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276Y1 -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276Y1
KR200472276Y1 KR2020120006903U KR20120006903U KR200472276Y1 KR 200472276 Y1 KR200472276 Y1 KR 200472276Y1 KR 2020120006903 U KR2020120006903 U KR 2020120006903U KR 20120006903 U KR20120006903 U KR 20120006903U KR 200472276 Y1 KR200472276 Y1 KR 200472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wing
slide rod
ba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944U (ko
Inventor
양영성
Original Assignee
양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성 filed Critical 양영성
Priority to KR2020120006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27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2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는 슬라이드 봉(111)을 길게 형성하고 슬라이드 봉(111)의 후측에 그립(114)을 형성하며 그립(114)의 전단에 지지블록(112)을 결합하는 배트(110)와; 상기 배트(110)의 슬라이드 봉(111)에 결합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타격블록(120)과; 상기 슬라이드 봉(111)의 전단에 결합하여 타격블록(120)이 충돌하도록 하는 무게블록(130)으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배트(110)는 지지블록(112)의 전단에 자성체(113)를 결합하고, 상기 타격블록(120)은 배트(110)의 슬라이드 봉(111)에 슬라이드 공(121)을 끼워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지지블록(112)의 대응 면에 자성체(122)를 결합하므로; 스윙할 때 임팩트 위치에서 충격음을 발생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에너지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 현실감을 살려 효율적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Device for practising golf swing}
본 고안은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골프 스윙 연습에 현실감을 부여하여 연습효과를 향상시키고 즐기면서 골프 스윙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은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탑오브스윙(top of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우스로우(follow through), 피니쉬(finish)의 단계를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골프는 골프 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스윙 동작이 이상적이 여야 하고, 바람직한 스윙 동작을 이루기 위해서 골퍼들이 몸으로 익혀야 하는 원칙들이 많고, 그중에서도 기본적인 것은 스윙동작 중에 형성하는 클럽 헤드의 궤적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고, 이 평면이 공이 날아가는 방향과 평행이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골퍼는 어드레스 자세에서 허리 위의 몸을 약간 구부리고 팔은 지면과 거의 수직을 이루게 하고, 그리고 허리를 축선으로 몸의 중심을 회전시킨다.
더욱이, 골프 스윙시에 일정한 템포를 갖추는 것은 미스샷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고, 이러한 적당한 템포를 갖추면서 헤드 스피드를 빠르게 하는 것은 장타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템포를 갖추도록 스윙시에 일정한 템포로 음을 발생하도록 하는 일정주기의 음 발생기들을 이용하고, 스피드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헤드 무게를 크게 한 연습용 골프클럽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골프스윙시에 헤드 스피드는 임펙트 시에 가장 빠른 스피드를 내야하고 이러한 임펙트 시에 가장 빠른 헤드 스피드는 적절한 리듬을 갖는 유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나 종래의 연습용 골프클럽들은 템포 유지하기 위한 것과 헤드 스피드를 단순히 증대시키는 것들이 별도로 구비되어져 임팩트시에 가장 빠른 헤드 스피드의 구현이 어려웠다.
백스윙 동작, 백스윙 탑에서 다운스윙과 임팩트 및 피니시 동작까지의 다운 스윙동작을 리듬에 맞추어 적절하게 구사하면 골프공을 정확히 맞추고 멀리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이에 따라 골프에서 스윙 리듬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백스윙을 하는 힘에 의하여 골프 클럽은 다운스윙 지점에서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휘어지는 부분이 원위치 될 때 다운스윙을 실시하여야지 골프공을 정확히 타격하고 가장 멀리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초심자의 경우, 스윙 리듬이 맞추지 못하여 골프공을 정확히 타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6506호도 있으나 스윙 동작에 따른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주목적은 스윙할 때 임팩트 위치에서 충격음을 발생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에너지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 현실감을 살려 효율적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탑오브스윙과 다운스윙단계 등에서 스윙에 따른 고기저항 효과음이 발생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스윙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윙 속도와 스윙의 크기 등에 따라 충돌음 충돌에너지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적절하게 스윙 크기나 속도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스윙 파워 또는 스윙 속도에 따라 마찰력을 조절하여 탑오브스윙과 다운스윙을 거치면서 각기 다른 원심력이 인가되더라도 정확하게 임팩트 위치에서 충격음과 충돌에너지를 발생하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는 슬라이드 봉을 길게 형성하고 슬라이드 봉의 후측에 그립을 형성하며 그립의 전단에 지지블록을 결합하는 배트와; 상기 배트의 슬라이드 봉에 결합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타격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봉의 전단에 결합하여 타격블록이 충돌하도록 하는 무게블록으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배트는 지지블록의 전단에 자성체를 결합하고, 상기 타격블록은 배트의 슬라이드 봉에 슬라이드 공을 끼워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지지블록의 대응 면에 자성체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는 사용자가 연습용 기구로 스윙을 할 때, 탑오브스윙과 다운스윙 등을 거치면서 지지블록에 자력으로 부착된 타격블록에 원심력이 인가되어 임팩트 직전에 떨어져 임팩트 위치에서 타격블록이 무게블록을 타격하여 충격음을 발생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에너지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 현실감을 살려 효율적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윙에 따른 공기저항음이 발생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스윙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스윙 파워 또는 스윙 속도에 따라 마찰력을 조절하여 타격블록에 각기 다른 원심력이 인가되더라도 정확하게 임팩트 위치에서 타격블록이 무게블록을 타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를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전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100)는 슬라이드 봉(111)을 길게 형성하고 슬라이드 봉(111)의 후측에 그립(114)을 형성하며 그립(114)의 전단에 지지블록(112)을 결합하는 배트(110)와; 상기 배트(110)의 슬라이드 봉(111)에 결합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타격블록(120)과; 상기 슬라이드 봉(111)의 전단에 결합하여 타격블록(120)이 충돌하도록 하는 무게블록(130)으로 구성한다.
상기 배트(110)는 그립(114)의 전단에 지지블록(112)을 결합하되 지지블록(112)의 전단에 자성체(113)를 결합한다.
상기 타격블록(120)은 배트(110)의 슬라이드 봉(111)에 슬라이드 공(121)을 끼워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지지블록(112)의 대응 면에 자성체(122)를 결합하므로, 지지블록(112)에 밀착하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타격블록(120)은 측방으로 조절나사 공(123)을 천공하여 슬라이드 공(121)에 연통시키되 조절나사 공(123)의 내측 단부에 패드(124)를 삽입하고 조절나사 공(123)에 조절볼트(125)를 결합하여 패드(124)와 조절나사 공(123)에 끼워진 슬라이드 봉(111)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윙 크기나 속도에 따라 타격블록(120)의 이동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게블록(130)은 배트(110)의 슬라이드 봉(111) 전단에 결합하여 타격블록(120)에 대응하도록 하되 무게블록(130)의 대응 면에 충격흡수패킹(131)을 부착하여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어느 정도 흡수하면서 충격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무게블록(130)에는 횡으로 공기통로(132)를 한 개 이상 천공하여 스윙할 때 효과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연습용 기구(100)로 스윙을 할 때, 어드레스에서, 백스윙으로 이동하면, 타격블록(120)이 무게블록(130)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봉(111)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타격블록(120)의 자성체(122)와 지지블록(112)의 자성체(113)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붙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탑오브스윙과 다운스윙을 거치면서 지지블록(112)에 자성체(113,122)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 타격블록(120)에 원심력이 인가되어 임팩트 직전에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임팩트 위치에서 타격블록(120)의 전단이 무게블록(130) 타격하여 충격음을 발생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에너지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 현실감을 살려 효율적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임팩트 후 팔로우스로우와 피니쉬 단계 거쳐 한 번의 스윙 연습을 마무리한다.
한편, 무게블록(130)에 형성된 공기통로(132)를 통해 탑오브스윙과 다운스윙단계 등에서 스윙에 따른 효과음이 발생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스윙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무게블록(130)의 대응 면에 충격흡수패킹(131)이 부착되어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충격음을 발생시키므로 속도와 스윙의 크기 등에 따라 충돌음이 달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스윙 크기나 속도를 느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타격블록(120)의 조절나사 공(123)에 결합된 패드(124)를 조절볼트(125)로 조절하여 조절나사 공(123)에 끼워진 슬라이드 봉(111)과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스윙 파워 또는 스윙 속도에 따라 패드(124)와 슬라이드 봉(111)의 마찰력을 조절하므로, 탑오브스윙과 다운스윙을 거치면서 사용자에 따라 타격블록(120)에 각기 다른 원심력이 인가되더라도 정확하게 임팩트 직전에 타격블록(120)이 떨어져 임팩트 위치에서 타격블록(120)이 무게블록(130)을 타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연습용 기구 110 : 배트
111 : 슬라이드 봉 112 : 지지블록
113 : 자성체 114 : 그립
120 : 타격블록 121 : 슬라이드 공
122 : 자성체 123 : 조절나사 공
124 : 패드 125 : 조절볼트
130 : 무게블록 131 : 충격흡수패킹
132 : 공기통로

Claims (4)

  1. 슬라이드 봉(111)을 길게 형성하고 슬라이드 봉(111)의 후측에 그립(114)을 형성하며 그립(114)의 전단에 지지블록(112)을 결합하는 배트(110)와;
    상기 배트(110)의 슬라이드 봉(111)에 결합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타격블록(120)과;
    상기 슬라이드 봉(111)의 전단에 결합하여 타격블록(120)이 충돌하도록 하는 무게블록(130)으로 구성하되:
    상기 배트(110)는 지지블록(112)의 전단에 자성체(113)를 결합하고, 상기 타격블록(120)은 배트(110)의 슬라이드 봉(111)에 슬라이드 공(121)을 끼워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지지블록(112)의 대응 면에 자성체(122)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블록(120)은 측방으로 조절나사 공(123)을 천공하여 슬라이드 공(121)에 연통시키되 조절나사 공(123)의 내측 단부에 패드(124)를 삽입하고 조절나사 공(123)에 조절볼트(125)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블록(130)은 타격블록(120)의 대응 면에 충격흡수패킹(131)을 부착하고, 횡으로 공기통로(132)를 한 개 이상 천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4. 삭제
KR2020120006903U 2012-08-01 2012-08-01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KR200472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03U KR200472276Y1 (ko) 2012-08-01 2012-08-01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03U KR200472276Y1 (ko) 2012-08-01 2012-08-01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44U KR20140000944U (ko) 2014-02-11
KR200472276Y1 true KR200472276Y1 (ko) 2014-04-17

Family

ID=5148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903U KR200472276Y1 (ko) 2012-08-01 2012-08-01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96B1 (ko) * 2020-09-18 2021-07-06 강성철 상하회동 및 축회전이 가능한 손잡이부가 구비된 골프퍼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116B1 (ko) * 2020-11-13 2022-09-08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607060B1 (ko) * 2021-07-06 2023-11-29 길근택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2296958B1 (ko) * 2021-07-07 2021-09-01 최승진 무게중심 가변형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405500B1 (ko) * 2021-12-17 2022-06-07 (주)패션플라잉 골프스윙연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848A (ko) * 1999-05-14 1999-08-05 이성호 연습용 골프채
KR20060025532A (ko) * 2003-05-22 2006-03-21 스윙 킹, 엘엘씨 골프스윙연습장치 및 방법
KR100832098B1 (ko) * 2006-11-24 2008-05-27 최광현 연습용 골프채
KR100982482B1 (ko)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848A (ko) * 1999-05-14 1999-08-05 이성호 연습용 골프채
KR20060025532A (ko) * 2003-05-22 2006-03-21 스윙 킹, 엘엘씨 골프스윙연습장치 및 방법
KR100832098B1 (ko) * 2006-11-24 2008-05-27 최광현 연습용 골프채
KR100982482B1 (ko)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96B1 (ko) * 2020-09-18 2021-07-06 강성철 상하회동 및 축회전이 가능한 손잡이부가 구비된 골프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44U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888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982482B1 (ko)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200472276Y1 (ko)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US20170291090A1 (en) Golf swing trainer
KR101388527B1 (ko)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CN204034227U (zh) 一种带可旋转网球的网球训练器
US8282500B1 (en) Golf performance aid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helping a golfer achieve a desirable golf swing
WO2004056423A3 (en) Golf putting machine and method
KR20200040631A (ko) 휴대용 골프스윙 임펙트 및 릴리즈 연습기
KR10080223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CN201939983U (zh) 一种乒乓球、网球或壁球击球力量训练器
JP6474497B2 (ja) ダウンブロースイング演習装置
JP2022076033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200432280Y1 (ko) 골프용 스윙 연습장치
WO2004039463A8 (ja) グラヴィティ ルールを実感するゴルフクラブ
KR101120849B1 (ko) 퍼팅 연습 장치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10724B1 (ko)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20090005941A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200438971Y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JP3188636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JP3125158U (ja) ゴルフクラブ
KR101288959B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CN203253134U (zh) 一种网球反手击球技术动作辅助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