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308A -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 Google Patents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308A
KR20180041308A KR1020160133276A KR20160133276A KR20180041308A KR 20180041308 A KR20180041308 A KR 20180041308A KR 1020160133276 A KR1020160133276 A KR 1020160133276A KR 20160133276 A KR20160133276 A KR 20160133276A KR 20180041308 A KR20180041308 A KR 20180041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nd
support plate
elastic
ch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연
Original Assignee
박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연 filed Critical 박성연
Priority to KR102016013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308A/ko
Publication of KR2018004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18Chinning, pull-up, i.e. con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16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genital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봉에 연결하는 턱거리용 탄성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턱거리운동을 잘못하는 초보 운동자로 하여금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턱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지지판(3)과 상기 지지판(3)에 결합시켜 상기 지지판(3) 커버와 낭심을 보호하는 낭심보호판(40)과,
상기 지지판(3) 3방향으로 3개소의 제1,2,3탄성밴드(10,20,30)가 연결되되 상기 제 1,2탄성밴드(10,20)의 일츨끝단은 상기 지지판(3)에 연결(A)되고,
타측끝단은 철봉을 감아둘라 다시 상기 지지판(3)으 연결고리(B)에 연결되며,
상기 제3탄성밴드(30)은 일측끝단은 상기 지지판(3)에 연결(A)되고 타측끝단은 발을 끼울 수 있도록 발목거리(31)를 형성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Elastic band}
본 발명은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턱걸이 운동을 잘 못하는 초보 운동자로 하여금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턱걸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술을 간단히 요약하면, 탄성밴드 일측은 철봉에 걸어두고 상기 탄성밴드 타측은 철봉아래에 있도록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아래에 위치한 탄성밴드의 고리에 한쪽무릎을 구부리면서 발을 끼운 다음 이용자가 철봉을 손으로 잡고 무릎을 펴면 탄성밴드는 인장된다. 이 상태에서 턱걸이를 하게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턱걸이를 쉽게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에서 초보자들이 철봉을 잡고서 턱거리 운동을 할 때는 철봉을 맨손으로 사용해 손바닥과 손가락이 아프고 손에 무리가 따르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운동의 경험이 없거나 체중이 무거운 사람은 특히 철봉을 할 때
봉을 쥐고 있는 손에 무리가 와 운동을 할 수가 없고 이로 인해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불편을 느끼고 손목과 손가락의 부상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더나가, 팔힘이 없거나 요령이 없는 이용자들은 턱걸이를 한개도 할 줄모른다.
이와 같은 것을 감안하여 해결할 양으로 1줄(외줄이라 칭함)로 이루어진 밴드를 철봉에 감고 아래쪽은 발고리를 형성한 다음 이용자가 철봉을 손으로 잡고 무릎을 펴면 탄성부재는 인장된다. 이 상태에서 턱걸이를 하게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턱걸이를 쉽게할 수는 있는데 문제점이 발생된다.
문제점을 살펴보면, 운동자가 외줄을 이용하다보니 얼굴이 부딪치고, 또 손바닥 통증과 얼굴움직임을 방해한다. 특히, 남성인 경우 외줄이 낭심을 타격하거나 낭심을 심하게 짓눌러 통증이 심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것으로서 본 발명은 탄성밴드 일측은 철봉에 걸어두고 상기 탄성밴드 타측은 철봉아래에 있도록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아래에 위치한 탄성밴드의 고리에 한쪽무릎을 구부리면서 발을 끼운 다음 이용자가 철봉을 손으로 잡고 무릎을 펴면 탄성밴드는 인장된다.
이 상태에서 턱걸이를 하게되면 탄성밴드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턱걸이를 쉽게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밴드를 제공하되 본 발명의 과제는 손바닥 통증이 최소화 하고, 낭심을 보호하며, 탄성밴드가 얼굴에 닿지 않도록 하는 탄성밴드를 제공하는 과제이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지지판(3)과 상기 지지판(3)에 결합시켜 상기 지지판(3) 커버와 낭심을 보호하는 낭심보호판(40)과,
상기 지지판(3) 3방향으로 3개소의 제1,2,3탄성밴드(10,20,30)가 연결되되 상기 제 1,2탄성밴드(10,20)의 일측끝단은 상기 지지판(3)에 연결(A)되고,
타측끝단은 철봉을 감아돌아 다시 상기 지지판(3)은 연결고리(B)에 연결되며,
상기 제3탄성밴드(30)는 일측끝단은 상기 지지판(3)에 연결(A)되고 타측끝단은 발을 끼울 수 있도록 발목걸이(31)를 형성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낭심보호판(40)은 낭심이 수용되도록 이용자의 방향에서 바라볼 때 오목하게 형성한 오목홈(41)이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것으로서 본 발명은 탄성밴드 일측은 철봉에 걸어두고 상기 탄성밴드 타측은 철봉아래에 있도록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아래에 위치한 탄성밴드의 고리에 한쪽무릎을 구부리면서 발을 끼운 다음 이용자가 철봉을 손으로 잡고 무릎을 펴면 탄성밴드는 인장된다. 이 상태에서 턱걸이를 하게되면 탄성밴드의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턱걸이를 쉽게할 수 있다.
또 탄성밴드가 철봉에 감겨있기 때문에 그 감겨진 탄성밴드에 손바닥으로 잡고서 턱걸이 운동을 함으로서 손바닥 통증이 최소화 하고, 낭심을 보호하며, 얼굴에 닺지않도록 하는 탄성밴드를 제공함으로서 운동을 할 때 강력한 운동과 장시간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고 운동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올림으로써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와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D의 확대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제 4도는 본 발명의 낭심보호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재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지지판(3)과 상기 지지판(3)에 결합시켜 상기 지지판(3) 커버와 낭심을 보호하는 낭심보호판(40)과,
상기 지지판(3) 3방향으로 3개소의 제1,2,3탄성밴드(10,20,30)가 연결되되 상기 제 1,2탄성밴드(10,20)의 일츨끝단은 상기 지지판(3)에 연결(A)되고,
타측끝단은 철봉을 감아돌아 다시 상기 지지판(3)은 연결고리(B)에 연결되며,
상기 제3탄성밴드(30)는 일측끝단은 상기 지지판(3)에 연결(A)되고 타측끝단은 발을 끼울 수 있도록 발목걸이(31)를 형성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2탄성밴드(10,20)의 타측끝단을 철봉(100)을 감듯이 경유시킨 다음 지지판(3)에 연결된 연결고리(B)에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하게되면 제3탄성밴드(30)의 발목걸이(31)는 지면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200)가 무릎을 구부리면서 발목걸이(31)에 발목을 건 다음 양손을 철봉(100)에 감겨진 제1,2탄성밴드(10,20)를 손바닥으로 잡은 후 일어서듯이 무릎을 펴면 탄성밴드(1)는 인장력이 발생한다. 이 상태가 탄성밴드(1)의 복원력에 의해 이용자를 철봉(100)인 상측방향으로 끌어올리려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턱걸이운동을 하게되면 초보 이용자도 턱걸이를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낭심보호판(40)은 낭심이 수용되도록 이용자의 방향에서 바라볼 때 오목하게 형성한 오목홈(41)이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홈(41)을 상하로 길게 형성할 경우 턱걸이운동을 할 때 신체가 상하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더라도 그 이동과정에 낭심을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 오목홈(41) 내측에 운동하는 과정에 낭심을 간섭하여 낭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B)에 연결된 자극방울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홈(41)에 연결고리에 연결한 방울을 갖도록할 경우 턱걸이운동을 할 때 신체가 상하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므로 그 이동과정에 방울에 낭심이 자극된다. 그로인해 낭심단력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탄성밴드 3 : 지지판
10 : 제1탄성밴드 20 : 제2탄성밴드
30 : 제3탄성밴드 31 : 발목걸이
40 : 낭심보호판 41 : 오목홈
100: 철봉 200: 이용자
A : 연결 B : 연결고리

Claims (2)

  1. 지지판(3)과 상기 지지판(3)에 결합시켜 상기 지지판(3) 커버와 낭심을 보호하는 낭심보호판(40)과, 상기 지지판(3) 3방향으로 3개소의 제1,2,3탄성밴드(10,20,30)가 연결되되 상기 제 1,2탄성밴드(10,20)의 일측끝단은 상기 지지판(3)에 연결(A)되고,
    타측끝단은 철봉을 감아돌아 다시 상기 지지판(3)은 연결고리(B)에 연결되며,
    상기 제3탄성밴드(30)는 일측끝단은 상기 지지판(3)에 연결(A)되고 타측끝단은 발을 끼울 수 있도록 발목걸이(31)를 형성한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낭심보호판(40)은 낭심이 수용되도록 이용자의 방향에서 바라볼 때 오목하게 형성한 오목홈(41)이 상하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KR1020160133276A 2016-10-14 2016-10-14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KR20180041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276A KR20180041308A (ko) 2016-10-14 2016-10-14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276A KR20180041308A (ko) 2016-10-14 2016-10-14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308A true KR20180041308A (ko) 2018-04-24

Family

ID=6208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276A KR20180041308A (ko) 2016-10-14 2016-10-14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3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575A (ko) 2018-10-04 2020-04-14 김태우 철봉 보조 장치
KR20210100959A (ko) 2020-02-07 2021-08-18 공태영 운동보조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575A (ko) 2018-10-04 2020-04-14 김태우 철봉 보조 장치
KR20210100959A (ko) 2020-02-07 2021-08-18 공태영 운동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397B2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US9630081B2 (en) Elastic training apparatus
US10857415B2 (en) Multifunctional therapeutic workout enhancement brace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JP6312908B1 (ja) 手指訓練用器具
US20150025568A1 (en) Two-hand adjustable acupressure method and apparatus
JP2014114534A (ja) 体力強化用グローブ
KR20180041308A (ko)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US20050227814A1 (en) Exercise device
KR200470707Y1 (ko) 손 운동기구
US11745052B2 (en) Exercise equipment
JP3132216U (ja) 運動補助器具
KR20200060244A (ko) 신체 구동식 착용형 가변 임피던스 장치
KR101863428B1 (ko) 다양한 자세를 연출하는 감각통합 치료용 기구
RU2013153167A (ru) Способ нейродинамической (нейросенсорной) коррекции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вигательных, позных, сенсорных и когнитивных функций у больных с патологией нервной системы и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костюм для его применения
JP6482094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及びトレーニング器具の製造方法
JP3198049U (ja) 下腹部筋力強化補助具
WO2017159940A1 (ko) 권투훈련을 위한 튜빙 밴드 착용 벨트
JP2011139754A (ja) 機能回復補助具
KR200456732Y1 (ko) 휴대가 용이한 어깨통증 예방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005296318A (ja) 体操補助具
JP3128960U (ja) 多用途強力補助ベルト
RU1729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для пауэрлифтинга
KR20180002452U (ko)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170002212U (ko) 권투훈련을 위한 튜빙 밴드 health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