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550A - 골프 스윙연습 매트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연습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550A
KR20160079550A KR1020140191069A KR20140191069A KR20160079550A KR 20160079550 A KR20160079550 A KR 20160079550A KR 1020140191069 A KR1020140191069 A KR 1020140191069A KR 20140191069 A KR20140191069 A KR 20140191069A KR 20160079550 A KR20160079550 A KR 2016007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support
distance
sw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14019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9550A/ko
Publication of KR2016007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에 인조잔디가 식재된 매트와;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지지판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입설된 돌봉과, 상기 돌봉의 표면 중앙 내측에서 하부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높이설정부재를 지지하는 세로지지공을 갖고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 위 측에서 타구가 날아가는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된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와; 상기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와 일정한 거리를 둔 후방에 설치되어 골프공을 올려두는 고무티와;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지지판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입설된 돌봉과 상기 돌봉의 표면 중앙 내측에서 하부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거리표시(tee)를 지지하는 세로지지공과, 외벽 상부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거리표시 티(ree)를 지지하는 가로지지공을 갖고 상기 고무티와 일정한 거리를 둔 후방 백스윙방향의 매트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 위 측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에 복수 개 이상으로 설치된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와; 상기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와 상기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의 세로지지공 및 가로지지공에 끼워져 지지되는 거리표시 티(te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골프 연습스윙 매트에서 스윙에 가장 중요한 과학적인 구체적 기본동작을 표식하여 초보자나 일반 골퍼가 스윙을 할 때마다 기본동작에 따라 스윙이 이루어지게 하고 스윙을 하고 난 후에 방금 한 스윙이 기본동작에 맞게 되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 실력을 스스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 스윙연습 매트{golf swing practice mat}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음 골프를 배우는 사람 또는 일반 골퍼들이 프로와 같은 실력으로 공을 칠 수 있게 스윙을 스스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골프 스윙연습 매트에 골프채 길이 차이에 따라 골프채를 들어올릴(Takeaway, Backswing) 때와 내려칠(Downswing) 때 지켜야할 스윙(Swing)의 구체적인 기본동작기준을 표식하여 기본 동작기준에 따라 반복 연습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프로선수와 같은 좋은 구질의 공을 칠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연습 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코스에 정지한 공을 클럽으로 타격하여 정해진 위치에 만들어진 홀(hole)에 집어넣고 그리고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가리는 경기를 말한다. 골프공을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보내기 위하여 골퍼는 스윙 동작을 통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게 된다. 골프공을 골퍼가 원하는 위치로 보내기 위하여 정확한 스윙 동작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골퍼들은 스윙 동작 연습 및 교정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
골프 스윙은 백스윙(backswing-takeaway), 톱 스윙(transition), 다운 스윙(downswing), 임팩트(impact-hitting zone), 팔로우 스루(followthrough) 및 마무리(finish)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은 하나의 입체 궤적을 형성하고 적절한 정형화된 입체 궤적을 형성하는 경우 골프공을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타격해서 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적절한 입체 궤적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형화된 자세(Swing Form)가 요구되므로 골퍼들은 정형화된 자세를 형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게 되고 그리고 이와 같은 자세 형성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스윙연습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도 다양한 골프 스윙 연습매트가 제안된바 있으나, 스윙궤도에 골프채의 길이에 따라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지침 되고 골퍼가 스윙연습을 하면서 스윙 후 바로 자신의 스윙동작이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매트는 제안된 바 없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에 개재된 특허등록제0826127호(공고일자 : 2008. 05. 22) "골프 퍼팅 거리별 표준 연습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골프 퍼팅 거리별 표준 연습매트"는 매트 상단에 퍼터의 백스윙과 팔로우스윙의 범위를 정하는 퍼팅거리 설명매트를 일측단에 구성하고, 퍼팅거리설명매트의 내측으로 포함하며, 수평으로 퍼터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한계선을 설치할 수 있는 퍼팅가이더를 구성하여 퍼터의 스윙 궤적을 제한하여 궤적에 따른 볼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며 퍼팅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골프 퍼팅 거리별 표준 연습매트"는 수직방향으로 백스윙과 팔로우스윙의 범위선이 볼의 기준점 앞뒤로 구성된 퍼팅거리설명매트에 있어서, 퍼팅거리설명매트의 거리 범위선 즉, 홀컵까지의 거리에 따른 백스윙과 팔로우스윙의 한계선(범위선)의 직각방향의 양측으로 수평되게 돌출 구성되고, 상부면으로 거리 범위선의 위치에 맞추어 스윙궤적을 제한할 수 있는 스윙한계선이 구비된 퍼팅가이더를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된 스윙한계선 내부에서 스윙궤적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골프 퍼팅 거리별 표준 연습 매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 퍼팅 거리별 표준 연습매트"는 퍼팅거리설명매트의 지정된 볼의 위치부를 기준으로 볼을 위치시키거나, 임의로 있다고 생각하고, 원하는 거리에 따라 그래프와 일치하게 스윙한계선을 고정시킨 후, 팔로우스윙과 백스윙의 범위를 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골프채를 백스윙할 때, 퍼팅가이더 또는 스윙한계선에 골프채가 접촉되어 바르고 정확한 스윙연습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 퍼팅 거리별 표준 연습매트는 퍼팅가이더의 표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스윙한계선을 두고 있어서 전후 스윙의 거리가 짧아 완전한 스윙이 어렵기 때문에 골프채의 길이에 따라 선택된 골프채로서의 완전 스윙연습이 제안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골프 연습스윙 매트에서 스윙에 가장 중요한 과학적인 구체적 기본동작을 표식하여 초보자나 일반 골퍼가 스윙을 할 때마다 기본동작에 따라 스윙이 이루어지게 하고 스윙을 하고 난 후에 방금 한 스윙이 기본동작에 맞게 되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 실력을 스스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스윙연습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골프 스윙연습 매트에 있어서, 표면에 인조잔디가 식재된 매트와;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지지판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입설된 돌봉과, 상기 돌봉의 표면 중앙 내측에서 하부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거리표시 티(tee)를 지지하는 세로지지공을 갖고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 위 측에서 타구가 날아가는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된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와; 상기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와 일정한 거리를 둔 후방에 설치되어 골프공을 올려두는 고무티와;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지지판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입설된 돌봉과 상기 돌봉의 표면 중앙 내측에서 하부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거리표시 티(tee)를 지지하는 세로지지공과, 외벽 상부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거리표시 티(tee)를 지지하는 가로지지공을 갖고 상기 고무티와 일정한 거리를 둔 후방 백스윙방향의 매트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 위 측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에 복수 개 이상으로 설치된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와; 상기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와 상기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의 세로지지공 및 가로지지공에 끼워져 지지되는 높이설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 매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매트의 표면에 고정 배치된 상기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와 상기 매트에 고정 배치된 첫번째 거리표시 티(tee)지지체 구간까지는 수평거리에 위치시켜 골프채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첫번째 거리표시 티(tee)의 후방 백스윙방향에 고정 배치된 마지막 거리표시 티(tee)까지의 구간은 골프채 스윙라인과 같이 내향 만곡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와 고무티와 다수의 거리표시 티(tee)지지체는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한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점과 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매트(1)에서 타구가 날아가는 방향의 선단에 고정 배치된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로부터 상기 매트에서 백스윙방향에 고정 배치한 마지막 거리표시 티(tee)지지체 구간에 마킹 표시된 스윙안내표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거리표시 티(tee)지지체를 골프채를 들어올릴 때 골프채의 길이에 따라 골프공이 날아가는 반대 방향 즉, 백스윙(takeaway)방향으로 골프채의 머리를 수평으로 끌어가야 하는 곡선거리를 스윙궤도상에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골프채에 알맞은 스윙연습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수평거리(foloowthrough) 티(tee)지지체는 골프공을 치고 난 후 골프채를 바로 들어올리지 않고 골프공이 날아간 방향으로 골프채의 머리가 직선 및 수평으로 전진(foloowthrough)하였음을 수평거리확인 티(tee)의 흔들림 또는 꺽임으로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매트를 사용하여 스윙연습을 함으로서 스윙자세가 몸에 익혀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 매트를 사용할 때 매트의 방향만 바꾸어주면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골프 연습스윙 매트에서 스윙에 가장 중요한 과학적인 구체적 기본동작을 표식하여 초보자나 일반 골퍼가 스윙을 할 때마다 기본동작에 따라 스윙이 이루어지게 하고, 스윙을 하고 난 후에 방금 한 스윙이 기본동작에 맞게 되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 실력을 스스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횡 단면도,
도 3 (A)도 Chipping, Sand Wedge를 사용할 때의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에 높이설정부재를 세로로 꽂은 도면이고,
도 3 (B)는 PW, iron 9~5번을 사용할 때의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에 거리표시 티(tee)를 세로로 꽂은 도면이고,
도 3 (C)은 Fairway Wood 및 Highbrid) 채를 사용할 때의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에 높이설정부재를 꽂은 도면이고,
도 3 (D)는 Driver를 사용할 때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에 거리표시 티(tee)를 꽂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표시 확인 티(tee)지지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횡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매트(1)는, 세로 30㎝ 세로 9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고무판과 고무스펀지로 이루어진 매트(1)의 표면에는 매트와 같은 일정한 크기의 인조잔디(1a)가 식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10)는 매트(1)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 위 측에서 타구(골프공)가 날아가는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2)의 저면으로부터 돌봉(12)이 매트(1) 표면 일정한 높이까지 돌출되고 지지판(11)은 매트(1)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10)는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된 지지판(11)과 지지판(1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지지판(11)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입설된 돌봉(12)이 구비된다.
돌봉(12)의 표면 중앙 내측에서 하부방향을 향하여는 거리표시 티(tee)(15)의 하단부가 삽입되면 지지하는 세로지지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지지공(13)에는 거리표시 티(tee)(15)가 꽂힌다.
여기서 거리표시 티(tee)(15)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형성된 접시머리 형상으로 형성된 티(tee)를 사용하는 것이 골프 스윙연습 매트의 디자인 향상에 적합하다. 따라서 거리표시 티(tee)(15)를 사용할 때에는 세로지지공(13)에 세로방향으로 꽂히고, 사용치 않을 때에는 가로지지공(14)에 가로방향으로 스윙라인과 평행되게 꼽아 스윙라인이 쉽게 눈에 띄게 꼽아둔다. 그리고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를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한 것은 골퍼가 골프채(300)를 스윙할 때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를 맞히면 수평거리확인 티(tee)(10) 또는 거리표시 티(tee)(15)가 일측으로 굽어졌다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는, 골프채(300)의 머리가 골프공(200)을 맞히는 순간 골프채(300)를 쥐고 있는 손목의 위치보다 앞쪽으로 나가지 말고 맞힌 후에는 머리가 바로 하늘로 올라가지 않고 목표방향으로 수직 및 수평으로 전진(foloowthrough)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골프공(200)을 놓는 고무티(20) 앞쪽 약 15cm 전후되는 위치에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에 세로로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트(1)에 설치된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와 일정한 거리를 둔 후방에 고무티(20)를 설치하여 이에 골프공(200)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는 고무티(20)와 일정한 거리를 둔 위치에서 매트(1)에 형성된 구멍(3)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어 매트(1)의 표면 일정한 높이까지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b)(40c)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데 바람직한 거리는 약10㎝이다.
상기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b)(40c)는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된 지지판(41)과 지지판(4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지지판(41)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입설된 돌봉(42)이 구비된다. 돌봉(42)의 표면 중앙 내측에서 하부방향을 향하여는 거리표시 티(tee)(15)의 하단부가 삽입되면 지지하는 세로지지공(43)이 형성되어 있고, 돌봉(42)의 외벽 상부영역에는 돌봉(42)의 외벽 가로방향을 관통하는 가로지지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세로지지공(43) 및 가로지지공(44)에는 거리표시 티(tee)(15)가 세로 또는 가로로 꽂힌다.
여기서도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와 거리표시 티(tee)(15)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접시머리 형상의 티(tee)를 사용하는 것이 골프 스윙연습 매트의 디자인 향상에 적합하다. 따라서 거리표시 티(tee)를 사용할 때에는 세로지지공(43)에 세로방향으로 꽂히고, 사용치 않을 때에는 가로지지공(44)에 가로방향으로 꼽아 스윙라인을 표시해 둔다. 그리고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를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한 것은 골퍼가 골프채(300)를 스윙할 때 골프채에 부딪쳐 파손됨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거리표시 티(tee)(15)는 각각 그 색상이 다르게 형성하여 거리의 차별화를 쉽게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1)의 표면에 고정 배치된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와 매트(1)에 고정 배치된 첫번째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 구간은 수평거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 구간에서는 골프채(300)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첫번째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으로부터 후방 백스윙방향에 고정 배치된 마지막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c)까지의 구간은 골프채(300) 스윙라인과 같이 내향 만곡 배치되도록 하여 골퍼의 스윙구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와 고무티(20)와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c)(40b)는 매트(1)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매트(1)를 돌려놓은 것으로서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의 골퍼가 골프 스윙연습 매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점과 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매트(1)에서 타구(골프공)가 날아가는 방향의 선단에 고정 배치된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로부터 매트(1)에서 백스윙방향에 고정 배치한 마지막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c)까지의 구간에 스윙안내표시(30)를 마킹함으로써 골퍼가 스윙방향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매트는 골프공(200)을 올려 놓는 고무티(20)에 골프공(200)을 올려두고, 골프채(300)에 따라 스윙을 할 때에는,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면 된다.
도 3 (A)는 Chipping, Sand Wedge를 사용할 때의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에 거리표시 티(tee)(15)를 세로로 꽂은 도면으로서, 여기에서는 Chipping, Sand Wedge를 사용할 때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에 거리표시 티(tee)(15)를 꽂는다. 그런 후 골퍼가 골프공(200)을 치려 백스윙(takaway)할 때는 반드시 백스윙되는 골프채(300)가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에 꽂힌 거리표시 티(tee)(15)에 접촉되어 스친 후 골프채(300)가 내려올 때(downswing)에는 거리표시 티(tee)(15)를 맞히지 않고 골프공(200)을 타격된 후 골프채(300)가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15)에 접촉되어 완료되는 스윙이 바른 자세가 되므로 골프공(200)을 퍼 올리는 스윙연습이 된다.
도 3 (B)는 PW, iron 9~5번을 사용할 때의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a)에 거리표시 티(tee)(15)를 세로로 꽂은 도면으로서, 여기에서는 PW, iron 9~5번을 사용할 때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a)에 거리표시 티(tee)(15)를 꽂는다. 그런 후 골퍼가 골프공(200)을 치려 백스윙할 때는 반드시 백스윙되는 골프채(300)가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a)에 꽂힌 거리표시 티(tee)(15)에 접촉되어 스친 후 골프채(300)가 내려올(downswing) 때에는 거리표시 티(tee)(15)를 맞히지 않고 골프공(200)을 타격된 후 골프채(300)가 거리표시 티(tee)(15))에 접촉되어 완료되는 스윙이 바른 자세가 되므로 골프공(200)을 일정한 거리 직구로 보내는데에 적합한 스윙연습이 된다.
도 3 (C)은 Fairway Wood 및 Highbrid 채를 사용할 때의 거리표시 티(tee)지지체에 거리표시 티(tee)(15)를 세로로 꽂은 도면으로서, 여기에서는 Fairway Wood 및 Highbrid 채를 사용할 때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b)에 거리표시 티(tee)(15)를 꽂는다. 그런 후 골퍼가 골프공(200)을 치려 백스윙(takaway)할 때에는 반드시 백스윙되는 골프채(300)가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b)에 꽂힌 거리표시 티(tee)(15)에 접촉되어 스친 후 골프채(300)가 내려올 때에는 거리표시 티(tee)(15)를 맞히지 않고 골프공(200)을 타격된 후 골프채(300)가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에 접촉되어 완료되는 스윙이 바른 자세가 되므로 골프공(200)을 일정한 거리 직구로 보내는데에 적합한 스윙연습이 된다.
도 3 (D)는 Driver를 사용할 때 거리표시 티를 꽂은 도면으로서, 여기에서는 Driver를 사용할 때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c)에 거리표시 티(tee)(15)를 꽂는다. 그런 후 골퍼가 골프공(200)을 치려 백스윙(takaway)할 때에는 반드시 백스윙되는 골프채(300)가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c)에 꽂힌 거리표시 티(tee)(15)에 접촉되어 스친 후 골프채(300)가 내려올 때에는 거리표시 티(tee)(15)를 맞히지 않고 골프공(200)을 타격된 후 골프채(300)가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에 접촉되어 완료되는 스윙이 바른 자세가 되므로 골프공(200)을 일정한 거리 직구로 보내는데에 적합한 스윙연습이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매트를 이용한 반복 연습만 한다면 혼자서도 바르고 정확한 좋은 구질의 공을 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많은 연습시간과 그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백스윙된 골프채가 내려올 때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c)(40b)를 골프채(300)로 맞히면 골퍼의 스윙자세가 일정하지 않게 흔들렸거나 주저앉았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거리표시 티(tee)(15)를 사용할 때에는 해당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c)(40b)에 형성된 세로지지공(13)(43)에 세로방향으로 꼽고, 해당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c)(40b)를 사용치 않을 때에는 거리표시 티(tee)(15)는 가로지지공(44)에 가로방향으로 스윙라인에 평행되게 꼽아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b)(40c)는 골프채(300)를 들어올릴 때 골프채(300)의 길이에 따라 골프공(200)이 날아가는 반대 방향 즉, 백스윙방향으로 골프채(300)의 머리를 수평으로 끌어가야 하는 곡선거리를 스윙궤도상에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골프채(300)에 알맞은 스윙연습이 가능하고,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는 골프공(200)을 치고 난 후 골프채(300)를 바로 들어올리지 않고 골프공(200)이 날아간 방향으로 골프채(300)의 머리가 직선 및 수평으로 전진하였음을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10)의 흔들림 또는 꺽임으로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매트를 사용하여 스윙연습을 함으로서 스윙자세가 몸에 익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c)(40b)가 매트(1)에 세로로 꽂혀 있는 것은 사용하는 골프채(300)의 머리를 끌어가야 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고, 골프공(200)을 놓는 고무티(20)를 기준으로 골프공(200)에 가까워질 수로 짧은 골프채(300)의 머리를 끌어(takeaway)가야 하는 거리는 짧아지고 점점 멀수록 채의 길이와 정비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매트는 스윙에 가장 중요한 과학적인 구체적 기본동작을 표시하여 초보자나 일반 골퍼가 스윙을 할 때마다 기본동작에 따라 하게 하고 스윙을 하고 난 후에 방금 한 스윙이 기본동작에 맞게 되었는지는 골프채가 거리표시 티(tee) 및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에 접촉되었는지에 의한 확인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골프 실력을 스스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 매트를 사용할 때 매트의 방향만 바꾸어주면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모두가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매트
1a : 인조잔디
2, 3 : 구멍
10 : 수평거리(foloowthrough)확인 티(tee)지지체
11 : 지지판
12, 42 : 돌봉
13, 43 : 세로지지공
15 : 거리표시 티(tee)
20 : 고무티
30 : 스윙안내표시
40, 40a, 40b, 40c : 거리표시 티(tee)지지체
41 : 지지판
42 : 돌봉
43 : 세로지지공
44 : 가로지지공
200 : 골프공
300 : 골프채

Claims (4)

  1. 골프 스윙연습 매트에 있어서,
    표면에 인조잔디가 식재된 매트(1)와;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된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지지판(11)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입설된 돌봉(12)과, 상기 돌봉(12)의 표면 중앙 내측에서 하부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거리표시 티(tee)(15)를 지지하는 세로지지공(13)을 갖고 상기 매트(1)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 위 측에서 타구가 날아가는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2)에 고정된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10)와;
    상기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10)와 일정한 거리를 둔 후방에 설치되어 골프공을 올려두는 고무티(20)와;
    가요성을 갖는 연질의 수지로 형성된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4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지지판(41)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입설된 돌봉(42)과 상기 돌봉(42)의 표면 중앙 내측에서 하부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거리표시 티(tee)(15)를 지지하는 세로지지공(43)과, 외벽 상부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거리표시 티(tee)(15)를 지지하는 가로지지공(44)을 갖고 상기 고무티(20)와 일정한 거리를 둔 후방 백스윙방향의 매트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 위 측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3)에 복수 개 이상으로 설치된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b)(40c)와;
    상기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10)와 상기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의 세로지지공(13)(43) 및 가로지지공(44)에 끼워져 지지되는 거리표시 티(tee)(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1)의 표면에 고정 배치된 상기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10)와 상기 매트(1)에 고정 배치된 첫번째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 구간까지는 수평거리에 위치시켜 골프채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첫번째 거리표시 티(tee)(40)의 후방 백스윙방향에 고정 배치된 마지막 거리표시 티(tee)(40c)까지의 구간은 골프채(300) 스윙라인과 같이 내향 만곡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10)와 고무티(20)와 거리표시 티(tee)지지체(40)(40a)(40b)(40c)는 상기 매트(1)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 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점과 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매트에서 타구가 날아가는 방향의 선단에 고정 배치된 수평거리확인 티(tee)지지체(10)로부터 상기 매트(1)에서 백스윙방향에 고정 배치한 마지막 거리표시확인 티(tee)지지체(40c) 구간에 마킹 표시된 스윙안내표시(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 매트.

KR1020140191069A 2014-12-26 2014-12-26 골프 스윙연습 매트 KR20160079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069A KR20160079550A (ko) 2014-12-26 2014-12-26 골프 스윙연습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069A KR20160079550A (ko) 2014-12-26 2014-12-26 골프 스윙연습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550A true KR20160079550A (ko) 2016-07-06

Family

ID=5650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069A KR20160079550A (ko) 2014-12-26 2014-12-26 골프 스윙연습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9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03Y1 (ko) * 2018-09-28 2020-05-15 박상선 퍼터 직선 임팩트 연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03Y1 (ko) * 2018-09-28 2020-05-15 박상선 퍼터 직선 임팩트 연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7377Y1 (ko) 골프용 퍼터
US7112146B2 (en) Putting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US3623733A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20070032307A1 (en) Golfer training aid
US10695641B2 (en) Golf training aid to help golfers achieve the correct angle-of-attack
US20050288120A1 (en) Dual sport swing training aid and method of using
KR20100137011A (ko) 골프 퍼팅 훈련 장치
KR101561666B1 (ko) 골프 퍼팅 교정장치
US8100778B2 (en) Golf training device
KR100349769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0940984B1 (ko)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
KR20170080003A (ko) 스윙 교정용 골프 매트
KR200445545Y1 (ko) 골프 퍼터
KR20160079550A (ko) 골프 스윙연습 매트
KR100848271B1 (ko) 골프 퍼팅 연습 보조구
US20170326427A1 (en) Golf swing teaching device
KR200220556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0831080B1 (ko) 골프공의 퍼팅 타격 위치로 빔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빔이장착된 버클
KR101120849B1 (ko) 퍼팅 연습 장치
KR101683105B1 (ko) 골프 연습용 스틱
KR20200075175A (ko) 수평정렬이 가능한 퍼터
KR200469230Y1 (ko) 골프연습용 매트
US20190232139A1 (en) Golf-Training Apparatus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KR100629966B1 (ko) 퍼팅 연습용 골프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