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254B1 -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 Google Patents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254B1
KR101764254B1 KR1020170062683A KR20170062683A KR101764254B1 KR 101764254 B1 KR101764254 B1 KR 101764254B1 KR 1020170062683 A KR1020170062683 A KR 1020170062683A KR 20170062683 A KR20170062683 A KR 20170062683A KR 101764254 B1 KR101764254 B1 KR 101764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late
bolt
center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련
Original Assignee
지씨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씨테크(주) filed Critical 지씨테크(주)
Priority to KR102017006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장치나 설비 또는 유닛으로 설치되는 원동기(모터)와 장비(펌프 등)를 설치할 때 원동기와 장비 및 서로 연결되는 중심축의 정확한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가 요구되므로 원동기와 장비의 하부에 각각 개재시켜, 높이 및 수평 편차에 의한 미세한 기울기까지 조정하여 정확한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 작업을 간편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Universal chock liner for leveling}
본 발명은 쵸크라이너(chock lin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장비 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설치되는 원동기(모터)와 장비(펌프 등)는 정확한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가 요구되므로 이들을 설치할 때 높이 편차에 의한 미세한 기울기까지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설치작업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일의 기계 장치나 설비 또는 유닛으로 연결되는 원동기(모터, 엔진 등)와 장비(펌프, 발전기 등)를 설치할 때 중심축의 정확한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를 맞춰준 상태에서 사용해야 고장방지와 수명연장은 물론 생산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정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설치할 때 수평도와 얼라인먼트가 중요하고, 특히 정밀도가 요구되는 기계 또는 장비일수록 수평도와 얼라인먼트가 매우 중요한데, 이들을 설치할 바닥면이 완전 평면을 이루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높이 편차를 조절하여 수평도와 얼라인먼트를 맞추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수평과 얼라인먼트를 맞추는 작업도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이와 같이 정확한 수평도와 얼라인먼트의 제공을 위해 높이 편차와 수평 편차의 조절이 요구되는 기계 장치나 설비는 정밀가공 공작기계, 반도체 제조장치, 정밀계측장비, 선박, 발전기와 엔진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계 장치나 설비를 설치할 때 수평과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기 위해 장치 또는 설비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잭볼트(jack bolt)와 같은 수평조절장치를 삽입하고, 각 수평조절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장치나 설비가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조절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수평조절장치는 나선이 형성된 높낮이 조절부를 구비하고, 장치나 설비의 하부에 수평조절장치의 높낮이 조절부에 대응하는 형태(암나사)의 대응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을 직접 체결한 다음, 높낮이 조절부를 회전시켜 수평조절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조절장치와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 제467669호 "수평조절장치", 특허등록 제1345340호 "상하 높이 및 수평 편차 조절 장치" 등 많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지금까지 출현했던 대부분의 기술은 상부(장비)와 하부(바닥면) 사이에 조절장치를 삽입 체결하고, 각각에 형성된 나선을 따라 회전시키거나, 조절볼트와 너트를 삽입하고 나선을 따라 볼트 또는 너트를 회전시키면서 수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서, 미세한 높낮이를 조절하기가 매우 힘들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정확한 기울기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장치나 설비 또는 유닛으로 설치되는 원동기(모터)와 장비(펌프 등)를 설치할 때 원동기와 장비 및 서로 연결되는 중심축의 정확한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가 요구되므로 원동기와 장비의 하부에 각각 개재시켜, 높이 및 수평 편차에 의한 미세한 기울기까지 조정하여 정확한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 작업을 간편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제1실시예)는,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쵸크라이너(chock liner);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오목블록; 상기 오목블록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면에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볼록블록; 상기 상부플레이트, 쵸크라이너, 하부플레이트, 오목블록 및 볼록블록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터드볼트(stud bolt) 및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쵸크라이너는,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조절볼트; 중심을 따라 상기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된 조절너트; 하면은 평평하고, 상면은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된 형상이고,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상기 조절너트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구형베어링;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목블록과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구형베어링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조절너트에 형성된 체결구멍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조절너트의 형상인데, 조절너트는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3실시예가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구형베어링이 조절볼트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는 점이며, 따라서 구형베어링의 볼록부와 접하게 되는 오목부는 조절볼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4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구형베어링의 볼록부가 위치하게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5실시예가 제4실시예와 다른 점은, 조절너트의 형상인데, 조절너트는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6실시예가 제5실시예와 다른 점은, 조절너트와 구형베어링의 형상인데, 조절너트는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된 구조이고, 구형 베어링은 상면은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하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쵸크라이너는, 스터드볼트(stud bolt)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쵸크라이너에서 조절볼트와 조절너트를 제외한 구성요소의 중심에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구멍을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했기 때문에 높이와 수평 편차에 의해 경사가 형성되더라도 구형베어링과 오목블록이 곡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하부플레이트가 일정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면서 기계장비나 설비가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는 언제나 정확한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일 장치나 설비 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설치되는 원동기(모터)와 장비(펌프 등)를 설치할 때, 원동기와 장비는 물론 연결되는 중심축의 정확한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가 요구되므로 높이 및 수평 편차에 의한 미세한 기울기까지 조정하여 정확한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 작업을 간편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1실시예가 수평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쵸크라이너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기울어진 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2실시예가 수평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3실시예가 수평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4실시예가 수평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기울어진 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5실시예가 수평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의 제6실시예가 수평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기울어진 상태에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쵸크라이너의 기술적 특징은, 스터드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구형베어링(spherical bearing)과 베이스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그 하부에 위치하는 오목블록의 중심에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구멍을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구형베어링과 오목블록이 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부플레이트의 기울기가 조정되면서 기계 장치나 설비가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는 언제나 정확한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를 유지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쵸크라이너(chock liner)는 정밀한 위치확보 및 얼라인먼트가 수반되어야 하는 중량(重量)의 기계 장비나 설비를 설치 또는 중심축을 연결할 때 정확한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선박용 엔진을 설치할 경우 먼저 엔진 설치장소에 엔진의 무게를 부담할 수 있는 하부 브라켓에 해당하는 판상(板狀)의 시트베드(seat bed)(하부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시트베드 상부에 엔진의 베이스인 베드플레이트(bed plate)(상부플레이트)를 올려 고정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시트베드와 베드플레이트가 체결되는 부위에 쵸크라이너를 삽입하여 베드플레이트가 정확한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를 유지하면서 시트베드에 체결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는 상부플레이트(P)와 하부플레이트(P')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조절해 주면서 상부플레이트(P) 상에 설치된 단일 또는 유닛으로 설치되는 장치나 설비가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상부플레이트(P)는 그 상부에 장치나 설비가 설치되게 되는 장치나 설비의 베드플레이트(bed plate)이고, 하부플레이트(P')는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시트플레이트(seat plate)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쵸크라이너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하부플레이트(P')의 하부에는 오목블록(15)과 볼록블록(16)이 위치하게 되며, 상부플레이트(P), 쵸크라이너(10), 하부플레이트(P'), 오목블록(15) 및 볼록블록(16)이 체결수단(17)에 의해 체결되어 설치된다. 체결수단(17)의 스터드볼트(stud bolt)(171)는 상부플레이트(P), 쵸크라이너(10), 하부플레이트(P'), 오목블록(15) 및 볼록블록(16)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스터드볼트(17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체결너트(172, 172')가 체결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P)와 체결너트(172) 사이 및 체결너트(172')와 볼록블록(16)의 하면 사이에 와셔를 삽입하고 체결한다는 것은 당연하므로 와셔(washer)에 대하여는 도면부호를 지정하지 않는다.
오목블록(15)은 하부플레이트(P)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15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볼록블록(16)은 오목블록(15)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면에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16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체결시에는 오목블록(15)의 오목부에 볼록블록(16)의 볼록부가 서로 접하게 되며, 오목블록(15)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면서 경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볼록부와 오목부를 위치를 바꿔서, 다시 말하면 볼록부를 오목블록이 위치하는 상부에 배치하고, 오목부를 볼록블록이 위치하는 하부에 형성해도 상관없다.
쵸크라이너(chock liner)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쵸크라이너(10)는, 조절볼트(11)와, 조절볼트(11)와 체결되는 조절너트(12)와, 조절너트(12)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조절너트(12)와 접하면서 일정 각도의 범위(약 4°이내) 내에서 회동하는 구형베어링(1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절볼트(11)는 스터드볼트(1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11)이 중심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볼트머리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중심방향을 향해 공구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머리의 하부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로드(rod) 형상 부재의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조절너트(12)는 중심을 따라 조절볼트(11)에 형성된 나선과 체결되는 체결구멍(1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일정 곡률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너트(12)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중심방향을 향해 공구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구멍(121)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절너트(12)의 외경은 조절볼트(11)의 볼트머리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볼트(11)와 조절너트(12)를 체결했을 때, 조절볼트(11)의 나선(螺旋)이 형성된 부분이 조절너트(12)에 형성된 체결구멍(121)에 체결되게 된다. 또한, 조절볼트(11)와 조절너트(12)를 체결하고 나서 조절볼트(11)와 조절너트(12)를 일체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절너트(12)의 외주면에는 무두(無頭)볼트(볼트머리가 없이 외주면에 나선만 형성된 볼트를 말하는데, '플러그볼트'(plug bolt)라고도 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무두볼트'라고 기재한다)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123)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구멍(123)은 조절너트(12)의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을 향해 체결구멍(121)까지 관통되도록 형성해야 한다.
구형베어링(spherical bearing)(13)은 경사를 조절하여 상부플레이트(P)가 항상 수평상태와 정확한 얼라인먼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시 조절너트(12)와 하부플레이트(P')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성인데, 하면은 평평하고, 상면은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171)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131)이 형성된 형상이고,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조절너트(12)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부플레이트(P)의 상면에 설치된 장치나 설비가 사용중 진동이나 편하중 등이 작용할 경우에 상부플레이트(P)가 항시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 곡률로 형성한 볼록부가 형성된 구형베어링(13)이 조절너트(12)의 오목부 내에서 약간 회동하면서 상부플레이트(P)를 받쳐줘야 하고, 또한, 오목블록(15)도 약간 회동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오목블록(15)과 하부플레이트(P') 및 조절너트(12) 각각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직경은 스터드볼트(17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었을 때 스터드볼트(171)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플레이트(P')가 약간 기울어지고 상부플레이트(P)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장치나 설비도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면 3 참조).
도 4를 참조하여 쵸크라이너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조절너트(22)의 형상이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은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도면부호는 2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붙였다.
조절볼트(21)는 스터드볼트(2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중심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볼트머리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중심방향을 향해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머리의 하부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로드(rod) 형상의 부재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직경이 제1실시예보다 훨씬 크게 구성되어 있다.
조절너트(22)는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볼트(21)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요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요부의 중앙부분이 상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어서 조절너트(22)의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2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조절볼트(21)와 조절너트(22)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에는 스터드볼트(271)가 체결되므로 관통구멍의 직경은 동일하다. 조절볼트(21)와 조절너트(22)를 체결했을 때, 조절볼트(21)의 나선(螺旋)이 형성된 부분은 조절너트(22)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체결되어 일정 깊이까지만 체결되게 된다.
제2실시예는 오목블록(25)과 하부플레이트(P') 및 구형베어링(23)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스터드볼트(27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진동이나 편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스터드볼트(271)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플레이트(P')가 약간 기울어져 상부플레이트(P)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장치나 설비도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쵸크라이너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가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구형베어링(33)이 조절볼트(3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는 점이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은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도면부호는 3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붙였다.
조절볼트(31)는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3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조절너트(32)는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조절볼트(31)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3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공구삽입홈과 무두볼트를 체결할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구형베어링(33)은 상면이 평평하고, 하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구형베어링(33)의 상면이 상부플레이트(P)의 하면에 접촉되어 설치되는데, 구형베어링(33)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조절볼트(31)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되고, 조절너트(32)의 하면이 하부플레이트(P')의 상면에 접하여 제결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쵸크라이너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베이스플레이트(44)를 더 구비하고, 구형베어링(33)의볼록면 위치가 바뀐다는 점이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은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실시예의 도면부호는 4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붙였다.
조절너트(42)는 중심을 따라 조절볼트(41)에 형성된 나선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조절너트(42)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중심방향을 향해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구멍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절너트(42)의 외경은 조절볼트(41)의 볼트머리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너트의 두께가 얇아도 되기 때문에 조절볼트(41)에 나선이 형성된 부분이 조절너트(42)의 체결구멍을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구형베어링(43)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직경이 조절너트(42)에 형성된 체결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베어링(43)은 상면이 평평하고, 하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조절너트(42)에 형성된 체결구멍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된 형상이고,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베이스플레이트(44)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베이스플레이트(44)는 체결시 구형베어링(43)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하부플레이트(P')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는 구성인데, 베이스플레이트(44)는 하부플레이트(P')의 상면에 얹혀지는 하면은 평평하고, 상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구형베어링(43)의 하부에 위치한 볼록부가 얹혀지게 되며,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4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형상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쵸크라이너의 제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실시예가 제4실시예와 다른 점은, 조절너트(52)의 형상이며,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은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5실시예의 도면부호는 5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붙였다.
조절볼트(51)는 스터드볼트(5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중심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볼트머리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중심방향을 향해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머리의 하부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로드(rod) 형상의 부재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직경이 제4실시예보다 훨씬 크게 구성되어 있다. 제5실시예의 조절볼트(51)는 제2실시예의 조절볼트(21)와 구성이 동일하다.
조절너트(52)는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볼트(51)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요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요부의 중앙부분이 상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어서 조절너트(52)의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5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조절볼트(51)와 조절너트(52)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에는 스터드볼트(571)가 체결되므로 관통구멍의 직경은 동일하다. 조절볼트(51)와 조절너트(52)를 체결했을 때, 조절볼트(51)의 나선(螺旋)이 형성된 부분은 조절너트(52)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체결되어 일정 깊이까지만 체결되게 된다. 제5실시예의 조절너트(52)는 제2실시예의 조절너트(51)와 구성이 동일하다.
제5실시예는 오목블록(55)과 하부플레이트(P'), 베이스 플레이트(54) 및 구형베어링(53)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스터드볼트(57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진동이나 편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스터드볼트(571)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플레이트(P')가 약간 기울어져서 상부플레이트(P)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장치나 설비도 수평상태와 얼라인먼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쵸크라이너의 제6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실시예가 제5실시예와 다른 점은, 조절너트(62)와 구형베어링(63)의 형상이며,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은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6실시예의 도면부호는 6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붙였다.
조절너트(62)는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볼트(61)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요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671)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하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정너트(62)의 두께(높이)는 두꺼워야 한다. 조절볼트(61)와 조절너트(62)의 중심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에는 스터드볼트(671)가 체결되므로 관통구멍의 직경은 동일하다. 또한, 조절볼트(61)와 조절너트(62)를 체결했을 때, 조절볼트(61)의 나선(螺旋)이 형성된 부분은 조절너트(62)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체결되어 일정 깊이까지만 체결되게 된다.
구형베어링(63)은 상면은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하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조절너트(62)에 형성된 관통구멍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된 형상이고, 조립시 구형베어링(63)의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는 조절너트(62)의 하면에 위치하게 되는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되고, 구형베어링(63)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는 베이스플레이트(64)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된다.
오목블록(65)과 하부플레이트(P'), 베이스플레이트(64) 및 구형베어링(63)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스터드볼트(67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진동이나 편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스터드볼트(671)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플레이트(P')가 약간 기울어져도 상부플레이트(P)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장치나 설비도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쵸크라이너를 설치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하부플레이트(시트베드)(P')를 설치하고 장치나 설비의 설치 높이를 확인한 후 상부플레이트(베드플레이트)(P)를 설치하고, 장치나 설비 및 모터(엔진) 상면에 놓은 수평계(80)를 보면서 잭볼트(jack bolt)(70)를 조절하여 수평 및 얼라인먼트를 맞춘다.
장치나 설비와 모터(엔진)의 센터링을 세팅하기 위해 잭볼트(70)와 다이얼게이지(81)를 이용하여 양측의 중심(센터링)을 맞춘 다음, 본 발명의 쵸크라이너(10)를 장치나 설비 및 모터(엔진)의 하부에 삽입하고, 쵸크라이너(10)를 조작하여 쵸크라이너(10)의 조절볼트(11) 상면과 구형베어링(13)의 하면이 상부블레이트(P)의 하면과 하부플레이트(P')의 상면에 각각 밀착시켜서 체결수단(17)을 체결하여 설치작업을 완료한 다음, 테이퍼핀(75)를 설치하고 잭볼트(70)를 제거한다. 잭볼트(70)와 쵸크라이너(10)는 상부블레이트(P)의 모서리 부근 4곳에 설치하지만, 좌우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테이퍼핀(75)은 대각선 방향으로 2곳만 설치해줘도 된다. 잭볼트(70)와 테이퍼핀(75)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단일 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설치된 장치나 설비 및 모터(엔진)의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가 완전히 맞춰진 상태에서 이들을 운전하게 되면, 수평상태에서 지속적인 진동과 편하중 등이 작용하게 되면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가 틀어지더라도 본 발명의 쵸크라이너(10)가 작동하여 상부플레이트(P)가 수평상태 및 얼라인먼트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50, 60 : 쵸크라이너(chock liner)
11, 21, 31, 41, 51, 61 : 조절볼트
12, 22, 32, 42, 52, 62 : 조절너트
13, 23, 33, 43, 53, 63 : 구형베어링(spherical bearing)
44, 54, 64 : 베이스 플레이트
15, 25, 35, 45, 55, 65 : 오목블록(concave block)
16, 26, 36, 46, 56, 66 : 볼록블록(convex block)
17, 27, 37, 47, 57, 67 : 체결수단
171, 271, 371, 471, 571, 671 : 스터드볼트(stud bolt)
172, 272, 372, 472, 572, 672 : 체결너트
70 : 잭볼트(jack bolt) 75 : 테이퍼핀(taper pin)
80 : 수평계 81 : 다이얼게이지
P : 상부플레이트 P' : 하부플레이트

Claims (9)

  1.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쵸크라이너(chock liner);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오목블록;
    상기 오목블록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면에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볼록블록;
    상기 상부플레이트, 쵸크라이너, 하부플레이트, 오목블록 및 볼록블록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터드볼트(stud bolt) 및 체결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쵸크라이너는,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조절볼트;
    중심을 따라 상기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된 조절너트;
    하면은 평평하고, 상면은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상기 조절너트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구형베어링(spherical bearing);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목블록과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직경은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2.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쵸크라이너;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오목블록;
    상기 오목블록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면에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볼록블록;
    상기 상부플레이트, 쵸크라이너, 하부플레이트, 오목블록 및 볼록블록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및 체결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쵸크라이너는,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조절볼트;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상기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된 조절너트;
    하면은 평평하고, 상면은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상기 조절너트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구형베어링;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목블록과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직경은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3.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쵸크라이너;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오목블록;
    상기 오목블록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면에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볼록블록;
    상기 상부플레이트, 쵸크라이너, 하부플레이트, 오목블록 및 볼록블록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및 체결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쵸크라이너는,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된 조절볼트;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상기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조절너트;
    상면은 평평하고, 하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직경이 상기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큰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상기 조절볼트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구형베어링;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목블록과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직경은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4.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쵸크라이너;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오목블록;
    상기 오목블록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면에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볼록블록;
    상기 상부플레이트, 쵸크라이너, 하부플레이트, 오목블록 및 볼록블록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및 체결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쵸크라이너는,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조절볼트;
    중심을 따라 상기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조절너트;
    상면은 평평하고, 하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조절너트에 형성된 체결구멍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된 형상이고, 상기 조절너트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구형베어링;
    하면은 평평하여 하부플레이트에 얹혀지게 되고, 상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형상이고,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구형베어링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목블록과 베이스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직경은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5.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쵸크라이너;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오목블록;
    상기 오목블록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면에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볼록블록;
    상기 상부플레이트, 쵸크라이너, 하부플레이트, 오목블록 및 볼록블록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및 체결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쵸크라이너는,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조절볼트;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상기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조절너트;
    상면은 평평하고, 하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된 형상이고, 상기 조절너트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구형베어링;
    하면은 평평하여 하부플레이트에 얹혀지게 되고, 상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형상이고,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구형베어링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목블록과 하부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및 구형베어링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직경은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6.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쵸크라이너;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에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오목블록;
    상기 오목블록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면에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된 볼록블록;
    상기 상부플레이트, 쵸크라이너, 하부플레이트, 오목블록 및 볼록블록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및 체결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쵸크라이너는,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조절볼트;
    상면으로부터 일정 두께까지 상기 조절볼트에 형성된 나선(螺旋)과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중심을 따라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된 조절너트;
    상면은 상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하면은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관통구멍이 형성된 구형베어링;
    하면은 평평하여 하부플레이트에 얹혀지게 되고, 상면에는 하향으로 일정 곡률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중심을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형베어링의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조절너트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되고, 상기 구형베어링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접하여 위치하게 되며,
    상기 오목블록과 하부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및 구형베어링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직경은 스터드볼트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의 볼트머리 외주면과 조절너트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너트의 외주면에는, 조절볼트와 조절너트를 체결한 후 조절너트에 무두(無頭)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구멍이 체결구멍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9. 제2항,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와 조절너트를 체결했을 때, 상기 조절볼트의 나선(螺旋)이 형성된 부분은 조절너트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체결되어 일정 깊이까지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KR1020170062683A 2017-05-22 2017-05-22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KR101764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83A KR101764254B1 (ko) 2017-05-22 2017-05-22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83A KR101764254B1 (ko) 2017-05-22 2017-05-22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254B1 true KR101764254B1 (ko) 2017-08-04

Family

ID=5965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683A KR101764254B1 (ko) 2017-05-22 2017-05-22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5036A (zh) * 2019-04-22 2019-06-28 沪东重机有限公司 无级平面调整装置、船用动力设备及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8Y1 (ko) 2005-08-03 2005-11-08 이종환 수평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JP2015004404A (ja) 2013-06-20 2015-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支持脚
KR101644938B1 (ko) 2016-02-18 2016-08-02 한장희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8Y1 (ko) 2005-08-03 2005-11-08 이종환 수평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JP2015004404A (ja) 2013-06-20 2015-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支持脚
KR101644938B1 (ko) 2016-02-18 2016-08-02 한장희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5036A (zh) * 2019-04-22 2019-06-28 沪东重机有限公司 无级平面调整装置、船用动力设备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395B2 (en)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machinery
KR101764254B1 (ko) 수평조절을 위한 유니버셜 쵸크라이너
CN1932443B (zh) 导航系统水平基准装置
CN103205936A (zh) 球铰的精确定位装置及方法
CN109323087A (zh) 一种用于设备安装的找正调平结构及其施工方法
CN101988826B (zh) 一种安装测量定心装置
CN211696424U (zh) 一种水平基准平台
CN105773130B (zh) 叶片叶根螺栓预埋工装
US3053119A (en) Engine boring stands
JP2024067790A (ja) 自動レベル調整装置および自動レベル調整方法
KR20080055216A (ko) 가공장비의 수평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 조절 방법
US6296222B1 (en) Machinery mount anchor base fixture
KR101780646B1 (ko) 기계장치의 진동흡수 및 수평조절을 위한 조정라이너
CN211147492U (zh) 一种形位公差检测装置
CN108151720A (zh) 一种斜面基础混合机托辊座的安装测量方法
US3779500A (en) Form support bracket
RU2711088C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рабочей поверхности
CN106430031A (zh) 提升机的立柱安装结构和提升机
CN221253680U (zh) 一种调平机构
CN218765326U (zh) 手动调平装置
JP2021067032A (ja) ゲージプレート
CN110374130A (zh) 一种重型液压机基础及其安装制作工艺
CN216926035U (zh) 角动轴向止推机构
CN110549280B (zh) 蝶阀定位工装及使用方法
CN217728688U (zh) 水平找正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