 아이언을 이용한 스윙동작이나 퍼터(putter)를 이용한 퍼팅등이 포함되는데, 이와 같은 연습과정에서 스윙동작시에는 통상적으로 티위에 안치된 골프공을 직접 타격함으로써 연습을 실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골프공을 이용한 스윙동작시에는 골프공을 직접 타격함으로써 연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골프공의 타격음을 통해 스윙의 정확한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이와 같은 연습과정에는 골프공의 최소한의 비거리를 포함하여 안전을 위해 스윙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이와 함께 티의 상부에 매번 공을 올려 놓아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한편, 다량의 연습공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스윙연습이나 골프공이 없이 스윙만으로 실시하는 연습시에는 실제감이 결여되어 흥미를 유발할 수 없으며, 이와 함께 스윙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해 연습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골프연습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5566호가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연습용 골프채의 타격음 발생장치는, 스윙시 임팩트볼이 충격링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격음에 의해 스윙연습과정에서 실제감을 높이고, 타격음의 발생시점에 따라 정확한 스윙의 이행여부를 판단한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연습용 골프채의 타격음 발생장치(2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이와 같은 연습용 골프채의 타격음 발생장치(200)는, 통상적인 구조의 아이언과 같이 샤프트(150)의 일측에는 파지공간을 제공하는 그립(160)이 결합되고, 타단으로는 헤드(170)가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샤프트(150)의 외주면으로는 임팩트볼(110)이 샤프트(150)로부터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립(160) 및 헤드(170)와 인접한 샤프트(150)의 외주면으로는 임팩트볼(110)의 상부 이동정도를 제한하는 받침링(130) 및 임팩트볼(110)과의 충돌에 따라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충격링(120)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습용 골프채의 타격음 발생장치(200)는 스윙연습과정에서 임팩트 순간 그립(160)과 인접한 상태에 있던 임팩트볼(110)이 원심력에 의해 충격링(120)과 충돌함으로써 타격음이 발생한다.
이때, 스윙되는 골프클럽의 위치가 사용자의 양 발 사이, 또는 골프공이 안치되는 위치에 도달하기에 앞서 타격음이 발생할 경우에는 임팩트가 정상위치보다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골프클럽의 위치가 사용자의 양 발을 지나친 상태에서 타격음이 발생할 경우에는 임팩트가 정상위치보다 늦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타격음의 발생시점을 통해 정확한 임팩트 순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은 스윙연습과정에서 실제감을높이고, 타격음의 발생시점에 따라 정확한 스윙의 이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반면, 샤프트(150)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임팩트볼(110)에 대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관계로 테이크백 및 다운스윙과 같은 예비동작과정에서 임팩트볼(110)이 원심력 및 중력에 의해 샤프트(150)의 길이방향으로 쉽게 이동되어 임팩트 순간과 충격링(120)과 임팩트볼(110)의 충돌시점간에 시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임팩트볼(110)의 불필요한 유동에 의해 사용자의 집중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이 갖는 문제점은 물론, 골프클럽을 이용한 스윙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샤프트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임팩트볼 과 받침링이 각기 다른 극성을 갖는 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예비스윙과정에서 임팩트볼 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이에 따라 스윙동작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샤프트의 선단 일측에 결합된 그립의 인접부에는 받침링이 결합되고, 상기 그립의 대향면에 위치한 헤드의 인접부에는 충격링이 결합되며, 상기 받침링 및 충격링 사이에는 임팩트볼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골프 스윙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볼의 상부와 접하는 받침링의 하부에는 제 1환형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 1환형요홈의 내측으로는 제 1환형마그네틱을 결합시키며, 임팩트볼의상부에는 상기 제 1환형요홈과 대응되도록 제 1환형요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 2환형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 2환형요홈의 내측으로는 표면 상부가 상기 제 1환형마그네틱의 표면과 각기 다른 극성을 갖는 제 2환형마그네틱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골프 스윙연습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타격음 발생장치를 구비한 종래 구조의 연습용 골프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 스윙연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2환형요홈 5 : 제 2환형마그네틱
10 : 임팩트볼 20 : 충격링
21 : 제 1환형요홈 25 : 제 1환형마그네틱
30 : 받침링 50 : 샤프트
60 : 그립 70 : 헤드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골프 스윙연습기(100)는, 샤프트(50)의 선단 일측에는 사용자의 파지공간을 제공하도록 고무재의 그립(60)이 결합되며, 타단으로는 일정한 중량을 갖는 헤드(70)가 결합되므로써 통상의 아이언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샤프트(50)의 선단 일측에 결합된 그립(60)의 인접부에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받침링(30)이 고정 결합되고, 헤드(70)의 인접부에는 수지재의 충격링(20)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샤프트(50)에 결합된 받침링(30) 및 충격링(20) 사이에는 임팩트볼(1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임팩트볼(10)은 강한 원심력이 작용하는 한편, 충격음이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받침링(30) 및 충격링(20) 보다 큰 부피 및 중량를 갖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임팩트볼(10)의 형상을 골프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미감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가 임팩트 순간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샤프트(50)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임팩트볼(10)은 샤프트(5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충격링(20)과 접하며, 본 고안의 스윙에 따라 원심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임팩트볼(10)의 하부가 충격링(20)의 상부와 충돌함으로써 충격음이 발생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임팩트볼(10)의 상부와 접하는 받침링(30)의 하부에는 제 1환형요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제 1환형요홈(21)의 내측으로는 제 1환형마그네틱(25)을 결합시킨다.
또한, 임팩트볼(10)의 상부에는 상기한 제 1환형요홈(21)과 대응되도록 제 1환형요홈(21)과 동일한 형상의 제 2환형요홈(1)을 형성하며, 상기한 제 2환형요홈(1)의 내측으로는 제 2환형마그네틱(5)을 결합시킨다.
이때, 제 1환형마그네틱(25) 및 제 2환형마그네틱(5)은 외부로 돌출된 표면이 각기 다른 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임팩트볼(10)에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흡착력에 의해 임팩트볼(10)이 받침링(30)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제 1환형마그네틱(25) 및 제 2환형마그네틱(5)의 흡착력이 과도할 경우에는 샤프트(50)로부터 임팩트볼(10)의 원활한 이동에 제약이 따르므로 예비동작에 따른 스윙과정에서 받침링(30)으로부터 임팩트볼(10)이 이격되지 않을 정도의 흡착력을 갖는 마그네틱을 선택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5는 헤드(7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헤드(70)를 보호하도록 한 고무재의 완충부재이며, 부호 60A는 그립(60)의 파지시 정확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형성한 요철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골프 스윙연습기(100)는, 스윙시 임팩트볼(10)이 원심력에 의해 충격링(20)과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음에 의해 연습과정에서 실제감을 갖도록 하는 한편, 스윙궤적과 충격음의 발생편차에 따라 정확한 스윙의 이행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스윙의 초기단계, 즉 어드레스, 테이크백 및 탑스윙시에는 도 4a와 같이 임팩트볼(10)이 제 1환형마그네틱(25) 및 제 2환형마그네틱(5)의 흡착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갖는 한편, 이에 따라 샤프트(50)로부터 임팩트볼(10)의 불필요한 이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스윙의 초기단계에서 인위적으로 임팩트볼(10)을 받침링(30)과 밀착시키지 않을 경우에도 테이크백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임팩트볼(10)이 받침링(3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전술한 상태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다운스윙을 거쳐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임팩트순간에는 임팩트볼(10)에 순간적으로 강한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받침링(30)과 밀착된 상태의 임팩트볼(10)은 도 4b와 같이 헤드(70)와 인접한 충격링(20)과 충돌함으로써 충격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골프 스윙연습기(100)의 스윙과정에서 통상적으로 골프공이 안치되는 가상의 위치보다 앞선 다운스윙과정에서 충격음이 발생하면 임팩트가 정상위치보다 빠른 상태를 나타내며, 충격음이 팔로우 스윙과 같이 가상의 골프공위치보다 늦게 발생하면 임팩트가 정상위치보다 늦은 상태를 나타내므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윙폼의 정확한 교정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한 과정에 따라 충격링(20)과 충돌된 임팩트볼(10)은 테이크백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 1환형마그네틱(25) 및 제 2환형마그네틱(5)의 자력에 의해 받침링(30)과 밀착하므로 전술한 스윙동작의 반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골프 스윙연습기(100)는, 샤프트(50)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임팩트볼(10)이 제 1환형마그네틱(25) 및 제 2환형마그네틱(5)의 자력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예비스윙동작에서 임팩트볼(10)의 불필요한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테이크백 및 다운스윙과 같은 예비스윙동작에서 임팩트 순간과 충격링(20)과 임팩트볼(10)의 충돌시점이 일치됨으로써 스윙동작의 정확한 교정이 가능하며, 스윙시 타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샤프트(50)의 선단 일측에 결합된 그립(60)의 인접부에는 받침링(30)이 결합되고, 상기 그립(60)의 대향면에 위치한 헤드(70)의 인접부에는 충격링(20)이 결합되며, 상기 받침링(30) 및 충격링(20) 사이에는 임팩트볼(1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골프 스윙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볼(10)의 상부와 접하는 받침링(30)의 하부에는 제 1환형요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제 1환형요홈(21)의 내측으로는 제 1환형마그네틱(25)을 결합시키며, 임팩트볼(1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환형요홈(21)과 대응되도록 제 1환형요홈(21)과 동일한 형상의 제 2환형요홈(1)을 형성하고, 상기 제 2환형요홈(1)의 내측으로는 표면 상부가 상기 제 1환형마그네틱(25)의 표면과 각기 다른 극성을 갖는 제 2환형마그네틱(5)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기.
KR2020020013172U 2002-04-30 2002-04-30 골프 스윙연습기 KR200283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72U KR200283862Y1 (ko) 2002-04-30 2002-04-30 골프 스윙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72U KR200283862Y1 (ko) 2002-04-30 2002-04-30 골프 스윙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862Y1 true KR200283862Y1 (ko) 2002-07-27

Family

ID=7312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72U KR200283862Y1 (ko) 2002-04-30 2002-04-30 골프 스윙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8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98B1 (ko) 2006-11-24 2008-05-27 최광현 연습용 골프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98B1 (ko) 2006-11-24 2008-05-27 최광현 연습용 골프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482B1 (ko)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101513473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20100130299A1 (en) Visual Aid
KR20100137011A (ko) 골프 퍼팅 훈련 장치
KR200283862Y1 (ko) 골프 스윙연습기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10080223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2523698B1 (ko) 골프 스윙의 체중 이동 및 힙 턴 연습장치
KR101337757B1 (ko) 스윙 연습 골프채
KR200311959Y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100926615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1720671B1 (ko) 골프스윙 보조기구
KR20090010508U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0502544B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KR100907143B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JP2022076033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102458865B1 (ko) 골프 스윙연습기
JP3228946U (ja) ゴルフスイング矯正マット
KR200391326Y1 (ko) 퍼팅 연습기
KR101285956B1 (ko) 연습용 골프채
KR20150128226A (ko) 골프연습용배트
KR101131192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328282Y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KR200190194Y1 (ko) 티샷 연습용 골프채
US20080234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go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