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910B1 - 철재 마루틀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재 마루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910B1
KR100499910B1 KR10-2003-0041313A KR20030041313A KR100499910B1 KR 100499910 B1 KR100499910 B1 KR 100499910B1 KR 20030041313 A KR20030041313 A KR 20030041313A KR 100499910 B1 KR100499910 B1 KR 10049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floor
support
heigh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920A (ko
Inventor
이만익
Original Assignee
이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익 filed Critical 이상익
Priority to KR10-2003-004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9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76Screw jacks height-adjust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체육관, 무용실 등의 바닥재로 사용하는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마루바닥의 높낮이를 수평상태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공장치가 다수의 단품으로 분리되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한 철재 마루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마루널고정목이 내삽 고정되고 상단에 마루널이 교차되게 설치되는 마루널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루널지지부재의 저부를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받쳐주며 저면에 높낮이조절을 위한 나사봉이 설치된 다수개의 받침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고 선택적인 회전에 따라 받침홀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구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나사봉에 결합되고 높낮이조절구를 하방으로 조여주어 풀림을 방지하는 잠금편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봉 및 높낮이조절구가 내,외부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가이드홀더가 입설되고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철재 마루틀 시스템{Iron floor frame system}
본 발명은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체육관, 무용실 등의 바닥재로 사용하는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마루바닥의 높낮이를 수평상태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공장치가 다수의 단품으로 분리되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한 철재 마루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등의 바닥재로는 목재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목재의 특수한 성질에 의해 시공 후 뒤틀림, 갈라짐, 부패 등으로 인해 바닥재가 배부름, 꺼짐, 소음 등의 하자가 발생되어 사용자인 학생과 교직원의 불만이 가중되는 한편, 상기 목재를 이용한 마루바닥의 시공방법은 숙련된 기능공에 의해서만 시공이 가능하여 기능공 수급이 점차 어려워지는 건설현장의 현실을 감안할 때 매우 불합리하며, 복잡한 작업공수 및 많은 자재의 소요에 따라 인건비, 자재비의 과다 지출로 인해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마루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경기중 운동선수 및 무용수의 움직임 동작(뜀뛰기, 구름동작 등)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는 체육관이나 무용실 등의 마루바닥을 설치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 발명자의 선등록 고안인『실용신안등록 제2002-280824호, 제2002-287038호 명칭 마루바닥 시공장치』가 연속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고안들은 종래에 야기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함에도 불구하고 시공상에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마루바닥은 시공 후 배부름, 꺼짐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바닥면을 균일하게 수평상태로 시공함이 최대의 관건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선등록 고안은 조절너트를 이용하여 시공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써 마루바닥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었다.
그러나 선등록 고안은 마루널지지부재의 하단에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나사봉이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나사봉이 끼워지는 가이드홀더가 입설된 베이스판을 나사봉의 위치에 맞추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콘크리트 바닥면에 정확하게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베이스판을 어렵게 설치하더라도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나사봉에 나합된 조절너트를 거의 동시 다발적으로 회전시켜야만 하는 것이었다.
즉 어느 하나의 조절너트를 회전시킬 경우 다른 조절너트는 나사봉에 나합된 상태이므로 마루널지지부재의 높낮이가 원활하게 조절될 수 없어 시공상의 어려움이 따르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또한 마루널지지부재의 하단에 나사봉이 일체로 설치됨에 따라 부피가 커서 이동 및 운반시 물류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취급, 보관상의 어려움도 따르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선등록 고안에 연속되는 개량발명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의 가이드홀더에 개별적인 높낮이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마루널지지부재를 안정되게 받쳐주는 별도의 받침홀더를 삽입 설치하므로써 각각의 받침홀더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맞추어 놓은 후 상기 받침홀더에 마루널지지부재를 안착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마루바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루널고정목이 내삽 고정되고 상단에 마루널이 교차되게 설치되는 마루널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루널지지부재의 저부를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받쳐주며 저면에 높낮이조절을 위한 나사봉이 설치된 다수개의 받침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고 선택적인 회전에 따라 받침홀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구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나사봉에 결합되고 높낮이조절구를 하방으로 조여주어 풀림을 방지하는 잠금편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봉 및 높낮이조절구가 내,외부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가이드홀더가 입설되고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받침홀더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완충부재를 매개로 마루널지지부재가 받침홀더에 받쳐지므로써 충격을 완화하는 기술을 강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더 상단에는 하판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하판의 상부에는 완충고무를 매개로 높낮이조절구가 일체로 부착된 상판이 적층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구에 받침홀더의 나사봉이 나사결합되는 별도의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또 다른 기술을 강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 마루바닥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콘크리트 바닥면(1)에 다수의 베이스판(50)을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판(50)의 가이드홀더(51)에 개별적인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받침홀더(20)를 결합하며 각각의 받침홀더(20)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맞춰 놓은 후 상기 받침홀더(20)에 마루널고정목(11)이 삽입설치된 마루널지지부재(10)를 안착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마루바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공하는 것을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구성 요소인 마루널지지부재(10)는 중앙에 마루널고정목(11)이 삽입 설치되는 목재홈(12)이 형성되고 이 목재홈(12)의 상부 양단에는 교차되게 설치되는 마루널(5)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받침플랜지(13)가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공(14)이 형성되므로써 못(2)을 이용하여 통공(14)을 관통하여 마루널고정목(11)을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마루널지지부재(10)의 저부를 받쳐주는 다수개의 받침홀더(20)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되어 마루널지지부재(10)의 저부를 안정되게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저면에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봉(21)이 부착되고 양측면에는 통공(24)이 형성되어 도 4와 같이 스크류(3)를 이용하여 통공(24)과 마루널지지부재(10)의 측면을 관통하여 마루널고정목(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받침홀더(20)를 개별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한 후 상기 받침홀더(20)에 마루널지지부재(10)를 안착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마루바닥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침홀더(20)가 별도의 단품형태로 마루널지지부재(10)와 분리되게 제공됨에 따라 부피가 줄어들어 이동 및 운반, 취급상에 편리함을 주게 된다.
상기 받침홀더(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구(30)는 나사봉(21)에 나사결합되고 저부에는 베이스판(50)의 가이드홀더(51) 상단에 끼워지도록 끼움홈(31)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한쌍의 조절레버(32)가 돌출되게 형성되므로써 상기 조절레버(32)를 회전시킴에 따라 받침홀더(20)의 나사봉(21)이 상,하로 이송하면서 받침홀더(2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홀더(20)의 상부에는 도 8과 같이 선택적으로 받침홀더(20)의 형상과 동일한 완충부재(25)가 설치되어 이 완충부재(25)를 매개로 마루널지지부재(10)가 받침홀더(20)에 받쳐지므로써 마루바닥시공 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낮이조절구(30)의 조작에 의해 받침홀더(20)의 높이가 설정되면 인위적인 작동에 의하지 않고서는 높낮이조절구(30)가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잠금편(40)은 얇은 판상의 형태로 나사봉(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나사봉(21)을 타고 상,하부로 이송하면서 선택적으로 높낮이조절구(30)의 상부면에 밀착된 채 높낮이조절구(30)를 하방으로 조여주여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편(40)은 회전이 용이하도록 스틱의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나사봉(21)과의 결합부위는 높낮이조절구(30)를 보다 강력하게 조여주도록 하부 내향으로 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레류셔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편(40)에 대응하는 높낮이조절구(30)의 상단에는 레류셔부(41)가 안착되는 레듀셔홈(33)이 형성된다.
한편 콘크리트 바닥면(1)에 고정 설치되고 받침홀더(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베이스판(50)은 상부면에 가이드홀더(51)가 입설된다. 이때 가이드홀더(51)의 내측에는 가이드홀더(51)에 끼워지는 나사봉(21)과의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됨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재의 소음방지관(52)이 가이드홀더(51)의 상단을 경유하여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내설된다.
본 발명은 체육관이나 무용실 등과 같이 운동선수 및 무용수의 움직임 동작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이 심각하게 발생되는 곳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가이드홀더(51)와 받침홀더(20) 사이에 별도의 완충수단(60)이 설치되는 또 다른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완충수단(60)은 가이드홀더(51)의 상단에 환형의 하판(61)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하판(61)의 상부에는 완충고무(62)를 매개로 상부면에 높낮이조절구(63)가 일체로 부착된 상판(64)이 적층되며 상기 높낮이조절구(63)에 받침홀더(20)의 나사봉(21)이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마루바닥의 시공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도 2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1)에 앵커(4)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베이스판(5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판(50)의 가이드홀더(51)에 받침홀더(20)의 나사봉(21)과 높낮이조절구(30)를 결합시킨 후 받침홀더(20)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높낮이조절구(30)를 회전시키면 받침홀더(20)가 높낮이조절구(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높낮이조절구(30)의 조작에 의해 받침홀더(20)의 적정 높이가 맞춰지면 잠금편(40)을 조여주어 높낮이조절구(30)가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마루널고정목(11)이 삽입 설치된 마루널지지부재(10)를 받침홀더(20)에 안착시킨 후 스크류(3)를 이용하여 받침홀더(20)와 마루널지지부재(10)를 관통하여 마루널고정목(11)에 결합시키면 마루널(5)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받침홀더(20)에 마루널지지부재(10)가 안착된 후에도 높낮이조절구(30)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상부로 돌출되거나 하부로 쳐진 부위의 높이를 수평상태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받침홀더(20)에 마루널지지부재(10)가 안착되면 도 6 내지 도 7과 같이마루널지지부재(10)의 상부면에 마루널(5)을 교차되게 배치한 후 못(2)을 박음질하여 마루널고정목(11)에 마루널(5)을 고정시키면 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가이드홀더에 개별적인 높낮이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마루널지지부재를 안정되게 받쳐주는 별도의 받침홀더를 삽입 설치하므로써 각각의 받침홀더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맞추어 놓은 후 상기 받침홀더에 마루널지지부재를 안착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마루바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작업성이 향상되며, 받침홀더가 별도의 단품 형태로 마루널지지부재와 분리되게 제공됨에 따라 부피가 줄어들어 이동 및 운반, 취급상에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상태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받침홀더에 마루널지지부재가 끼워지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받침홀더에 마루널지지부재가 끼워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가이드홀더 상단에 높낮이조절구와 잠금편이 끼워지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루널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루널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바닥면 10: 마루널지지부재 14, 24: 통공
20: 받침홀더 21: 나사봉 25: 완충부재
30,63: 높낮이조절구 40: 잠금편 50: 베이스판
51: 가이드홀더 52: 소음방지관 60: 완충수단

Claims (3)

  1. 중앙의 목재홈(12)에 마루널고정목(11)이 삽입 설치되고 목재홈(12) 상부 양단에 받침플랜지(13)가 형성된 마루널지지부재(10)와,
    상기 마루널지지부재(10)의 저부를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받쳐주고 저면에 높낮이조절을 위한 나사봉(21)이 부착된 다수개의 받침홀더(20)와,
    상기 나사봉(21)에 나사결합되고 저부에 가이드홀더(51)의 상단에 끼워지는 끼움홈(31)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형성된 조절레버(32)의 회전정도에 따라 받침홀더(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구(30)와,
    상기 나사봉(21)에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높낮이조절구(30)를 하방으로 조여주어 높낮이조절구(30)의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하는 잠금편(40)과,
    상기 나사봉(21)이 끼워지되 나사봉(21)과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는 소음방지관(52)이 내설된 가이드홀더(51)가 입설되고 콘크리트 바닥면(1)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마루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홀더(20)의 상부에는 받침홀더(20)의 형상과 같은 완충부재(25)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재(25)를 매개로 마루널지지부재(10)가 받침홀더(20)에 받쳐져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마루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홀더(51) 상단에는 하판(61)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하판(61)의 상부에는 완충고무(62)를 매개로 높낮이조절구(63)가 일체로 부착된 상판(64)이 적층되며 상기 높낮이조절구(63)에 받침홀더(20)의 나사봉(21)이 나사결합되는 별도의 완충수단(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2003-0041313A 2003-06-20 2003-06-20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049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313A KR100499910B1 (ko) 2003-06-20 2003-06-20 철재 마루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313A KR100499910B1 (ko) 2003-06-20 2003-06-20 철재 마루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387U Division KR200316250Y1 (ko) 2003-03-20 2003-03-20 철재 마루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920A KR20040082920A (ko) 2004-09-30
KR100499910B1 true KR100499910B1 (ko) 2005-07-14

Family

ID=3736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313A KR100499910B1 (ko) 2003-06-20 2003-06-20 철재 마루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94B1 (ko) 2007-03-31 2007-12-28 박길홍 체육관 마루의 완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225B1 (ko) * 2006-03-23 2007-02-12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에어스프링을 이용한 버팀목 받침대
KR100717138B1 (ko) * 2006-05-04 2007-05-1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방진 완충구조를 구비한 마루판 받침목
KR100717136B1 (ko) * 2006-05-08 2007-05-1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방진 완충구조를 구비한 마루판 받침목
KR100822393B1 (ko) * 2006-06-22 2008-04-15 이만익 시공성이 뛰어난 마루틀 시스템
KR100966321B1 (ko) * 2008-04-08 2010-06-28 주식회사 한백아이디 에이 에프 엠을 이용한 댐퍼 어셈블리
CN108518040A (zh) * 2018-05-08 2018-09-11 北京蜀韵东方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架空地面结构及其施工工艺以及一种餐饮前厅地面
CN110242004A (zh) * 2019-06-11 2019-09-17 北京建工一建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可调式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94B1 (ko) 2007-03-31 2007-12-28 박길홍 체육관 마루의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920A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841B1 (en) Hockey puck rebounder
KR100789394B1 (ko) 체육관 마루의 완충장치
KR100499910B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200446941Y1 (ko)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JPH06307064A (ja) 床パネル支持脚および二重床
US77805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allett and ballet bar fixture
JPH04247160A (ja) 二重床を敷設する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二重床用支柱
KR200316250Y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098363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루틀 고정장치
KR101644938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KR101437310B1 (ko) 마루 바닥재 받침장치
KR200308886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KR20120010115A (ko) 마루널 고정장치
KR20120052786A (ko) 높이 조절형 골프티
KR101430179B1 (ko) 마루 받침장치
KR100740707B1 (ko) 마루널 고정장치
CN215858845U (zh) 用于高架地板的支撑装置
JP4721913B2 (ja) 木造建築用アンカーパ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木造建築構造
CN205400095U (zh) 一种固定皮数杆的水平底座
KR200352197Y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0596208B1 (ko) 마루널 고정장치
JP6998653B2 (ja) 段床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段床構造の施工方法
KR200415619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CA2764163C (en) Hockey puck rebounder
JP2506316B2 (ja) 軸体の位置調整支持装置およびアンカ―ボルト,2重床,壁の据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