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938B1 -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938B1
KR101644938B1 KR1020160018961A KR20160018961A KR101644938B1 KR 101644938 B1 KR101644938 B1 KR 101644938B1 KR 1020160018961 A KR1020160018961 A KR 1020160018961A KR 20160018961 A KR20160018961 A KR 20160018961A KR 101644938 B1 KR101644938 B1 KR 101644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ing
hole
housing member
vibration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장희
Original Assignee
한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장희 filed Critical 한장희
Priority to KR102016001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82Screw jacks with a variable angle between panel and support
    • E04B1/98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는, 마루판의 하부 구조재인 장선목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양쪽에서 상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고, 바닥에는 높이조절볼트가 직하방으로 고정 결합되는 장선 받침대; 상기 높이조절볼트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너트와, 상기 높이조절너트와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부;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쪽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걸림단이 각각 형성된 상부 수용부재; 중앙에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을 기준으로 양쪽의 단부가 각각 상향으로 절곡된 상기 결합편들 사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하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들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걸림단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하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단을 상기 결합공에 안내하기 위한 경사 안내부가 각각 형성된 하부 수용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수용부재와 상부 수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선 받침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하고 상기 상부 수용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방진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로부터 하중이 전달될 때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변형 유도홈이 형성된 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가 상기 하부 수용부재와 상부 수용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걸림단이 상기 하부 수용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수용부재의 기울어짐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수용부재가 기울어질 때 상기 방진부재가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상부 수용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수용부재와 하부 수용부재 사이에 방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마루판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마루판의 상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상부 수용부재의 하부 양쪽에 형성된 걸림단이 이 걸림단보다 크게 형성된 하부 수용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부 수용부재가 결합공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기울어질 수 있게 되어 바닥의 수평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SUPPORTER DEVICE FOR FLOOR CAPABLE TILTING}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루판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마루판의 상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바닥의 수평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를 수용하여 고르지 못한 바닥에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로서 목재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목재는 콘크리트와 같은 바닥에 비해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뛰어나므로 성장기 어린이가 활동하는 교실이나 격렬한 신체활동이 불가피한 체육시설, 예를 들면, 교실이나 강당, 무용실, 체육관 등과 같은 곳에 흔히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루바닥의 경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시공과정으로 인해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오랜 공사기간으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목재의 특수한 성질에 의해 시공 후 뒤틀림, 갈라짐, 부패 등으로 인해 바닥재가 배부름, 꺼짐, 소음 등의 하자가 발생되어 사용자의 불만이 있었다.
또한 마루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예컨대, 경기 중 운동선수 및 무용수의 움직임 동작(뜀뛰기, 구름동작 등)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는 체육관이나 무용실 등의 마루바닥을 설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31625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마루바닥 시공을 위한 철재 마루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마루 고정목(1)이 삽입되는 마루 지지부재(2)와 그 하부를 받치며 나사봉(3a)이 형성된 받침홀더(3), 그리고 받침홀더(3)의 나사봉(3a)이 체결되는 가이드홀더(4a)가 구비되며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레버(4b) 및 잠금수단(4c)이 구비된 베이스부재(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받침홀더(3) 및 베이스부재(4)의 가이드홀더(4a)에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부재(5)가 구비된 형태 또는 가이드홀더(4a) 속에 소음방지관(4d)이 구비된 형태 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루를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바닥면이 평평하지 못하고 경사가 형성되면 마루를 지지하는 받침장치는 기울어져 설치될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받침장치 상부에 설치되는 마루 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17358호에 따른 마루 받침장치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재(150)에 결합된 완충부재(160)의 상면에 장선목(100)이 안착되고, 홀더부재(150)의 저면에 상단부가 결합된 상하높이조절볼트(120)의 하단부에는 구형의 결속부(121)가 형성되며, 결속부(121)는 바닥에 지지되는 고정 플레이트(110)에 소정된 각도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이 수평상태가 아니어도 구형의 결속부(121)가 고정 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높이조절볼트(120)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마루 받침장치는 상하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에 구형의 결속부를 형성하기 곤란하였고, 결속부와 고정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곤란하였으며, 결속부와 고정 플레이트의 덮개부재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에 회전(각도 조절)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316250호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173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마루판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마루판의 상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바닥의 수평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를 수용하여 고르지 못한 바닥에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루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다단계로 흡수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마루판의 하부 구조재인 장선목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양쪽에서 상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고, 바닥에는 높이조절볼트가 직하방으로 고정 결합되는 장선 받침대; 상기 높이조절볼트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너트와, 상기 높이조절너트와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부;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쪽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걸림단이 각각 형성된 상부 수용부재; 중앙에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을 기준으로 양쪽의 단부가 각각 상향으로 절곡된 상기 결합편들 사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하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들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걸림단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하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단을 상기 결합공에 안내하기 위한 경사 안내부가 각각 형성된 하부 수용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수용부재와 상부 수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선 받침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하고 상기 상부 수용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방진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로부터 하중이 전달될 때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변형 유도홈이 형성된 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가 상기 하부 수용부재와 상부 수용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걸림단이 상기 하부 수용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수용부재의 기울어짐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수용부재가 기울어질 때 상기 방진부재가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상부 수용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상부 수용부재 및 하부 수용부재에는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상부 수용부재 및 하부 수용부재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결합수단이 각각 마련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관통공 주변이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상부 관통공 주변에는 상기 높이조절너트가 수용되기 위한 너트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관통공 주변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방진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상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하부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하부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진부재가 상기 상부 수용부재 및 하부 수용부재 사이에 설치될 때, 상기 하부 결합홈에는 상기 하부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상부 결합홈에는 상기 상부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의 하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단을 상기 결합공에 안내하기 위한 경사 안내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유도홈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갖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되, 가장자리에서 상기 관통공 쪽으로 갈수록 얕은 깊이 또는 작은 크기로 각각 형성되고, 가장자리와 상기 관통공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수용부재와 하부 수용부재 사이에 방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마루판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마루판의 상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상부 수용부재의 하부 양쪽에 형성된 걸림단이 이 걸림단보다 크게 형성된 하부 수용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부 수용부재가 결합공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기울어질 수 있게 되어 바닥의 수평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루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보조 완충부재와 방진부재에 의해 다단계로 흡수되거나 완충됨으로써 충격와 진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2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마루 받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가 기울어진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결합편에 안내 경사부가 형성되어 걸림단을 안내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가 기울어진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30)는, 마루판의 저면에 마련된 장선목(20)을 받쳐 지지하고,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성됨은 물론, 각도가 조절되어 기울어진 바닥에도 시공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으로, 마루판의 하부 구조재인 장선목(2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42)가 양쪽에서 상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지지편(44)에 의해 형성되고, 바닥에는 높이조절볼트(46)가 직하방으로 고정 결합되는 장선 받침대(40)와, 높이조절볼트(46)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너트(52)와, 높이조절너트(52)와 결합되어 높이조절너트(5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플레이트(54)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부(50)와, 내측에 수용부(62)가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높이조절볼트(52)가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64)이 형성되며, 양쪽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걸림단(66)이 각각 형성된 상부 수용부재(60)와, 중앙에 높이조절볼트(52)의 하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관통공(72)이 중앙에 형성되고, 하부 관통공(72)을 기준으로 양쪽의 단부가 각각 상향으로 절곡된 결합편(74)들 사이에는 상부 수용부재(60)의 하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77)이 형성되며, 결합편(74)들의 하부 영역에는 걸림단(66)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결합공(78)이 각각 형성된 하부 수용부재(70)와, 높이조절볼트(52)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82)이 중앙에 형성되며, 하부 수용부재(70)와 상부 수용부재(60) 사이에 설치되어 높이조절볼트(52)가 관통공(82)을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장선 받침대(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하고, 상부 수용부재(60)를 지지하기 위한 방진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30)는, 방진부재(80)가 하부 수용부재(70)와 상부 수용부재(60)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수용부재(60)의 걸림단(66)이 결합공(78)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결합공(78)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부 수용부재(60)의 기울어짐이 이루어지고, 상부 수용부재(60)가 기울어질 때 방진부재(80)가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마루 받침장치(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장선 받침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판의 하부 구조재인 장선목(2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42)가 양쪽에서 상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지지편(44)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바닥에는 높이조절볼트(46)가 직하방으로 고정 결합된다. 이 높이조절볼트(46)는 상단부가 장선 받침대(40)의 바닥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높이조절볼트(46)의 상단부는 장선 받침대(4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조절 플레이트(54)가 높이조절볼트(46)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높이조절너트(52)는 조절 플레이트(54)와 분리된다. 즉, 조절 플레이트(54)는 높이조절볼트(46)나 높이조절너트(52)에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너트(52)에 고정 결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안착부(42)에는, 장선목(2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하기 위한 보조 완충부재(48)가 설치된다. 이 보조 완충부재(48)는 고무재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방진부재(80)와 더불어 장선목(2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높이 조절부(50)는, 높이조절볼트(46)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너트(52)와, 높이조절너트(52)와 결합되어 높이조절너트(5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플레이트(5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볼트(46)가 장선 받침대(4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 프레이트(54)를 회전시켜 높이조절너트(52)를 정회전 시키거나 역회전 시키는 작동으로 높이조절볼트(46)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므로 장선 받침대(4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고정 플레이트(54)가 높이조절볼트(46)에 결합되고, 높이조절너트(52)가 상부 수용부재(60)에 고정된 경우에, 고정 플레이트(54)를 조작하여 높이조절볼트(46)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선 받침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부 수용부재(60)는, 내부에 방진부재(80)를 수용하고 하부 수용부재(70)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방진부재(8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62)가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높이조절볼트(52)가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64)이 형성되며, 양쪽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걸림단(66)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수용부재(60)는 하부가 개구된 종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면에는 상부 관통공(64)이 형성되고, 양쪽의 하단부가 각각 바깥쪽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단(66)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수용부재(60)의 상부 관통공(64) 주변이 수용부(62)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부 관통공(64) 주변에는 높이조절너트(52)가 수용되기 위한 너트 안착홈(65)이 형성되고, 수용부(62)의 내측에는 상부 돌출부(67)가 형성된다. 이 상부 돌출부(67)는 방진부재(80)의 상부 결합홈(84)에 삽입되어 방진부재(80)와 상부 수용부재(60)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부 수용부재(60)의 외측면과 하부 수용부재(70)의 결합편(74) 내측면 사이 간격(T1)은, 걸림단(66)의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부 수용부재(60)의 외측면과 하부 수용부재(70)의 결합편(74) 내측면 사이 간격(T1)보다 걸림단(66)의 길이(L1)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부 수용부재(60)가 하부 수용부재(70)의 수용홈(77)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단(66)이 결합공(78)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부 수용부재(60)가 하부 수용부재(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쏠린 경우에도 걸림단(66)이 결합공(78)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수용부재(70)는, 마루 받침장치(30)의 하부를 이루고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수용부재(60)와 결합공(78)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방진부재(8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 수용부재(7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높이조절볼트(52)의 하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관통공(72)이 중앙에 형성되고, 하부 관통공(72)을 기준으로 양쪽의 단부가 각각 상향으로 절곡된 결합편(74)들 사이에는 상부 수용부재(60)의 하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77)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편(74)들의 하부 영역에는 상부 수용부재(60)가 수용홈(77)에 삽입되었을 때 양쪽의 걸림단(66)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결합공(78)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하부 수용부재(70)의 하부 관통공(72) 주변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하부 돌출부(79)가 형성되며, 결합편(74)에 형성되는 결합공(78)의 높이(H)는, 하부 수용부재(70)의 바닥을 기준으로, 걸림단 두께(T2)의 1 - 3배로 형성된다.
하부 돌출부(78)는 방진부재(80)의 하부 결합홈(86)에 삽입되어 하부 수용부재(70)의 방진부재(80)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공(78)의 높이(H)를 걸림단(66) 두께(T2)의 1 - 3배로 형성함으로써 상부 수용부재(70)가 결합공(78)의 높이(H) 범위 내에서 방진부재(80)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하부 수용부재(70)가 바닥의 고르지 못함으로 인하여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기울어진 방향(도 7을 기준으로 상부)의 걸림단(66)은 한쪽의 결합공(78) 내부의 중간부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반대 방향(도 7을 기준으로 하부)의 걸림단(66)은 반대쪽 결합공(78)의 내부 상면에 닿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결합공(78)의 높이(H)에 따라 상부 수용부재(60)의 기울어짐, 즉 상부 수용부재(60)와 하부 수용부재(70)의 기울어짐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공(78)의 높이(H)를 걸림단(66) 두께(T2)의 1 - 3배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1배 이하 또는 3배 이상으로 형성할 있으나, 1배 이하로 형성할 경우에는 기울어짐 각도가 너무 작고, 3배 이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유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 기울어짐이 발생하였을 때 걸림단(66)이 결합공(78)에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1 - 3배 바람직하게는 2배로 형성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편(74)의 내측면에는, 상부 수용부재(60)의 하부가 하부 수용부재(70)의 수용홈(77)에 삽입될 때, 걸림단(66)을 결합공(78)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 안내부(74A)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부 수용부재(60)를 수용홈(77)에 삽입할 때, 양쪽 걸림단(66)이 수용홈(77)의 내측 공간보다 크기 때문에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수용부재(60)를 하향으로 강제 이동시키게 되면, 걸림단(66)이 경사 안내부(74A)에 안내되면서 결합공(78)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공(78)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걸림단(66)들이 경사 안내부(74A)에 안내되어 하향으로 이동할 때, 각 결합편(74)이 외측으로 탄성을 발생시키면서 변형되므로 각 걸림단(66)이 원활하게 하향으로 이동하여 결합공(78)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이 완료되면 각 결합편(74)은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각 걸림단(66)의 이탈을 방지될 수 있다.
방진부재(8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용부재(60)와 하부 수용부재(70) 사이에 설치되어 장선 받침대(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하고,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높이조절볼트(52)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82)이 중앙에 형성되며, 하부 수용부재(70)와 상부 수용부재(60) 사이에 설치되어 높이조절볼트(52)가 관통공(82)을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장선 받침대(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하고,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방진부재(80)의 저면에는 상부 수용부재(60)로부터 수직하중이 전달되거나 바닥이 경사진(고르지 못한 경우) 경우에 발생되는 변형하중(어느 한쪽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이 전달될 때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변형 유도홈(81)이 형성된다. 특히 이 변형 유도홈(8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용부재(70)가 경사진 바닥에 안착되는 경우에, 방진부재(80)의 상부쪽(도 7을 기준으로 우측)이 상부쪽의 변형 유도홈(81)에 의해 쉽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수용부재(70)를 제외한 상부 수용부재(60) 및 장선 받침대(40)이 용이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하부 수용부재(70)가 기울어진 바닥에 안착되는 경우에 방진부재(80)가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방진부재(80)의 상부쪽이 각 변형유도홈(81)에 의해 쉽게 변형되면서 상부 숭용부재(60) 및 장선 받침대(40)가 기울어지지 않고 신속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 유도홈(81)은, 관통공(82)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갖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되, 방진부재(80)의 가장자리(외측면 또는 외주면)에서 관통공(82) 쪽으로 갈수록 얕은 깊이 또는 작은 크기로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변형 유도홈(81)들은 가장자리와 관통공(82)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것은 방진부재(80)에 기울어진 하중, 즉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하중이 치우진 부분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공 바닥의 기울어짐에 의한 상부 수용부재(60) 및 장선 받침대(40)의 수평상태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각각의 변형 유도홈(81)들을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치우친 하중이 가해질 때 이를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방진부재(80)의 저면에만 변형 유도홈(81)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면에도 전술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진부재(80)는, 고무재나 탄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원뿔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크기(높이)는 상부 수용부재(60)가 하부 수용부재(70)에 결합되었을 때 상부 수용부재(60)의 수용부 상면과 하부 수용부재(7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부 수용부재(60)를 항상 상향으로 탄력 지지하여 각 걸림단(66)이 각 결합공(78)의 상면에 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걸림단(66)과 결합공(78) 내측면 사이의 유격으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방진부재(80)의 상면에는, 상부 돌출부(67)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상부 결합홈(84)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부 돌출부(79)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하부 결합홈(8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방진부재(80)가 상,하부 수용부재(60,70) 사이에 결합될 때, 상부 돌출부(67)가 상부 결합홈(84)에 삽입되고, 하부 돌출부(79)가 하부 결합홈(86)에 결합됨으로써, 방진부재(80)와 상,하부 수용부재(60,70)가 안정적이고 유격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루 받침장치(3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부재(80)를 수용하도록 상부 수용부재(60)와 하부 수용부재(70)가 결합되고, 장선 받침대(40)의 높이조절볼트(46)가 높이조절너트(52)에 체결되어 방진부재(80)의 관통공(82)을 관통하며, 장선 받침대(40)의 안착부(42)에 장선목(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시공자는 높이 조절부(50)의 조절 플레이트(54)를 정회전 시키거나 역회전시켜 장선목(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너트 안착홈(65)에 안착된 높이조절너트(52)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선 받침대(40)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너트(52)가 상부 수용부재(60)의 너트 안착홈(65)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높이조절볼트(46)의 상단부가 장선 받침대(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절 플레이트(54)가 높이조절볼트(46)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 플레이트(54)를 회전 조작하면 높이조절볼트(46)가 높이조절너트(52)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므로 장선 받침대(4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장선목(20)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 등은, 장선 받침대(40)의 안착부(42)에 구비된 보조 완충부재(48)에 의해 1차 흡수되거나 완충되고, 상,하부 수용부재(60,70) 사이에 배치된 방진부재(80)에 의해 2차 흡수되거나 완충된다.
이때, 방진부재(80)가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원뿔형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장선목(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받침장치(30)가 시공되는 바닥이 고르지 못하여 경사진 경우에, 상,하부 수용부재(60,70)의 결합부위에서 각조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부 수용부재(60) 및 장선 받침대(4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하부 수용부재(70)는 바닥의 기울기와 같이 기울어진다.
즉, 바닥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에, 기울어진 바닥의 하부쪽(도 7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걸림단(66)은 해당 결합공(78)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부쪽(도 7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걸림단(66)은 해당 결합공(78)의 중간부나 하부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윗쪽에 위치한 걸림단(66)의 위치는 바닥의 기울기에 따라 중간에 위치하거나 하부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의 기울기에 따라 상부 수용부재(60)의 각 걸림단(66) 위치가 각 결합공(78) 내부에서 가변될 때, 상,하부 수용부재(60,70) 사이에 설치된 방진부재(80)가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부 수용부재(60)가 하부 수용부재(70)와 같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기울어진 바닥에 본 발명에 따른 마루 받침장치(30)를 시공하게 되면, 기울어진 바닥의 하부쪽에 위치한 걸림단(66)은 해당 결합공(78)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부쪽에 위치한 걸림단(66)은 해당 결합공(78)의 중간부나 하부 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방진부재(80)의 상부쪽에 부분이 압축 변형되면서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이다. 즉, 상부쪽에 위치한 방진부재(80)의 한 부분(도 7에 도시된 관통공(82)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이 각 변형 유도홈(81)에 의해 쉽게 압축되면서 변형되므로, 하부 수용부재(70)는 바닥과 같은 기울기로 기울어지지만 상부 수용부재(60)는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진부재(80)는 상부 수용부재(6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탄력 지지하고, 이로 인하여 하부쪽에 위치한 걸림단(66)은 해당 결합공(7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쪽에 위치한 걸림단(66)은 해당 결합공(78)의 하부나 바닥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수용부재(60)와 하부 수용부재(7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 지지하는 방진부재(80)가 원추형 구조 및 바닥에 형성된 변형 유도홈(81)들에 의해 상부로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의 부분이 용이하게 변형됨으로써 하부 수용부재(70)가 기울어진 바닥에 안착되더라도 방진부재(80)가 바닥의 기울기를 수용하여 상부 수용부재(60)의 수평상태를 신속하고 안정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마루 받침장치(30)의 각도 조절이 자동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이 고르지 못한 시공 현장에서도 마루판을 수평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선목(2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 등을 다단계로 흡수하거나 완충함으로써 마루 받침장치(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 : 장선목 30 : 마루 받침장치
40 : 장선 받침대 42 : 안착부
44 : 지지편 46 : 높이조절볼트
48 : 보조 완충부재 50 : 높이 조절부
52 : 높이조절너트 54 : 조절 플레이트
60 : 상부 수용부재 62 : 수용부
64 : 상부 관통공 65 : 너트 안착홈
66 : 걸림단 67 : 상부 돌출부
70 : 하부 수용부재 72 : 하부 관통공
74 : 결합편 74A : 경사 안내부
78 : 결합공 80 : 방진부재
81 : 변형 유도홈
82 : 관통공 84 : 상부 결합홈
86 : 하부 결합홈

Claims (3)

  1. 마루판의 하부 구조재인 장선목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42)가 양쪽에서 상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지지편(44)에 의해 형성되고, 바닥에는 높이조절볼트(46)가 직하방으로 고정 결합되는 장선 받침대(40);
    상기 높이조절볼트(46)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너트(52)와, 상기 높이조절너트(52)와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너트(5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플레이트(54)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부(50);
    내측에 수용부(62)가 형성되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46)가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64)이 형성되며, 양쪽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걸림단(66)이 각각 형성된 상부 수용부재(60);
    중앙에 상기 높이조절볼트(46)의 하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관통공(72)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72)을 기준으로 양쪽의 단부가 각각 상향으로 절곡된 상기 결합편(74)들 사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60)의 하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77)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74)들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걸림단(66)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결합공(7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74)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60)의 하부가 상기 수용홈(77)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단(66)을 상기 결합공(78)에 안내하기 위한 경사 안내부(74A)가 각각 형성된 하부 수용부재(70);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46)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82)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수용부재(70)와 상부 수용부재(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46)가 상기 관통공(82)을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선 받침대(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하고 상기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방진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재(60)로부터 하중이 전달될 때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변형 유도홈(81)이 형성된 방진부재(80)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80)가 상기 하부 수용부재(70)와 상부 수용부재(6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수용부재(60)의 걸림단(66)이 상기 하부 수용부재(70)의 결합공(78)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78)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수용부재(70)의 기울어짐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수용부재(70)가 기울어질 때 상기 방진부재(80)가 상기 상부 수용부재(6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상부 수용부재(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80)와 상기 상부 수용부재(60) 및 하부 수용부재(70)에는 상기 방진부재(80)와 상기 상부 수용부재(60) 및 하부 수용부재(7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결합수단이 각각 마련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관통공(64) 주변이 상기 수용부(62)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상부 관통공(64) 주변에는 상기 높이조절너트(52)가 수용되기 위한 너트 안착홈(65)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62)의 내측에는 상부 돌출부(67)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관통공(72) 주변이 상향으로 돌출되어 하부 돌출부(79)가 형성되며,
    상기 방진부재(8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돌출부(67)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상부 결합홈(84)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하부 돌출부(79)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하부 결합홈(86)이 형성되어,
    상기 방진부재(80)가 상기 상부 수용부재(60) 및 하부 수용부재(70) 사이에 설치될 때, 상기 하부 결합홈(86)에는 상기 하부 돌출부(79)가 삽입되고, 상기 상부 결합홈(84)에는 상기 상부 돌출부(67)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홈(81)은,
    상기 관통공(82)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갖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되, 가장자리에서 상기 관통공(82) 쪽으로 갈수록 얕은 깊이 또는 작은 크기로 각각 형성되고, 가장자리와 상기 관통공(82)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KR1020160018961A 2016-02-18 2016-0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KR101644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961A KR101644938B1 (ko) 2016-02-18 2016-0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961A KR101644938B1 (ko) 2016-02-18 2016-0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938B1 true KR101644938B1 (ko) 2016-08-02

Family

ID=5670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961A KR101644938B1 (ko) 2016-02-18 2016-0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9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54B1 (ko) 2017-05-22 2017-08-04 지씨테크(주)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KR102455900B1 (ko) * 2021-09-23 2022-10-17 강준기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KR102482813B1 (ko) * 2021-09-23 2022-12-28 강준기 가구 높이 조절장치
KR102647771B1 (ko) * 2023-12-21 2024-03-15 (주)하이탑 관절 충격흡수형 마감 데크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50Y1 (ko) 2003-03-20 2003-06-18 이만익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20090107280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한백아이디 에이 에프 엠을 이용한 댐퍼 어셈블리
KR101100291B1 (ko) * 2011-08-11 2011-12-28 대성산업 주식회사 마루 받침장치
KR101217358B1 (ko) 2012-07-25 2012-12-31 한장희 마루 받침장치
KR20150017281A (ko) * 2013-08-06 2015-02-16 (주) 디케이금속 맨홀프레임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50Y1 (ko) 2003-03-20 2003-06-18 이만익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20090107280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한백아이디 에이 에프 엠을 이용한 댐퍼 어셈블리
KR101100291B1 (ko) * 2011-08-11 2011-12-28 대성산업 주식회사 마루 받침장치
KR101217358B1 (ko) 2012-07-25 2012-12-31 한장희 마루 받침장치
KR20150017281A (ko) * 2013-08-06 2015-02-16 (주) 디케이금속 맨홀프레임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54B1 (ko) 2017-05-22 2017-08-04 지씨테크(주)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KR102455900B1 (ko) * 2021-09-23 2022-10-17 강준기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KR102482813B1 (ko) * 2021-09-23 2022-12-28 강준기 가구 높이 조절장치
KR102647771B1 (ko) * 2023-12-21 2024-03-15 (주)하이탑 관절 충격흡수형 마감 데크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938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KR101066687B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KR101805802B1 (ko) 마루틀 지지대
KR10098363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루틀 고정장치
KR101437310B1 (ko) 마루 바닥재 받침장치
KR102184096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CN114165014A (zh) 耐震型石材固定装置
KR100499910B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1881477B1 (ko) 마루 받침장치
JP2008196120A (ja) 床構造
KR101256329B1 (ko) 방진고무와 후레임에 의한 마루틀의 설치공법
KR101400768B1 (ko) 방진지지구조체
KR101876058B1 (ko) 조립식 마루판 고정장치
KR102275307B1 (ko) 층간소음 방지용 천장 구조
KR102226293B1 (ko) 마루틀 고정장치
KR200316250Y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1762369B1 (ko) 목재 장선을 이용한 마루 방진시스템
JP6329803B2 (ja) 床の防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防振床構造
KR102134909B1 (ko) 자석모듈을 이용한 완충매트
KR101107753B1 (ko) 진동방지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루를 위한 마루틀 및 그것이 구비된 마루
KR200352197Y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1762373B1 (ko) 금속장선을 이용한 마루 방진시스템
KR100596208B1 (ko) 마루널 고정장치
JPH09125657A (ja) 床材支持具
JP6998653B2 (ja) 段床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段床構造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