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849B1 - 퍼팅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퍼팅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849B1
KR101120849B1 KR1020090048143A KR20090048143A KR101120849B1 KR 101120849 B1 KR101120849 B1 KR 101120849B1 KR 1020090048143 A KR1020090048143 A KR 1020090048143A KR 20090048143 A KR20090048143 A KR 20090048143A KR 101120849 B1 KR101120849 B1 KR 10112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mat
rope
magnetic material
putt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539A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09004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84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퍼팅 매트 내부에 설치되는 릴 기구에 감겨져서 인출 가능하게 되는 로프가 퍼팅 매트에 형성된 인출홈을 통하여 노출되어 타격구에 고정됨으로서 퍼팅 헤드로 상기 타격구를 경타하는 퍼팅 연습을 반복적으로 숙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igure 112009033004182-pat00001
골프, 퍼팅

Description

퍼팅 연습 장치 {The putting practice system}
본 발명은 골프 입문자가 스스로 자세 교정을 할 수 있는 골프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프 연습자가 스윙 궤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연습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퍼팅시의 올바른 자세를 빠른 시일 내에 교정할 수 있는 퍼팅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을 경타하는 퍼팅은 골프공을 홀에 넣는 최종적인 과정으로서 신중한 타격 자세를 요구한다. 올바른 스윙 준비 자세로는, 먼저 골프공의 윗부분에 시선을 두면서, 양쪽의 눈을 타켓 라인과 평행하게 유지하고, 어깨를 타켓 라인과 평행하게 유지하여야 하며, 퍼터 헤드의 전면 중심선이 타켓 라인에서 골프공의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필드와 퍼터 헤드 사이의 거리는 최대한으로 근접되어야 한다. 즉 퍼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헤드가 공 정면을 정확하게 임팩트를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퍼터 헤드가 목표 후방으로 이동될 때 지면과 최대한 낮게 유지되는 것이 가장 좋은 스윙궤도가 만들어지게 된다. 즉 헤드가 바닥면에서 2mm~5m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스윙 궤도를 이루도록 숙달되어야 정확한 임팩트를 구사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코치로부터 지속적인 지도와 반복 연습을 통하여 숙달될 수 있다.
종래에 초보자들은 퍼팅연습을 하기 위해서 실내에 설치되는 가상 타켓에 대하여 반복연습을 행하는 과정에서 코치의 지도를 받으면서 자세 교정을 하였다. 이 경우 교수자가 전적으로 연습자의 교정을 지도하는 것은 여러 가지 여건상 불가능하여 초보자가 정확한 퍼팅자세를 빠른 시일 내에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랜 시일이 지나야 비교적 정확한 퍼팅자세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골프공을 경타하는 순간에 필드와 퍼터 헤드 사이의 거리는 최대한으로 가까워야 하는데, 경타 순간에 필드와 퍼터 헤드 사이의 거리는 코치도 정확히 알 수 없어서 빠른 시일 내에 효과적인 연습 효과를 거둘 수 없다.
골프가 점차 대중화되어감에 따라 초보자가 스스로 골프 연습을 할 수 있게 한 장치가 다양하게 보급되었다. 하나의 일례로서 스윙 연습 과정에서 골퍼 스스로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골퍼가 자신의 자세를 거울에 비추어 볼 수 있어 스윙자세를 교정하면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 있으나, 이는 스스로 퍼팅 정확도를 인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골프 연습 장치는 단지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연습 장치로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져야 하는 자세 교정을 스스로 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이어서, 대부분의 골프 초심자들은 교수자의 지도를 통해서만 자세 교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초보자가 정확한 스윙자세를 빠른 시일 내에 습득 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골프를 즐기기 위한 것과 잘치기 위한 방법이 수없이 많은 이론이 있고, 그 이론에 근거하여 많은 연습을 필요로 하지만 골프를 잘치기 위한 중요한 요소를 꼭 지켜야 하는데, 아무런 도움없이 지켜야 할 사항을 혼자서 습득하기에는 사실 어려운 면이 있지만 좀 더 과학적으로 접근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골프 연습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든다면 골프를 정확하게 구사하거나 퍼팅을 잘하기 위해서 꼭 지켜야 할 사항을 습관화시키기 위해서는 골프 연습을 위한 보조기구가 필요하며,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정확한 골프 이론에 부합되는 골프 스윙을 습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퍼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헤드가 공 정면을 정확하게 임팩트를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퍼터 헤드가 목표 후방으로 이동될 때 지면과 최대한 낮게 유지되는 것이 가장 좋은 스윙궤도가 만들어지게 된다. 즉 헤드가 바닥면에서 2mm~5m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스윙 궤도를 이루도록 숙달되어야 정확한 임팩트를 구사할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렇게 정확한 스윙 궤도와 임팩트를 구사할 수 있게 하는 교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퍼팅 연습 장치는 :
퍼팅 매트;
상기 퍼팅 매트 내부에 설치되는 릴 기구;
상기 릴 기구에 인출 가능하게 권취되어 상기 퍼팅 매트의 상부로 인출되는 로프;
상기 로프의 단부에 고정되어 퍼팅 매트 상에서 이동하는 타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로프가 인출되는 퍼팅 매트의 인출홈 주변이 자성체로 형성되면서, 타격구의 상부면은 상기 퍼팅 매트의 자성체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로프가 고정되는 하부면은 퍼팅 매트의 자성체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퍼팅 매트 위에 놓여지는 타격구가 퍼팅 매트 내부에 설치되는 릴 기구에 권취되는 로프의 단부에 매달려서 타격 후 원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되어 퍼팅 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조적으로 설치되어 타격 후 원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타격구가 설치되어 퍼팅 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윙 궤도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면에서 2~5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스윙궤도를 이루도록 숙련이 되게 함으로서 정확한 스윙궤도와 임펙트를 이룰 수 있게 하는 반복 연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팅 연습 장치는 퍼팅 매트(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릴 기구(20)와, 퍼팅 매트(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타격구(30)로 구성된다.
퍼팅 매트(10)는 상부면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인출홈(100)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릴 기구(20)가 설치된다. 상기 인출홈(100)의 주변은 타격구(20)가 퍼팅 위치에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자성체(101)가 형성되어 있다.
릴 기구(20)는 공지된 구성과 같이 스파이어럴 스프링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토오크가 작용하는 권취구(도시되지 아니함)에 감겨져서 로프(200)의 한쪽 단부가 고정되면서 권취되어 있다.
로프(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쪽 단부가 릴 기구(20)의 권취구에 감 겨지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타격구(30)가 고정되어 인출되고 권취되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타격구(30)는 납작한 원판형으로 크기가 제한되지는 않지만 직경은 약 2Cm이고, 두께는 약 2~3m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주면에는 퍼팅 헤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로 되는 완충재(300)가 피복되어 있고 중앙 부위에 로프(200)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릴 기구(20)의 로프(200)가 퍼팅 매트(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인출홈(100)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타격구(3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타격구(20)는 로프(200)가 고정된 하부면이 퍼팅 매트(10)와 접촉하게 되는데, 하부면에는 항상 퍼팅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퍼팅 매트(10)에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101)와 다른 극성을 가진 자성체(301)가 형성되고 상부면은 상기 자성체(101)와 극성이 같은 자성체(30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퍼팅 연습 장치는 퍼팅 매트(10) 내부에 설치되는 릴 기구(20)에 권취되는 로프(200)의 단부가 퍼팅 매트(10) 상부로 인출되어, 퍼팅 매트(10) 위에 놓여지는 타격구(30)에 고정됨으로써 타격구(30)가 헤드(H)로 타격되어 이동할 때에 릴 기구(20)로부터 로프(200)가 인출되고, 타격력이 소멸되면 릴 기구(20)의 복귀력에 의하여 로프(200)가 감겨지면서 타격구(30)가 원래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됨으로써 퍼팅 연습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타격구(30)의 하부면이 매트(10)의 인출홈(100) 주변에 형성된 자성 체(101)와 극성이 다른 자성체(301)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은 자성체(101)와 동일한 극성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타격구(30)가 정위치에 정확하게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타격구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퍼팅 매트 20 : 릴 기구
30 : 타격구 100 : 인출홈
101 : 자성체 200 : 로프
300 : 완충재 301 : 자성체
301 : 자성체

Claims (2)

  1.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인출홈이 형성되는 퍼팅 매트와, 상기 퍼팅 매트 내부에 설치되는 릴 기구와, 상기 릴 기구에 인출가능하게 권취되어 상기 퍼팅 매트의 인출홈을 통하여 상부로 인출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고정되어 퍼팅 매트 상에서 이동하는 타격구를 포함하는 공지된 퍼팅 연습 장치에 있어서,
    로프가 인출되는 퍼팅 매트의 인출홈 주변이 자성체로 형성되면서, 타격구의 상부면은 상기 퍼팅 매트의 자성체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로프가 고정되는 하부면은 퍼팅 매트의 자성체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퍼팅 연습 장치.
  2. 삭제
KR1020090048143A 2009-06-01 2009-06-01 퍼팅 연습 장치 KR10112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43A KR101120849B1 (ko) 2009-06-01 2009-06-01 퍼팅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43A KR101120849B1 (ko) 2009-06-01 2009-06-01 퍼팅 연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39A KR20100129539A (ko) 2010-12-09
KR101120849B1 true KR101120849B1 (ko) 2012-03-19

Family

ID=4350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43A KR101120849B1 (ko) 2009-06-01 2009-06-01 퍼팅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14Y1 (ko) 2013-07-26 2014-08-27 김학출 골프 연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57B1 (ko) * 2019-04-29 2021-03-19 이진아 마그네트를 이용한 골프퍼팅 연습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5230A (en) * 1977-05-25 1978-11-14 Fischer George J Golf ball retrieval apparatus
JPH067771U (ja) * 1992-07-02 1994-02-01 昌男 村田 ゴルフ練習器具
KR20070000169A (ko) * 2005-06-27 2007-01-02 주식회사 에이치엘지스포츠 휴대용 골프 연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5230A (en) * 1977-05-25 1978-11-14 Fischer George J Golf ball retrieval apparatus
JPH067771U (ja) * 1992-07-02 1994-02-01 昌男 村田 ゴルフ練習器具
KR20070000169A (ko) * 2005-06-27 2007-01-02 주식회사 에이치엘지스포츠 휴대용 골프 연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14Y1 (ko) 2013-07-26 2014-08-27 김학출 골프 연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39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2165A (ko) 골프공 마킹장치
US10695641B2 (en) Golf training aid to help golfers achieve the correct angle-of-attack
US8100778B2 (en) Golf training device
KR101120849B1 (ko) 퍼팅 연습 장치
US9468829B2 (en) 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swing system
CA2995527A1 (en) Golf tee for guiding a ball
JP5739942B2 (ja) スイング補助装置
KR101720671B1 (ko) 골프스윙 보조기구
US2862714A (en) Golf tee and practice device
KR200311959Y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101781892B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JP2008295911A (ja) ゴルフ練習器
JP3188636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1718133B1 (ko) 더프샷 방지용 골프채
JP2014030691A (ja) スイング補助装置およびその補助フレーム
KR200469230Y1 (ko) 골프연습용 매트
JP3208531U (ja) ゴルフボール保持具
AU2016310660B2 (en) A golf teaching set in the form of a subconscious habit
US20080234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golf
KR20160079550A (ko) 골프 스윙연습 매트
KR200459923Y1 (ko) 골프클럽 페이스 보조 장치
KR20190012901A (ko) 골프스윙 연습장치
JP3154891U (ja) ゴルフクラブのフェースアシスト装置
KR20150001269U (ko) 골프스윙 연습용 배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