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888A -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888A
KR20000055888A KR1019990004770A KR19990004770A KR20000055888A KR 20000055888 A KR20000055888 A KR 20000055888A KR 1019990004770 A KR1019990004770 A KR 1019990004770A KR 19990004770 A KR19990004770 A KR 19990004770A KR 20000055888 A KR20000055888 A KR 20000055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golf
lower plate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568B1 (ko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이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성 filed Critical 이진성
Priority to KR1019990004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5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63B69/3673Foot inclining aids; Foot wobb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이 놓여지는 인조잔디를 비롯하여 연습자가 서 있는 발판의 전후 좌우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연습장에서 경사진 필드에서 경기에 임하는 것과 흡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프공 공급기(20), 인조잔디(30), 발판(35)이 올려지는 상판(40)와, 상판(40)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설치되는 하판(50)과, 상판(40)과 하판(50) 사이의 회전중심(C1)에 위치되어 상판(40)을 전후 좌우 어떤 방향으로도 굴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지지체(60)와, 볼조인트(70)(72)(74)(76)(80) (81)(82)(83)에 의해 상판(40)과 하판(5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상자재(球狀自在)이음되어 신축되는 복수개의 액추에이터(90)(92)와, 액추에이터(90)(92)를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상판(40)과 하판(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주름커버(12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tilt angle adjustable golf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공이 놓여지는 인조잔디를 비롯하여 연습자가 서 있는 발판의 전후 좌우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연습장에서 경사진 필드에서 경기에 임하는 것과 흡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골프는 정확도를 요하는 스포츠로서, 스윙하는 자세를 상당히 중요시여기게 되며, 도심의 건축물에 마련된 골프연습장에서의 연습습관은 실제의 경기에 반영되어 샷의 정확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실제의 골프게임이 진행되는 필드는 굴곡을 가진 것이 대부분인데 비해 종래의 골프연습장에 있는 인조잔디는 수평한 콘크리트 위에 깔고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의 필드조건에 부합되지 못하는 단순한 연습에 임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골퍼가 서 있는 지면이 경사각을 갖는 경사지인 경우 온몸의 중심을 지탱하는 각종 근육에 가해지는 힘이 다르게 작용될 뿐만 아니라 경사면에 따른 스윙궤도 및 골프공의 위치등이 각기 다르게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평지에서만 연습한 사람의 경우 경사진 필드에서의 정확한 스윙이 어렵게 되며, 샷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골프공이 놓여지는 인조잔디를 비롯하여 연습자가 서는 발판의 전후 좌우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프공 공급기와, 골프공이 놓여지는 인조잔디, 발판을 갖는 골프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공급기, 인조잔디, 발판이 올려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설치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회전중심에 위치되어 이 상판을 전후 좌우 어떤 방향으로도 굴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지지체와, 볼조인트에 의해 이 상판과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상자재이음되어 신축되는 복수개의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판과 하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주름커버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1의 B-B선 단면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3의 작동상태도
도 5b 는 도5a에서 앞 내리막 연습장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3의 작동상태도
도 6b 는 도6a에서 뒤 내리막 연습장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4의 작동상태도
도 7b 는 도7a에서 왼쪽 내리막 연습장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4의 작동상태도
도 8b 는 도8a에서 오른쪽 내리막 연습장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9의 C-C선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전방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11의 작동상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후방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11의 작동상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구성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골프공 공급기 22 : 골프공
30 : 인조잔디 32,33,34 : 요홈
35 : 발판 40 : 상판
50 : 하판 C1 : 회전중심
60 : 지지체 90,92 : 액추에이터
100 : 제어부 120 : 주름커버
90a,92a : 4절링크 F1,F11 : 전방측 굴절부
N1,N2,N11,N12 : 너트 F2,F12 : 후방측 굴절부
94a,94b : 오른나사부 96a,96b : 왼나사부
94,96 : 스크류 M1,M2 : 모터
G1,G2 : 안내부재 S1,S2,S3,S4 : 서포터
P1,P2,P3,P4 : 핀 H1,H2 : 미끄럼장공
L1,L2,L3,L4 : 링크 T1,T2,T3,T4 : 실린더튜브
P1,P2 : 핀 R1,R2,R3,R4 : 피스톤 로드
H11,H12,130 : 장공 C1,C2,C3,C4 : 유체압실린더
132,133 : 핀 SW1,SW2,SW3,SW4 : 스위치
20a,20b,20c : 받침구 140a,140b,140c : 홈
140,142 : 평행바 151 : 상부굴절부
152 : 하부굴절부 LS1,LS2,LS3,LS4 : 리미트 스위치
70,72,74,76,80,81,82,83 : 볼조인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프공 공급기(20), 인조잔디(30), 발판(35)이 올려지는 상판(40)과, 상기 상판(40)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설치되는 하판(50)과, 상기 상판(40)과 하판(50) 사이의 회전중심(C1)에 위치되어 이 상판(40)을 전후 좌우 어떤 방향으로도 굴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지지체(60)와, 볼조인트(70)(72)(74)(76)(80)(81)(82)(83)에 의해 이 상판(40)과 하판(5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상자재(球狀自在)이음되어 신축되는 복수개의 액추에이터(90) (92)와, 상기 액추에이터(90)(92)를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주름커버(120)와, 상기 액추에이터(90)(92)는 상기 볼조인트(70)(72)(74)(76)에 의해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구상자재(球狀自在)이음되는 4절링크(90a)(92a)와, 상기 4절링크(90a)(92a)의 전후방측 굴절부(F1)(F2)(F11)(F12)에 설치된 너트(N1)(N2)(N11)(N12)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부(94a)(94b)와 왼나사부(96a)(96b)를 갖는 스크류(94)(96)와, 상기 스크류(94)(96)에 회전력을 가해주는 모터(M1)(M2)와, 상기 전후방측 굴절부(F1)(F2)(F11)(F12) 중에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후방측 굴절부(F1)(F11)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M1)(M2)를 직선안내하는 안내부재(G1)(G2)로 구성하였다.
상기 액추에이터(90)(92)는 상기 하판(50)의 4모서리부근에 고정되는 서포터 (S1)(S2)(S3)(S4)와, 상기 서포터(S1)(S2)(S3)(S4)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핀(P1)(P2)(P3)(P4)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미끄럼장공(H1) (H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볼조인트(80)(81)(82)(83)에 의해 상기 상판 (40)에 구상자재(球狀自在)이음되는 "L"자 모양의 링크(L1)(L2)(L3)(L4)와, 실린더튜브(T1)(T2)(T3)(T4)는 상기 하판(50)에 등각도로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R1)(R2) (R3)(R4)는 핀(P1)(P2)에 의해 상기 링크(L1)(L2)(L3)(L4)의 장공(H11)(H12)에 결합되는 유체압실린더(C1)(C2)(C3)(C4)와, 상기 복수의 링크(L1)(L2)(L3)(L4)중 일측의 링크(L2)(L4)의 상단부에 형성된 장공(130)에 결합되어 미끄러지는 핀(132) (133)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튜브(T1)(T2)(T3)(T4)는 상기 하판(50)의 4 모서리부분에 설치하였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하판(50)의 4변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골프공 공급기(20)의 받침구(20a)(20b)(20c)가 놓여지는 홈(140a) (140b)(140c)을 갖는 평행바(140)(142)를 상기 상판(40)의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지지체(60)는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연결부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상부굴절부(151)와 하부굴절부(152)를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60)는 볼조인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제한된 경사각으로 상판(40)이 기울어지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액추에이터(90)(92)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LS1)(LS2)(LS3)(LS4)를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회전중심(C1)은 예컨대, 상기 인조잔디(30)에 형성되어 골프공(22)이 놓여지는 복수의 요홈(32)(33)(34)중 중앙에 있는 요홈(33)으로부터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상기 상판(40)의 꼭지점을 잇는 대각선들이 만나면서 이루는 교차점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인조잔디(30)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32)(33)(34)은 상기 골프공(22)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반구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인조잔디(30)의 끝을 부분커팅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요홈(32)(33)(34)을 만들지 않고 인조잔디의 표면에 실리콘과 같은 마찰계수가 비교적 큰 물질을 코팅하여 상판(40)이 기울더라도 골프공(22)이 인조잔디(30)로부터 구르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첨부도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30)의 중심에 띠형태로 일정폭 부분코팅하거나,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22)이 놓여지는 자리에 원형으로 부분코팅할 수도 있고,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를 코팅처리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R20,R21,R22,R23,R30,R31,R32,R33은 풀업 저항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상판(40)을 전방측으로 기울여야 되는 경우 상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 (100)에 의해 액추에이터(90)(92)가 구동되는데, 이때 액추에이터(90)(92)가 모터 (M1)(M2)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2 및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1)(M2)가 동시에 도면중 화살표 CW방향인 시계방향(골프공 공급기가 있는 쪽의 반대편에서 골프공 공급기를 정면으로 바라 보았을 때)으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스크류(94)(96)를 모두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스크류(94)(96)에 나사결합되어 있던 너트(N1)(N2)(N11)(N12)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4절링크(90a)(92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높아지게 되고, 동시에 이 4절링크(90a)(92a)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던 볼조인트(70)(72)(74) (76)가 상판(40)과 하판(50)의 간격이 커지도록 상판(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체(60)를 중심으로 상판(40)이 전방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골프공 공급기의 반대편에서 골프공 공급기를 정면으로 바라볼 때)
즉, 상기 스크류(94)(96)에 각각 형성된 오른나사부(94a)(94b)와 왼나사부 (96a)(96b)가 모터(M1)(M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오른나사부(94a)(94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1)(N11)는 후방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왼나사부(96a) (96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2)(N12)는 전방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4절링크 (90a)(92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이고, 지지체(60)가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볼조인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굴절되면서 상판(40)이 전방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판(40) 위의 발판(35)에 올라 서서 클럽(200)을 손으로 잡고 스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것으로, 평지에서 보다 골퍼의 스탠스가 약간 넓고 발뒤꿈치에 체중이 실리게 된다.
한편, 골퍼가 상판(40)을 후방측으로 기울여야 되는 경우 상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액추에이터(90)(92)가 구동되는데, 이때 첨부도면 도2 및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1)(M2)가 동시에 도면중 화살표 CCW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스크류(94)(96)를 모두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스크류(94)(96)에 나사결합되어 있던 너트(N1)(N2)(N11)(N12)가 서로 멀어지면서 4절링크(90a)(92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낮아지게 되고, 동시에 이 4절링크(90a)(92a)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던 볼조인트(70)(72)(74)(76)가 상판(40)과 하판(50)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판(40)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는 꼴이 되는데, 이때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체(60)를 중심으로 상판(40)이 후방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골프공 공급기가 있는 쪽을 전방측으로, 그 반대편을 후방측으로 가정할 때)
즉, 상기 스크류(94)(96)에 각각 형성된 오른나사부(94a)(94b)와 왼나사부 (96a)(96b)가 모터(M1)(M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오른나사부(94a) (94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1)(N11)는 전방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왼나사부 (96a)(96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2)(N12)는 후방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4절링크(90a)(92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이고, 지지체(60)가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볼조인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굴절되면서 상판(40)이 후방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판(40) 위의 발판(35)에 올라 서서 클럽(200)을 손으로 잡고 스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것으로, 평지에서 보다 골퍼의 허리가 곧고 높게 된다.
그리고, 골퍼가 상판(40)을 좌측으로 기울여야 되는 경우 상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3)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액추에이터(90)(92)가 구동되는데, 이때 액추에이터(90)(92)가 모터(M1)(M2)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2 및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모터(M2)는 도면중 화살표 CCW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모터(M1)는 도면중 화살표 CW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스크류(96)(94)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좌측의 스크류(96)에 나사결합되어 있던 너트(N11)(N12)가 서로 멀어지면서 4절링크(92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낮아지게 되고, 동시에 이 4절링크(92a)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던 볼조인트(74)(76)가 상판(40)과 하판(50)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판(40)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는 꼴이 되며, 우측의 스크류(94)에 나사결합되어 있던 너트(N1)(N2)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4절링크(90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높아지게 되고, 동시에 이 4절링크(90a)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던 볼조인트(70)(72)가 상판(40)과 하판(50)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상판(40)를 상측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체(60)를 중심으로 상판(40)이 좌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좌측의 스크류(96)에 형성된 오른나사부(94b)와 왼나사부(96b)가 모터(M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오른나사부(94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11)는 전방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왼나사부(96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12)는 후방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4절링크(92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우측의 스크류(94)에 형성된 오른나사부(94a)와 왼나사부(96b)가 모터(M1)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오른나사부(94a)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1)는 후방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왼나사부(96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2)는 전방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4절링크(90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높아지면서, 상판(40)이 지지체(60)를 기점으로 해서 좌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판(40) 위의 발판(35)에 올라 서서 클럽(200)을 손으로 잡고 스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것으로, 평지에서 보다 골퍼의 스탠스가 상당히 넓게 된다.
또, 골퍼가 상판(40)을 우측으로 기울여야 되는 경우 상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4)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액추에이터(90)(92)가 구동되는데, 첨부도면 도2 및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모터(M2)는 도면중 화살표 CW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모터(M1)는 도면중 화살표 CCW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스크류(96)(94)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좌측의 스크류(96)에 나사결합되어 있던 너트(N11)(N12)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4절링크(92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높아지게 되고, 동시에 이 4절링크(92a)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던 볼조인트(74)(76)가 상판(40)과 하판 (50)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상판(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꼴이 되며, 우측의 스크류(94)에 나사결합되어 있던 너트(N1)(N2)가 서로 멀어지면서 4절링크(90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낮아지게 되고, 동시에 이 4절링크(90a)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던 볼조인트(70)(72)가 상판(40)과 하판(50)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판(40)를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체(60)를 중심으로 상판(40)이 우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좌측의 스크류(96)에 형성된 오른나사부(94b)와 왼나사부(96b)가 모터(M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오른나사부(94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11)는 후방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왼나사부(96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 (N12)는 전방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4절링크(92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우측의 스크류(94)에 형성된 오른나사부(94a)와 왼나사부(96b)가 모터(M1)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오른나사부(94a)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1)는 전방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왼나사부(96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N2)는 후방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4절링크(90a)의 상하단부 높이가 처음보다 낮아지면서, 상판(40)이 지지체(60)를 기점으로 해서 우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판(40) 위의 발판(35)에 올라 서서 클럽(200)을 손으로 잡고 스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것으로, 평지에서 보다 골퍼의 스탠스가 좁게 된다.
그리고 상판(40)을 전방측과 좌측방향, 전방측과 우측방향, 후방측과 좌측방향, 후방측과 우측방향과 같이 복합적인 방향으로 경사지게 조절하는 경우에는 전방측과 좌측방향조절을 위한 스위치(SW1)(SW3), 전방측과 우측방향조절을 위한 스위치(SW1)(SW4), 후방측과 좌측방향조절을 위한 스위치(SW2)(SW3), 후방측과 우측방향조절을 위한 스위치(SW2)(SW4)를 동시에 조작하면 된다.
위와 같이 상판(40)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기우는 과정에서 제한된 각도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LS1)(LS2)(LS3)(LS4)가 터치되면서 제어부(100)에 의해 액추에이터(90)(92)들이 정지하게 되어 간섭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판(40)과 하판(50)의 테두리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주름커버(120)는 골프공(22)이 상판(40)과 하판(5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면서 동시에 상판(40)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기울 때 높이가 낮아지는 부분에서는 접히고, 높이가 높아지는 부분에서는 신장된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90)(92)가 유체압실린더(C1)(C2)(C3)(C4)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실시예에서 첨부도면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상판(40)을 전방측으로 기울여야 되는 경우 상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압실린더(C2)(C3)의 피스톤 로드(R3)(R4)는 수축되고,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압실린더(C1)(C4)의 피스톤 로드(R1)(R2)가 신장되는데, 이때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L1)(L2)가 핀(P1)(P2)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80)(8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는 한편,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L3)(L4)가 핀(P3)(P4)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82)(83)를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상판(40)이 전방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크(L1)(L2)(L3)(L4)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H11)(H12)(130)은 직선운동되는 상기 피스톤 로드(R1)(R2)(R3)(R4)와 링크(L1)(L2)(L3)(L4)와의 간섭, 상기 볼조인트(82)(83)와 링크(L3)(L4)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10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상판(40)을 후방측으로 기울여야 되는 경우 상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압실린더(C2)(C3)의 피스톤 로드(R3)(R4)는 신장되고,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압실린더(C1)(C4)의 피스톤 로드(R1)(R2)가 수축되는데, 이때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L1)(L2)가 핀(P1)(P2)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80)(81)를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는 한편,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L3)(L4)가 핀(P3) (P4)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82)(83)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상판(40)이 후방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90)(92)가 유체압실린더(C1)(C2)(C3)(C4)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실시예에서 첨부도면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상판(40)을 좌측으로 기울여야 되는 경우 상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3)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압실린더(C1)(C3)의 피스톤 로드(R1)(R4)는 신장되고,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압실린더(C2)(C4)의 피스톤 로드(R2)(R3)가 수축되는데, 이때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L2)(L3)가 핀(P2)(P3)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81)(82)를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는 한편,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L1) (L4)가 핀(P1)(P4)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80) (83)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상판(40)이 좌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또, 골퍼가 상판(40)을 우측으로 기울여야 되는 경우 상판(4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4)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압실린더(C1)(C3)의 피스톤 로드(R1)(R4)는 수축되고,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압실린더(C2)(C4)의 피스톤 로드(R2)(R3)가 산장되는데, 이때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L2)(L3)가 핀(P2)(P3)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81)(8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는 한편,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L1) (L4)가 핀(P1)(P4)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80) (83)를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상판(40)이 우측으로 기울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골프공이 놓여지는 인조잔디 및 골퍼가 서 있게 되는 상판의 기울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드에서 경기할 때와 같은 연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골프공 공급기(20)와, 골프공(22)이 놓여지는 복수의 요홈(32)(33)(34)을 갖는 인조잔디(30), 발판(35)을 갖는 골프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공급기(20), 인조잔디(30), 발판(35)이 올려지는 상판(40);
    상기 상판(40)과 간격을 두고 하측에 설치되는 하판(50);
    상기 상판(40)과 하판(50) 사이의 회전중심(C1)에 위치되어 이 상판(40)을 전후 좌우 어떤 방향으로도 굴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지지체(60);
    볼조인트(70)(72)(74)(76)(80)(81)(82)(83)에 의해 이 상판(40)과 하판(5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상자재(球狀自在)이음되어 신축되는 복수개의 액추에이터 (90)(92);
    상기 액추에이터(90)(92)를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주름커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90)(92)는 상기 볼조인트(70)(72)(74) (76)에 의해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구상자재(球狀自在)이음되는 4절링크(90a)(92a);
    상기 4절링크(90a)(92a)의 전후방측 굴절부(F1)(F2)(F11)(F12)에 설치된 너트(N1)(N2)(N11)(N12)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부(94a)(94b)와 왼나사부(96a) (96b)를 갖는 스크류(94)(96);
    상기 스크류(94)(96)에 회전력을 가해주는 모터(M1)(M2);
    상기 전후방측 굴절부(F1)(F2)(F11)(F12) 중에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후방측 굴절부(F1)(F11)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M1)(M2)를 직선안내하는 안내부재(G1)(G2)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90)(92)는 상기 하판(50)의 4모서리부근에 고정되는 서포터(S1)(S2)(S3)(S4);
    상기 서포터(S1)(S2)(S3)(S4)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핀(P1)(P2)(P3)(P4)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미끄럼장공(H1)(H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볼조인트(80)(81)(82)(83)에 의해 상기 상판(40)에 구상자재(球狀自在)이음되는 "L"자 모양의 링크(L1)(L2)(L3)(L4);
    실린더튜브(T1)(T2)(T3)(T4)는 상기 하판(50)에 등각도로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R1)(R2)(R3)(R4)는 핀(P1)(P2)에 의해 상기 링크(L1)(L2)(L3)(L4)의 장공 (H11)(H12)에 결합되는 유체압실린더(C1)(C2)(C3)(C4);
    상기 복수의 링크(L1)(L2)(L3)(L4)중 일측의 링크(L2)(L4)의 상단부에 형성된 장공(130)에 결합되어 미끄러지는 핀(132)(1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0)는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연결부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상부굴절부(151)와 하부굴절부(152)를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0)는 볼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제한된 경사각으로 상판(40)이 기울어지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액추에이터(90)(92)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LS1)(LS2)(LS3)(LS4)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KR1019990004770A 1999-02-11 1999-02-11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KR10030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770A KR100306568B1 (ko) 1999-02-11 1999-02-11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770A KR100306568B1 (ko) 1999-02-11 1999-02-11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888A true KR20000055888A (ko) 2000-09-15
KR100306568B1 KR100306568B1 (ko) 2001-09-24

Family

ID=1957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770A KR100306568B1 (ko) 1999-02-11 1999-02-11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635B1 (ko) * 2001-09-22 2005-07-20 주식회사 씨이엘 승하강식 골프공 공급기를 갖는 골프 연습장치
KR101053715B1 (ko) * 2009-09-17 2011-08-02 조길연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35B1 (ko) * 2008-12-17 2009-08-11 (주) 알디텍 저 지상고형 1점 기준 8방향 운동형 발판
KR101926174B1 (ko) * 2016-10-26 2019-02-26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보행 훈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68U (ko) * 1973-05-04 1975-01-08
JPS6371071U (ko) * 1986-10-29 1988-05-12
KR910008679Y1 (ko) * 1988-09-12 1991-10-26 이종섭 무정류자 자기콘트롤 전동기
JPH06190096A (ja) * 1992-12-24 1994-07-12 Yasuo Harashima ゴルフ練習装置および人工芝ユニット
KR960002152Y1 (ko) * 1993-01-06 1996-03-15 이성은 골프 연습대
KR19980036759U (ko) * 1996-12-16 1998-09-15 정호기 경사조절용 골프연습대
JP3048635U (ja) * 1997-11-05 1998-05-22 松尾技研株式会社 ゴルフ練習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635B1 (ko) * 2001-09-22 2005-07-20 주식회사 씨이엘 승하강식 골프공 공급기를 갖는 골프 연습장치
KR101053715B1 (ko) * 2009-09-17 2011-08-02 조길연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6568B1 (ko) 200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6580A (en) Foot position teaching apparatus for batting practice
US4248431A (en) Golfing aid
CA1216870A (en) Device for controlling golf swing
GB2291810A (en) Golf stance device
JPH10502260A (ja) 調節可能な野球用バッティング・ティー
US5772538A (en) Free standing goal barrier apparatus
WO2010132289A2 (en) Adjustable putter alignment aide
US8308580B2 (en) Golf alignment and posture training device
US6582319B2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5797804A (en) Golf putting alignment trainer
KR100306568B1 (ko)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CN102728039B (zh) 乒乓球装置
CN1144606C (zh) 带有操作机构的玩具球游戏
US2606026A (en) Golf instruction device
US5492328A (en) Golf stance alignment device
US5328186A (en) Golfer's stance guide
US5577916A (en) Golf swing weight shift window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4021039A (en) Miniature simulated tennis game
KR200165081Y1 (ko) 골프공타격연습대
US7641567B2 (en) Gold putt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WI721926B (zh) 可同時變換不同傾斜方向的運動平台構造
KR101440869B1 (ko) 골프 타석의 경사 조절장치
KR200322419Y1 (ko) 경사 및 굴곡조절 퍼팅연습기
KR100430181B1 (ko) 골프용 퍼터장치
KR102017429B1 (ko) 골프 어드레스 및 에이밍 연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