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858A - 골프클럽용 샤프트 - Google Patents

골프클럽용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858A
KR20190066858A KR1020170166682A KR20170166682A KR20190066858A KR 20190066858 A KR20190066858 A KR 20190066858A KR 1020170166682 A KR1020170166682 A KR 1020170166682A KR 20170166682 A KR20170166682 A KR 20170166682A KR 20190066858 A KR20190066858 A KR 2019006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aft
golf club
sw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186B1 (ko
Inventor
이충헌
임수희
Original Assignee
이충헌
임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헌, 임수희 filed Critical 이충헌
Priority to KR1020170166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186B1/ko
Priority to PCT/KR2018/015301 priority patent/WO2019112313A1/ko
Publication of KR2019006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0Non-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63B60/24Weighted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8Normal golf clubs with directly attach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의 전체무게의 변화는 없으면서 구심력(Centripetal Force, CF)를 증대시켜 골프클럽의 전체무게가 체감상 가볍게 느껴지도록 함으로서 골프클럽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하여 캐스팅(Casting) 현상이나, 스쿠핑(Scooping)현상이 없이 임펙트 순간까지 핸드퍼스트(Hand First) 헤드라스트(Head Last)가 이루어지고, 헤드의 흔들림과 비틀림토크를 저하시켜 안정된 스윙을 가능하게 하고, 타감과 볼의 방향성을 좋게하면서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볼을 타격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와 팁단부가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버트단부에 결합되는 그립으로 구성되는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버트단부에서 팁단부 방향으로 14인치(35.36㎝) 위치의 스윙웨이트포인트에 중량체를 개재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골프클럽용 샤프트{SHAFT FOR GOLF CLUB}
본 발명은 골프클럽용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을 구성하는 샤프트의 전체 무게는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스윙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심력을 증대시켜 클럽전체의 무게감을 적게 느끼게 되면서 스윙과정에서 샤프트와 헤드의 유동을 배제하여 용이한 컨트롤을 가능하게 하여 빠른 헤드스피드를 유지하면서 안정된 스윙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헤드의 흔들림을 줄여 스윗스팟에 정확하게 타격함으로서 타감과 방향성을 좋게 하면서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골프클럽용 샤프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티박스에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티샷을 수행하고, 그 후 우드나 아이언 및 유틸리티 클럽과 웨지클럽을 이용하여 세컨드 및 서드샷 또는 어프로치를 수행하여 그린위에 볼을 안착시킨 후, 퍼터를 이용하여 그린에 형성된 홀에 넣음으로서 하나의 홀을 마무리하는 형태로 18개의 홀을 돌아 규정된 타수보다 낮은 스코어를 더 많이 기록할수록 유리한 스포츠이다.
이와 같은 골프 스포츠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어는 볼과 골프클럽이 필요로 하게 되며, 통상적인 골프클럽(100)은 도 6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볼을 타격하는 헤드(101)와, 상기 헤드(101)와 팁단부(102)가 결합되는 샤프트(105) 및 샤프트(105)의 버트단부(103)에 결합되어 플레이어가 클럽을 손으로 잡아서 스윙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립(104)으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샤프트(105)는 경량스틸 재질과 그라파이트(카본) 재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드라이버, 우드, 유틸리티, 아이언 및 웨지클럽에 관계없이 헤드가 연결되는 팁단부(102)의 직경(D)은 작으면서 두께(T)는 두껍고, 그립이 결합되는 버트단부(103)의 직경(D1)은 크면서 두께(T1)는 얇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샤프트 전체 길이(L)에 대하여 샤프트 자체의 무게중심(P)은 항상 길이의 중간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샤프트의 팁단부에는 헤드가 결합되고 버트단부에는 그립이 결합된 상태에서 골프클럽을 완성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단순하게 골프클럽을 구성한 것 만으로 플레이어가 바로 스윙을 할 경우에는 플레이어의 신체조건과 더불어 헤드의 무게, 샤프트의 무게 및 스윙웨이트(스윙밸런스)를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올바른 스윙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윙웨이트는, 스윙밸런스 또는 웨이트밸런스라고도 하며 스윙과정에서 골프클럽 전체 무게와는 별도로 스윙 과정에서 느껴지는 그립과 헤드의 무게감을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샤프트(105)의 무게중심(P)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버트단부(103)에서 팁단부(102) 방향으로 14인치(35.36㎝) 위치에 스윙웨이트포인트(SP)를 두고, 상기 스윙웨이트포인트(SP)를 기준으로 스윙웨이트포인트(SP)와 가까우면 가볍기 때문에 여성용 또는 노약자용에 적합한 샤프트로 판단하고,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서 헤드방향으로 멀어지면 무겁기 때문에 남성용 또는 프로골퍼용에 적합한 샤프트로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하는 것은 골프업계어서는 주지된 사실이며, 헤드와 샤프트 및 그립이 조립된 전체 클럽의 경우 남성용이 여성용보다 무거운 상태이다.
즉, 스윙웨이트포인트(SP)를 기점으로 헤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A, B, C, D, E, F 영역을 두고, 각각의 영역 사이에는 0에서 9까지의 단위로 구획하여 스윙웨이트포인트(SP)를 기점으로 골프클럽의 무게를 측정하여 가벼운 A영역에서부터 무거운 F영역을 확인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헤드의 무게가 가벼운 또는 무거운 상태를 파악하여 플레이어에게 적합한 것인지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골프클럽의 무게가 같아도 스윙웨이트의 위치가 다르거나 골프클럽의 무게는 무거운데 스윙웨이트의 무게수치가 낮은 경우 또는 골프클럽의 무게는 가벼운데 스윙웨이트의 무게수치가 높아 밸런스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플레이어가 느끼는 체감상의 무게는 무게에 비하여 무겁게 또는 가볍게 느껴지는 차이가 나기 때문에 스윙과정에서 올바른 스윙이 어렵게 되거나 스윙으로 볼틀 타격하였을 때 악성 훅이나 슬라이스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핸드퍼스트(Hand First) 후 헤드라스트(Head Last)를 통하여 임펙트가 이루어지는 정상 스윙이 아닌, 헤드퍼스트로 인한 캐스팅(Casting) 현상이나, 스쿠핑(Scooping)현상을 배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문헌 1) 특허출원 제 10 - 2012 - 0113761 호 (문헌 2) 특허출원 제 10 - 2016 - 7003486 호
문헌 1은, 팁단으로부터 버트단까지 연장되며 섬유 강화 수지로 제조되는 골프 클럽 샤프트로서, 중량이 30 g 내지 55 g의 범위이며, 상기 팁단과 상기 버트단 사이의 전체 길이를 LS라 하고, 상기 팁단으로부터 샤프트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를 LG라 할 때, 전체 길이(LS)에 대한 거리(LG)의 비(LG/LS)가 0.54 내지 0.65의 범위이며, 상기 팁단으로부터 상기 버트단측으로 300 ㎜의 길이를 갖는 팁단 부분에 포함되는 섬유에는, 피치계 탄소 섬유 및 PAN계 탄소 섬유가 포함되고, 상기 팁단 부분의 섬유는, 15 중량% 내지 25 중량%의 상기 피치계 탄소 섬유와, 85 중량% 내지 75 중량%의 상기 PAN계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문헌 2는, 골프 클럽의 샤프트 세트로서. 상이한 로프트각을 갖는 아이언 타입, 웨지 타입 또는 하이브리드 타입 골프 클럽을 위해 각각 구성된 2개 이상의 샤프트를 포함하고, 샤프트 세트의 각각의 샤프트는 긴 본체, 팁 단부(tip end), 버트 단부(butt end), 미드포인트 및 무게중심을 포함하며, 긴 본체는 팁 단부와 버트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무게중심은 미드포인트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하며, 제1 거리는 미드포인트에서부터 버트단부까지의 제2 거리의 대략 6.0 % 이상이고, 무게중심은 팁 단부보다 버트 단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도 샤프트를 개선하여 플레이어가 안정된 스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이 있었으며, 플레이어의 신체조건에 맞게 샤프트의 길이와 중량에 대응하여 헤드의 중량과 로프트 각도를 조절하고, 그립의 무게와 두께 및 직경을 조절하여 맞춤형태로 만드는 피팅에 까지 이르고 있지만 실제 플레이어가 스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완벽함을 추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헤드는 고반발 페이스를 가지고 경량이면서 골프클럽의 전체적인 구게를 맞추기 위하여 샤프트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형태 또는, 헤드는 일반적인 중량을 가지도록 하고 있으나 샤프트의 무게를 낮추는 형태의 경우에는 골프클럽 전체의 스윙밸런스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골프클럽이 체감상 아주 가볍게 느껴지거나 무겁게 느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골프클럽의 스윙밸런스를 안정(정상)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면서 골프클럽이 가볍게 느껴질 경우에는 플레이어가 스윙하는 과정에서 골프클럽이 빠져나가려는 것을 잡고 있는 구심력에 비하여 골프클럽이 스윙(회전)하려는 원심력이 더 크게 되므로 헤드가 불필요하게 선행하여 움직이게 되므로 정확한 임펙트를 만들지 못하고 헤드퍼스트로 인한 캐스팅(Casting) 현상이나, 스쿠핑(Scooping)현상을 벗어나지 못하게 되므로 구질이 악성 훅과 악성 슬라이스를 비롯하여 탑볼과 헤드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는 구심력이 과도하고 원심력이 미약할 경우에는 임펙트시 볼에 가하여지는 힘이 적기 때문에 정상적인 타격이 있더라도 비거리가 줄어들게 되는 현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되고, 헤드스피드가 줄어들게 되고, 헤드의 스윗스팟에 볼을 맞추는 것이 힘들어지고, 샤프트의 흔들림이 심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볼을 타격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와 팁단부가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버트단부에 결합되는 그립으로 구성되는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버트단부에서 팁단부 방향으로 14인치(35.36㎝) 위치의 스윙웨이트포인트에 중량체를 개재하여 구성함으로서;
샤프트의 전체무게의 변화는 없으면서 구심력(Centripetal Force, CF)를 증대시켜 골프클럽의 전체무게가 체감상 가볍게 느껴지도록 함으로서 골프클럽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하여 캐스팅(Casting) 현상이나, 스쿠핑(Scooping)현상이 없이 임펙트 순간까지 핸드퍼스트(Hand First) 헤드라스트(Head Last)가 이루어지고, 헤드의 흔들림과 비틀림토크를 저하시켜 안정된 스윙을 가능하게 하고, 타감과 볼의 방향성을 좋게하면서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골프클럽을 구성하는 샤프트의 스윙웨이트포인트에 중량체를 내장하여 샤프트 전체 무게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구심력을 증대시켜 플레이어가 골프클럽을 스윙할 때 핸드퍼스트 헤드라스트를 통한 안정된 스윙밸런스를 유지하여 캐스팅과 스쿠핑과 같은 동작을 배제하면서 헤드스피드를 증가시키면서 다운스윙시 헤드의 흔들림이 줄어들기 때문에 쉽게 헤드 페이스의 스윗스팟에 볼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비거리를 늘리면서 방향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스윙웨이트포인트에 중량체를 내장하여 샤프트 및 헤드가 유동하는 것을 잡아주게 되므로 안정된 스윙을 가능하게 하면서 볼을 임펙트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잡아주어 플레이어의 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타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고, 동일한 무게의 샤프트임에도 불구하고 골프클럽 전체의 무게가 체감상 가볍게 느껴지게 함으로서 골프클럽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클럽용 샤프트를 도시한 일부 파절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클럽용 샤프트를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인 골프클럽용 샤프트에 적용되는 중량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인 골프클럽용 샤프트에 적용되는 중량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인 골프클럽용 샤프트에 적용되는 중량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인 샤프트를 이용하여 완성된 골프클럽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골프스윙자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스윙웨이트(밸런스) 측정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클럽용 샤프트를 도시한 일부 파절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클럽용 샤프트를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인 골프클럽용 샤프트에 적용되는 중량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인 골프클럽용 샤프트에 적용되는 중량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인 골프클럽용 샤프트에 적용되는 중량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인 샤프트를 이용하여 완성된 골프클럽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골프스윙자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스윙웨이트(밸런스) 측정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골프클럽(100)은, 실질적으로 볼을 타격하는 헤드(101)와, 상기 헤드(101)와 팁단부(102)가 결합되는 샤프트(105) 및 샤프트(105)의 버트단부(103)에 결합되어 플레이어가 클럽을 손으로 잡아서 스윙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립(104)으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샤프트(105)는 경량스틸 재질과 그라파이트(카본) 재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드라이버, 우드, 하이브리드(유틸리티), 아이언 및 웨지클럽에 관계없이 헤드가 연결되는 팁단부(102)의 직경(D)은 작으면서 두께(T)는 두껍고, 그립이 결합되는 버트단부(103)의 직경(D1)은 크면서 두께(T1)는 얇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샤프트 전체 길이(L)에 대하여 샤프트 자체의 무게중심(P)은 항상 길이의 중간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버트단부(103)에서 팁단부(102) 방향으로 14인치(35.36㎝) 위치에 스윙웨이트포인트(SP)를 두고, 상기 스윙웨이트포인트(SP)를 기준으로 헤드방향의 무게가 스윙웨이트포인트(SP)와 가까운지 먼지를 수치적으로 나타내어 전체적인 골프클럽의 스윙웨이트밸런스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 중량체(110)를 개재하여 플레이어가 스윙하는 과정에서 플레이어가 그립(104)을 잡고 유지하는 구심력(Centripetal Force, CF)를 증대시켜 골프클럽(100)의 전체무게가 체감상 가볍게 느껴지도록 함으로서 골프클럽(100)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하여 임펙트 순간까지 핸드퍼스트(Hand First) 헤드라스트(Head Last)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캐스팅(Casting) 현상이나, 스쿠핑(Scooping)현상이 없이 안정된 스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체(110)는 금속, 비철금속, 그라파이트(카본), 합성수지, 목재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므로 특별한 재질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량체(110)는 샤프트(105)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 위치 외부에 부착하거나 결합하여도 되나, 이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플레이어에게 혼선을 야기할 우려가 있고, 다른 골프클럽이나 다른 골프용품 등과의 간섭의 우려가 있으므로 샤프트(105)의 내부에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중량체(110)의 형상은 샤프트(105)의 내경(111)과 동일하게 팁단부 방향의 직경이 작고 버트단부 방향의 직경이 큰 절두원추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체(110) 자체의 길이와 무게는 샤프트(105) 전체의 무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05)의 일반적인 전체 무게는 헤드와 그립을 제외하고 경량스틸 또는 그라파이트(카본)에 관계없이 40 ∼ 130g정도의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원래 사용되는 샤프트무게가 100g일 경우에는 이보다 가벼운 70g의 샤프트를 사용하고 전체무게의 차이인 30g에 대하여 중량체(110)로 대체하여 샤프트(105)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 개재하여 샤프트(105)의 전체무게의 변화와 스윙밸런스의 변화없이 스윙웨이트포인트(SP)의 구심력(CF)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105)를 경량화 하는 것에는 경량스틸을 그라파이이트로 대체함으로서 발생하는 무게차이를 중량체(110)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경량스틸을 더 가벼운 경량스틸로 대체하면서 발생하는 무게차이, 그라파이트를 더 경량의 그라파이트로 대체하면서 발생하는 무게차이를 중량체(110)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스틸샤프트보다 가벼운 그라파이트 샤프트에서는 중량체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심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더욱 얻을 수 있고, 구심력의 증가를 위하여 헤드무게를 줄이고 줄여진 헤드무게 만큼 중량체의 무게를 증가시는 형태로의 실시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중량체(110)의 길이는 무게변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수학적인 계산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언급하지 않으며, 샤프트의 강도가 레귤러한 타입인 경우에에는 중량의 변화가 없으면서 길이를 길게하여 샤프트(105)의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스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샤프트(105)의 비틀림 토크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중량체(110)와 샤프트(105)의 고정은 치수차이를 이용하여 억지 결합을 하여도 될 것이나, 반복적인 스윙과 볼의 타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체(110)를 결합한 후에는 통상적으로 클럽을 캐디백에 역방향(헤드가 상측으로 향하는)으로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혹여 중량체(1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수단을 더 강구하게 되는 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스펀지 또는 우레탄폼을 중량체(110)의 후미에 충진시켜 중량체(110)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탈방지수단에 의한 중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중량체(110)의 중앙에는 축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홀(112)을 형성하여 스윙과정 중 볼을 타격하는 임펙트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중량체(110)의 외표면에도 축중심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슬로트(113)를 형성하여 충격과 진동의 흡수를 돕도록 하여도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체(110)의 외표면에 탄성재질의 완충재를 더 개재하여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면서 그 충격과 진동이 샤프트(105)를 통하여 플레이어가 손으로 잡고 있는 그립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샤프트(105)를 이용하여 골프클럽(100)을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샤프트(105)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 중량체(110)를 내장한 상태에서 샤프트(105)의 팁단부(102)에는 헤드(101)를 결합하고, 버트단부(103)에는 그립(104)을 결합하여 골프클럽(100)을 완성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105)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 위치의 내경(111)에 중량체(110)를 내장시켜 샤프트(105) 전체 무게의 변화는 없는 상태에서 스윙웨이트포인트(SP)위치 또는 그립(104) 위치에 구심력(CF)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플레이어가 스윙을 수행할 때 골프클럽을 쉽게 끌고 내려올 수 있으므로 자연스롭게 핸드퍼스트가 이루어지고 헤드가 뒤따라오는 헤드라스트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샤프트(105)의 전체 무게에 변화가 없는 것은, 일예로서 원래 샤프트(105)의 무게가 100g일 경우, 이보다 더 가벼운 무게인 70g의 샤프트로 교체하고, 원래 무게와 교체무게의 차이인 30g은 중량체(110)로 샤프트(105)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 내장시키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드라이버, 페어웨이우드, 하이브리드, 아이언, 웨지에 이르기 까지 골프클럽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헤드(101)와 그립(104)의 무게 변화는 없이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흔히 이야기 하는 헤드무게를 느끼지 못하거나 헤드밸런스가 깨지는 현상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105)를 만드는 과정에서 샤프트(105)의 전체 무게에 맞게 가벼운 샤프트를 채용한 후 가벼워진 만큼 중량체(110)를 샤프트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제조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골프클럽을 플레이어의 신체조건 등에 맞게 맞춤하는 피팅작업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105)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 내부에 중량체(110)를 내장한 샤프트(105)로 골프클럽(100)을 완성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장점들이 나타난다.
1. 샤프트(105)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 내장된 중량체(110)가 스윙 과정에서 샤프트(105)와 헤드가 흔들리거나 유동하는 현상을 잡아주고 비틀림토크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안정된 스윙을 유지할 수 있고 임펙트 순간 헤드의 스페이스면과 볼이 정확하게 타격되는 것을 도우게 되므로 볼이 극심하게 훅 또는 슬라이스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함과 더불어 비거리가 증가되게 된다.
2. 백스윙이 있은 후 다운스윙이 시작되고 임펙스 순간까지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 개재된 중량체(110)가 구심력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헤드(101) 보다는 그립(104) 즉, 핸드가 먼저 당겨져 자연스럽게 내려오고 뒤이어 헤드(101)가 따라서 내려오는 핸드퍼스트(Hand First) 후 헤드라스트(Head Last)를 통하여 임펙트가 이루어지는 정상스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캐스팅(Casting) 현상이나, 스쿠핑(Scooping)현상을 배제하여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
3. 핸드퍼스트에 의하여 헤드가 뒤따라 내려오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헤드스피드가 증가하게 되므로 임펙트 후 볼의 비거리가 늘어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중량체(110)를 스웽웨이트포인트(SP)에 내장하게 되므로 플레이어가 골프클럽을 잡았을 때 체감상 가벼운 느낌을 가지게 되므로 골프클럽의 컨트롤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4. 중량체에 의하여 비틀림토크와 유동을 잡아주고 핸드퍼스트와 헤드라스트가 가능하면서 스윗스팟에 임펙트가 가능하게 되므로 타감이 좋을 뿐 아니라 비거리 증가와 일정한 리듬과 템포를 유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골프클럽의 샤프트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심력과 원심력이 작용하는 파크골프는 물론, 야구배트, 테니스라켓, 배드민튼라켓, 게이트볼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100; 골프클럽
102; 팁단부
103; 버트단부
104; 그립
105; 샤프트
110; 중량체
SP; 스윙웨이트포인트

Claims (4)

  1. 볼을 타격하는 헤드(101)와, 상기 헤드(101)와 팁단부(102)가 결합되는 샤프트(105), 상기 샤프트(105)의 버트단부(103)에 결합되는 그립(104)으로 구성되는 골프클럽(100)에 있어서;
    상기 버트단부(103)에서 팁단부(102) 방향으로 14인치(35.36㎝) 위치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에 플레이어가 스윙하는 과정에서 그립(104)을 잡고 유지하는 구심력(Centripetal Force, CF)를 증대시켜 골프클럽(100)의 전체무게가 체감상 가볍게 느껴지도록 함으로서 골프클럽(100)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하여 캐스팅(Casting) 현상이나, 스쿠핑(Scooping)현상이 없이 임펙트 순간까지 핸드퍼스트(Hand First) 헤드라스트(Head Last)가 이루어지고, 비틀림토크를 저하시켜 안정된 스윙을 가능하게 하는 중량체(110)를 더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용 샤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110)는 샤프트(105)의 스윙웨이트포인트(SP) 위치 내부에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용 샤프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샤프트(105)를 경량화 하면서 원래 샤프트의 무게와 경량화한 샤프트의 무게 차이만큼으로하여 샤프트의 전체 무게에 변화는 없으면서 스윙웨이트포인트(SP)의 구심력(CF)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용 샤프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110)의 중앙 또는 외면에는 축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홀(112) 또는 슬로트(113)를 형성하여 스윙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상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용 샤프트.
KR1020170166682A 2017-12-06 2017-12-06 골프클럽용 샤프트 KR10213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82A KR102135186B1 (ko) 2017-12-06 2017-12-06 골프클럽용 샤프트
PCT/KR2018/015301 WO2019112313A1 (ko) 2017-12-06 2018-12-05 골프클럽용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82A KR102135186B1 (ko) 2017-12-06 2017-12-06 골프클럽용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858A true KR20190066858A (ko) 2019-06-14
KR102135186B1 KR102135186B1 (ko) 2020-07-17

Family

ID=6675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682A KR102135186B1 (ko) 2017-12-06 2017-12-06 골프클럽용 샤프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5186B1 (ko)
WO (1) WO20191123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78A1 (ko) * 2022-09-14 2024-03-21 이충헌 골프클럽용 샤프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6289A (en) * 1996-02-21 1998-02-10 Okoneski; Joseph R. Weighting of golf clubs
JPH11511670A (ja) * 1995-03-31 1999-10-12 ゴルフオロジィ インコーポレーテド ゴルフパター
KR200388314Y1 (ko) * 2005-02-07 2005-06-30 최인환 스윙 밸런스 조정이 가능한 골프크럽 샤프트
KR100654853B1 (ko) * 2005-12-12 2006-12-06 강병택 무게중심 이동조절수단이 구비된 퍼터용 골프채
KR20090118469A (ko) * 2008-05-14 2009-11-18 한국과학기술원 골프 클럽
US20100190570A1 (en) * 2005-08-25 2010-07-29 Edwin H. Adams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haft
KR20120113761A (ko) 2010-01-14 2012-10-15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내연 엔진용 신선 가스 공급 장치 및 이런 신선 가스 공급 장치의 작동 방법
KR101274178B1 (ko) * 2011-06-01 2013-06-13 도담디엔에스 주식회사 어깨 흔들림 방지 골프 퍼터 샤프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1670A (ja) * 1995-03-31 1999-10-12 ゴルフオロジィ インコーポレーテド ゴルフパター
US5716289A (en) * 1996-02-21 1998-02-10 Okoneski; Joseph R. Weighting of golf clubs
KR200388314Y1 (ko) * 2005-02-07 2005-06-30 최인환 스윙 밸런스 조정이 가능한 골프크럽 샤프트
US20100190570A1 (en) * 2005-08-25 2010-07-29 Edwin H. Adams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haft
KR100654853B1 (ko) * 2005-12-12 2006-12-06 강병택 무게중심 이동조절수단이 구비된 퍼터용 골프채
KR20090118469A (ko) * 2008-05-14 2009-11-18 한국과학기술원 골프 클럽
KR20120113761A (ko) 2010-01-14 2012-10-15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내연 엔진용 신선 가스 공급 장치 및 이런 신선 가스 공급 장치의 작동 방법
KR101274178B1 (ko) * 2011-06-01 2013-06-13 도담디엔에스 주식회사 어깨 흔들림 방지 골프 퍼터 샤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78A1 (ko) * 2022-09-14 2024-03-21 이충헌 골프클럽용 샤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313A1 (ko) 2019-06-13
KR102135186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6241B2 (en) Golf club assembly and golf club with sole plate
US4995609A (en) Iron golf club heads
US7507167B2 (en) Golf club head with multiple undercuts
US5067711A (en) Iron golf club heads
US7070512B2 (en) Golf club
US7244188B2 (en) Multi-piece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inertia
US8376878B2 (en) Golf club head having variable center of gravity location
US6309310B1 (en) Wood-type golf club heads provided with vertical grooves on hitting surface
JP2012024587A (ja) 漸進的な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セット
US6951517B2 (en) Putter-heads
EP2550998A1 (en) Golf club with selected length to weight ratio
KR101620521B1 (ko) 골프 퍼터
US20060009302A1 (en) Golf club
US5320347A (en) Iron golf club heads
US5222734A (en) Iron golf club heads
US7481718B2 (en) Golf club head with top line insert
JPH06285185A (ja) ゴルフクラブ及び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10493330B2 (en) Offset golf club head
US6231457B1 (en) Nodal controlled kick-point lightweight golf club shaft, club and method
KR20190066858A (ko) 골프클럽용 샤프트
JP2005198816A (ja) ゴルフクラブ
JPH11333037A (ja) ゴルフクラブ及び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200225371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2602631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JPH06104132B2 (ja)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6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514

Effective date: 2020062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