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500B1 - 골프스윙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스윙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500B1
KR102405500B1 KR1020210181516A KR20210181516A KR102405500B1 KR 102405500 B1 KR102405500 B1 KR 102405500B1 KR 1020210181516 A KR1020210181516 A KR 1020210181516A KR 20210181516 A KR20210181516 A KR 20210181516A KR 102405500 B1 KR102405500 B1 KR 10240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aft
region
holder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태혁
Original Assignee
(주)패션플라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패션플라잉 filed Critical (주)패션플라잉
Priority to KR102021018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8Normal golf clubs with directly attach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단에 배치된 그립을 포함하는 샤프트; 샤프트의 전단에 배치되는 홀더;및 샤프트에 삽입되어, 그립과 샤프트 사이에서,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웨이트를 포함하고, 샤프트는 그립과 연결되는 제1 영역과, 홀더와 연결되며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을 향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하고, 제2 영역은 홀더를 향할수록 외경이 증가하고, 제2 영역의 최대 외경은 제1 영역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제1 웨이트의 내경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하여, 샤프트에 대한 제1 웨이트의 마찰력이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을 향할수록 감소하고, 제2 영역에서 홀더를 향할수록 증가하는 골프스윙연습기를 제공하고, 여기서 샤프트는 샤프트의 제1 지점에 배치되어 있는 웨이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그립은 센서와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웨이트가 이동하여 제1 지점에서 웨이트가 감지하면 스피커를 통해 소리가 발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운 스윙시에 캐스팅이 되어 코킹이 미리 풀어지는지 또는 허리 부근에서 코킹이 풀어지는지를 소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다운 스윙 때 최대한 많이 끌고 내려와 코킹을 풀어주고 샤프트를 던지는 느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스윙연습기{Golf swing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골프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백스윙 탑에서, 다운 스윙 때 최대한 많이 끌고 내려와 코킹을 풀어주는 스윙 연습할 수 있는 골프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는 코킹은 비거리를 늘리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비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다운 스윙 때, 손목을 꺽어 코킹을 유지하면서 최대한 끌어 내리고, 임팩트 존에서 코킹을 빠르게 풀어주는게 핵심이다.
그러나 골프 초보자들은 코킹이 다운 스윙과정에 캐스팅되어 미리 풀리면서, 샤프트를 충분히 릴리즈하여 던지지 못하기 때문에, 스윙에 힘이 들어가고 충분한 헤드 스피드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골프채의 경우, 그립이 포함된 샤프트와, 샤프트의 끝단에 배치되는 헤드를 포함한다. 헤드는 공이 맞는 부분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골프채의 경우,
코킹을 유지하면서 허리부근까지 샤프트를 최대한 끌어내리는 느낌을 가지기 어렵다. 일반적인 골프채로 연습하는 경우, 코킹이 미리 풀리는 느낌을 느끼기 어려워 본인 스윙의 문제점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21-0023135호(2021.03.04,공개)에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스윙 연습용 골프채를 개시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연습용 골프채는 임팩트 존에서 코킹을 빠르게 풀어 샤프트를 던지는 느낌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21-0023135호(2021.03.04,공개)
본 발명은, 백스윙 탑에서, 다운 스윙 때 최대한 많이 끌고 내려와 코킹을 풀어주는 스윙 연습할 수 있는 골프스윙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후단에 배치된 그립을 포함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전단에 배치되는 홀더 및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그립과 연결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을 향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홀더를 향할수록 외경이 증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최대 외경은 상기 제1 영역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웨이트의 내경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하여, 상기 샤프트에 대한 상기 제1 웨이트의 마찰력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을 향할수록 감소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홀더를 향할수록 증가하는 골프스윙연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웨이트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제1 웨이트의 중량에 기초하여 스윙 파워를 산출하는 파워산출부와, 상기 파워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웨이트의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스윙 스피드를 산출하는 스피드 산출부와, 산출된 상기 스윙 파워와 상기 스윙 스피드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신축시 복원력을 갖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상기 홀더의 일측단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이트는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제1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웨이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은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이트가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웨이트가 감지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그립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의 길이는, 상기 웨이트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는, 다운 스윙 때 최대한 많이 끌고 내려와 코킹을 풀어주고 샤프트를 던지는 느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코킹이 풀어지는 것을 소리를 통해 알 수 있어, 스윙 연습의 효과가 높인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샤프트에 대한 제1 웨이트의 마찰력이 샤프트의 그립부근과 홀더부근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그 이외의 영역은 샤프트에 대한 홀더의 마찰력을 작게 형성시켜, 다운스윙 과정에서 제1 웨이트가 그립부근에 위치하고, 임팩트 후 샤프트를 던질 때, 제1 웨이트가 홀더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코킹을 푸는 느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스윙 파워와 스윙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홀더에 제2 웨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중량을 갖는 제2 웨이트를 사용하여 홀더의 무게를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마그넷의 자력을 통해, 어드레스 할 때, 자중에 의해, 제1 웨이트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골프스윙연습기를 이용한 스윙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웨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샤프트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홀더의 측단면도,
도 6은 자력을 통해 고정되는 그립과 제1 웨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웨이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골프스윙연습기는, 샤프트(100)와, 홀더(200)와, 제1 웨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0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샤프트(100)의 상단에는 그립(110)이 형성된다. 샤프트(100)의 하단에는 홀더(200)가 결합된다.
홀더(200)는 샤프트(100)의 끝단에 배치되어, 샤프트(100)의 끝단에서 하중을 부여하고, 제1 웨이트(300)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제1 웨이트(300)는 샤프트(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웨이트(300)는, 그립(110)과 홀더(200) 사이에서, 샤프트(100)를 따라 이동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골프스윙연습기를 이용한 스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와 같이 백스윙 탑에서는, 제1 웨이트(300)가 그립(110) 부근에 위치한다. 도 2의 B와 같이 백스윙 탑에서 다운 스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제1 웨이트(300)가 그립(110) 부근에 위치한다. 이후, 임팩트 존을 지나서, 릴리즈가 되면, 제1 웨이트(300)가 샤프트(100)를 따라 홀더(200)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웨이트(300)가 홀더(200)에 맞닿으면서, 사용자의 전방에서 제1 웨이트(300)가 홀더(200)에 부딪히는 충격을 느끼고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골프스윙연습기는, 다운 스윙 때 코킹을 유지한 채, 최대한 많이 끌고 내려와 코킹을 풀어주는 스윙 연습할 수 있다. 특히, 다운스윙 과정에서 제1 웨이트(300)가 그립(110)부근에 위치하고, 임팩트 후 샤프트(100)를 던질 때, 제1 웨이트(300)가 홀더(200)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코킹을 푸는 느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제1 웨이트(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웨이트(300)는 중심에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00)는 홀(H)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1 웨이트(300)는 샤프트(100)를 따라 이동한다.
도 4는 샤프트(100)의 제1 영역(100A)과 제2 영역(100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샤프트(100)는 그립(110)과 연결되는 제1 영역(100A)과, 홀더(200)와 연결되며 제1 영역(100A)과 연결되는 제2 영역(1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100A)은 제2 영역(100B)을 향할수록 외경(D1)이 감소하도록 형성하고, 제2 영역(100B)은 홀더(200)를 향할수록 외경(D2)이 증가하고, 제2 영역(100B)의 최대 외경은 제1 영역(100A)의 최대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샤프트(100)에 대한 제1 웨이트(300)의 마찰력이 제1 영역(100A)에서 제2 영역(100B)을 향할수록 감소하고, 제2 영역(100B)에서 홀더(200)를 향할수록 증가한다. 이는, 다운스윙 과정에서 제1 웨이트(300)가 그립(110)부근에 위치하도록 샤프트(100)와 제1 웨이트(300)의 마찰력을 확보하고, 임팩트 후, 샤프트(100)를 던질 때, 제1 웨이트(300)가 홀더(200)에 너무 강하게 부딪히지 않고, 제1 웨이트(300)가 반력으로 홀더(200)에서 튀어나오지 않도록 홀더(200) 부근에서 제1 웨이트(300)와 샤프트(100)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홀더(200)의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200)는, 홀더 바디(210)와 완충부(220)와 제2 웨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220)는 홀더 바디(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웨이트(230)는 홀더 바디(2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220)는 제1 웨이트(300)가 홀더(200)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220)가 신축하기 때문에, 제1 웨이트(300)에 의한 충격에 의해 홀더(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제2 웨이트(230)는 홀더 바디(21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스윙 파워와 스윙 스피드에 대응하여, 중량이 상한 제2 웨이트(230)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홀더(200)는 파워산출부(201)와, 스피드 산출부(202)와, 통신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산출부(201)는, 제1 웨이트(30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과 제1 웨이트(300)의 중량에 기초하여 스윙 파워를 산출한다.
스피드 산출부(202)는, 파워산출부(201)에 연결되어, 제1 웨이트(300)의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스윙 스피드를 산출한다.
통신부(203)는, 산출된 스윙 파워와 스윙 스피드를 무선으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스윙 파워나 스윙 스피드를 확인할 수 있다.
파워산출부(201)에서 산출된 스윙 파워는 스피드 산출부(202)에 전달된다. 스피드 산출부(202)는, 제1 웨이트(300)의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스윙 스피드를 산출한다. 산출된 스윙 파워와 스윙 스피드를 통신부(203)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로 송신된다.
도 6은 자력을 통해 고정되는 그립(110)과 제1 웨이트(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웨이트(300)는 일측단에 배치되는 마그넷(301)를 포함한다. 그립(110)은 마그넷(301)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자성체(M)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301)의 자력에 의해, 제1 웨이트(300)가 그립(110)에 고정되기 때문에, 어드레스 할 때, 자중에 의해, 제1 웨이트(300)가 밑으로 흘러 내려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은 제1 웨이트(3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샤프트100)는 제1 웨이트(3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SE)와, 센서(SE)와 연결되는 스피커(SP)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SE)는 샤프트(100)의 제1 지점(P1)에 배치된다. 제1 지점(P1)은 그립(110)과 이격된 지점으로서, 그립(110)의 선단에서 제1 지점(P1)까지의 길이(W2)는, 제1 웨이트(300)의 길이(W1)보다 크다. 즉, 제1 웨이트(300)가 그립(110)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지점(P1)은 제1 웨이트(300)의 전방에 위치한다. 스피커(SP)는 그립(110)의 끝단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웨이트(300)가 그립(110)에 붙어 있는 경우, 제1 웨이트(300)는 센서(SE)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다.
도 7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윙 과정 중에 코킹이 풀려, 제1 웨이트(300)가 제1 지점(P1)을 지나는 경우, 센서(SE)가 제1 웨이트(300)를 감지하고, 스피커(SP)를 통해 소리가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캐스팅이 되어 코킹이 미리 풀어지는 지, 허리 부근에서 코킹이 풀어지는지를 소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샤프트
110: 그립
200: 홀더
201: 파워산출부
202: 스피드 산출부
203: 통신부
210: 홀더 바디
220: 완충부
230: 제2 웨이트
300: 제1 웨이트
SE: 센서
SP: 스피커

Claims (5)

  1. 후단에 배치된 그립을 포함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전단에 배치되는 홀더;및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그립과 연결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을 향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홀더를 향할수록 외경이 증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최대 외경은 상기 제1 영역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웨이트의 내경은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하여, 상기 샤프트에 대한 상기 제1 웨이트의 마찰력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을 향할수록 감소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홀더를 향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웨이트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제1 웨이트의 중량에 기초하여 스윙 파워를 산출하는 파워산출부와, 상기 파워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웨이트의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스윙 스피드를 산출하는 스피드 산출부와, 산출된 상기 스윙 파워와 상기 스윙 스피드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은 상기 홀더의 일측단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이트는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제1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웨이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은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가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웨이트가 감지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그립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의 길이는, 상기 웨이트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홀더는, 홀더 바디와 완충부와 제2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웨이트는 상기 홀더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는 신축시 복원력을 갖고, 상기 제2 웨이트는 홀더 바디에 회전 체결되고,
    상기 제1 웨이트가 상기 그립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1 웨이트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웨이트가 상기 그립에 붙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웨이트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골프스윙연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81516A 2021-12-17 2021-12-17 골프스윙연습기 KR10240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516A KR102405500B1 (ko) 2021-12-17 2021-12-17 골프스윙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516A KR102405500B1 (ko) 2021-12-17 2021-12-17 골프스윙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500B1 true KR102405500B1 (ko) 2022-06-07

Family

ID=8198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516A KR102405500B1 (ko) 2021-12-17 2021-12-17 골프스윙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5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950A (ko) * 2008-12-01 2010-06-10 이동기 연습용 골프클럽
JP2011083356A (ja) * 2009-10-14 2011-04-28 Susumu Sarutani スイング練習装置
KR20140000944U (ko) * 2012-08-01 2014-02-11 양영성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KR20190021597A (ko) * 2017-08-23 2019-03-06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스윙 스피드 가변형 스마트 스윙 연습기 및 스마트 스윙 연습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10023135A (ko) 2019-08-22 2021-03-04 이은율 스윙 연습용 골프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950A (ko) * 2008-12-01 2010-06-10 이동기 연습용 골프클럽
JP2011083356A (ja) * 2009-10-14 2011-04-28 Susumu Sarutani スイング練習装置
KR20140000944U (ko) * 2012-08-01 2014-02-11 양영성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KR20190021597A (ko) * 2017-08-23 2019-03-06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스윙 스피드 가변형 스마트 스윙 연습기 및 스마트 스윙 연습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10023135A (ko) 2019-08-22 2021-03-04 이은율 스윙 연습용 골프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595B2 (en) Golf training aid
JP2020036979A5 (ko)
US8540584B1 (en) Swing speed trainer
KR101691958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7618328B2 (en) Golf swing trainer
US5769734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WO1999065574A3 (en) An apparatus to aid colfers achieve a consistent golf swing
US9687718B1 (en) Swing speed trainer
KR20060025532A (ko) 골프스윙연습장치 및 방법
KR102162000B1 (ko) 스윙 훈련 디바이스
JPS59209370A (ja) ゴルフア−のスウイング機構改良装置
US9227130B1 (en) Tennis training device
KR102405500B1 (ko) 골프스윙연습기
GB2318982A (en) Golf club with sensors
US20170007897A1 (en) Baseball Training Device
KR100489838B1 (ko) 골프스윙보조장치
KR100919936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135186B1 (ko) 골프클럽용 샤프트
US10010777B1 (en) Bat sw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531160B1 (ko) 골프클럽 헤드용 스포일러
KR101733841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WO2002087702A3 (en) Apparatus for projecting a golf ball
US20050170902A1 (en) Swing trainer
US5160143A (en) Golf stroke training aid
JP3104132U (ja) 飛距離と方向性を改善した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