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43B1 - 골프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43B1
KR102258643B1 KR1020190087102A KR20190087102A KR102258643B1 KR 102258643 B1 KR102258643 B1 KR 102258643B1 KR 1020190087102 A KR1020190087102 A KR 1020190087102A KR 20190087102 A KR20190087102 A KR 20190087102A KR 102258643 B1 KR102258643 B1 KR 10225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rip
shaft
switch modul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727A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김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우 filed Critical 김재우
Priority to KR102019008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6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골퍼로 하여금 정확한 골프그립의 파지를 기초로 정확한 골프스윙/퍼팅 자세까지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골프 연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내용은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그립커버와, 상기 그립커버에 배열되고 골퍼의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만 ON 상태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모듈과,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의 스위칭여부에 따라 골프스윙 연습을 위한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골프 연습장치{GOLF TRAINING APPARATUS}
개시된 내용은 정확한 골프그립의 파지법과 골프스윙 자세를 연습하기 위한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그립을 정확하게 파지할 경우에만 발광부재로부터 골프클럽 또는 헤드의 정렬 또는 스윙궤적을 나타내는 광이 투사됨에 따라 골퍼 스스로 정확한 골프그립의 파지법과 골프스윙 자세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티잉그라운드, 페어웨이, 러프, 벙커, 워터해저드, 그린, 홀 등을 포함하는 코스 상에 놓여진 골프공을 골프클럽으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운동경기로, 최근에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골프는 골퍼가 척추를 중심으로 어깨와 허리를 회전시키면서 골프스윙을 함으로써 코스 위에 놓여진 골프공을 정확하게 타격해서 원하는 장소로 보내는 운동으로, 특히 골프그립을 감싸쥐는 파지법과, 골프공의 타격(임팩트)에 필요한 정확한 골프스윙 또는 퍼팅 자세가 요구된다.
골프는 다른 어느 운동보다도 자세가 중요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자세의 요소로는 골프그립의 파지, 골프스윙의 각도 및 궤도, 스윙의 시간 및 리듬, 스윙시의 체중이동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반복하여 연습해야만 자신에 맞는 이상적인 자세를 실제 경기 시에 동일하게 재현할 수 있다.
골프그립 파지법은 오른손 새끼손가락(소지)과 왼손 검지를 잡는 방법에 따라 텐핑거그립(tem finger grip), 인터락그립(interlock grip) 및 바든오버랩그립(vardon overlap grip)으로 분류되며, 이 중 인터락그립이 대중적으로 사용된다.
텐핑거그립은 양손을 분리시켜 서로 연접되게 파지하는 것으로 베이스볼 그립으로도 불려지는데, 양손이 분리되어 양손의 로테이션이 좋아져 강력한 릴리스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양손의 밀착감이 떨어져 잘 사용되지 않는다.
인터락그립은 오른손 새끼손가락과 왼손 검지를 서로 건 상태로 골프그립을 파지하는 방법으로, 양손의 밀착감이 좋고 오른손의 릴리스를 강하게 가져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손이 작은 골퍼들이 선호한다. 인터락그립은 골프선수 타이거우즈가 사용하는 골프그립 파지법으로도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바든오버랩 그립은 해리바든이란 전석적인 골퍼가 창안한 것으로, 오른손 새끼손가락을 왼손 검지와 중지 사이로 위치시켜 골프그립을 파지하는 방법이다. 양손의 밀착감이 좋으면서 양손의 움직임도 자유로워 미세한 컨트롤을 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골프그립의 파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골프그립을 강하지도 않으면서 골프그립이 스윙시 이탈될 정도로 약하지는 않을 정도로 항상 동일한 파지력으로 골프그립을 감싸지되, 상대적으로 파지력이 약해지기 쉬운 왼손과 상대적으로 파지력이 강해지기 쉬운 오른손에도 불구하고 양손에 의해 가급적 균일한 파지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골퍼 스스로 정확한 골프그립을 파지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34933호(2010.12.24. 공개)에는 골프 그립 압력 측정 및 송신을 위하여 골프채 내부에 전원부와 스트레인 게이지, 출력 신호 측정 회로, 증폭회로, 신호의 무선 송신을 위한 소형 블루투스 임베디드 송신기 모듈, 압력 감지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로직 회로가 포함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무선 그립 압력 감지 골프채가 개시된다.
한편 골프스윙은 골프클럽의 헤드를 어떤 특정한 궤도로 움직이면서 골프공을 원하는 거리와 방향으로 정확하게 날려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골프스윙은 을 하기 위해서는 발을 위치를 정하고 골프공에 골프클럽 페이스를 겨누는 어드레스(address)와, 골프클럽을 후방으로 들어올리는 백스윙(back sSwing)과, 백스윙의 정점임과 동시에 다운 스윙의 시발점이 되는 일련의 동작인 탑오프스윙(top of swing)과, 골프클럽을 골프공의 방향으로 끌어내리는 다운스윙(down swing)과, 골프클럽 헤드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임팩트(impact)와, 골프공을 타격한 후 골프공의 진행 방향으로 손을 내밀어 탄력을 최대화하는 스윙의 연속 동작 중 마무리 단계인 팔로스루(follow through)와, 스윙의 마무리자세인 피니시(finish)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골프스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드레스(Address) 자세에서 허리를 비틀어 몸통의 무게중심을 오른발로 이동시키면서 백스윙을 한 후, 비틀어진 허리를 풀고 반대로 다시 비틀어 몸통의 무게중심을 다시 왼발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다운스윙과 필로스루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백스윙과 다운스윙의 궤적이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골프스윙을 골퍼 스스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16747호(2018.02.20. 공개)에는 샤프트그립과, 상기 샤프트그립의 하단에 샤프트로드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전방으로 고정되는 샤프트로드와, 상기 샤프트로드의 끝단에 구비되는 경량물과, 매트에 위치된 골프공을 조준하는 빔을 포함하는 골프연습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114299호(2016.10.05. 공개)에는 전방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발생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클럽의 그립에 삽입부착되는 연결부와, 상기 헤드부와 연결부를 힌지 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헤드부의 방향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하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골프연습의 경우에는 골퍼로 하여금 정확한 골프그립의 파지법만 연습하도록 하거나 또는 정확한 골프스윙/퍼팅 자세만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될 뿐, 정확한 골프그립의 파지에 연계되어 정확한 골프스윙/퍼팅 자세까지 동시에 습득하도록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37735호(2012.12.24. 공개)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8899호(2019.04.05. 공고)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1830호(2013.03.18. 공개)
골퍼로 하여금 정확한 골프그립의 파지를 기초로 정확한 골프스윙/퍼팅 자세까지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골프 연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통상의 골프클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휴대하여 골프 연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골프 연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그립커버와, 상기 그립커버에 배열되고 골퍼의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만 ON 상태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모듈과,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의 스위칭여부에 따라 골프스윙 연습을 위한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통상의 골프클럽 샤프트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는 골프헤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모듈은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되는 버튼스위치부재 또는 압전패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에 의하면,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되는 스위치모듈을 정확한 골프그립 파지법에 대응되게 파지한 경우에만 샤프트에 설치된 발광부재로부터 골프스윙 연습을 위한 레이저광이 발산됨에 따라 골퍼로 하여금 정확한 골프그립의 파지를 기초로 정확한 골프스윙/퍼팅 자세까지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에 의하면, 샤프트가 통상의 골프클럽의 샤프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골퍼가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휴대하여 골프 연습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파지상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10)와, 샤프트(10)에 결합되는 그립커버(20)와, 그립커버(20)에 배열되고 골퍼의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만 ON 상태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모듈(30)과, 샤프트(10)에 구비되고 스위치모듈(30)의 스위칭여부에 따라 골프스윙 연습을 위한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재(40)와, 발광부재(40) 또는 샤프트(10)에 구비되고 스위치모듈(30)의 입력신호에 따라 발광부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샤프트(10)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본체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골퍼가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휴대하여 골프 연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통상의 골프클럽 샤프트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샤프트(10)의 일단에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전체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중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중량부는 통상의 골프헤드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샤프트(10)는 길이만 짧을 뿐 구성 및 재질 등은 통상의 골프클럽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샤프트(10)에는 그립커버(20)가 결합된다. 그립커버(20)는 샤프트(10)를 파지한 골퍼의 손이 샤프트(1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차후에 설명될 스위치모듈(30)의 배열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력을 가지면서 스위치모듈(3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연질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10)에 대한 그립커버(20)의 결합구조는 예를 들어 접착, 강제끼움 등과 같은 통상의 골프그립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그립커버(20)에는 스위치모듈(30)이 배열된다. 스위치모듈(30)은 골퍼의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만 ON 상태로 스위칭되면서 차후에 설명될 제어부(50)로 발광부재(40)의 점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정확한 그립 파지(예: 인터락 그립)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되는 버튼스위치부재 또는 압전패드부재로 형성 가능하다.
스위치모듈(30)은 그립커버(20) 상에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부착고정될 수도 있고, 그립커버(20)의 사출성형 시에 일체로 인서트사출될 수도 있다.
전술한 샤프트(10)에는 발광부재(40)가 구비된다. 발광부재(40)는 스위치모듈(30)의 스위칭여부에 따라 골프스윙 연습을 위한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것으로, 후방에 배터리(41)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에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레이저다이오드가 구비되는 레이저포인터로 형성 가능하다.
발광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10)에 부착고정되거나 결속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결합부재(45) 및 결합구조에 의해 샤프트(10)에 일체화 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재(40)는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10)의 단부에 구비된 골프헤드부(11)에 부착고정되거나 결속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결합부재(45') 및 결합구조에 의해 샤프트(10)의 단부에 구비된 골프헤드부(11)에 일체화 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재(40)는 샤프트(10) 또는 골프헤드부(11)에 1개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샤프트(10) 및 골프헤드부(11)에 각각 1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레이저포인터로 형성되는 발광부재(40)는 작동버튼이 그립커버에 배열되는 스위치모듈(30)로 대체되는 것만 제외하고 그 구성 및 작동은 종래의 레이저포인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발광부재(40) 또는 샤프트(10)에는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제어부(50)는 스위치모듈(30)의 입력신호에 따라 발광부재(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모듈(30)과 발광부재(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칩형기판으로 형성 가능하다.
그립커버(20)에 배열되는 스위치모듈(30)이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되는 버튼스위치부재로 형성될 경우에, 제어부(50)는 스위치모듈(30)을 형성하는 버튼스위치부재로부터 ON 신호가 모두 입력될 경우에만 발광부재(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립커버(20)에 배열되는 스위치모듈(30)이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되는 압전패드부재로 형성될 경우에, 제어부(50)는 스위치모듈(30)을 형성하는 압전패드부재로부터 입력되는 압전신호 모두가 설정범위 내에 해당될 경우에만 발광부재(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어부(50)의 제어알고리즘은 오른손잡이의 골퍼의 경우 상대적으로 왼손, 특히 왼손의 새끼손가락에 힘을 덜 주는 등과 같은 그립 파지법 상의 오류를 스스로 고쳐 가급적 정확한 그립 파지법을 숙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파지상태도이고,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골퍼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를 사용하여 골프연습을 하고자 할 경우에,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립커버(20)를 통해 샤프트(10)를 파지한다. 이 때 골퍼는 그립커버(20)에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된 버튼스위치부재 또는 압전패드부재 형태의 스위치모듈(30)에 손가락을 대응되게 위치시켜 파지한다.
골퍼가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어 힘이 가해지거나 또는 손가락이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어 균일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제어부(50)에 의해 발광부재(40)가 점등되면서 골프연습을 위한 레이저빔이 방출된다.
골퍼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부재(40)의 점등에 의해 레이저빔이 방출되는 상태를 유치한 채 골프스윙연습을 하면서 레이저빔을 통해 정확한 골프스윙자세를 연습할 수 있다. 레이저빔을 이용한 골프스윙 연습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경우에는 그립커버(20) 상에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되는 스위치모듈(30)을 정확한 골프그립 파지법에 대응되게 파지한 경우에만 샤프트(10)에 설치된 발광부재(40)로부터 골프스윙 연습을 위한 레이저광이 발산됨에 따라 골퍼로 하여금 정확한 골프그립의 파지를 기초로 정확한 골프스윙 또는 퍼팅 자세까지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경우, 샤프트(10)가 통상의 골프클럽의 샤프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골퍼가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휴대하여 골프 연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샤프트
11 : 골프헤드
20 : 그립커버
30 : 스위치모듈
40 : 발광부재
41 : 배터리
45, 45' : 결합부재
50 : 제어부

Claims (6)

  1.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그립커버;
    상기 그립커버에 배열되고 골퍼의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만 ON 상태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모듈;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의 스위칭여부에 따라 골프스윙 연습을 위한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재;
    상기 발광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모듈은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되는 버튼스위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버튼스위치부재로부터 ON 신호가 모두 입력될 경우에만 상기 발광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모듈은 정확한 그립 파지시에 손가락이 접하는 위치마다 각각 배열되는 압전패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압전패드부재로부터 입력되는 압전신호 모두가 설정범위 내에 해당될 경우에만 상기 발광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KR1020190087102A 2019-07-18 2019-07-18 골프 연습장치 KR10225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02A KR102258643B1 (ko) 2019-07-18 2019-07-18 골프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02A KR102258643B1 (ko) 2019-07-18 2019-07-18 골프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27A KR20210010727A (ko) 2021-01-28
KR102258643B1 true KR102258643B1 (ko) 2021-06-02

Family

ID=7423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102A KR102258643B1 (ko) 2019-07-18 2019-07-18 골프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834B1 (ko) * 2021-04-07 2023-10-11 최지호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9573A1 (en) * 2006-01-13 2007-07-19 U-Putt Inc. Golf putter with laser
KR101977980B1 (ko) * 2018-12-06 2019-05-14 김경태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260A (ko) * 2002-11-25 2004-06-01 (주)두모션 골프 자세 교정 장치가 장착된 골프 클럽
KR101276299B1 (ko) 2011-06-13 2013-06-20 박현섭 골프스윙 연습용 레이저 포인트
KR20130001830U (ko) 2011-09-08 2013-03-18 박영재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488899Y1 (ko) 2018-05-03 2019-04-05 김용해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레이저 포인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9573A1 (en) * 2006-01-13 2007-07-19 U-Putt Inc. Golf putter with laser
KR101977980B1 (ko) * 2018-12-06 2019-05-14 김경태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27A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7124B2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JP2919960B2 (ja) フルスウィング・ゴルフ練習器
US20020055402A1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KR101276299B1 (ko) 골프스윙 연습용 레이저 포인트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US8282500B1 (en) Golf performance aid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helping a golfer achieve a desirable golf swing
KR101263256B1 (ko)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US20020094879A1 (en) Golf swing practice device and method of use
CN102245268B (zh) 高尔夫挥杆的训练设备
JPS6125580A (ja) 練習用ゴルフクラブ並びにゴルフクラブスイングの練習方法
US20190083872A1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ll Hitting
US8998739B2 (en) Swing training device
US7104897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6474497B2 (ja) ダウンブロースイング演習装置
US7204767B2 (en) Swing programmer apparatus
KR20100000975U (ko) 편(鞭)을 이용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100679465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제어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골프 스윙연습기
KR101851461B1 (ko) 타격지점 및 타격시점을 지시하는 레이저 스윙장치.
JP2006296462A (ja) スイング練習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ング練習機
KR102259688B1 (ko) 스윙 연습 기기
CN201015704Y (zh) 高尔夫球挥杆练习装置
KR102224179B1 (ko) 골프스윙 연습용 광투사기
KR101927626B1 (ko)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KR100862336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용 드라이버
KR200231888Y1 (ko) 스윙 연습용 골프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