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510B1 - 골프 샷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샷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510B1
KR102496510B1 KR1020220073427A KR20220073427A KR102496510B1 KR 102496510 B1 KR102496510 B1 KR 102496510B1 KR 1020220073427 A KR1020220073427 A KR 1020220073427A KR 20220073427 A KR20220073427 A KR 20220073427A KR 102496510 B1 KR102496510 B1 KR 10249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golf
support frame
ball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빈
Original Assignee
광성에스앤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에스앤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성에스앤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non-electronic mean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n a target or the point of entry in the go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샷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대상영역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천 재질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 부근에 배치되는 골프공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연장된 일단부가 상기 골프공의 타격위치 상부에 배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와 상기 골프공 상부에 연결되어 수직배치되는 탄성재질의 메인 로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지면 일측과 상기 골프공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골프공이 연습공간을 이탈하려는 경우 이를 저지하는 보조 로프를 포함하되, 타격되어 날아간 상기 골프공은 상기 메인 로프의 탄성력에 의해 타격위치 부근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샷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격한 골프공이 타격방향으로 날아가 스크린에 충돌하도록 하여 실제 골프 연습장에서 공을 타격하는 것과 같은 사용경험을 제공하면서도 메인 로프 및 보조 로프를 통해 타격한 공이 타격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여 원활한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골프 샷 연습장치{Practice device for golf shot}
본 발명은 골프 샷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로 골프 연습장에서 공을 타격하는 환경과 매우 유사한 사용경험을 제공하면서도 타격한 공이 타격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여 원활한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바닥에 놓여진 공을 다양한 크기의 클럽으로 타격하여 정해진 횟수 안에 지정된 홀에 집어넣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로서, 최근 생활스포츠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소모비용 또한 하향화됨에 따라 대중화된 스포츠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장소로는 다수의 홀과 그린으로 구성되어 경기를 펼칠 수 있는 야외 골프장과, 기본적인 스윙동작과, 퍼팅 등을 연습할 수 있는 실내외 골프연습장이 있다.
여기서, 야외 골프장은 직접 홀과 홀 사이를 이동하며 샷과 퍼팅 등을 행할 수 있어 상당한 운동량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전 경기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비나 눈이 내릴 때와 같이 기후의 변화에 대한 제약이 심하고, 그 사용료 또한 높은 실정으로서 통상의 사용자들이 자주 즐기기엔 시간과 비용에 있어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골프 유저들은 야외 골프장, 즉 필드에 나가기 전에 실내외 골프 연습장에서 스윙 및 퍼팅 등의 동작을 교정하거나, 익히고 있는데. 또한 이용료가 요구되고, 연습을 위해 별도의 시간을 내어 이를 직접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골프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정 내에서 퍼팅, 스윙 등 다양한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연습 장치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그 중 타격 연습 장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0423010호의 골프 연습장치(이하 '종래의 골프 샷 연습장치'라 함)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골프 샷 연습장치(100)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기둥(110)과, 지지기둥(11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120) 및 연장부(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골프공(1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골프 샷 연습장치(100)는 사용자가 골프채를 스윙하여 골프공(130)을 타격하면, 연장부(120)가 타격력에 의해 지지기둥(110)에서 회전하면서 골프공(130)이 동반 회전하며, 사용자는 골프공(130)을 타격하는 순간 느껴지는 타격감을 통해 연습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 샷 연습장치(100)는 골프채의 헤드가 골프공(130)을 타격하는 순간 골프공(130)이 곧바로 회전을 시작하므로 실제 골프 연습장에서 공을 타격하는 것과 같은 사용경험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자가 다시 한번 연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골프공(130)을 파지하고, 이를 손수 회전시켜 타격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재타격 동작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 한국공개특허 제2021-0002790호에는 "ㄱ"자 형상의 샤프트의 끝에 로프를 연결하고, 로프의 하단에 스프링이 연결되며, 스프링 하단에 골프공과 결합된 연결 로프가 연결되어 골프공 타격 시 일정 거리 이탈 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되어 연습공의 수거 및 티에 올려놓은 불편함을 해소하는 골프 연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스프링의 신장거리에 한계가 있어 골프공이 충분히 전방으로 날아가지 못하고, 스프링의 신장 및 복원 과정에서 골프공이 사용자를 가격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0423010호 '골프연습기' 한국등록특허 제2284739호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한국공개특허 제2021-0002790호 '스프링 골프연습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로 골프 연습장에서 공을 타격하는 환경과 매우 유사한 사용경험을 제공하면서도 타격한 공이 타격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여 원활한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골프 샷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설치대상영역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천 재질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 부근에 배치되는 골프공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연장된 일단부가 상기 골프공의 타격위치 상부에 배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와 상기 골프공 상부에 연결되어 수직배치되는 탄성재질의 메인 로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지면 일측과 상기 골프공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골프공이 연습공간을 이탈하려는 경우 이를 저지하는 보조 로프를 포함하되, 타격되어 날아간 상기 골프공은 상기 메인 로프의 탄성력에 의해 타격위치 부근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샷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로프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골프공의 일측부에 연결된 제1 보조 로프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골프공의 타측부에 연결된 제2 보조 로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프공은 골프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몸체와, 중앙부가 상기 볼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볼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볼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적어도 2개의 고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로프 또는 상기 보조 로프가 각각 연결되는 연결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끈은 상기 볼몸체 내부에 매립되는 일측이 직선 또는 직각 형태로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중 상기 스크린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안전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격한 골프공이 타격방향으로 날아가 스크린에 충돌하도록 하여 실제 골프 연습장에서 공을 타격하는 것과 같은 사용경험을 제공하면서도 메인 로프 및 보조 로프를 통해 타격한 공이 타격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여 원활한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1은 종래의 골프 샷 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샷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샷 연습장치의 측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골프공 부분 단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이 타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이 타격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샷 연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샷 연습장치의 측면도이며,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골프공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샷 연습장치(1)는 지지프레임(10)과, 스크린(20)과, 안전막(30)과, 골프공(40)과, 메인 로프(50) 및 보조 로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0)은 지면에 넓은 영역으로 설치되는 받침부(11)와, 받침부(11)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2) 및 연장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지부(12)에 후술하는 스크린(20)이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연장부(13)는 대략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지지부(12)의 상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타격 전 골프공(40)이 놓여지는 타격위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10)은 지지부(12)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후술하는 안전막(30)이 거치되는 연장프레임(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 및 연장프레임의 일측에는 카메라 거치대가 설치되고, 카메라 거치대에 휴대폰 또는 소형 카메라를 거치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의 전방 바닥면에는 매트부재(M)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매트부재(M)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퍼팅 매트(P)와, 퍼팅매트 상부에 배치되는 원형의 티 매트(T)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20)은 일반 골프 연습장에서 사용되는 천 재질의 타겟 스크린(20)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지지부(12)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연습과정에서 손상되는 경우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막(30)은 스크린(20)과 대응되는 천 재질로 형성되고, 연장프레임(14)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크린(20)을 벗어나는 골프공(40)이 충돌하도록 하여 스크린(20)을 벗어나는 골프공(40)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스크린(20) 및 안전막(30)에서 사용되는 천은 골프 연습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소음 천이나 메쉬 망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골프공(40)은 일반적인 골프공(40)의 재질 및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볼몸체(41)와, 중앙부가 볼몸체(41)의 내부에 매립되는 연결끈(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끈(42)은 고강도의 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이 볼몸체(41)의 외부로 노출되어 볼몸체(41) 외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고리부(42a)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볼몸체(41) 외측으로 노출된 연결끈(42)의 일측을 접어 고리부(42a)를 형성함으로써 상하부에 각각 2개의 고리부(42a)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볼몸체(41) 상부 2개의 고리부(42a)에는 후술하는 메인 로프(50)가 연결되며, 볼몸체(41) 하부 2개의 고리부(42a)에는 제1 보조 로프(61)와 제2 보조 로프(62)가 각각 연결되거나 2개의 고리부(42a)에 하나의 보조 로프가 연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볼몸체(41) 하부 2개의 고리부(42a)에 제1 보조 로프(61)와 제2 보조 로프(62)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끈(42)의 일측이 볼몸체(41) 내부에 직선 형태로 매립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4b와 같이 볼몸체(41) 내부에 매립되는 연결끈(41)의 일측이 직각 형태로 매립되어 볼몸체(4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로프(50)는 연장부(13)와 골프공(40)의 상부 고리부(42a) 간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메인 로프(50)는 골프공(40)의 상부를 지지하여 타격위치에서 이탈된 골프공(40)이 타격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메인 로프(50)는 타격한 골프공(40)의 직진성과, 타격한 골프공(40)을 타격위치 부근으로 복귀시키는 효율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탄성을 갖는 로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로프(60)는 쌩크 또는 훅이 발생하여 골프공(40)이 연습공간을 크게 이탈하려는 경우 이를 저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주 기능과 더불어 메인 로프(50)에 의해 골프공(40)이 타격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골프공(40)의 타측을 지지하여 메인 로프(50)에 의해 진자운동을 하는 골프공(40)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부가 각각 지지부(12)의 양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볼몸체(41) 하부에 형성된 2개의 고리부(42a)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보조 로프(61)와 제2 보조 로프(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이 타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이 타격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샷 연습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스윙 자세를 촬영하기 위해 휴대폰을 촬영모드로 설정한 후 카메라 거치대(H)에 거치하고, 타격위치에 배치된 골프공(40)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골프공(40)은 사용자의 연습종류에 따라 퍼팅 매트(P) 또는 티 매트(T)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아이언 스윙 연습의 경우 골프공(40)은 퍼팅 매트(P) 상에 배치되며, 드라이버 스윙 연습은 티 매트(T)를 퍼팅 매트(P) 위에 배치한 후 그 상부에 골프공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골프공을 퍼팅 매트(P) 상부에 배치하여 퍼팅 연습 또한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가 도5와 같이 골프채를 스윙하여 골프공(40)을 타격하면, 골프공(40)이 타격방향으로 날아가 스크린(20)에 충돌하며, 충돌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사용 환경은 실제 골프 연습장에서 사용자가 골프채로 골프공(40)을 타격하는 동작과 동일한 것으로, 이와 매우 유사한 사용경험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40)이 스크린(20)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안전막(30)에 충돌하여 외부로 벗어나는 골프공(40)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쌩크 또는 훅이 발생하여 골프공(40)이 연습공간을 크게 벗어나더라도 보조 로프(60)에 의해 골프공(40)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스크린(20)에 충돌한 골프공(40)은 메인 로프(50)의 진자 운동에 의해 타격위치 방향으로 이동, 복귀된다. 이때,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격위치 방향으로 이동, 복귀되는 골프공(40)은 보조 로프(60)에 의해 진자운동이 억제되면서 타격위치 부근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로프(50)에 의해 타격한 골프공이 타격위치 부근으로 자동 복귀하여 사용자는 타격한 골프공을 주우러 가는 등 별도의 준비동작없이 타격 동작을 반복수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 11 : 받침부
12 : 지지부 13 : 연장부
14 : 연장프레임 20 : 스크린
30 : 안전막 40 : 골프공
41 : 볼몸체 42 : 연결끈
42a : 고리부 50 : 메인 로프
60 : 보조 로프 61 : 제1 보조 로프
62 : 제2 보조 로프

Claims (5)

  1. 설치대상영역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천 재질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 부근에 배치되는 골프공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연장된 일단부가 상기 골프공의 타격위치 상부에 배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와 상기 골프공 상부에 연결되어 수직배치되는 탄성재질의 메인 로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지면 일측과 상기 골프공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골프공이 연습공간을 이탈하려는 경우 이를 저지하는 보조 로프를 포함하되,
    타격되어 날아간 상기 골프공은 상기 메인 로프의 탄성력에 의해 타격위치 부근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샷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로프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골프공의 일측부에 연결된 제1 보조 로프;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골프공의 타측부에 연결된 제2 보조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샷 연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은
    골프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몸체와;
    중앙부가 상기 볼몸체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볼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볼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적어도 2개의 고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로프 또는 상기 보조 로프가 각각 연결되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샷 연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상기 볼몸체 내부에 매립되는 일측이 직선 또는 직각 형태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샷 연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중 상기 스크린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안전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샷 연습장치.
KR1020220073427A 2022-06-16 2022-06-16 골프 샷 연습장치 KR10249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27A KR102496510B1 (ko) 2022-06-16 2022-06-16 골프 샷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27A KR102496510B1 (ko) 2022-06-16 2022-06-16 골프 샷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510B1 true KR102496510B1 (ko) 2023-02-06

Family

ID=8522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27A KR102496510B1 (ko) 2022-06-16 2022-06-16 골프 샷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5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010B1 (ko) 1996-09-03 200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필터
JP2004187833A (ja) * 2002-12-10 2004-07-08 Shigeru Kita ゴルフ練習用ネットケージ
KR200359528Y1 (ko) * 2004-02-09 2004-08-21 노진구 수평, 수직 겸용 골프스윙 연습기
JP3935073B2 (ja) * 2000-11-22 2007-06-20 アッセルト,ジャン,エイブラハム ヴァン 球技装置
KR20210002790A (ko) 2019-07-01 2021-0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미세입자 응집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284739B1 (ko) 2020-11-02 2021-07-30 이기의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010B1 (ko) 1996-09-03 200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필터
JP3935073B2 (ja) * 2000-11-22 2007-06-20 アッセルト,ジャン,エイブラハム ヴァン 球技装置
JP2004187833A (ja) * 2002-12-10 2004-07-08 Shigeru Kita ゴルフ練習用ネットケージ
KR200359528Y1 (ko) * 2004-02-09 2004-08-21 노진구 수평, 수직 겸용 골프스윙 연습기
KR20210002790A (ko) 2019-07-01 2021-0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미세입자 응집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284739B1 (ko) 2020-11-02 2021-07-30 이기의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0946A (en) Volleyball practice device
US6398697B1 (en) Glance blow detecting punch, kick and blocking bag and stand
US9999824B2 (en) Portable golf mat
US8216083B1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7070520B1 (en) Sports training device for hitting a ball
US5193802A (en) Portable, asymmetrically displaced, self-centering ball catching and return apparatus and method
US4786057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CN101970065A (zh) 高尔夫挥杆练习靶屏及使用方法
KR101959171B1 (ko)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US20110269579A1 (en) Training device for beach volleyball players
KR102496510B1 (ko) 골프 샷 연습장치
US5306009A (en) Golf practice kit
US7004850B1 (en) Training golf club
US5286028A (en) Golf swing training system
US20150297969A1 (en) Solo-Play Tennis Practice Apparatus and Method
EP1101512A3 (en)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KR101111897B1 (ko) 실내용 수평그린 골프연습장
JP2004216155A (ja) ゴルフ練習及び運動マット
US20030207716A1 (en) Golf swing, chip, pitch or putt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US10661140B2 (en) Golf-training apparatus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KR101046427B1 (ko) 스윙웨이트 기능을 갖는 골프클럽용 헤드커버
KR100365990B1 (ko) 어프로치 연습용 골프 기구
KR200423010Y1 (ko) 골프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