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984B1 -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 - Google Patents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984B1
KR100940984B1 KR1020090089888A KR20090089888A KR100940984B1 KR 100940984 B1 KR100940984 B1 KR 100940984B1 KR 1020090089888 A KR1020090089888 A KR 1020090089888A KR 20090089888 A KR20090089888 A KR 20090089888A KR 100940984 B1 KR100940984 B1 KR 100940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swing
insertion hole
sho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476A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090089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98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퍼가 스윙연습을 할 때 스윙방향티와 다운스윙 한계티를 제공함으로써 각자에게 맞는 정확한 스윙궤도를 숙달하며 연습(빈)스윙과 티샷스윙을 병행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이하 '골프매트' 라 칭함)는 받침매트의 상면에 넓은 홈을 형성한 다음 상기 홈에 인조잔디를 깔고, 받침매트와 인조잔디를 상하로 관통하는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 스윙방향티 삽입공,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 아이언샷 방향티 삽입공을 형성한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를 사용하여 스윙연습을 하면, 정확한 스윙이 되었을 때에는 클럽의 헤드가 티샷용 고무티와 스윙방향티에만 터치가 되면서 정확한 샷이 이루어지고, 부정확하여 다운스윙 아웃이 되면 클럽의 헤드는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와 티샷용 고무티에 터치 후 스윙방향티를 터치하지 못하여 훅이 발생하고, 다운스윙 인이 되면 클럽의 헤드는 다운스윙 인 한계티와 티샷용 고무티에 터치 후 스윙방향티를 터치하지 못하여 슬라이스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골퍼는 클럽의 헤드에 터치되는 고무티의 느낌을 통해 스윙이 어떻게 잘못되었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골퍼 각자의 체형에 맞는 정확한 스윙궤도를 숙달할 수 있다.
골프 , 매트 , 스윙 , 궤도 , 고무티

Description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GOLF MAT FOR SET SWING RIGHT}
본 발명은 골퍼가 스윙연습을 할 때 자신의 체형에 맞는 정확한 스윙궤도를 연습(빈)스윙과 티샷스윙을 병행하여 숙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에 있어서 정확한 스윙궤도를 연습을 통하여 숙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에서의 스윙은 클럽(골프채)으로 원심력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목표지점까지 정확하게 보내기 위한 것이다.
땅 위에 정지된 상태로 놓여 있는 골프공을 치는 데에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상관없지만, 골프의 특성상 목적한 지점의 거리와 방향으로 공이 올바르게 날아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클럽을 일정한 궤도에 따라 스윙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래서 골프에 있어서 스윙의 기본적인 원칙은 거의 정석화되어 있다. 다만, 플레이어의 체격이나 역량의 차이에 따라 지엽적인 차이가 있을 뿐이다.
스윙은 일반적으로 스탠스, 어드레스,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스루 의 과정순으로 이루어지는데, 스윙을 하기 위하여 두 발의 위치를 정하는 것을 '스탠스'라고 하며, 스탠스를 취하고 클럽을 지상에 댄 동작을 '어드레스'라고 하며, 타격을 하기 위하여 클럽을 뒤로 들어 올리는 동작을 '백스윙'이라고 하며, 골퍼가 클럽을 위에서 밑으로 내려치는 것을 '다운스윙'이라 하며, 골퍼가 스트로크한 클럽에 공이 맞는 순간을 '임팩트'라 하며, 골퍼가 임팩트한 후 몸의 회전 방향으로 타격 자세를 그대로 끌고 가는 동작을 '팔로스루'라 한다.
골프를 할 때 정확한 방향과 목적하는 지점까지의 거리에 공을 보내기 위해서는 정확한 스윙궤도의 숙달이 매우 중요하다.
공이 날아가는 거리는 스윙의 빠르기에 의해 결정되며, 공의 방향은 정확한 스윙궤도의 숙달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골프 연습용 매트는 그린에서의 퍼팅을 위한 용도이거나, 페어웨이를 가상하여 고무티를 꽃아 단순히 샷을 연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각자에게 맞는 정확한 스윙궤도를 숙달할 수 있는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 꼭 필요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정확한 스윙궤도를 숙달할 수 있는 골프 스윙연습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하나의 매트에서 공을 직접 타격하는 티샷연습은 물론 빈(연습)스윙을 보다 효과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골프 연습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1)는 받침매트(10)의 상면에 넓은 홈을 형성한 다음 상기 홈에 인조잔디(20)를 깔고, 받침매트(10)와 인조잔디(2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인 티삽입공을 형성하는데,
매트의 상부 가운데 지점에 천공되어 형성된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지나가면서 홀과 이어지는 가상 직선인 홀방향 직선(41)을 가상으로 형상화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중심으로 홀방향 직선(41)과 전방 상부로 5∼7도의 스윙 내각(42)을 형성하는 가상선인 스윙궤도 중심선(40)을 가상으로 형상화한 다음,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전방 250∼30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스윙방향티 삽입공(24)을 형성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후방 270∼320mm 거리의 지점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60∼80mm 거리의 지점에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을, 그리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후방 270∼320mm 거리의 지점으로부터 수직 하부방향으로 60∼80mm 거리의 지점에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을 형성하며, 스윙방향티 삽입공(24)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의 후방 50∼70mm 상에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26)을 형성하며,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26)의 하부에는 아이언샷 방향티삽입공(25)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인 골프매트(1)를 이룬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는 골퍼가 티샷용 고무티의 상부에 놓인 골프공을 쳐 홀이 있는 방향으로 공이 날아가도록 스윙 연습을 할 때, 클럽의 헤드가 스윙방향티를 맞히도록 함으로써 임펙트후에 골프공을 일정한 거리까지 밀어주는 인·아웃스윙궤도를 숙달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스윙궤도 숙지를 위하여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와 다운스윙 인 한계티를 둠으로써, 정확한 스윙이 되었을 때에는 클럽의 헤드가 티샷용 고무티와 스윙방향티에만 터치가 되면서 정확한 스윙궤도를 이루지만, 부정확하여 다운스윙 아웃이 되면 클럽의 헤드는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와 티샷용 고무티에 터치 후에 스윙방향티를 터치하지 못하여 훅이 발생하고, 다운스윙 인이 되면 클럽의 헤드는 다운스윙 인 한계티와 티샷용 고무티에 터치 후에 스윙방향티를 터치하지 못하여 슬라이스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골퍼는 클럽의 헤드에 터치되는 고무티의 느낌을 통해 스윙궤도의 정확성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골퍼 각자의 체형에 맞는 정확한 스윙궤도를 숙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골프매트(1)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골퍼가 인조잔디(11)가 구비된 매트를 사용하여 스윙연습을 할 때 매트에 스윙방향티와 다운스윙 한계티를 제공하여 각자에게 맞는 정확한 스윙궤도를 연습을 통하여 숙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골프매트(1)는 받침매트(10)와 인조잔디(20)로 구성된다.
받침매트(10)는 목재 또는 금속등 다양한 소재로도 만들 수 있겠지만, 사용상의 편의와 안전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른 매트와 같이 고무 또는 PVC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1)는 받침매트(10)의 상면에 넓은 홈을 형성한 다음 상기 홈에 인조잔디(20)를 깔고, 받침매트(10)와 인조잔디(2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인 티삽입공을 형성한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1)에 형성되는 티삽입공은 첨부도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의 한 지점 또는 상부 가운데 지점에 형성된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기준으로 후방에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과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이 형성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의 전방에는 스윙방향티 삽입공(24)과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26)과 아이언샷 방향티삽입공(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1)에 형성되는 각각의 티삽입공의 위치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3 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의 상부 가운데 지점에서 천공되어 형성된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지나가면서 홀과 이어지는 가상의 직선인 홀방향 직선(41)을 가상으로 형상화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중심으로 홀방향 직선(41)과 전방 상부로 5∼7도의 스윙 내각(42)을 형성하는 가상의 선인 스윙궤도 중심선(40)을 가상으로 형상화 한 다음,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전방으로 250∼30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스윙방향티 삽입공(24)을 형성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후방으로 270∼320mm 거리의 지점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60∼8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을, 그리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후방으로 270∼320mm 거리의 지점으로부터 수직 하부방향으로 60∼8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과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사이의 거리인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과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 간의 가상선(54)의 길이는 120∼160mm인데, 이는 클럽 헤드(16)의 타격면의 길이가 통상 100∼120mm이므로, 헤드가 한계티 사이를 통과하면서 정확한 스윙을 하고 있는지 아니면 인·아웃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최적의 간격이기 때문이다.
스윙궤도는 골퍼(14)가 클럽(15)을 들고 스윙을 할때 클럽의 헤드(16)가 이동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궤적을 말하며, 이러한 스윙궤도은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32)와 다운스윙 인 한계티(33)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티샷용 고무티(31)와 스윙방향티(34)를 지나는 다양한 궤적이 만들어 질 수 있지만, 그 중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32)와 다운스윙 인 한계티(33) 사이의 정중앙을 지나는 스윙궤도을 스윙궤도 중심선(40)이라 한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1)는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의 좌우로 스윙방향티 삽 입공(24)과 2개의 한계티삽입공(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을 가지는 것과,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중심으로 한 홀방향 직선(41)과 스윙궤도 중심선(40)의 내각이 전방 상부로 5∼7도를 이루는 것과,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상의 스윙방향티 삽입공(24) 까지의 거리가 250∼300mm 인것과,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과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 간의 가상선과 스윙궤도 중심선(40)이 만나는 지점(40a)까지의 거리가 270∼320mm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홀방향 직선(41)과 스윙궤도 중심선(40)은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중심으로 전방 상부로 스윙 내각(42)을 형성하는데, 스윙 내각(42) 중 가장 바람직한 각도는 5∼7도이다.
홀방향 직선(41)과 스윙궤도 중심선(40)의 내각이 전방 상부로 5∼7도를 이루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골퍼(14)가 티샷용 고무티(31)에 골프공(13)을 놓고 어드레스 지점(14a)에서 스탠스를 취하여 스윙을 할 때, 홀방향으로 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하여 슬라이스가 발생하거나 아웃에서 인 스윙되어 훅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훅이나 슬라이스를 방지하며 골프공을 홀방향으로 정확하게 보내기 위한 최상의 각도가 홀방향 평행선에서 전방 상부로 5∼7도 만큼 인·아웃 스윙궤도를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각기 형성된 티삽입공에는 탈착이 자유롭고 유연한 고무티(12)를 삽입하여 장착하는데, 고무티(12)를 장착하는 이유는, 실제 라운딩때 주로 사용 하는 고무티의 터치감을 연습시에도 그대로 익혀 숙달되도록 하면서, 클럽의 헤드(16)에 전달되는 고무티(12)의 터치감으로 인하여 골퍼가 스윙을 정확히 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 티샷용 고무티(31),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에는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32),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에는 다운스윙 인 한계티(33), 스윙방향티 삽입공(24)에는 스윙방향티(34), 아이언샷 방향티삽입공(25)에는 아이언샷 방향티(35),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26)에는 예비 스윙방향티(36)가 삽입된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1)에 사용되는 고무티(12)는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높이가 45mm∼80mm까지 5mm간격으로 제품화되어 시판되고 있는 고무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첨부도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 상부에서 티샷용 고무티 상부까지의 높이인 티샷용 고무티 높이(51)는 30∼40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조잔디 상부에서 스윙방향티 상부까지의 높이인 스윙방향티 높이(50)는 티샷용 고무티 높이(51)보다 10∼20mm 긴 것이 바람직하며, 인조잔디 상부에서 한계티 상부까지의 높이인 한계티 높이(52)는 티샷용 고무티 높이(51)보다 10∼20mm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방향티 삽입공(24)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상의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 방향으로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26)이 형성되고, 예비 스윙방향티(36)가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26)에 끼워져 형성되는데, 스윙방향티에서 예비 스윙방향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45)는 50 ∼70mm이다.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26)의 목적은 신장(키,팔길이) 등이 짧은 골퍼에게 스윙방향티(34)는 멀어서 클럽이 터치가 되지 않기 때문에 각자에 맞는 스윙방향티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반대로 키가 매우 큰 사람들을 위하여 스윙방향티 삽입공(24)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상의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 반대방향으로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6 과 도 7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인 골프매트(1)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골퍼(14)가 어드레스 지점(14a)에서 스탠스한 다음 클럽(15)을 백스윙한 후 스윙을 하면, 클럽(15)의 헤드(16)는 본 발명인 골프매트(1)의 상부를 지나면서 먼저 한계티에 근접하게 되는데, 골퍼가 정확한 스윙궤적을 그리면서 스윙을 하였으면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32)과 다운스윙 인 한계티(33)의 사이를 헤드(16)가 통과하게 되어 클럽의 헤드가 티샷용 고무티(31)와 스윙방향티(34)에만 터치가 되면서 정확한 샷이 이루어지고, 스윙이 부정확하여 다운스윙 아웃이 되면 클럽의 헤드는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32)와 티샷용 고무티(31)에 터치 후 스윙방향티(34)를 터치하지 못하여 훅이 발생하고, 다운스윙 인이 되면 클럽의 헤드는 다운스윙 인 한계티(33)와 티샷용 고무티(31)에 터치 후 스윙방향티(34)를 터치하지 못하여 슬라이스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골퍼는 클럽의 헤드에 터치되는 고무티의 느낌을 통해 스윙궤도의 정확성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골퍼 각자의 체형에 맞는 정확한 스윙궤도를 숙달할 수 있다.
이때 티샷용 고무티에서 스윙방향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44)가 250∼300mm인 것과, 한계티에서 티샷용 고무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45)가 270∼320mm인 이유는, 티샷용 고무티에서 스윙방향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 또는 한계티에서 티샷용 고무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가 가까우면 한계티와 티샷용 고무티에 터치되는 헤드를 통해 전달되는 클럽의 느낌 또는 티샷용 고무티와 스윙방향티에 터치되는 헤드를 통해 전달되는 클럽 느낌의 구분이 어렵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골퍼가 스윙을 할 때 스윙궤도가 잘못되면 한계티에 헤드가 터치되면서 티샷용 고무티를 치게되는데, 이때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티샷용 고무티와 한계티가 터치되는 느낌이 구분이 되지 않아 한계티에 클럽이 터치되었는데도 골퍼는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정확한 스윙을 하였는지 구분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티샷용 고무티에서 스윙방향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 또는 티샷용 고무티에서 한계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가 멀면 스윙하는 클럽의 헤드(16)에 한계티 또는 스윙방향티(34)가 터치되지 않게 되어 정확한 스윙이 이루어졌는지 느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한계티와 티샷용 고무티간의 터치감 또는 티샷용 고무티와 스윙방향티간의 터치감을 가장 용이하게 구분하며서 클럽(15)의 스윙궤도를 벗어나지 않는 최적의 거리가, 티샷용 고무티에서 스윙방향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44)는 250∼300mm이고, 한계티에서 티샷용 고무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45)는 270∼320mm인 것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골프매트(1)에는 스윙방향티 삽입공(24) 하부의 한 지점에 아이언샷 방향티삽입공(25)을 천공하여 추가할 수 있는데, 이는 골프공을 잔디위에 놓고 치는 아이언샷 방향을 위한 것으로, 아이언샷 방향티(35)를 아이언샷 방향티삽입공(25)에 끼운 다음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윙궤도 중심선(40)과 평행하면서 아이언샷 방향티(35)를 지나는 가상의 선인 아이언샷 스윙궤도(49) 상에 골프공을 놓고 아이언샷 방향티(35)를 향해 스윙을 하여 보다 정확한 아이언샷을 구사할 수 있도록 연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인 골프매트(1)는 티샷용 고무티와 스윙방향티 또는 티샷용 고무티와 스윙방향티와 한계티로 구성되면서 상기한 기술적 특징만 이루어지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매트의 크기와 모양이 어떤 형태를 이루던지 본 발명인 골프매트(1)로 보아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골프매트(1)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본 발명인 골프매트(1)에 고무티(30)를 끼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2. 본 발명인 골프매트(1)를 도시한 평면도.
3. 본 발명인 골프매트(1)의 기능설명을 위한 상세설명도.
4. 본 발명인 골프매트(1)에 끼워진 고무티(30)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
5. 본 발명인 골프매트(1)의 고무티(30)간의 거리를 도시한 평면도.
6. 본 발명인 골프매트(1)를 사용하는 골퍼의 실시예를 도시한 상세설명도.
7. 한계티를 통과하며 인·아웃되는 헤드(16)를 도시한 상세설명도.
8. 아이언샷 방향티(35)를 이용한 아이언샷의 설명을 위한 평면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골프매트.
10 : 받침매트. 11 : 인조잔디.
12 : 고무티. 12a : 고무티 상부.
13 : 골프공. 14 : 골퍼.
14a : 어드레스 지점. 15 : 클럽.(골프채).
16 : 헤드.
16a : 다운스윙 아웃 헤드. 16b : 다운스윙 인 헤드.
21 :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 22 :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
23 :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 24 : 스윙방향티 삽입공.
25 : 아이언샷 방향티삽입공. 26 :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
31 : 티샷용 고무티. 32 : 아웃 한계티.
33 : 인 한계티. 34 : 스윙방향티.
35 : 아이언샷 방향티 36 : 예비 스윙방향티.
40 : 스윙궤도 중심선.
40a :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과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간의 가상선과 스윙궤도 중심선(40)이 만나는 지점.
41 : 홀방향 직선. 42 : 스윙 내각.
43 : 티샷용 고무티에서 다운스윙 한계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
44 : 티샷용 고무티에서 스윙방향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
45 : 스윙방향티에서 예비 스윙방향티까지의 스윙궤도 중심선의 거리.
46 : 스윙궤도 중심선에서 다운스윙 인 한계티까지의 거리.
47 : 스윙궤도 중심선에서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까지의 거리.
48 : 스윙궤도.
49 : 스윙궤도 중심선(40)과 평행하면서 아이언샷 방향티(35)를 지나는 가상의 선.(아이언샷 스윙궤도)
50 : 스윙방향티 높이(인조잔디 상부에서 스윙방향티 상부까지의 높이).
51 : 티샷용 고무티 높이(인조잔디 상부에서 티샷용 고무티 상부까지의 높이).
52 : 한계티 높이(인조잔디 상부에서 한계티 상부까지의 높이).
53 : 헤드 타격면의 길이.
54 :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과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간의 가상선.
55 : 다음 스윙궤도 중심선(40)과 평행하면서 아이언샷 방향티(35)를 지나는 가상의 선.

Claims (4)

  1. 골프 매트에 있어서,
    인조잔디(11)가 구비된 매트의 한 지점을 천공하여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형성한 다음,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의 중심을 지나가면서 홀과 이어지는 가상의 직선인 홀방향 직선(41)을 가상으로 형상화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중심으로 홀방향 직선(41)과 전방 상부로 스윙 내각(42)을 형성하는 가상의 선인 스윙궤도 중심선(40)을 가상으로 형상화 한 다음,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전방으로 250∼30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스윙방향티 삽입공(24)을 형성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후방으로 270∼320mm 거리의 지점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60∼8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을, 그리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후방으로 270∼320mm 거리의 지점으로부터 수직 하부방향으로 60∼8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1).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스윙방향티 삽입공(24),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상으로 형상화하는 홀방향 직선(41)과 스윙궤도 중심선(40)이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를 중심으로 형성하는 스윙 내각(42)은 전 방 상부로 5∼7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1).
  3. 골프 매트에 있어서,
    인조잔디(11)가 구비된 매트의 한 지점을 천공하여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형성한 다음,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의 중심을 지나가면서 홀과 이어지는 가상의 직선인 홀방향 직선(41)을 가상으로 형상화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을 중심으로 홀방향 직선(41)과 전방 상부로 스윙 내각(42)을 형성하는 가상의 선인 스윙궤도 중심선(40)을 가상으로 형상화 한 다음,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전방으로 250∼30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스윙방향티 삽입공(24)을 형성하고, 스윙방향티 삽입공(24)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상의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 방향으로 50∼70mm 거리에 예비 스윙방향티(36)를 형성하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후방으로 270∼320mm 거리의 지점으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60∼8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을, 그리고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서 스윙궤도 중심선(40) 상의 후방으로 270∼320mm 거리의 지점으로부터 수직 하부방향으로 60∼80mm 거리의 지점을 천공하여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을 형성하며, 스윙방향티 삽입공(24) 하부의 한 지점을 천공하여 아이언샷 방향티삽입공(25)을 형성하는데 각각의 티삽입공에는 탈착이 자유롭고 유연한 고무티(12) 즉, 티샷용 고무티 삽입공(21)에는 티샷용 고무티(31),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삽입공(22)에는 다운스윙 아웃 한계티(32), 다운스윙 인 한계티삽입공(23)에는 다운스 윙 인 한계티(33), 스윙방향티 삽입공(24)에는 스윙방향티(34), 아이언샷 방향티삽입공(25)에는 아이언샷 방향티(35), 예비 스윙방향티 삽입공(26)에는 예비 스윙방향티(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1).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인조잔디 상부에서 고무티 상부(12a)까지의 높이는 스윙방향티 높이(50)가 티샷용 고무티 높이(51)보다 10∼20mm 길며, 한계티 높이(52)는 티샷용 고무티 높이(51)보다 10∼20mm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1).
KR1020090089888A 2009-09-23 2009-09-23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 KR100940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88A KR100940984B1 (ko) 2009-09-23 2009-09-23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88A KR100940984B1 (ko) 2009-09-23 2009-09-23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476A KR20090107476A (ko) 2009-10-13
KR100940984B1 true KR100940984B1 (ko) 2010-02-05

Family

ID=4153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888A KR100940984B1 (ko) 2009-09-23 2009-09-23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9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227A (ko) * 2017-08-08 2019-02-18 이동기 골프 연습장용 매트의 홀 보호대
KR102257321B1 (ko) 2020-09-08 2021-05-27 구대본 충격 완화 패드가 적용된 스윙 궤적 분석용 골프 연습 매트
KR102257316B1 (ko) 2020-07-03 2021-05-27 구대본 스윙궤적 분석에 기인한 간편 설치용 자세교정 골프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02Y1 (ko) * 2018-09-28 2020-05-15 박상선 골프 직선 임팩트 연습기
KR102372328B1 (ko) * 2020-04-14 2022-03-15 이신후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272328B1 (ko) * 2020-11-17 2021-07-05 김진우 좌우타자 겸용의 스윙교정용 골프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174A (en) 1986-10-24 1989-05-02 Hoyt Jr Dolph G Putting practice device
KR200232861Y1 (ko) 2000-11-07 2001-09-26 서윤덕 골프퍼팅연습용 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174A (en) 1986-10-24 1989-05-02 Hoyt Jr Dolph G Putting practice device
KR200232861Y1 (ko) 2000-11-07 2001-09-26 서윤덕 골프퍼팅연습용 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227A (ko) * 2017-08-08 2019-02-18 이동기 골프 연습장용 매트의 홀 보호대
KR102007531B1 (ko) 2017-08-08 2019-08-06 이동기 골프 연습장용 매트의 홀 보호대
KR102257316B1 (ko) 2020-07-03 2021-05-27 구대본 스윙궤적 분석에 기인한 간편 설치용 자세교정 골프매트
KR102257321B1 (ko) 2020-09-08 2021-05-27 구대본 충격 완화 패드가 적용된 스윙 궤적 분석용 골프 연습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476A (ko)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984B1 (ko) 스윙 교정용 골프매트
US6860817B2 (en) Golf club
KR100982482B1 (ko)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US9539484B2 (en) Golf swing ball impact teaching tool
US7214140B2 (en) Golfer training aid
US20070173339A1 (en) Golf putting training template
US11344783B2 (en) Golf training aid
US9089758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n indoor putting green
KR101893799B1 (ko) 골프 훈련을 위한 시각 표지의 사용방법
WO2011116195A2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20130012332A1 (en) Golf Tee Body Alignment Device and Method
US4962933A (en) Golf swing practice device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200451365Y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445545Y1 (ko) 골프 퍼터
CA2956448A1 (en) 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swing system
KR101572205B1 (ko) 다운 블로우 스윙 연습장치
KR20180133471A (ko) 골프 퍼팅 장치
KR102272328B1 (ko) 좌우타자 겸용의 스윙교정용 골프매트
KR20090000194U (ko) 골프 퍼터 자세교정기
KR20160079550A (ko) 골프 스윙연습 매트
KR102250134B1 (ko) 뒤땅 방지를 위한 골프스윙 연습용 골프채
US20110244990A1 (en) Golf Training Tee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KR101224691B1 (ko) 퍼팅 교정용 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