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739B1 -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739B1
KR102284739B1 KR1020200144713A KR20200144713A KR102284739B1 KR 102284739 B1 KR102284739 B1 KR 102284739B1 KR 1020200144713 A KR1020200144713 A KR 1020200144713A KR 20200144713 A KR20200144713 A KR 20200144713A KR 102284739 B1 KR102284739 B1 KR 10228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fixed
golf
pock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의
Original Assignee
이기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의 filed Critical 이기의
Priority to KR102020014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739B1/ko
Priority to PCT/KR2021/013614 priority patent/WO20220926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91Balls fixed to a movable, tiltable or flexible a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55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Abstract

본원은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기 위한 수단으로 골프공타격부와 타격회전부 및 몸체고정부를 갖고 무게추가 사용되는 단순구성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관련 기술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서, 골프공타격부는 타격회전부의 단부에 설치되되, 타격회전부의 수평봉 일 측면으로는 골프공의 중량감을 더해주기 위한 무게추조절부가 마련되고 수평봉 타측면으로는 골프공이 내삽될 수 있는 크기의 오목홈 형상의 포켓이 수평봉에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포켓내측으로는 충격완충용 스프링이 내삽되고 골프공이 순차적으로 포켓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골프공타격부가 고정되는 타격회전부는 수평봉의 중앙부위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부를 이루거나 또는 직각으로 굴곡되는 고정부연결봉을 갖고 고정부연결봉의 단부에는 원형결합부가 형성되어 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감싸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며, 몸체고정부는 벽체나 별도의 지지체에 수평축이 평행되도록 고정되되, 수평축의 특정부위에 중심축이 마련되고 타격회전부의 원형결합부가 중심축을 감싼구조를 이루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격회전부가 360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Golf swing training device containing changable weight}
본 발명은 골프공타격부와 타격회전부 및 몸체고정부를 갖고 무게추가 조절되도록 적용되면서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관련 기술이다.
본원 기술로 제공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골프공에 중량감이 부여되어 사용자가 스윙연습을 반복하게 되면서 자연히 스윙자세를 취한 관련 근육을 단련하여 궁극적으로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골프공 타격 시 손에 전달되는 타격감(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회전하는 원형결합부 회전의 부드러움과 유연함(smooth)이 글립을 잡은 손에 전달되는 느낌)을 느끼면서 자신의 스윙자세 및 골프공의 방향성을 바로 잡아 나가도록 적용/반복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가 대중화 됨에따라 그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도가 증가 되었고, 근래에는 주거지와 가까운 장소의 골프 연습장을 이용할 수도 있어, 실제 골프장을 이용하기 어려운 사람이나 골프연습을 하는 사람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하지만 3개월 정도의 기본적인 단기 골프레슨을 받고 필드를 나가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단기 골프레슨도 받지 않고 혼자 골프연습하는 경우도 많아서 푸른 그린에서 자신이 친 골프공이 파란 하늘을 날아가는 것을 바라 보면서 쾌감을 즐기고 스트레스를 풀어야 할 골프 운동은 90타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비거리와 슬라이스로 인해 은근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허다하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에서 드라이버 샷이나 아이언 샷을 할 때,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레이어의 자세와 골프공의 타격점이 중요하며 특히, 골프공의 중심부에 대하여 소정 간격만큼 하방을 향하여 타격을 해줘야만 골프공이 역회전하면서 진행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상승력이 작용하여 멀리 날아가게 되는데 골프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멀리 날아가도록 하는 것이 모든 골퍼의 꿈이지만 이것이 쉽지 않아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프로골퍼들의 경우에는 슬라이스나 훅을 사용하여 자기가 타격한 골프공의 회전방향을 임의로 조절하며 원하는 지점에 도착시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아마츄어 골퍼들은 자기가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날아가지 못하고 슬라이스나 훅이 발생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한다.
여기서 훅이란 골프공의 스핀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치는 방법을 말하며, 슬라이스란 오른손 타자의 경우 자신의 팔 회전방향 그대로 올려치는 방법으 로 타결한 골프공이 날아가다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골프공이 우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비거리와 슬라이스, 훅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거리를 늘리기 위한 골프 연습장치 또는 슬라이스, 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골프 연습장치가 제공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비거리를 늘리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10-1703044호에서는 발명의 명칭이 '비거리 향상을 위한 타격회전라인이 형성된 골프공' 관련 기술로 외표면에 다수의 딤플 및 접합라인이 형성된 골프공을 제공하되, 골프공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딤플에 의한 공기저항과 무게중심의 영향으로 회전축이 변화되면서 회전되다가 일전한 회전축으로 회전될 때, 그 골프공의 외표면에 라인형성수단을 통해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타격회전라인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지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부면에 에어분출공이 형성된 바디체와 상기 에어분출공으로 에어를 분출하여 분출에어에 의해 골프공이 띄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분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수단에는 상기 공기분출장치에서 분출되는 에어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골프공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분출조절레버가 설치되는 골프공을 통하여 비거리 향상을 도모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또 다른 등록특허 10-1033722호에서는 비거리를 늘리기 위한 수단으로 중량 조절이 가능한 골프 퍼터 헤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로, 골프 퍼터 헤드에서 전면부의 후방면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매설되는 자석과 전면부의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무게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무게 부재를 퍼터 헤드 후면에 안착하고 자석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여 퍼터 헤드의 기본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도 자유로이 무게 조절이 가능한 등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골프 퍼터 헤드가 제시되어 있다.
또 다른 등록특허 0874141호에서는 골프 스윙연습기로써, 하부에는 나사결합한 무게헤드와 상부에는 그립부로 구성된 속이 빈 몸체부 내측 하단부에 무게추를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상,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무게헤드의 상단부와 맞닿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 하단에 설치된 타격편에 타격되도록 하부에 타격부를 갖는 무게추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립부와 몸체부쪽에 무게추를 삽입하여 회전축이 몸통쪽에 있을 때에는 소리가 나고 손목을 잘못 사용했을 때는 소리가 나지 않는 비거리 증대를 위한 코킹(cocking)연습용 골프스윙연습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로 제공되는 비거리 증대수단 또는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제공되는 연습장치는 우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된 결과로 일반 서민이 구매하여 사용하기 부담스럽고, 또한 실제적 훈련에도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으므로 심플한 규격으로 저렴하게 제작되어 개인이 구입하여 일반 가정집에서 부담없이 연습하며 비거리 증대와 타격된 골프공의 방향성을 바로잡아 나갈 수 있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더욱 본원기술에서는 골프공의 무게를 늘려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시 볼쪽의 무게로 인한 부하로 인해 스윙자세관련 근력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비거리의 향상을 가져옴과 동시 방향성을 바로잡도록 스윙연습을 반복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실제 골프장 필드에서는 공식적인 국제규격을 갖는 골프공이 사용되지만 연습시에는 규격제품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볼+무게추 형태로 서로 무게를 갖는 연습공을 사용 연습을 반복할 수 있는 스윙 연습장치를 튼튼하고 안전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을까 연구하는 과정에서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은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기 위한 수단으로 골프공타격부와 타격회전부 및 몸체고정부를 갖고 볼+무게추 형태로 서로 무게를 갖는 연습공을 선택하여 연습을 반복할 수 있는 심플한 구조의 무게추를 갖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볼+무게추로 인하여 골프공에 중량감을 부여하면서 스윙연습을 반복하여 스윙자세 관련근육을 단련시켜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제공하며 골프공 타격시 손이 느끼는 타격감(중심축을 회전하는 원형결합부의 회전감이 타격감으로 느껴지는 정도)에 따라 스윙 방향성을 바로 잡아나가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골프공타격부와 타격회전부 및 몸체고정부를 갖고 무게추가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통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사람의 근력은 개인별로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자기에 맞는 무게를 추가하거나 빼서 스스로의 스윙근력을 키울 수 있으며, 적은 공간이라도 골프채를 휘두를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며 본원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고정해 놓고 연습이 가능하고 또한 필드에 라운드 하기전에 몸을 풀어주는 수단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서 상기 골프공타격부는 타격회전부의 단부에 설치되되, 타격회전부의 수평봉 일 측면으로는 골프공의 중량감을 더해주기 위한 무게추조절부가 마련되고 수평봉 타측면으로는 골프공이 내삽될 수 있는 크기의 오목홈 형상의 포켓이 수평봉에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포켓내측으로는 충격완충용 스프링이 내삽되고 골프공이 순차적으로 포켓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골프공타격부가 고정되는 타격회전부는 수평봉의 중앙부위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부를 이루거나 또는 직각으로 굴곡되는 고정부연결봉을 갖고 고정부연결봉의 단부에는 원형결합부가 형성되어 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감싸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며, 몸체고정부는 벽체나 별도의 지지체에 수평축이 평행되도록 고정되되, 수평축의 특정부위에 중심축이 마련되고 타격회전부의 원형결합부가 중심축을 감싼구조를 이루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격회전부가 360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사용자가 골프공타격부의 포켓입구에 고정된 골프공을 타격할 때 골프공 후면에 설치된 무게추로 인하여 골프공에 중량감을 부여하면서 스윙연습을 반복하여 스윙자세관련 근육을 단련하여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감싸 회전하는 원형결합부의 회전감이 골프공 타격 시 손이 느끼는 타격감으로 전달되면서 스윙 방향성을 바로 잡아나가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관련 기술이다.
본원 기술의 배경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골프공의 무게를 늘려 스윙을 연습하면 스윙시 볼+무게추 무게로 인한 부하로 인해 근력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비거리의 향상을 가져오도록 스윙연습을 반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필드에서 라운드시에는 공식적인 국제규격을 따라야 하지만 연습시에는 국제규격을 따르지 않아도 되므로 메이커에서 연습공을 별도로 만들어 공급한다면 부담이 크고 소비자도 여러규격으로 무게가 다른 골프공을 선택하기에 많은 비용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본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프공의 무게를 추가할 수 있는 볼+무게추룰 갖는 스윙연습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가 주택가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때 골프채 또는 아이언샷으로 골프공이 타격될 때 발생하는 딱, 딱 소리가 민원 발생의 우려가 있을 때를 대비하고 민원 해소차원에서 상기 골프공타격부의 포켓 내측으로 삽입되는 골프공이 탄성재실이나 종이재질, 또는 부드러운 소프트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원료가 골프공 형상으로 만들어져 사용됨으로 골프채로 골프공 모형이 타격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서는 상기 골프공타격부의 포켓에 골프공 대용 연습구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는바, 골프공 대용 연습구는 목재나 플라스틱, 고무 탄성재질 등으로 아이언샷 페이스에 넓은 폭으로 접촉되게 만들어져 골프공타격부의 포켓에 부착되어 사용됨으로 아이언샷의 페이스부를 통하여 접촉되는 대용 연습구의 넓은 접촉면과의 접촉시 손바닥이나 글립을 잡은 손에 전달되는 느낌을 타격감으로 익혀가면서 페이스부를 어떻게 잡고 스윙했을 때 스윙자세가 바로되었는지 또는 잘못되었는지를 첵크해나가면 스윙 방향성을 바로 잡아나가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서 골프공타격부에 사용되는 무게추는 통상의 골프공만을 1000회를 타격해서 스윙자세 관련 근육 1의 발달효과를 얻어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통상의 골프공 중량의 0.5배 내지 3배 범위의 무게를 갖는 중량추 중에서 연습자 자신이 당일 컨디션에 따라 예를 들어 2배 중량추 무게를 선택되어 사용하는 경우 1000회를 타격하면 스윙자세 관련 근육 2의 발달효과를 얻어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중량추가 3배 이상으로 적용되는 경우 오히려 스윙자세 관련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와 같이 다양한 중량추를 변경하며 반복적 연습을 실시하다가 실제 필드에 나가서 샷을 날릴 때는 어깨가 가벼운 느낌 가운데 공을 멀리보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서 상기 골프공타격부의 포켓 내측면과 충격완충용 스프링 사이에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타격순간의 임팩트 강도와 접촉궤적을 측정하고 측정결과가 알람으로 합격, 불합격의 판정을 하거나 모니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기술사상은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반복 사용하는 경우 골프공에 중량감이 부여된 상태에서 스윙연습을 반복하게 되면서 자연히 스윙자세를 취한 관련 근육을 단련하여 궁극적으로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골프공 타격 시 손에 전달되는 타격감(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회전하는 원형결합부 회전의 부드러움과 유연함(smooth)이 글립을 잡은 손에 전달되는 느낌)을 느끼면서 자신의 스윙자세 및 골프공의 방향성을 바로 잡아 나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포켓 내측면과 충격완충용 스프링 사이에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적용되는 경우 임팩트 순간의 강도와 접촉궤적을 측정하여 모니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최적의 골프 임팩트를 위해 요구되는 올바른 자세와 스윙 방법의 시각적인 피드 백을 통해 자신의 임팩트 자세를 교정 및 숙련시킴으로서, 클럽의 방향성 및 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키는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 : 본원의 기술사상이 일 실시양태로 구현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의 외형 사시도.
도 2 :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기를 이용해 아이언 샷의 페이스부에 골프공이 터치되는 상태의 예시도.
도 3 :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기(100)에 골프공 대신 사용가능한 연습용 골프공 예시도.
도 4 :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기(100)에 변형된 구조로 적용되는 또 다른 실시양태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일 실시양태로 구현된 골프 스윙 연습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의 외형을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도 1a에 제시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골프공타격부(10)와 타격회전부(20)를 중심으로 분해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며, 도 1c는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의 사용양태로 타격하지 전 아이언샷을 잡고 준비하는 자세를 취하는 적용양태를 측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1d는 도 1a에 제시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사용자가 타격했을 때 골프공의 회전궤도를 화살표 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는 골프공타격부(10)와 타격회전부(20)와 몸체고정부(30)로 크게 구분되고 이들이 하나의 몸체로 결합되어 골프 스윙 연습기(100)를 이루게 되는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기(100)를 이용하여 골프공타격부(10)의 포켓(12) 입구에 고정된 골프공(1)을 타격할 때 골프공(1) 골프공타격부(10)에 설치된 무게추(13)로 인하여 골프공(10)에 중량감을 부여하면서 스윙연습을 반복하여 스윙자세관련 근육을 단련하여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을 감싸 회전하는 원형결합부(23)의 내면(23a) 회전감이 골프공 타격 시 손이 느끼는 타격감으로 전달되면서 스윙 방향성을 바로 잡아나가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100)에 의해서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100)에서 골프공타격부(10)는 타격회전부(20)의 수평봉(21) 단부에 고정설치되되, 수평봉(21) 단부에는 횡으로 3개의 결합공으로 중심결합공(21a) 측면결합공(21b,21c)이 형성되고 도 1b에서 좌측으로는 골프공(1)의 중량감을 더해주기 위한 무게추(13) 및 무게추결합구(13a)가 마련되어 무게추결합구가 무게추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평봉(21)의 중심결합공(21a)에 결합되며 원하는 무게의 결합추가 수평봉(21) 좌측에 고정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고, 수평봉(21)의 우측으로는 골프공(1)이 내삽되거나 골프공의 일부가 끼움될 수 크기의 오목홈 형상의 포켓(12)이 2개의 포켓고정구(12a)에 의해 수평봉(12)에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포켓 내측으로는 충격완충용 스프링(11)이 내삽되어 고정구조를 이루기 위해 포켓 내부 안쪽에 걸림턱(12b)가 마련되어 스프링단부가 걸림턱(12b)에 걸려 고정된 후 골프공(1)이 순차적으로 포켓(12)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될 수 있는바, 도 1b에서는 포켓 입구쪽에 양면접착테이프(1a)를 활용하여 포켓에 골프공(1)을 밀착/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성의 골프공타격부(10)가 타격회전부(20)의 수평봉(21) 단부에 고정된 상태를 이룬 수평봉은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과 효율적인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해 수평봉(21)의 중앙부위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부를 이루거나 또는 직각으로 굴곡되는 고정부연결봉(22)을 갖고 고정부연결봉(22)의 단부에는 내면이 광폭의 링 형상을 이룬 원형결합부(23)가 형성되어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을 광폭의 링 형상으로 감싸 360도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바, 도 1b에서는 몸체고정부(30)가 수평축(31)을 갖고 수평축이 튼튼하게 바닥면에 고정되기 위해 90도 절곡되어 수직축(32)을 이루고 수직축(32)의 하단이 바닥판(40)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35)를 갖는 구성을 이루고 바닥판(40)에는 관통공(41)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통하여 지면고정축(42)이 지면 바닥면에 박혀 고정되거나 또는 제3의 지지체가 있는 경우 제3의 지지체에 볼트 및 너트(43) 형태로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몸체고정부는 수직축(32)을 갖는 바닥판(40)이 아니더라도 벽체나 별도의 지지체에 수평축이 평행되도록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광폭의 링 형상을 갖는 원형결합부(23)가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에 안전하게 결합되어 360도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 앞, 뒤에는 내측음각나사결합부(33b) 및 외측음각나사결합부(33a)가 각각 마련되어 내측음각나사결합부(33b)에 먼저 내측고정볼트(26b)가 끼움되고 그 내측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내측스프링(25b)이 끼움되고, 스프링(25b) 내측에 내측와셔(24b)가 끼움된 후 고정부연결봉(22)의 원형결합부(23) 내측면(23a)가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 외연을 감싸는 구조로 끼움된 후 외측와셔(24a), 외측스프링(25a) 및 외측고정볼트(26a)가 순차적으로 끼움되어 고정부연결봉(22)의 원형결합부(23) 내측면(23a)이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 외연을 감싼 구조를 이르고 골프공타격부(10)의 골프공(1)이 타격되면 골프공타격부(10)와 일체로 고정된 타격회전부(20)가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나 이 때 원형결합부(23)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회전의 원활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는 헛스윙 시 방해받지 않도록 바닥판(40)의 바깥 쪽으로 수평봉이 돌출/설치되도록 하고 골프공(1)과 수평봉(21) 사이 위치에 포켓(12)에 스프링(11)을 끼워넣고 골프공이 부착된 상태에서 스윙 연습 시 완충작용을 하게 하여 연습자 몸에 무리가 되지 않도록 하고 수평봉(21) 뒷쪽에 무게추(13)를 추가하거나 뺄 수 있게 하고, 무게추는 본인의 컨디션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서 수평봉(21)은 수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며 원형결합부(23)를 만들고, 고정된 수평축(31)에 결합시켜 한방향으로 360도 될 때 수평봉(21)이 제 멋대로 이리저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타격된 골프공 또는 연습용 볼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며 볼이 클럽페이스의 어느 부분에 어떻게 닿았는지 그립감으로 손에 정확히 전달되는 감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로 제공된다.
도 2는 아이언 샷(50)의 페이스부에 골프공이 터치되는 상태에 따라 골프공의 이동경로를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것으로, 2a에서는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기(100)가 없이 사용자가 아이언샷의 페이스부 좌측경사면을 이루며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는 골프공이 훅이 발생함을 나타낸 것이고, 2b에서는 아이언샷의 페이스부가 골프공의 중심부를 정확히 타격했을 때 골프공이 정면을 향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탄낸 것이고, 2c에서는 아이언샷의 페이스부 우측경사면을 이루며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는 골프공이 슬라이스가 발생함을 나타낸 것이나, 2d 및 2f에서는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기(100)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아이언샷의 페이스부 좌측경사면을 이룬 상태에서 골프공을 타격하거나 또는 우측경사면을 이룬상태에서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에도 골프공은 모두 타격회전부(20)가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을 360도 회전하도록 적용되나 타격궤도가 정확하지 않는 경우 원형결합부(23) 내측면(23a)이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과 언발란스 상태가 즉시 글립은 잡은 손 또는 손바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연습자 자신의 스탠스를 변경해가면서 원형결합부(23) 내측면(23a)과 몸체고정부(30)의 중심축(34)과 스무스한 발란스 상태를 이루어 나가도록 지속적인 연습을 통하여 바른 자세를 잡아 나가도록 노력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의 골프 스윙 연습기(100)에 사용되는 골프공이 탄성재실이나 종이재질, 소프트재질, 중에서 선택되어 골프공 대용으로 사용되는 연습용 골프공(60)을 나타낸 것으로, 골프채로 타격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용되기 위한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제시되는 연습용골프공(60)은 일반 골프공 크기이나 내측에 중공부(61)를 갖고, 외주부에 상기 중공부(61)와 통공되어 타격시에 상기 몸체에 인가된 충격력에 따라 내부공기를 외부로 빠르게 배출하여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유출입구멍(64)이 밀폐부(63)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된 구형상의 몸체를 이루고 몸체에 형성된 공기유출입구멍(64)의 개수 및 구멍의 직경 등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하며 몸체 타격시 충격력을 흡수하며, 타격 후 몸체의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충격흡수재(62)가 형성될 수 있고 충격흡수재(62)는 충격 흡수와 복원력이 뛰어난 스폰지, 골판지, 스티로폼, 포밍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연습용골프공(60)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100)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로 골프공타격부(10)의 포켓이 포켓몸체부(14)와 삽입고정부(17)로 구분되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포켓몸체부(14)에는 고정축(16)의 횡으로 이동공간(15a->15b)을 형성하는 횡형홈(15)이 장축구조로 제공되고 삽입고정부(17)는 고정축삽입홈(17b)을 갖는 삽입부(17a)와 내부에 골프공(1)이나 연습공(2)이 끼움되는 확관부(17c)를 갖는 구성을 이루어서 포켓몸체부(14)에 충격완충용 스프링(11a)이 내삽된 후 삽입고정부(17)의 삽입부(17a)가 포켓몸체부(14)에 밀착/내삽되면 고정축(16)이 전방횡형홈(15a)에 끼움된 구조를 이루고 확관부(17c)에 고정된 골프공(1)을 타격하면 순간적으로 고정축(16)이 후방횡형홈(15b) 위치로 압축되었다가 다시 원위치인 전방횡형홈(15a)로 환원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에서는 골프공(1) 대신 원통형 형상의 연습구(2)가 횡으로 끼움되어 사용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연습구삽입고정부(18)는 고정축삽입홈(18b)을 갖는 삽입부(18a)와 내부에 원통형 형상의 연습공(2)이 횡으로 끼움되어 위한 횡형오목홈 형상의 확관부(18c)를 갖는 구성을 이루어서 포켓몸체부(14)에 충격완충용 스프링(11a)이 내삽된 후 연습구삽입고정부(18)의 삽입부(18a)가 포켓몸체부(14)에 밀착/내삽되면 고정축(16)이 전방횡형홈(15a)에 끼움된 구조를 이루고 확관부(18c)에 찍찍이(18d)를 이용하여 연습공(2)을 고정시키고 연습공을 타격하면 순간적으로 고정축(16)이 후방횡형홈(15b) 위치로 압축되었다가 다시 원위치인 전방횡형홈(15a)로 환원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골프공은 국제적으로 동일규격으로 만들어져 공급되므로 아이언샷의 페이스부와 골프공이 접촉하는 접촉면이 극히 일부분임에 반하여, 도 4b에 제시되는 본원 골프 스윙 연습기(100)에서는 골프공 대신 아이언샷의 페이스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넓은 원통형 형상의 연습구(2)가 골프공 대신 사용되는 경우 아이언샷 페이스에 넓은 폭으로 접촉되게 만들어져 효율적인 연습이 가능하며, 클럽의 페이스에 닿는 표면적이 넓게 접촉되므로 페이스의 토우나 힐 어느 한쪽이 먼저 닿는 다면 골프공을 스윙할 때 보다 전달이 더 빨리 느껴지므로 스스로의 스윙궤도를 바로잡아 나가도록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으나 상기 기재내용은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된 것으로 상기의 구성에 기존의 공지기술로 사용되는 골프 연습 장치에 적용되는 부품이 추가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원 기술은 골프공에 중량감이 부여된 상태에서 스윙연습을 반복하여 스윙자세를 취한 관련 근육을 단련하여 궁극적으로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회전하는 원형결합부 회전 시 부드러움과 유연함(smooth)이 글립을 잡은 손에 전달되는 느낌을 통해 자신의 스윙자세를 바로잡고 타구의 방향성을 바로 잡아 나가기 위한 골프 스윙 연습기(100)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1 : 골프공 10 : 골프공타격부
11 : 충격완충용 스프링 12 : 포켓
13 : 무게추 14 : 포켓몸체부
15 : 횡형홈 16 : 고정축
17 : 삽입고정부 20 : 타격회전부
21 : 수평봉 22 : 고정부연결봉
23 : 원형결합부 24 : 와셔
25 : 스프링 26 : 고정볼트
30 : 몸체고정부 31 : 수평축
32 : 수직축 34 : 중심축
35 : 결합부 40 : 바닥판
50 : 골프채 60 : 연습용골프공
61 : 중공부 62 : 충격흡수재
63 : 밀폐부 64 : 공기유출입구멍
100 : 골프 스윙 연습기

Claims (5)

  1. 골프공타격부와 타격회전부 및 몸체고정부를 갖고 무게추가 조절되도록 제공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타격부는 타격회전부의 단부 위치에서 수평봉 우측으로는 골프공이 내삽될 수 있는 크기의 오목홈 형상의 포켓이 설치되고 포켓 내측으로는 충격완충용 스프링이 내삽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포켓 안쪽에 걸림턱이 마련되고 걸림턱에 스프링단부가 걸려 고정된 후 골프공이 순차적으로 포켓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평봉 좌측으로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볼과 무게추가 수평봉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골프공에 중량감을 부여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골프공타격부가 고정되는 타격회전부는 수평봉의 중앙부위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부를 이루거나 또는 직각으로 굴곡되는 고정부연결봉을 갖고 고정부연결봉의 단부에는 원형결합부가 형성되어 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감싸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며,
    몸체고정부는 벽체나 별도의 지지체에 수평축이 평행되도록 고정되되, 수평축의 특정부위에 중심축이 마련되고 타격회전부의 원형결합부가 중심축을 감싼구조를 이루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격회전부가 360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사용자가 골프공타격부의 포켓입구에 고정된 골프공을 타격할 때 골프공 후면에 설치된 무게추로 인하여 골프공에 중량감을 부여하면서 스윙연습을 반복하여 스윙자세관련 근육을 단련하여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감싸 회전하는 원형결합부의 회전감이 골프공 타격 시 손이 느끼는 타격감으로 전달되면서 스윙 방향성을 바로 잡아나가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타격부의 포켓이 포켓몸체부와 삽입고정부로 구분되는 구조를 이루고 포켓몸체부에는 고정축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횡형홈이 장축구조로 제공되고 삽입고정부는 고정축삽입홈을 갖는 삽입부와 내부에 골프공(1)이나 연습공(2)이 끼움되는 확관부를 갖는 구성을 이루어서 포켓몸체부에 충격완충용 스프링이 내삽된 후 삽입고정부의 삽입부가 포켓몸체부에 밀착/내삽되면 고정축이 전방횡형홈에 끼움된 구조를 이루고 확관부에 고정된 골프공이나 연습공을 타격하면 순간적으로 고정축이 후방횡형홈으로 압축되었다가 다시 원위치인 전방횡형홈로 환원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타격부의 포켓 내측이나 또는 삽입고정부 내측에 고정되는 골프공이 탄성재실이나 종이재질, 소프트재질, 중에서 선택되어 적용됨으로 골프채로 타격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타격부의 포켓 내측이나 또는 삽입고정부 내측에 골프공 대용 연습구가 삽입되는 구성을 이루되, 골프공 대용 연습구는 플라스틱, 고무나 탄성 재질로 아이언샷 페이스에 넓은 폭으로 접촉되게 만들어져 골프공타격부의 포켓에 부착되어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5. 골프공타격부와 타격회전부 및 몸체고정부를 갖고 무게추가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타격부는 타격회전부의 단부 위치에서 수평봉 우측으로는 골프공이 내삽될 수 있는 크기의 오목홈 형상의 포켓이 설치되고 포켓 내측으로는 충격완충용 스프링이 내삽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포켓 안쪽에 걸림턱이 마련되고 걸림턱에 스프링 단부가 걸려 고정된 후 골프공이 순차적으로 포켓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평봉 좌측으로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볼과 무게추가 수평봉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골프공에 중량감을 부여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골프공타격부가 고정되는 타격회전부는 수평봉의 중앙부위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부를 이루거나 또는 직각으로 굴곡되는 고정부연결봉을 갖고 고정부연결봉의 단부에는 원형결합부가 형성되어 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감싸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며,
    몸체고정부는 벽체나 별도의 지지체에 수평축이 평행되도록 고정되되, 수평축의 특정부위에 중심축이 마련되고 타격회전부의 원형결합부가 중심축을 감싼구조를 이루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격회전부가 360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서
    사용자가 골프공타격부의 포켓입구에 고정된 골프공을 타격할 때 수평봉에 일체로 결합된 무게추+골프공의 중량감을 갖고 스윙연습을 반복하여 스윙자세관련 근육을 단련하여 비거리를 늘리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몸체고정부의 중심축을 감싸 회전하는 원형결합부의 회전감이 타격 시 손이 느끼는 타격감으로 전달되면서 스윙방향성을 바로 잡아나가도록 연습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이용방법.
KR1020200144713A 2020-11-02 2020-11-02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28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713A KR102284739B1 (ko) 2020-11-02 2020-11-02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PCT/KR2021/013614 WO2022092603A1 (ko) 2020-11-02 2021-10-05 비거리 증대 및 방향성 교정을 위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713A KR102284739B1 (ko) 2020-11-02 2020-11-02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739B1 true KR102284739B1 (ko) 2021-07-30

Family

ID=7714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713A KR102284739B1 (ko) 2020-11-02 2020-11-02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4739B1 (ko)
WO (1) WO20220926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03A1 (ko) * 2020-11-02 2022-05-05 이기의 비거리 증대 및 방향성 교정을 위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496510B1 (ko) 2022-06-16 2023-02-06 광성에스앤피주식회사 골프 샷 연습장치
KR102625532B1 (ko) * 2023-02-17 2024-01-15 이기의 다양한 샷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타격 연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0251U (ko) * 1981-06-17 1982-12-20
JPS62159670A (ja) * 1985-12-31 1987-07-15 有限会社 ト−ヨ−エンタ−プライズ ゴルフの打撃フオ−ムの矯正具
JPH0488977U (ko) * 1990-06-29 1992-08-03
KR200376175Y1 (ko) * 2004-11-23 2005-03-08 임인숙 골프샷 연습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79B1 (ko) * 2007-01-15 2007-12-28 권무일 골프 연습 장치
WO2009019654A2 (en) * 2007-08-06 2009-02-12 Ernest Dras Slow motion training for optimal point of impact
KR102284739B1 (ko) * 2020-11-02 2021-07-30 이기의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0251U (ko) * 1981-06-17 1982-12-20
JPS62159670A (ja) * 1985-12-31 1987-07-15 有限会社 ト−ヨ−エンタ−プライズ ゴルフの打撃フオ−ムの矯正具
JPH0488977U (ko) * 1990-06-29 1992-08-03
KR200376175Y1 (ko) * 2004-11-23 2005-03-08 임인숙 골프샷 연습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03A1 (ko) * 2020-11-02 2022-05-05 이기의 비거리 증대 및 방향성 교정을 위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496510B1 (ko) 2022-06-16 2023-02-06 광성에스앤피주식회사 골프 샷 연습장치
KR102625532B1 (ko) * 2023-02-17 2024-01-15 이기의 다양한 샷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타격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603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739B1 (ko)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EP2758138B1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US5685542A (en) Tennis teaching apparatus
US5135228A (en) Practice attachment for golf clubs
US20070270233A1 (en) Novelty and sport training projectile
US6117022A (en) Lightweight golf club with elastomeric head
US5476262A (en) Putter trainer
US5050874A (en) Swing training and exercising apparatus
KR20080021099A (ko) 실내골프 스윙자세교정 및 스윙연습기
US4989876A (en) Practice golf club and system
KR20220108381A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2625532B1 (ko) 다양한 샷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타격 연습장치
US10709952B2 (en) Tennis stroke practice device
US6554716B1 (en) Golf “swing for accuracy” mat
KR20200040631A (ko) 휴대용 골프스윙 임펙트 및 릴리즈 연습기
US10646763B2 (en) Training bat assembly
JP4293868B2 (ja) 素振り用練習器
JP2002219203A (ja) ゴルフ練習システム
US8012033B2 (en) Golf swing trainer apparatus and method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102519222B1 (ko) 골프 타격자세 연습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JP3125158U (ja) ゴルフクラブ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JP5257721B1 (ja) 打撃習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