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666B1 - 골프 퍼팅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666B1
KR101561666B1 KR1020140104579A KR20140104579A KR101561666B1 KR 101561666 B1 KR101561666 B1 KR 101561666B1 KR 1020140104579 A KR1020140104579 A KR 1020140104579A KR 20140104579 A KR20140104579 A KR 20140104579A KR 101561666 B1 KR101561666 B1 KR 101561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olf
golf ball
putting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석
Original Assignee
최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석 filed Critical 최인석
Priority to KR102014010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666B1/ko
Priority to PCT/KR2015/008097 priority patent/WO2016024744A1/ko
Priority to JP2017528745A priority patent/JP6445697B2/ja
Priority to CN201580051960.3A priority patent/CN106714913B/zh
Priority to US15/503,498 priority patent/US1027231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2Visual means not attached to the body for aligning, positioning the trainee's head or for detecting head movement, e.g. by paralla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using electro-magnetic, magnetic or ultrasonic radiation emitted, reflected or interrupted by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 퍼팅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골프공이 구르는 직선주로를 형성하고, 직선주로의 중심을 따라 표시선이 형성되는 본체; 및 직선주로의 상측에 형성되고, 표시선과 평행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관통공을 통해 표시선을 관찰하면서 퍼팅을 연습하면 퍼팅 자세가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이 같은 선상에 정렬되도록 어드레스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골프공의 진행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골프 퍼팅 교정장치{GOLF PUTTING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골프 퍼팅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퍼팅을 반복하여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정확한 어드레스(address), 얼라이먼트(alignment) 및 볼의 위치가 학습되어 퍼팅 자세가 교정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터는 골프 경기에 사용되는 클럽 중 가장 많이 홀에 공을 넣는 장비로 전체 경기에서 이루어지는 스윙 중 거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골프경기에서 매우 중요한 클럽이라고 할 수 있다.
퍼터 사용의 주된 목적은 홀을 겨냥하여 공을 러닝시키는 것이므로 다른 클럽과 비교하여 공의 이동거리가 크지않은 반면에 더 높은 정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퍼팅의 정확성 요소에는 방향과 거리가 있는데 이들 중 공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퍼터의 궤도와 페이스이다. 목표한 곳으로 공을 보내기 위해서는 퍼터의 궤도가 보내고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퍼터 페이스는 임팩트시 보내고자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만나야한다. 퍼팅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퍼팅 연습장치가 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에는 골프 퍼팅 연습기가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는 베이스 판체에 부착된 퍼팅 매트와 전면 일부가 골프공 크기보다 크게 개방되고 착지점 이동이 가능한 홀컵과, 퍼팅의 스윙 스트로크 내에 설치되며 퍼터의 궤도 이탈을 검출하는 가이드 센서 또는 전지장치와, 퍼터의 궤도 이틸을 검출 경고하는 경보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는 단순 경량 구조를 이루므로 설치 및 이동 사용이 간편하고, 퍼팅시 요구되는 직선타격을 연습하며 이 직선 타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센서가 이를 검출하여 경보함으로써 자신의 퍼팅 및 퍼팅 습관 등을 교정하는 숙달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퍼팅 연습기는 스크로크 방향만 교정할 수 있을 뿐 어드레스 자세를 교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올바른 어드레스 자세에서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은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필수이다.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이 같은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 퍼팅시 푸쉬(push) 또는 풀(pull)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타인의 도움 없이 교정하기가 어려워 이를 교정할 수 있는 퍼팅 교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퍼팅 연습기는 다리 간격, 발과 볼의 위치를 교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올바른 어드레스 자세에서 다리 간격 및 발과 볼의 위치가 올바르게 정렬되어야 올바른 스트로크가 이루어진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퍼팅 연습기는 퍼팅 연습시 골프공이 평면 매트 위에서 홀컵을 향해 자유롭게 굴러감에 따라, 반복사용, 인체에 의한 하중 및 보관시 변형에 의해 매트의 상면에 접힌 자국이나 흠집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골프공의 진행방향이 굴곡이나 흠집에 의해 변하여, 어드레스 방향이나 퍼터의 스윙방향이 다소 어긋난 상태에서 퍼팅연습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퍼팅 연습기는 부피가 커서 골프 백에 담을 수가 없으므로 한 손으로 들고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퍼팅 연습장치가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접히는 구조 또는 다단의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그 자체의 부피가 크고 설치시 다시 펴거나 조립해야하여 사용이 꺼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퍼팅 연습기는 연습 중 홀컵으로 굴러간 볼을 일일이 회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골프공이 퍼터의 스위트 스폿(sweet spot)에 타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3305호 (등록일:2000.06.09)
본 발명의 목적은,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이 같은 선상에 정렬되도록 어드레스 자세를 교정하고, 다리 간격 및 발과 볼의 위치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골프공의 진행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며, 퍼팅시 골프공이 자동으로 회수되고, 골프공이 퍼터의 스위트 스폿에 타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골프공이 구르는 직선주로를 형성하고, 상기 직선주로의 중심을 따라 표시선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직선주로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선과 평행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표시선을 관찰하면서 퍼팅을 연습하면 퍼팅 자세가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본체에 상기 직선주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림부 사이에는 골프공이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림부에는, 상기 관통공과 일직선상으로 골프 티(tee)가 꽂히는 티꽂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는 퍼팅 연습시 굴러간 골프공을 타단부로 돌려보내는 타격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격유닛은,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동회전하여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각도계 및 상기 각도계의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표시봉을 포함하는 스윙교정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표시봉의 외주면에는, 그린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골프공이 구르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직선주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골프 티가 꽂히는 티꽂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경사진 바닥면에 놓이더라도 길게 형성된 일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의 구름이 방지되도록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골프 연습용 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프 연습용 스틱의 양단부에는, 상기 티꽂이홈에 꽂히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꽂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직선주로와 평행하게 레이저가 조사되는 레이저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직선주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표시선의 양쪽으로 형성되고 골프공이 안착되어 구르는 한 쌍의 주레일 및 상기 주레일의 바깥쪽에서 상기 표시선의 양쪽으로 형성되고 골프공과 이격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주레일은 골프공의 중심을 향해 서로 대칭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골프공이 구르는 직선주로를 형성하고, 직선주로의 중심을 따라 표시선이 형성되는 본체; 및 직선주로의 상측에 형성되고, 표시선과 평행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관통공을 통해 표시선을 관찰하면서 퍼팅을 연습하면 퍼팅 자세가 교정됨으로써,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이 같은 선상에 정렬되도록 어드레스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골프공의 진행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에는 직선주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골프 티가 꽂히는 티꽂이홈 및 눈금이 형성됨에 따라, 다리 간격 및 발과 볼의 위치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의 일단부에는 퍼팅 연습시 굴러간 골프공을 타단부로 돌려보내는 타격유닛이 설치됨으로써, 퍼팅시 골프공이 자동으로 회수되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에는, 표시선의 양쪽으로 형성되고 골프공이 안착되어 구르는 한 쌍의 주레일 및 주레일의 바깥쪽에서 표시선의 양쪽으로 형성되고 골프공과 이격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레일이 형성됨에 따라, 골프공이 퍼터의 스위트 스폿에 타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의 본체 및 가이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의 본체 및 가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치의 타겟유닛 및 타격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치의 타겟유닛, 스윙교정유닛, 레이저유닛 및 수평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의 골프 연습용 스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에 골프 연습용 스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는,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이 같은 선상에 정렬되도록 어드레스 자세를 교정하고, 다리 간격 및 발과 볼의 위치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골프공의 진행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며, 퍼팅시 골프공이 자동으로 회수되고, 골프공이 퍼터의 스위트 스폿에 타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의 본체 및 가이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의 본체 및 가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치의 타겟유닛 및 타격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치의 타겟유닛, 스윙교정유닛, 레이저유닛 및 수평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의 골프 연습용 스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에 골프 연습용 스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팅 교정장치(1)는, 골프 퍼팅을 반복하여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정확한 어드레스(address), 얼라이먼트(alignment) 및 볼의 위치가 학습되어 퍼팅 자세가 교정되도록 이루어지며, 본체(10), 가이드(20) 및 타겟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골프공(B)이 구르는 직선주로(P)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상측이 개방되는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그 안쪽에 골프공(B)이 구르는 직선주로(P)를 형성한다. 직선주로(P)에는 그 중앙을 따라 표시선(L)이 형성된다.
표시선(L)은 퍼팅시 골프공(B)의 진행경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주위와 다른 색깔로 도색되거나 본체(10) 내부와 다른 색깔의 테이프가 점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의 직선주로(P) 중앙을 따라 관통된 홀(La)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는 주레일(11) 및 이탈방지레일(12)이 형성된다.
주레일(11)은 골프공(B)이 안착되어 구르는 구성으로서, 표시선(L)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주레일(11)은, 골프공(B)이 안착된 상태에서 퍼터에 의해 타격될 때 주레일(11)을 벗어나지 않도록, 골프공(B)의 중심을 향해 서로 대칭되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주레일(11)의 경사각은 안착된 골프공(B)과의 접촉점에서 주레일(11) 상면으로부터의 법선이 골프공(B)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레일(12)은 골프공(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주레일(11)의 바깥쪽에서 표시선(L)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이탈방지레일(12)은 각각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이탈방지레일(12)은 골프공(B)이 주레일(11)에 안착된 상태에서 골프공(B)의 양쪽 측면과 접촉되며, 골프공(B)이 표시선(L)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레일(11)에는 한 쌍의 레일부재(11a)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재(11a)는 주레일(11)에 결합되는 긴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일부재(11a)는 본체(10)의 내부와 다른 색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표시선(L)은 한 쌍의 주레일(11)에 의해 색깔이 구분되는 주레일(11)의 중앙부로 확장될 수 있다.
레일부재(11a)는 골프공(B)이 반복적으로 구르면서 마찰을 일으키더라도 표면에 마모가 적은 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무나 실리콘 등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레일부재(11a)는 소모품으로서 그 저면에 점착부가 형성되어 주레일(11)의 경사면에 접착되며, 접촉면에 마모가 발생하면 여분의 레일부재(11a)로 교체될 수 있다.
주레일(11)에 레일부재(11a)가 결합되면 레일부재(11a)에 안착된 골프공(B)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골프공(B)은 이탈방지레일(12)과 이격된다.
따라서, 퍼터의 스윙방향이 표시선(L) 방향과 경사진 상태에서 골프공(B)을 타격하게 되면, 골프공(B)은 레일부재(11a)를 벗어나 이탈방지레일(12)과 부딪혀 흔들리게 되며, 연습자는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퍼터의 스윙방향이 잘못됨을 바로 인지하여 이를 교정할 수 있다.
골프공(B)이 레일부재(11a)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퍼터의 스윙방향과 타격력은 주레일(11)의 경사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주레일(11)의 경사각은 제작시 조절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는 대략 골프채와 비슷한 길이로 형성되며, 그 단면이 골프공(B)의 2배 이내의 폭과 너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습자는 본체(10)를 골프채와 함께 골프 백에 실음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여 집, 사무실, 골프연습장 및 필드를 구분하지 않고 상시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골프백에 의해 흔들림, 이동 및 쓰러짐이 방지된 상태에서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골프백의 하단부와 본체의 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0)는 표시선(L)의 일부가 특정각도범위에서만 보이도록 직선주로(P)의 상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지지부(21) 및 가림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21)는 본체(10)에 직선주로(P)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본체(10)의 양쪽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21)에는 슬라이드돌기(21a)가 형성되고 본체(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10c)이 형성되어 가이드(20)는 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부(22)는 지지부(21)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표시선(L)에 대응되는 관통공(22a)이 형성된다. 관통공(22a)은 좁고 기다란 구멍으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연습자의 눈과 표시선(L)이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표시선(L)으로부터 수직한 위치에 형성된다. 가림부에는 골프공(B)이 지나가는 통로(22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1)는 연습자가 관통공(22a)을 통해 표시선(L)이 보이는 상태에서 퍼팅연습을 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는 어드레스 자세를 교정하기 위함이다. 올바른 어드레스 자세에서는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B)이 같은 선상에 위치해야 하는데,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B)이 같은 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면 퍼팅시 푸쉬(push) 또는 풀(pull)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연습자가 한 쌍의 주레일(11)에 골프공(B)을 놓은 다음 관통공(22a)을 통해 표시선(L)을 보면서 퍼팅을 연습하게 되면, 관통공(22a)이 표시선(L)으로부터 수직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연습자의 눈과 표시선(L) 그리고 골프공(B)이 같은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퍼팅연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1)를 사용하여 퍼팅연습을 반복적으로 연습자는 자연스럽게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B)이 같은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트로크가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자세가 몸에 습득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부(22)에는 관통공(22a)과 일직선상으로 골프 티(T, tee)가 꽂히는 티꽂이홈(H3)이 형성된다. 티꽂이홈(H3)은 관통공(22a)과 일직선상에서 수직한 방향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습자는 관통공(22a) 대신 티꽂이홈(H3)에 삽입된 골프 티(T)가 표시선(L)과 일직선상으로 보이는 상태에서 퍼팅을 연습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는 직선주로(P)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M)과 함께 골프 티(T)가 꽂히는 티꽂이홈(H1)이 형성된다.
본체(10)에 눈금(M) 및 티꽂이홈(H1)이 형성되면, 골프공(B)이 놓이는 위치와 함께 정확한 어드레스 자세에서의 발의 위치를 눈금(M) 및 골프 티(T)를 통해 확인하거나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눈과 공 그리고 홀이 일직선상에 정렬됨과 동시에 발의 위치 및 간격도 올바른 위치에 정렬됨으로써 정확한 어드레스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반복적인 퍼팅연습이 가능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타겟유닛(30)은 퍼팅 연습시 골프공의 목표점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굴러간 골프공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서, 블로커(31) 및 타겟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로커(31)는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굴러간 골프공이 부딪혀 정지된다.
타겟부재(32)는 골프공의 퍼팅 목표점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골프공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며 직선주로를 따라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타겟부재(32)는 블로커(31)와 인접한 지점 또는 골프공의 타격지점과 블로커(31) 사이에서 골프공의 퍼팅 목표점 및 홀컵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커(31)에는 퍼팅 연습시 굴러간 골프공을 타단부로 돌려보내는 타격유닛(80)이 설치될 수 있다.
타격유닛(80)은 퍼팅 연습시 굴러간 골프공(B)을 다시 연습자 쪽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구성으로서, 모터(81), 배터리(미도시), 제어부(미도시), 타격날개(82) 및 타격판(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는 모터(81)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일정시간마다 모터(81)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어부가 10초마다 모터(81)에 전원을 일정시간 동안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타격날개(82)는 모터(81)에 의해 회전되고, 블로커(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타격날개(82)는 2 이상으로 형성되어 (모터(81)와 벨트, 체인 또는 기어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타격판(83)을 타격하게 된다.
타격판(83)은 블로커(31)에 탄성부재로 연결되어, 일정간격 왕복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타격판(83)은 타격날개(82)에 의해 타격되어 직선운동하며, 골프공(B)이 다시 타겟부재(32)를 통과하여 본체(10)의 타단부로 굴러가도록 골프공(B)을 타격하게 된다.
타격유닛(80) 쪽으로 굴러온 골프공(B)이 타격판(83)이 타격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주레일(11)은 타격판(83)을 향해 일정간격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또는 타겟유닛(30)에는 직선주로(P)와 평행하게 레이저가 조사되는 레이저유닛(50)이 설치된다. 레이저유닛(50)은, 연습자가 퍼팅 연습시 표시선(L)과 함께 볼 수 있도록 가이드(20)로부터 주레일(11)에 놓이는 골프공(B)과 반대쪽으로 본체(10)의 단부 또는 본체(10)의 단부에 설치된 타겟유닛(30)에 설치된다.
레이저유닛(50)이 골프 퍼팅 교정장치(1)로부터 직선주로(P)와 평행하게 레이저를 조사하게 되면, 레이저 빛이 표시선(L)의 연장선상에서 관찰됨에 따라, 연습자는 표시선(L)의 정렬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게 되고, 벽이나 나무 또는 물건을 조사하는 레이저 빛을 가상의 홀로 가정한 상태에서 롱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교정유닛(40)은 퍼팅시 골프채의 회전각도를 교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된다. 스윙교정유닛(40)은 각도계(41) 및 각도표시봉(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도계(41)는 지평면을 0도 및 180도로 표시하고 90도는 상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된다.
각도표시봉(42)은 각도계(41)의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각도표시봉(42)을 골프채의 바람직한 스윙각도로 회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퍼팅 스윙연습을 하게 되면, 골프채의 스윙각도와 비교하며 퍼팅시 골프채의 스윙각도를 교정하게 된다.
각도표시봉(42)은 후술할 골프 연습용 스틱(70) 또는 막대형태의 물건을 각도표시봉(4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도록 일단부가 개구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표시봉(42)의 단부에 골프 연습용 스틱(70)을 삽입한 상태에서 스윙연습을 진행하게 되면, 골프 연습용 스틱(70)이 각도표시봉(42)의 연장선상에 배치됨으로써, 골프채의 스윙각도와 보다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또는 타겟유닛(30)에는 바닥면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계(60)가 형성된다.
골프 퍼팅시 지면의 경사도는 골프공(B)의 구르는 거리 및 방향과 직결되며, 본 발명의 골프 퍼팅 교정장치(1)는 바닥면의 수평도를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퍼팅 연습을 가능하게 한다. 즉, 퍼팅 연습시 연습자는 수평계(60)를 확인함으로써 골프 퍼팅 교정장치(1)가 놓인 바닥면의 경사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경사도를 고려하여 퍼팅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퍼팅 교정장치(1)는, 골프 연습용 스틱(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골프 연습용 스틱(70)은, 골프 스윙 연습시 셋업 자세 교정, 볼 위치 설정, 스윙 궤도 교정 및 퍼팅 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골프 연습용 스틱(70)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긴 막대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경사진 바닥면에 놓이거나 골프공(B)이 굴러서 부딪히더라도 구름이 방지된다.
골프 연습용 스틱(70)은, 본체(10)의 티꽂이홈(H1)에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2 이상의 골프 연습용 스틱(7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티꽂이홈(H1)에 삽입되는 돌출부(70a)와 돌출부(70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70b)이 형성된다. 물론, 골프 연습용 스틱(70)은 골프 퍼팅 교정장치(1)에 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도 바닥에 놓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골프 연습용 스틱(7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골프 티(T)가 꽂히는 티꽂이홈(H4)이 형성되어, 티꽂이홈(H4)에 간단하게 골프 티(T)를 끼움으로써 발이나 골프공(B)의 위치 또는 더프 위치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스윙 도중 골프 티(T)가 가격되더라도 소모품인 골프 티(T)에 손상이 집중되어 골프 연습용 스틱(70)을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프 연습용 스틱(70)에는, 골프채 헤드의 이동거리 및 골프공(B)이 구르는 거리가 확인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G)이 형성된다. 골프 퍼팅시 백 스트로크와 포워드 스트로크의 거리는 골프공(B)의 구르는 거리와 직결된다. 골프 연습용 스틱(7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G)이 형성되어 연습자는 포워드 스트로크와 백 스트로크의 거리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골프 연습용 스틱(70)에는, 골프채 헤드의 이동거리 및 골프공(B)이 구르는 거리가 색깔로 확인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2 이상의 다른 색깔을 띄는 구간이 반복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습자는 퍼팅 연습시 골프공(B)이 굴러간 거리를 작은 오차범위 내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퍼팅 교정장치(1)는, 골프 연습용 스틱(70)을 본체(10)에 결합하여 스윙연습과 퍼팅연습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골프공(B)이 구르는 직선주로(P)를 형성하고, 직선주로(P)의 중심을 따라 표시선(L)이 형성되는 본체(10); 및 직선주로(P)의 상측에 형성되고, 표시선(L)과 평행한 관통공(22a)이 형성되는 가이드(20)를 포함하고, 관통공(22a)을 통해 표시선(L)을 관찰하면서 퍼팅을 연습하면 퍼팅 자세가 교정됨으로써, 눈과 홀 그리고 골프공(B)이 같은 선상에 정렬되도록 어드레스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골프공(B)의 진행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에는 직선주로(P)의 길이방향을 따라 골프 티(T)가 꽂히는 티꽂이홈(H1) 및 눈금(M)이 형성됨에 따라, 다리 간격 및 발과 볼의 위치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일단부에는 퍼팅 연습시 굴러간 골프공(B)을 타단부로 돌려보내는 타격유닛(80)이 설치됨으로써, 퍼팅시 골프공(B)이 자동으로 회수되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10)에는, 표시선(L)의 양쪽으로 형성되고 골프공(B)이 안착되어 구르는 한 쌍의 주레일(11) 및 주레일(11)의 바깥쪽에서 표시선(L)의 양쪽으로 형성되고 골프공(B)과 이격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레일(12)이 형성됨에 따라, 골프공(B)이 퍼터의 스위트 스폿에 타격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골프 퍼팅 교정장치 10 : 본체
20 : 가이드 30 : 타겟유닛
40 : 스윙교정유닛 50 : 레이저유닛
60 : 수평계 70 : 골프 연습용 스틱
80 : 타격유닛 41 : 각도계
11 : 주레일 42 : 각도표시봉
12 : 이탈방지레일 70a : 돌출부
11a : 레일부재 70b : 결합홈
10c : 슬라이드홈 H4 : 티꽂이홈
P : 직선주로 81 : 모터
L : 표시선 82 : 타격날개
H1 : 티꽂이홈 83 : 타격판
M : 눈금 B : 골프공
21 : 지지부 T : 골프 티
21a : 슬라이드돌기
H2 : 티꽂이홈
22 : 가림부
22a : 관통공
22b : 통로
H3 : 티꽂이홈
31 : 블로커
32 : 타겟부재

Claims (14)

  1.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골프공이 구르는 직선주로를 형성하고, 상기 직선주로의 중심을 따라 표시선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직선주로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선과 평행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표시선을 관찰하면서 퍼팅을 연습하면 퍼팅 자세가 교정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본체에 상기 직선주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 사이에는 골프공이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에는, 상기 관통공과 일직선상으로 골프 티(tee)가 꽂히는 티꽂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는 퍼팅 연습시 굴러간 골프공을 정지시키는 타겟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굴러간 골프공이 부딪히는 블로커;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직선주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골프공이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되는 타겟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커에는 퍼팅 연습시 굴러간 골프공을 타단부로 돌려보내는 타격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유닛은,
    모터와 연동회전하는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가 부딪힐 때 상기 본체의 타단부 방향으로 밀리는 타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각도계 및 상기 각도계의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표시봉을 포함하는 스윙교정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직선주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골프 티가 꽂히는 티꽂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경사진 바닥면에 놓이더라도 길게 형성된 일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의 구름이 방지되도록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골프 연습용 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프 연습용 스틱의 양단부에는, 상기 티꽂이홈에 꽂히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꽂히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직선주로와 평행하게 레이저가 조사되는 레이저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직선주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표시선의 양쪽으로 형성되고 골프공이 안착되어 구르는 한 쌍의 주레일 및 상기 주레일의 바깥쪽에서 상기 표시선의 양쪽으로 한 쌍의 이탈방지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주레일은 골프공의 중심을 향해 서로 대칭되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교정장치.
KR1020140104579A 2014-08-12 2014-08-12 골프 퍼팅 교정장치 KR10156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79A KR101561666B1 (ko) 2014-08-12 2014-08-12 골프 퍼팅 교정장치
PCT/KR2015/008097 WO2016024744A1 (ko) 2014-08-12 2015-08-03 골프 퍼팅 교정장치
JP2017528745A JP6445697B2 (ja) 2014-08-12 2015-08-03 ゴルフパット矯正装置
CN201580051960.3A CN106714913B (zh) 2014-08-12 2015-08-03 高尔夫推杆矫正装置
US15/503,498 US10272315B2 (en) 2014-08-12 2015-08-03 Golf putting corr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79A KR101561666B1 (ko) 2014-08-12 2014-08-12 골프 퍼팅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666B1 true KR101561666B1 (ko) 2015-10-20

Family

ID=5439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579A KR101561666B1 (ko) 2014-08-12 2014-08-12 골프 퍼팅 교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2315B2 (ko)
JP (1) JP6445697B2 (ko)
KR (1) KR101561666B1 (ko)
CN (1) CN106714913B (ko)
WO (1) WO20160247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797B1 (ko) 2016-05-17 2017-10-18 최인석 휴대용 퍼팅연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5128A (zh) * 2018-05-28 2018-12-07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漏粪地板拆卸装置
USD865892S1 (en) * 2018-07-20 2019-11-05 Richard A. Whitfield Golf putting training aid
KR102284588B1 (ko) * 2020-01-23 2021-08-02 (주)와이티 사용성이 우수한 골프 퍼팅 연습기
JP1698062S (ko) * 2021-03-19 2021-10-25
FR3126100B1 (fr) * 2021-08-11 2023-07-21 Bernard Lechelle Dispositif d’assistance à l’apprentissage du putting, ensemble comprenant le dispositif et procédé utilisant l’ensem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192Y1 (ko) * 2005-12-09 2006-03-07 김회식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101286831B1 (ko) * 2012-08-02 2013-07-17 유덕상 레이저 포인터를 갖춘 골프 퍼팅 연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2713A (en) * 1949-01-21 1952-04-15 Otto L Koch Practice target for putting
US4249739A (en) * 1979-12-10 1981-02-10 Brandell John R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US4828267A (en) * 1988-01-07 1989-05-09 Ray Goodrich Putting practicing device
US5409231A (en) * 1993-12-20 1995-04-25 Kueng; Jeffrey S. Golf putting trainer
US5776007A (en) * 1996-03-27 1998-07-07 George Kendall Putting practice device
DK0963987T3 (da) 1998-06-12 2002-12-30 Hoffmann La Roche Spiro(piperidin-4,1'-pyrrolo(3,4-c)pyrrol)
US6869288B1 (en) * 2000-08-11 2005-03-22 Robert L. Faulkner Training device for teaching putting mechanics
CA2414716A1 (en) * 2002-12-27 2004-06-27 Gestion Thima Inc. Putting practice device and practice method using said device
US6939238B2 (en) * 2003-10-14 2005-09-06 Terry Brayto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KR200369808Y1 (ko) * 2004-09-06 2004-12-14 박봉렬 퍼팅 연습기
US7744482B1 (en) * 2009-09-08 2010-06-29 Michael Watson Putt sensor training device
US8029380B1 (en) * 2010-04-07 2011-10-04 Chad Johansen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ining a golfer to use a putter
CN201701715U (zh) * 2010-04-22 2011-01-12 张家豪 高尔夫挥杆推杆练习辅具
ITTO20110437A1 (it) * 2011-05-16 2012-11-17 Roberto Chiono Attrezzatura di allenamento per il gioco del golf
JP5068882B1 (ja) * 2011-11-04 2012-11-07 株式会社エム・システム技研 ゴルフパッティング練習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192Y1 (ko) * 2005-12-09 2006-03-07 김회식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101286831B1 (ko) * 2012-08-02 2013-07-17 유덕상 레이저 포인터를 갖춘 골프 퍼팅 연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797B1 (ko) 2016-05-17 2017-10-18 최인석 휴대용 퍼팅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5697B2 (ja) 2018-12-26
CN106714913A (zh) 2017-05-24
CN106714913B (zh) 2019-02-26
WO2016024744A1 (ko) 2016-02-18
JP2017524509A (ja) 2017-08-31
US10272315B2 (en) 2019-04-30
US20170312611A1 (en)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666B1 (ko) 골프 퍼팅 교정장치
US7228649B2 (en) Golf alignment device, method and apparatus
US7914392B2 (en) Golf pract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7601081B1 (en) Apparatus for teaching improved pitching mechanics of a pitcher
US6893356B2 (en) Golf putting machine and method
US8021242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870150B1 (ko) 골프용 퍼팅연습장치
WO2014147639A2 (en) The falcon eve
US112853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titive training of golf swing with virtual reality
KR20170080003A (ko) 스윙 교정용 골프 매트
US6780122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0981703B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KR200412490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US20170326427A1 (en) Golf swing teaching device
KR101683105B1 (ko) 골프 연습용 스틱
KR20160079550A (ko) 골프 스윙연습 매트
US20230158389A1 (en) Putting practice device for training of keeping putter face square and controlling putting strength
CA2675578A1 (en) Golf pract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2270991B1 (ko) 스윙플레인 유지가 용이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1882844B1 (ko) 퍼팅거리 조절기능을 가지는 퍼터
KR200478267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20230058832A (ko) 조합형 퍼팅 및 스윙 연습장치
KR20160028782A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KR200345147Y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123411B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골프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