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980B1 -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 Google Patents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980B1
KR101977980B1 KR1020180156347A KR20180156347A KR101977980B1 KR 101977980 B1 KR101977980 B1 KR 101977980B1 KR 1020180156347 A KR1020180156347 A KR 1020180156347A KR 20180156347 A KR20180156347 A KR 20180156347A KR 101977980 B1 KR101977980 B1 KR 10197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handle grip
handle
climbing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8015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45B2009/025Handles or heads releasably connected to a wrist strap or a glo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시 오르막에서 핸들그립의 파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악력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등산시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땅을 딛을 수 있도록 하는 폴대의 상부에 핸들그립을 장착하고, 핸들그립에는 보조운동기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핸들그립은 폴대의 상부측으로 일자로 연장된 일자형 핸들그립이고, 상기 보조운동기구는 핸들그립에 그립부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탄성수단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도록 하며, 상기 그립부는 사용자가 오르막에서 스틱을 이동시킬 때 손가락과 핸들그립의 벌어진 사이에 그립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핸들그립의 전방 손가락 방향으로 그립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오르막에서 손가락 파지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산운동과 악력운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악력 운동의 작동구조가 힌지축 또는 실린더 방식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하고, 이러한 그립부의 작동을 감지하여 헬스단말로 페어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Climbing stick with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시 오르막에서 핸들그립의 파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악력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은 심신을 단련하고 신체운동을 병행하기 위하여 근대에 들어 레저활동으로 활발해졌다.
안전한 등산을 위하여 등산시 필요한 여러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등산용 스틱, 장갑, 물통 등을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등산 장비가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상기의 등산장비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등산용 스틱으로,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곳에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두 다리에만 의존하여 등산을 하던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등산용 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 일부를 스틱을 파지한 손과 팔로 분산하여 관절의 부담을 덜어주고 체력소모를 줄이고 보행속도를 빠르고 안전하게 하며 운동효과를 높이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등산용 스틱은 사용법을 정확하게 숙지하면 체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올바르게 운동을 할 수 있지만, 사용법을 정확하게 숙지하지 않을 경우 온몸의 체중을 스틱에만 싣는 등 등산용 스틱의 사용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고, 특히 악력이 약한 여성이나 노인의 경우 등산스틱을 놓치에 되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등산용 스틱은 사용자가 핸들그립을 파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핸들그립을 파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스틱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산행을 하는 시간은 적게는 두어시간에서부터 많게는 하루 종일 등산을 하는 경우도 많은데, 등산을 오래한 사람일수록 보행운동이 주가 되기 때문에 다리는 비교적 튼튼한 반면, 팔은 비교적 약하며, 특히 등산을 하는 중에 상체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별다른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산시 오르막에서 손가락이 핸들그립으로부터 벌어지는 각도에 대응하게 핸들그립의 전단에 악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운동기구를 장착하여 파지감을 향상시키고 등산시 스틱이 땅에 닿은 후 당기는 힘에 의하여 악력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오르막에서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강한 힘으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틱을 놓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등산용 스틱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목표를 설정하고 등산용 스틱을 이용한 운동상황을 사용자가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효과를 높이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등산시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땅을 딛을 수 있도록 하는 폴대의 상부에 핸들그립을 장착하고, 핸들그립에는 보조운동기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핸들그립은 폴대의 상부측으로 일자로 연장된 일자형 핸들그립이고, 상기 보조운동기구는 핸들그립에 그립부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탄성수단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도록 하며, 상기 그립부는 사용자가 오르막에서 스틱을 이동시킬 때 손가락과 핸들그립의 벌어진 사이에 그립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핸들그립의 전방 손가락 방향으로 그립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오르막에서 손가락 파지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부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탄성요소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실린더에 장착된 탄성요소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그립부를 가압하여 악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면서도 그 그립부의 돌출된 폭이 손가락과 핸들그립의 벌어진 간격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등산용 스틱을 사용할 때 이질감없이 악력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립부의 작동이 락킹수단에 의하여 단속되도록 함으로써 악력운동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락킹수단을 이용하여 그립부가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그립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마련하고, 그 감지부에서 헬스단말로 신호를 송출하는 운동량 체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에 의하면, 등산용 스틱의 파지감을 향상시키고 등산용 스틱의 사용법을 숙지하지 않은 일반인도 등산용 스틱을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안정적인 스틱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보행운동과 함께 악력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하체운동과 상체운동을 동시에 병행하여 신체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오르막에서 적정한 힘으로 안전하게 핸들그립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스틱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땀에 의한 핸들그립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오르막에서 사용자가 등반하고자 스틱을 강한 힘으로 압박하는 행동 자체가 악력운동이 되기 때문에 등반자가 악력운동을 별도로 인식하지 않고도 등반운동 및 악력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등산용 스틱을 이용하여 악력운동을 할 경우에 헬스단말을 이용하여 운동상황 및 건강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그립부가 가압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의 보조운동기구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핸들그립에 락킹수단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보조운동기구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보조운동기구의 작동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핸들그립에 스트랩장착을 위한 거치부의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그립부를 이용한 운동량 체크구조를 나타낸 연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산시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땅을 딛을 수 있도록 하는 폴대(100)와, 폴대의 상부에 마련되는 핸들그립(200)과, 핸들그립(200)에 구비되어 악력운동이 가능한 보조운동기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폴대(100)는 여러 개의 관체형상의 샤프트(110)로 분할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와 연결샤프트 등으로 구분되어 길이조절수단(120)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폴대가 여러 개의 관체로 분할 구성될 경우 조임 슬리브 또는 록킹 시스템(130)에 의하여 접거나 펼쳐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폴대의 하단에는 내마모성이 높고 내리막이나 눈길 등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재의 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팁에는 고무캡(팁의 사용이 제한된 지형이나 일반 산행시 사용할 수 있는)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팁의 상부에는 하수구, 배수로 및 기타 위험지역에서 스틱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스켓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핸들그립(200)은 폴대의 상부측으로 일자로 연장된 일자형 핸들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운동기구(300)는 핸들그립(200)에 그립부(320)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탄성수단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도록 구비되어 그립부(3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산행 중에 악력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그립부(320)는 사용자가 오르막에서 스틱을 이동시킬 때 손가락과 핸들그립(200)의 벌어진 사이에 그립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핸들그립(200)의 전방 손가락 방향으로 그립부(320)가 돌출 형성되어 오르막에서 손가락 파지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운동기구(300)의 상세한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운동기구(300)는 도 1 및 도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20)가 힌지축(340)을 기준으로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되어 악력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잇다.
즉, 그립부(320)의 상단이 핸들그립(200)에 힌지축(340)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핸들그립(200)과 그립부(320)의 내면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요소(360)가 장착되는 것으로, 이 탄성요소(3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40)에 토션 구조의 탄성요소(360)가 장착되어 그립부(320)가 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되거나 또는 그립부(320)의 하단에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요소(360)가 장착되어 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의 힌지축(340)을 기준으로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되어 손가락과 핸들그립의 벌어진 사이의 각도와 대응하게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점차 돌출폭이 늘어나도록 작동하며, 사용자가 보행할 때 스틱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악력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산시 오르막에서 스틱을 이동시킬 때 벌어진 폭에 대응하게 적절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등반하고자 스틱을 강한 힘으로 압박하는 행동 자체가 악력운동이 되기 때문에 등반자가 악력운동을 별도로 인식하지 않고도 등반운동 및 악력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320)는 핸들그립(200)의 전방에 형성된 수용공간(220)에 내입되게 장착된 상태로 힌지축(340) 및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작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립부(320)를 파지하면 그립부(320)가 수용공간(220)에 삽입되고, 파지한 힘을 풀면 그립부(320)가 다시 핸들그립(200)의 전방으로 노출되면서 악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그립부(320)가 핸들그립(200)의 수용공간(220)에 수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핸들그립(200)에서 그립부(320)가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고 핸들그립(200)의 둘레 직경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정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320)에는 손가락 형상에 대응하게 요입면(324)이 형성되어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그립(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20)의 탄성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락킹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다.
락킹수단(400)은 핸들그립(200)의 하단에 장착되어 그립부(320)가 벌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락킹수단은 상,하로 작동하는 스위치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단속을 정밀하게 하고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링의 형태로 단속할 수 있다.
즉, 락킹수단(400)은 핸들그립(200)의 하단에 상,하로 작동하는 단속링(420)이 장착되어 그립부(320)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그립부(320)가 핸들그립(200)의 수용공간(220)에 내입된 상태에서는 단속링(420)이 상승하여 그립부(32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단속링(420)이 하강된 상태에서는 그립부(320)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작동가능하게 되어 악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320)에는 하단에 안착부(3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안착부(322)는 핸들그립(200)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는 외곽라인을 갖도록 형성되어 단속링(420)이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속링(420)은 상승된 상태 또는 하강된 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스토퍼는 단속링(420)의 작동범위을 제한하도록 구슬 또는 내입링이 홈에 걸림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조운동기구(3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320)는 후방의 실린더(350)에 장착된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되어 손가락과 핸들그립의 벌어진 사이에 그립부(320)가 위치되어 악력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320)가 핸들그립(200)으로부터 돌출된 폭은 사용자가 등산시 오르막에서 스틱을 이동시킬 때 적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벌어지는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립부(320)는 핸들그립(200)의 전방에 형성된 수용공간(220)에 내입되게 장착되어 실린더(350) 및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작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220)에는 경사면(222)이 형성되어 그립부(320)가 돌출된 상태에서 가압하여 삽입할 때 정위치에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상,하 비틀림이 없이 수평으로 가압작동을 유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손가락 전체가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악력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3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손가락에 대응하게 복수의 그립버튼(325)으로 분할 구성되고, 그립버튼 각각이 분리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그립버튼마다 실린더(350) 및 탄성요소(36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그립(200)의 표면은 부드러운 촉감과 함께 손에 땀이나도 미끄러움을 최소화하고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코르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핸들그립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트랩(25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그립(200)에는 손목을 끼워 사용사용하는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도록 거치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거치부(240)는 도 11과 같이 핸들그립(20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진입절개부(242)와 안착홈(2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240)는 핸들그립(200)의 상면을 가압하여 진입절개부(242)의 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진입절개부(242)가 핸들그립(20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그립(200)의 상면을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가압하면 진입절개부(242)가 벌어지면서 진입절개부(242)의 폭을 확장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핸들그립(200)에 스트랩을 장착하거나 탈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운동기구(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그립(200)에 장착된 그립부(320)의 작동을 감지하여 페어링된 헬스단말(510)로 신호를 송출하여 운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운동량 체크수단(500)이 마련될 수 있다.
운동량 체크수단(500)은 그립부(3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악력운동을 수행할 때 그립부(320)의 작동 횟수, 시간, 간격, 가압량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치데이터를 환산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헬스단말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동 목표량을 설정한 후, 운동량 체크수단(500)을 이용하여 목표도달 여부 및 필요운동량 등을 확인함으로써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그립(200)의 수용공간(220)에는 그립부(320)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5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감지부(520)는 수용공간(220)과 그립부(320)에 각각 장착된 접촉센서(522)로 구성되어 악력운동 정보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헬스단말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건강정보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헬스단말은 별도의 헬스측정용 단말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100: 폴대 110: 샤프트
120: 길이조절수단 130: 록킹 시스템
200: 핸들그립 220: 수용공간
240: 거치부 250: 스트랩
300: 보조운동기구 320: 그립부
340: 힌지축 350: 실린더
360: 탄성요소
400: 락킹수단 420: 단속링
500: 운동량 체크수단 510: 헬스단말
520: 감지부

Claims (13)

  1. 등산시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땅을 딛을 수 있도록 하는 폴대(100)의 상부에 핸들그립(200)이 장착되고, 핸들그립에는 보조운동기구(3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그립(200)은 폴대의 상부측으로 일자로 연장된 일자형 핸들그립이고,
    상기 보조운동기구(300)는 핸들그립(200)에 그립부(320)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탄성수단에 의하여 복원력을 갖도록 되며,
    상기 그립부(320)는 핸들그립의 전방 손가락 방향으로 그립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핸들그립(200)의 전방에 형성된 수용공간(220)에 내입되게 장착된 상태로 힌지축(340) 및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작동가능하게 장착되되 상부의 힌지축(340)을 기준으로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되어 손가락과 핸들그립의 벌어진 사이의 각도와 대응하게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점차 돌출폭이 늘어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핸들그립(200)의 하단에는 그립부(320)의 탄성 작동을 제한하여 악력기의 사용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락킹수단(40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400)은 상,하로 작동하는 단속링(420)이 장착되고, 그립부(320)의 하단에는 단속링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322)가 형성되어 그립부(320)의 벌어짐 상태를 단속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320)는 후방의 실린더(350)에 장착된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장착되어 손가락과 핸들그립의 벌어진 사이에 그립부(320)가 위치되어 악력 운동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320)는 핸들그립(200)의 전방에 형성된 수용공간(220)에 내입되게 장착된 상태로 실린더(350) 및 탄성요소(360)에 의하여 작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320)에는 손가락 형상에 대응하게 요입면(3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320)는 각 손가락에 대응하게 복수의 그립버튼(325)으로 분할 구성되고, 그립버튼 각각이 분리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그립버튼마다 실린더(350) 및 탄성요소(36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10.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그립(200)에는 손목을 끼워 사용사용하는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도록 거치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40)는 핸들그립(20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진입절개부(242)와 안착홈(2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40)는 핸들그립(200)의 상면을 가압하여 진입절개부(242)의 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진입절개부(242)가 핸들그립(20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13.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그립(200)은 그립부(320)의 작동을 감지하여 페어링된 헬스단말로 신호를 송출하여 운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운동량 체크수단(50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KR1020180156347A 2018-12-06 2018-12-06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KR10197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47A KR101977980B1 (ko) 2018-12-06 2018-12-06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47A KR101977980B1 (ko) 2018-12-06 2018-12-06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980B1 true KR101977980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347A KR101977980B1 (ko) 2018-12-06 2018-12-06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727A (ko) * 2019-07-18 2021-01-28 김재우 골프 연습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85B1 (ko) * 2010-07-26 2010-11-04 임재훈 속도 향상 기능을 갖는 스틱
KR101507567B1 (ko) * 2014-03-14 2015-03-31 권영성 노인용 지팡이
KR101595288B1 (ko) * 2015-01-16 2016-02-18 권영성 기능성 노인용 지팡이
KR101683394B1 (ko) * 2015-09-07 2016-12-07 김상웅 근력운동 및 재활치료를 위한 완력장치
KR20170083551A (ko) * 2014-11-07 2017-07-18 레키스포르트 아게 크로스 컨츄리 스키 폴 손잡이
KR101899251B1 (ko) * 2017-06-26 2018-10-31 박용태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85B1 (ko) * 2010-07-26 2010-11-04 임재훈 속도 향상 기능을 갖는 스틱
KR101507567B1 (ko) * 2014-03-14 2015-03-31 권영성 노인용 지팡이
KR20170083551A (ko) * 2014-11-07 2017-07-18 레키스포르트 아게 크로스 컨츄리 스키 폴 손잡이
KR101595288B1 (ko) * 2015-01-16 2016-02-18 권영성 기능성 노인용 지팡이
KR101683394B1 (ko) * 2015-09-07 2016-12-07 김상웅 근력운동 및 재활치료를 위한 완력장치
KR101899251B1 (ko) * 2017-06-26 2018-10-31 박용태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727A (ko) * 2019-07-18 2021-01-28 김재우 골프 연습장치
KR102258643B1 (ko) * 2019-07-18 2021-06-02 김재우 골프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4407B2 (en) Device for enhancing a subject's grasping capability
US200900697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muscular capacities of athletes using short tests
JP5431231B2 (ja) バスケットボールのトレーニングに用いられるパームパッドデバイス及びバスケットボール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EP2878285A1 (en) A therapeutic device for neck pain
KR101977980B1 (ko) 보조운동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용 스틱
US7621288B2 (en) Hand based weight distribution system
KR101433339B1 (ko) 기립용 손잡이를 구비한 지팡이
US88015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ercise mechanism
KR102263214B1 (ko) 손 재활 운동장치
US20130316882A1 (en) Total Workout Device
WO2013153352A1 (en) Handheld weighted exercising apparatus
US9061177B1 (en) Wrist exercise device
KR101595288B1 (ko) 기능성 노인용 지팡이
US20220062740A1 (en) Flexible grips
US20150150711A1 (en) Therapeutic device for neck pain
US20190001172A1 (en) Exercise device
KR102458605B1 (ko) 스포츠용 장갑
KR102202859B1 (ko) 손 재활 훈련장치
Augste Performance diagnostics in sport climbing-test manual
CN209612128U (zh) 手部功能恢复张握力训练器
KR102203170B1 (ko) 재활보행기
KR20180041308A (ko)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JP2010088703A (ja) ハンディ型トレーニング機器
JP6985853B2 (ja) ハンドルグリップ
KR200295819Y1 (ko) 옆구리 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