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090A - 골프스윙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스윙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090A
KR20190013090A KR1020170097095A KR20170097095A KR20190013090A KR 20190013090 A KR20190013090 A KR 20190013090A KR 1020170097095 A KR1020170097095 A KR 1020170097095A KR 20170097095 A KR20170097095 A KR 20170097095A KR 20190013090 A KR20190013090 A KR 2019001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guider
swing
impact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김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국 filed Critical 김병국
Priority to KR102017009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3090A/ko
Publication of KR2019001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63B60/04Movable ballas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들과 종래의 연습방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여 연습자로 하여금 올바른 스윙리듬과 템포를 익히게 하고, 스윙스피드를 향상시키며, 상급의 레벨에 이르기 위해 요구되는 이른바 '지연타격(deloyed hit)’과 정확한 팔로우스루 및 피니쉬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이를 연습할 수 있게 하며, 엘보우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키지 않는 스윙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장치는 손잡이와 샤프트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 내부에는 2개 이내의 내부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유동부는 가이더 내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와, 가이더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유동체와 충돌하여 충격음을 내는 충격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내부유동부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되, 길이가 긴 내부유동부의 길이가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의 길이보다 50% 이상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는 손잡이부로부터 먼 클럽헤드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골프스윙 연습장치{PRACTICING DEVICE FOR GOLF SWING}
본 발명은 골프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습자로 하여금 스윙리듬과 템포를 개선시키고, 스윙스피드를 향상시키며, 상급의 레벨에 이르기 위해 요구되는 이른바 ‘지연타격(delayed hit)’과 정확한 팔로우스루 및 피니쉬 동작을 연습할 수 있게 하는 연습장치로서, 엘보우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키지 않는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은 어드레스(address), 테이크어웨이(takeaway), 백스윙(back swing), 백스윙 탑(top of swing), 전환동작, 다운스윙(downswing), 임팩(impact), 팔로우스로우(follow through), 피니쉬(finish)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골프로서 상급의 레벨에 이르기 위해 요구되는 스윙에는 몇 가지 조건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올바른 위와 같은 스윙의 전단계에 걸쳐 올바른 스윙궤도를 형성하는 것이고, 거리를 내기 위해 충분한 헤드스피드를 확보하는 것이며, 깊고 정확한 임팩(impact)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몇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그중 첫번째 조건은 백스윙과 다운스윙 사이의 리듬과 템포가 자연스러워야 한다는 것이다. 초심자들(상급자들도 종종 범하는 실수이기도 하다)이 범하는 실수 중에 백스윙이 완성되기도 전에, 즉 클럽이 백스윙 탑에 도달하기도 전에 다운스윙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는 힘이 충분히 모아지지 않고, 몸통의 꼬임이 충분하지 않으며, 체중이 충분히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시작하는 것이므로, 그로 인해 스윙스피드나 파워는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더욱 심각한 문제점은 헤드가 백스윙 탑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클럽헤드 및 클럽이 이루는 궤도가 이상적인 스윙플래인에서 이탈하게 하여 공에 타격이 되어도 훅샷, 풀샷이나 극심한 슬라이스 등 방향성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백스윙과 다운스윙 사이의 템포와 리듬이 일관되도록 연습할 필요가 있다.
두번째 조건은 임팩트시에 지연타격(delayed hit)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지연타격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이를 설명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 있는데, 공통된 내용은 캐스팅(casting) 동작을 방지하고, 코킹(cocking)을 가급적 오래 유지한 상태에서(이를 래깅이라고 표현한다) 임팩을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캐스팅이란 손으로 낚시대를 던지는 동작에서 유래된 것으로, 백스윙 탑에서 손목이 꺾인 상태(이를 코킹이라 부른다)를 다운스윙 초기에 낚시대를 던지듯이 순식간에 풀어버리는 동작을 말하는데, 초심자들이 쉽게 범하는 대표적인 오류 동작 중 하나이다.
코킹이란 백스윙 단계에서 클럽의 샤프트와 왼팔(왼손잡이의 경우 오른팔)의 상박이 자연스럽게 꺾여 결국 오른손 손목이 꺾이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이를 풀어어 원래의 손목이 자연스럽게 펴진 상태로 돌리는 것을 언코킹(uncocking)이라 한다. 이런 언코킹은 꺾인 손목을 인위적으로 펴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운스윙에서 클럽헤드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스윙이 이루어지면 임팩 단계에서도 손목은 어느 정도는 꺾인 상태가 유지되고 임팩이 된 후 팔로우 스윙 단계에서 완전히 펴지게 된다. 이런 동작이 이루어지면 임팩 단계에서 양손이 클럽헤드보다 타겟방향으로 더 앞에 있게 되거나, 공 없이 연습스윙하는 경우 '부웅'하는 클럽헤드의 소리가 몸통의 왼쪽 근처에서 나게 된다(이와 달리 캐스팅이 되면 몸통의 오른쪽에서 소리가 나게 된다).
이러한 지연타격이 이루어지면 헤드 스피드가 상승하고 클럽에 모인 힘이 클럽헤드를 통해 공에 제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공의 비거리가 늘어나며, 공과 클럽헤드가 접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임팩의 질이 좋아져 양질의 타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세번째 조건은 임팩 이후 단계인 팔로우스루와 피니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구력과 실력이 어느 정도 레벨에 이른 골퍼라면, 임팩 이후의 단계, 즉 팔로우스루와 피니쉬 동작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팔로우와 피니쉬 동작을 제대로 연습하기는 쉽지 않았다.
리듬과 템포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선행문헌 1과 같은 등록고안(실용신안등록 20-358262)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클럽샤프트 모양의 파이프 내에 스윙의 단계에 따라 움직이는 볼과 볼의 운동을 유도하는 유도홈을 형성하여 임팩시에 볼이 충격판을 때려 소리가 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윙궤도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 의하면 백스윙에서 볼이 충격판을 때리는 소리를 듣고 나서야 다운스윙을 시작할 수 있게 연습할 수 있으므로, 백스윙 탑까지 미처 이르지 못하고 다운스윙을 시작하는 오류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장치로는 임팩시에 딱 소리가 날 때까지 연습할 수 있으므로 임팩단계까지는 연습을 할 수 있으나, 이 사건 발명의 다른 과제인 지연타격이나 임팩 이후의 팔로우스루나 피니쉬동작까지 연습할 수는 없었다.
지연타격을 연습하기 위한 종래의 연습방법으로는 연습스윙을 하되 클럽헤드가 공기를 가르면서 내는 '부웅' 소리를 몸의 왼쪽에서 나도록 연습하는 방법이 대표적이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연습방법으로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리듬과 템포를 개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기를 가르는 소리만을 들을 뿐인데, 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들릴 수 있으므로 피드백이 분명하게 제공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어서, 연습자가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 또한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연습용 스틱이나 실제 클럽으로 연습하게 되므로 스윙스피드를 늘리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무엇보다도 연습자가 연습에 흥미를 붙이게 만드는 요소가 없어서 꾸준히 할 수 없다는 점에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팔로우스루 및 피니쉬까지 연습하기 위해서는 임팩 이후로도 스윙동자을 계속 이어나가야 하는데, 위 교습방법에 의하면 연습자에게 아무런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고, 특히 임팩 이후로는 자신의 동작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아무런 지표가 없기 때문에 부웅 소리가 나는 단계까지만 연습한 후 그 이후의 단계는 생략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과제인 스윙스피드를 늘리거나 연습동작 중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연습장치로서 선행기술문헌 2에 개시된 종래기술 2(한국특허등록 제982482호)가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배트로서 스윙의 단계별로 배트 내에 있는 구슬이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음을 만들어 냄으로써 피드백을 제공하고, 클럽헤드 부분의 무게를 무겁게 만든 장치이다. 이 스윙배트에 의하면 스윙궤적을 교정하거나, 스윙스피드를 향상시키는 데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되지만, 지연타격에 관한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아 이를 연습하거나, 팔로우스루 및 피니시까지 연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 스윙배트로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무게가 나가는 스윙배트를 팔로 들어올려 휘둘러야 하므로, 연습으로 인해 팔꿈치 또는 상완부에 엘보우 등의 부상이 발생하거나 이미 발생한 부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골프엘보우는 구력이 어느 정도 되는 골퍼라면 누구가 겪게 되는 고질적인 통증으로서, 피로로 인한 인대나 연골부위의 손상으로 인한 통증을 의미하는데, 골프엘보우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은 임팩시에 심한 충격을 받거나, 반복적으로 무거운 클럽으로 연습을 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무거운 스윙배트로 연습을 반복하면 할 수록 연습자로서는 골프엘보우를 겪게 되거나, 이미 유발된 엘보우가 악화되어 정작 즐겨야 할 골프를 통증 때문에 즐길 수 없는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종래기술 1: 등록고안 20-358262 종래기술 2: 한국특허등록 제982482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들과 종래의 연습방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여 연습자로 하여금 올바른 스윙리듬과 템포를 익히게 하고, 스윙스피드를 향상시키며, 상급의 레벨에 이르기 위해 요구되는 이른바 '지연타격(deloyed hit)’과 정확한 팔로우스루 및 피니쉬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이를 연습할 수 있게 하며, 엘보우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키지 않는 스윙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장치는 손잡이와 샤프트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 내부에는 2개 이내의 내부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유동부는 가이더 내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와, 가이더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유동체와 충돌하여 충격음을 내는 충격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내부유동부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되, 길이가 긴 내부유동부의 길이가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의 길이보다 50% 이상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는 손잡이부로부터 먼 클럽헤드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유동부의 유동체는 금속 구슬일 수도, 중공의 원반 형상이고, 중공을 통해 안내로드가 가이더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 사건 발명에 따른 연습장치에 의하면 몸통으로 회전동작을 익힘으로써 제대로 된 몸통으로 공을 덮는 동작을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올바른 플레인을 따라 몸통을 빨리 회전시킬 수록 더 큰 충격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연습자는 충격음을 들으면서 무거운 웨이트가 달린 연습장치로 연습을 반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스윙스피드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지연타격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운스윙에서 임팩시점 무렵에 1회의 충격음, 그후 충분한 몸통 회전이 계속 이루어진 후에서야 두번째 충격음을 내게 되므로, 연습자로서는 이러한 충격음(충격음의 크기 및 충격음 사이의 간격)을 들으면서 자신이 제대로 된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임팩 이후로도 계속하여 몸통회전을 하여 몸통의 회전에 의해 팔로우 스루 및 피니쉬 동작을 익히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사건 발명에 따른 연습장치는 웨이트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큰 중량이 나가지 않으므로, 골프엘보우를 유발하거나 이를 악화시키지도 않게 된다.
도1은 종래기술 1의 사시도 및 모식도이다.
도2는 종래기술 2의 단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본원 발명의 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4(a) 및 도4(b)는 본원 발명의 내부유동부의 각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본원 발명에 따른 연습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습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막대형태로 만들어졌는데, 한쪽 끝에는 손으로 작기 위한 손잡이부(100)와 그로부터 이어진 샤프트부(200)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연습장치의 끝단에 웨이트부(300)이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웨이트부는 연습장치 중 무게를 무겁게 만든 부분인데, 철이나 스테인레스 또는 무거운 종류의 목재로 만들어 전체적으로 끝부분에 장치 대부분의 무게가 배분되도록 한 것이다. 연습자는 이러한 상당한 무게의 웨이트를 몸통스윙 동작으로 연습하여 코어의 근육을 단련할 수 있으며, 스윙스피드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연습자가 헤드의 무게를 느끼는 것을 익히게 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웨이트부는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므로 설치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손잡이부는 통상의 골프클럽이나 통상의 스윙연습장치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그 단면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통상의 골프그립이 끼워진 것이다. 연습자는 이 부분을 잡아 연습을 위해 위치를 잡거나, 이를 파지하여 통상의 클럽처럼 휘두를 수도 있다.
샤프트부(200) 내부에는 내유동부(400)가 설치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유동부(400)는 가이더(403)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 유동체(401)와 가이더(403) 및 가이더의 양단부에 위치된 충격판(402)를 포함한다.
가이더(403)는 유동체가 이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단면이 유동체의 단면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유동체는 원반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가이더의 단면이 원형일 필요는 없고, 사각형이라도 무방하다.
유동체(401)는 가이더를 따라서 자유롭게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데, 이러한 운동에 적합하게 금속구슬 등과 같이 구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판(402)은 가이더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가이더를 폐쇄하여 유동체가 가이더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유동체(401)가 부딪혔을 때 충격음을 발산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b는 이 사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내부유동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유동체(401-1)가 구체가 아닌 주판알과 유사한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원반형태로 만들어지고, 상기 유동체 내의 구멍을 관통하여 가이더 내에 설치되는 안내로드(40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위 유동체(404-1)는 가이더를 따라 좌우로 운동하고 양단의 충격판과 충격함으로써 충격음을 만들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연습장치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유동부(400, 400', 400")가 2개 이상이 설치되는데, 각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그 길이가 긴 내부유동부(400', 400")의 전체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400)의 길이보다 50% 이상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차이가 2배 이상이 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길이의 차이는 연습자의 레벨이나 유연성에 따라 다르게 만들 수 있는데, 초보 또는 유연성이 떨어지는 골퍼는 길이차이가 크지 않도록, 숙련자 또는 유연성이 뛰어난 골퍼의 경우에는 길이 차이가 크도록 만들 수 있다.
한편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로부터 먼쪽 즉 클럽헤드 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운스윙에서의 피드백을 명확하게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작동과정에서 설명한다.
비록 도시된 도면에서는 내부유동부가 2개 가진 실시예만을 도시하였지만, 이 사건 발명에 따른 연습장치는 내부유동부를 3개 이상 갖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내부유동부는 도3(a)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도3(b)와 같이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가 손잡이부에서 먼쪽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에서는 도5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연습자는 위 연습장치의 손잡이부를 그립하여 어드레스를 한 후에 백스윙을 하여 백스윙 탑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때 2개의 내부유동부(400) 내의 유동체(401)가 중력에 의하여 가이더(403) 한쪽의 충격판(402)을 향해 운동하여 결국 충격판(402)을 가볍게 때리게 된다. 이때 2개의 유동체가 충격판에 부딪히게 되므로 연습자는 '따딱'과 같은 2회의 작은 충격음을 듣게 될 것이고, 이 상태가 백스윙 탑이 되고, 이때부터 다운스윙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습자는 두개의 충격음을 들은 후에라야 다운스윙 단계로 들어가기 때문에 충분한 백스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시작하여 클럽이 플레인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오류를 예방할 수 있고, 스윙의 리듬과 템포가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백스윙 탑 동작이 이루어졌다는 것에 관한 피드백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이후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자는 클럽헤드를 휘둘러 다운스윙을 하게 되는데, 다운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유동체는 원심력에 의해 반대쪽 충격판을 향해 운동하게 되는데,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400)의 유동체가 반대쪽의 충격판에 도달하여 이를 때림으로써 '딱'하는 충격음을 내게 된다. 이때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가 손잡이부에서 먼쪽(클럽헤드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운동의 중심으로부터의 멀리 떨어져 있어서 다운 스윙 초기에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400) 내의 유동체에 걸리는 원심력이 크기가 길이가 더 긴 내부유동부(400', 400")의 유동체에 걸리는 원심력보다 더 크게 된다. 따라서,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의 유동체가 길이가 긴 내부유동체보다 더 빨리 가속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빨리 반대쪽에 도달하여 충격판을 때려 '딱'하는 충격음을 내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유동부의 길이를 L이라고 하고, 유동체의 회전반경(몸통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을 r, 회전각속도를 w, 시간을 t, 유동체의 길이방향(즉 연습장치의 축방향) 속도를 V, 길이방향 가속도를 a라 한다.
V = Vo + at인데 다운스윙 초기에 유동체는 정치된 상태에 있어서 그 속도가 0이므로 V = at가 된다.
따라서 이를 적분하면, 유동체의 이동거리 S = at2 /2가 되는데, 이때 a는 원운동에 의한 반경반향(즉 연습장치의 축방향)의 가속도이므로 a = rw2 의 관계를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S = rw2 at2 /2이 되고, 결국 t = (2S/rw2 )1/2 이 되는데, 유동체가 내부유동부의 반대쪽에 도달한 때에는 S = L이 되므로, 결국 유동체가 반대쪽에 도달한 시간 t = (2L/rw2 )1/2이 된다.
위 공식에 의하면 L이 짧고, r이 클수록 t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즉 내부유동부의 길이가 짧고, 회전반경이 클수록(즉, 몸통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유동체가 내부유동부를 횡단하여 반대쪽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400)을 길이가 긴 내부유동부(400', 400")보다 손잡이부에서 멀리 위치시키기 때문에, 길이가 짧은 내부동부(400)의 유동체가 반대쪽에 도달한 시점에도, 길이가 긴 내부유동부(400', 400")의 유동체는 아직 반대쪽 충격판에 도달하지 못하고 계속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중에 있게 된다. 따라서, 연습자는 최초의 충격음이 발생한 후로도 계속 스윙동작을 수행하여야 하고, 그후 스윙의 단계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에 길이가 긴 내부유동부(400', 400")의 유동체가 반대쪽 충격판을 때려 두번째 충격음을 내게 된다. 결국 연습자가 최초의 충격음만들 듣고 스윙동작을 계속 수행하지 않으면, 두번째 충격음 작거나 경쾌하지 않은 둔탁한 충격음이 나게 되므로, 연습자로서는 이러한 충격음을 들으면서 자신이 제대로 된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지속적인 가속을 시켜주는 다운스윙 동작을 익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첫번째 충격음과 두번째 충격음이 발생하는 시간 간격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그 이유를 설명한다.
앞서 본 공식은 다음과 같다.
t = (2L/rw2 )1/2 이 된다.
위 공식에 의하면 초기 회전각속도 w가 작을수록, 즉 몸통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유동체를 가속시킬수록 t가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유동체가 반대쪽에 도달하는 시간이 늦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손목을 써서 초기에 가속시키면 w가 커져서 유동체가 반대쪽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골프 초심자들이 쉽게 범하는 대표적인 오류 중에 캐스팅이라는 동작이 있는데, 이는 다운스윙 초기에 손목을 사용함으로써 코킹된 상태를 급격히 풀어버리는 것이다. 이러한 오류동작의 원인은 스윙을 통해 단계별로 클럽헤드의 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운스윙 초반부터 최대스피드를 내기 위한 본능에서 기인한 것인데, 이러한 캐스팅 동작이 이루어지면 초기 회전각속도 w가 커지고, 유동체가 내부유동부의 반대쪽에 도달하는 시간 t는 w2에 반비례하므로, 길이가 다른 두 내부유동부의 유동체는 비록 그 길이가 다르고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 r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위적인 손목을 사용한 가속동작 때문에 급속히 길이방향으로 가속되기 때문에, 반대쪽에 도달하는 시간 t가 짧아져, 결국 첫번째 충격음과 두번째 충격음 사이의 간격이 크지 않게 된다. 또한 두 충격음이 발생하는 위치 역시 몸통의 왼쪽이 아니라 모두 몸통의 오른쪽에서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자연스럽게 코킹을 유지하면서 클럽헤드를 지속적으로 가속시키기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의 유동체와 길이가 긴 내부유동부의 유동체의 초기속도에 상당한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의 유동체가 충격음을 낸 시점과, 길이가 긴 내부유동부의 유동체가 충격음을 낸 시점을 상당한 정도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코킹이 유지되고 지연타격의 정도가 향상됨에 따라 두 충격음 사이의 간격은 '따닥'에서 '딱~~딱'으로 점차 벌어지게 된다. 이렇게 충격음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는 것은 팔의 사용에 의한 가속이 아니라 몸통의 사용에 의한 지속적인 가속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지연타격 동작, 즉 코킹의 자연스러운 유지동작과 원활한 팔로우스루가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두 충격음 사이의 시간의 간격을 일정 정도 이상 벌리는 것이 불가능한데, 이러한 충격음 사이의 시간분리를 통해 지연타격 및 팔로우스루 동작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습자로서는 두 충격음 사이의 시간 간격을 들음으로써 자신의 지연타격 및 팔로우스루 연습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알 수 있게 되고, 더욱 이러한 동작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올바른 플레인을 따라 지연타격이 이루어지는 다운스윙과 팔로우스루를 행할 수록 샤프트끝의 스피드는 더욱 빨라지고, 따라서 유동체의 가속도도 더 커져서 더 큰 충격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연습자는 충격음의 크기를 들으면서 연습장치로 연습을 반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스윙스피드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웨이트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본원 발명에 따른 연습장치는 전체의 중량이 종래기술 2의 연습장치보다 현저하게 적게 나가기 때문에 연습자가 연습함에 있어서 엘보우 등의 부상을 입거나 이미 발생한 엘보우를 악화시킬 가능성도 적게 된다.

Claims (5)

  1. 손잡이와 샤프트를 포함하는 골프스윙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내부에는 2개 이상의 내부유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유동부는 가이더 내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와, 가이더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유동체와 충돌하여 충격음을 내는 충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내부유동부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되, 길이가 가장 긴 내부유동부의 길이가, 길이가 짧은 내부유동부의 길이보다 50% 이상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가장 짧은 내부유동부는 손잡이부로부터 먼 클럽헤드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동부의 유동체는 금속 구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동부의 유동체는 중공의 원반 형상이고, 중공을 통해 안내로드가 가이더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20170097095A 2017-07-31 2017-07-31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190013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95A KR20190013090A (ko) 2017-07-31 2017-07-31 골프스윙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95A KR20190013090A (ko) 2017-07-31 2017-07-31 골프스윙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90A true KR20190013090A (ko) 2019-02-11

Family

ID=6537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095A KR20190013090A (ko) 2017-07-31 2017-07-31 골프스윙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30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28B1 (ko) * 2020-12-11 2021-07-16 남동운 골프 스윙 연습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28B1 (ko) * 2020-12-11 2021-07-16 남동운 골프 스윙 연습 보조장치
WO2022124562A1 (ko) * 2020-12-11 2022-06-16 남동운 골프 스윙 연습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8328B2 (en) Golf swing trainer
US8187124B2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US6949036B2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US9757635B1 (en) Swing speed trainer
US5476262A (en) Putter trainer
US9687718B1 (en) Swing speed trainer
US4118033A (en) Device for practicing golf swing
KR20060025532A (ko) 골프스윙연습장치 및 방법
US5634856A (en) Sports swing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JP3155758U (ja) ゴルフ及び野球のスイング練習具
US9782657B2 (en) Universal swing training apparatus
US9757634B1 (en) Athletic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5989131A (en) Golf weight training device
KR20190013090A (ko) 골프스윙 연습장치
US20090170621A1 (en) Golf grip training aid
JP2012509132A (ja) 狭い室内空間用ラケット
KR102159878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US20120077611A1 (en) Weighted Golf Club Training Device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US20090075745A1 (en) Golf swing training club
KR20150128226A (ko) 골프연습용배트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US20220355175A1 (en) Nailed it
KR20190012901A (ko) 골프스윙 연습장치
Coach Education Coaching Tennis Technical & Tactical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