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900B1 -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900B1
KR102455900B1 KR1020210125851A KR20210125851A KR102455900B1 KR 102455900 B1 KR102455900 B1 KR 102455900B1 KR 1020210125851 A KR1020210125851 A KR 1020210125851A KR 20210125851 A KR20210125851 A KR 20210125851A KR 102455900 B1 KR102455900 B1 KR 102455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height adjustment
article
assembly cap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기
Original Assignee
강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기 filed Critical 강준기
Priority to KR102021012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물품의 저면에 고정되고, 내부 중심에는 스크류너트가 매립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공간부를 갖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내부 중심에 매립된 고정너트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스크류너트를 거쳐 물품의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공간부에 노출된 원뿔형 경사면부에 밀착되는 받침트레이를 갖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는 고정너트에 하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축을 갖고, 상기 지지축은 받침부재의 내부 중심을 가로질러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받침트레이를 통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가변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PROP ASSEMBLY WITH LEVELING ABLE AND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물품의 저면에 설치되어 높이조절과 함께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자동으로 가변되어 물품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 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 저면에 설치된 승강부재를 손으로 파지하지 못할 경우, 물품의 바닥면에 노출된 리드스크류를 강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별도의 조작없이 받침부재에 형성된 받침트레이를 통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자동으로 받침부재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이 편평하지 않은 장소에 물품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물품에는 물품을 바닥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고정식이나 나사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받침다리)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물품을 평판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면 자체를 평판하게 다
지는 공사를 하여야 하는 등,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닥면은 별도의 공사를 하지 않는 한, 그 평판도가 일정할 가능성이 적고, 이에 따라 높낮이의 편차가 발생됨은 물론 부분적으로 경사진 부위도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대를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나, 종래의 대다수 받침대들은 그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그 높낮이 조절이 숙련자가 아니면 하기 어려운 작업이어서 그 인건비 증대에 따른 시공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록 종래에 제공되는 지지대들이 그 높낮이 조절은 가능하더라도 경사진 바닥면에 대하여 물품을 평탄하게 받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54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물품의 저면에 설치되어 높이조절과 함께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자동으로 가변되어 물품의 수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 받침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물품 저면에 설치된 승강부재를 손으로 파지하지 못할 경우, 물품의 바닥면에 노출된 리드스크류를 강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별도의 조작없이 받침부재에 형성된 받침트레이를 통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자동으로 받침부재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물품의 저면에 고정되고, 내부 중심에는 스크류너트가 매립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공간부를 갖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내부 중심에 매립된 고정너트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스크류너트를 거쳐 물품의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공간부에 노출된 원뿔형 경사면부에 밀착되는 받침트레이를 갖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는 고정너트에 하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축을 갖고, 상기 지지축은 받침부재의 내부 중심을 가로질러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받침트레이를 통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가변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받침부재와 받침트레이는 넥부를 중심으로 상호 간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재와 받침트레이의 사이에는 넥부를 중심으로 받침부재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각도조절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받침트레이는 넥부를 중심으로 외각으로 갈수록 상기 받침부재와의 이격거리가 증대되도록 상향으로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받침트레이는 방사상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로 개재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이탈방지를 위해 결합되는 결합되는 C-와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지지축을 안내하는 관통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에 따르면, 물품 저면에 설치된 승강부재를 손으로 파지하지 못할 경우, 물품의 바닥면에 노출된 리드스크류를 강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조작없이 받침부재에 형성된 받침트레이를 통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자동으로 받침부재의 각도가 가변되어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 생산에 용이하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리드스크류가 결합된 승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발췌된 받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리드스크류가 결합된 승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발췌된 받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은 물품(200)의 저면에 설치되어 높이조절과 함께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자동으로 가변되어 물품의 수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 받침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발명은 물품 저면에 설치된 승강부재를 손으로 파지하지 못할 경우, 물품의 바닥면에 노출된 리드스크류를 강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별도의 조작없이 받침부재에 형성된 받침트레이를 통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자동으로 받침부재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물품(200)은 전자기기, 뜬바닥, 배전반, 테이블, 데크, 파티션, 가구, 이동서랍, 사물함, 사이드테이블, 케비넷, 책장 등과 같은 수평을 요하는 물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100)는 크게 4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지지부재(10)와, 승강부재(20)와, 리드스크류(30) 및 받침부재(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부면이 물품의 저면에 볼팅 고정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20)는 상부공간부(21)가 형성되는 구조로, 상기 상부공간부(21)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 외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류(30)는 상기 승강부재(20)의 내부 중심에 매립된 고정너트(23)에 상향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리드스크류(30)는 상기 지지부재(10)의 스크류너트(11)에 스크류 결합된 상태로 상기 물품(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210)에 결합되어 노출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류(30)의 일단은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강제 회전될 수 있도록 "-" 또는 "+"형태의 홈부(31)가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리드스크류(30)는 회전에 의해 스크류너트(11)를 중심으로 승강되고, 더불어 상기 승강부재(20) 역시 리드스크류(30)를 고정하는 고정너트(23)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30)와 함께 동반 승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20)는 외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20a)이 다수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한 후 상기 승강부재(20)를 강제로 회전시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20)는 자체 회전 또는 리드스크류(3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20)는 하부에 받침부재(40)를 설치하기 위한 하부공간부(22)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승강부재(20)는 고정너트(23)에 하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축(25)을 갖고, 상기 지지축(25)은 받침부재(40)의 내부 중심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41)을 가로질러 상기 받침부재(40)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관통구(41)의 내경은 상기 지지축(25)의 직경 보다 약 0.5mm 정도 확대된 공차가 있는 크기로, 이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40)는 지지축(25)을 중심으로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25)은 받침부재(40)의 탄력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각도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축(25)은 상기 받침부재(40)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로 개재되는 코일스프링(251)과, 상기 코일스프링(251)의 이탈방지를 위해 결합되는 결합되는 C-와샤(252) 또는 스냅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40)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받침 각도가 변경된 상태에서도 지지축(25)에 이탈됨이 없이 상기 승강부재(20)에 탄력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20)는 하부공간부(22)에 노출된 노출면으로 완만한 원뿔형태의 경사면부(221)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부(221)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받침부재(40)의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각도조절공간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상기 승강부재(20)는 항시적으로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40)는 상기 승강부재(20)의 원뿔형 경사면부(221)에 밀착되는 받침트레이(42)를 갖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40)는 상기 승강부재(20)를 떠받치는 받침트레이(42)를 통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받침부재(40)와 받침트레이(42)는 넥(neck)부(43)를 중심으로 상호 간 연결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40)와 받침트레이(42)의 사이에는 넥부(43)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각도조절공간부(44)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트레이(42)는 각도조절공간부(44)를 형성하기 위해 넥부(43)를 중심으로 외각으로 갈수록 상기 받침부재(40)와의 이격거리가 증대되게 상향으로 경사진 형태로써, 이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40)의 사이에 각도조절공간부(44)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40)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360°반경으로 각도조절공간부(44)를 통해 자유롭게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한편 상기 받침트레이(42)의 상부면은 상기 승강부재(20)의 원뿔형 경사면부(221)에 대응되게 오목한 형태로 성형된 것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4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트레이(42)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받침부재(40)의 각도가 가변될 경우, 경사진 방향으로 물품(200)의 하중이 국소적으로 가해지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하중에 의해 갈라지거나 터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상기 절개부(421)는 이러한 상기 받침트레이(42)가 갈라지거나 터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더불어 상기 승강부재(20)의 경사면부(221)에 대해 밀착도를 향상시키면서 국소적인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의 조작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승강부재(20)는 자체 회전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물품(20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승강부재(20)의 손으로 파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7과 같이, 물품(200)의 바닥면에 노출된 리드스크류(30)를 회전시켜 승강부재(20)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물품에 설치된 받침부재(40) 중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진 지점에 위치하는 받침부재(40)는 별도의 조작 없이, 넥부(43)를 중심으로 지면의 경사도에 맞게 각도조절공간부(44)을 향해 각도가 가변되어 물품(200)의 평편도를 자동으로 손쉽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지지부재
11: 스크류너트
20: 승강부재
20a: 요철 21: 상부공간부
22: 하부공간부 221: 경사면부
23: 고정너트 25: 지지축
251: 코일스프링 252: C-와샤
30: 리드스크류
31: 홈부
40: 받침부재
41: 관통구 42: 받침트레이
421: 절개부 43: 넥부
44: 각도조절공간부
100: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200: 물품 210: 통공

Claims (6)

  1. 물품(200)의 저면에 고정되고, 내부 중심에는 스크류너트(11)가 매립된 지지부재(10);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공간부(21)를 갖는 승강부재(20);
    상기 승강부재(20)의 내부 중심에 매립된 고정너트(23)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10)의 스크류너트(11)를 거쳐 물품의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리드스크류(30); 및
    상기 승강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공간부(22)로 노출된 원뿔형 경사면부(221)에 밀착되는 받침트레이(42)를 갖는 받침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20)는 고정너트(23)에 하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축(25)을 갖고,
    상기 지지축(25)은 받침부재(40)의 내부 중심을 가로질러 상기 받침부재(40)와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40)는 받침트레이(42)를 통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40)와 받침트레이(42)는 넥부(43)를 중심으로 상호 간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재(40)와 받침트레이(42)의 사이에는 넥부(43)를 중심으로 받침부재(40)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각도조절공간부(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트레이(42)는 넥부(43)를 중심으로 외각으로 갈수록 상기 받침부재(40)와의 이격거리가 증대되도록 상향으로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트레이(42)는 방사상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4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5)은 상기 받침부재(40)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로 개재되는 코일스프링(251)과, 상기 코일스프링(251)의 이탈방지를 위해 결합되는 결합되는 C-와샤(2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40)은 지지축(25)을 안내하는 관통구(4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KR1020210125851A 2021-09-23 2021-09-23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KR102455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51A KR102455900B1 (ko) 2021-09-23 2021-09-23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51A KR102455900B1 (ko) 2021-09-23 2021-09-23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900B1 true KR102455900B1 (ko) 2022-10-17

Family

ID=8381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851A KR102455900B1 (ko) 2021-09-23 2021-09-23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9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567A (ko) * 2010-12-02 2012-06-12 윤강암 2단 높이 조절 받침대
KR101205434B1 (ko) 2010-10-25 2012-11-27 김용구 물품용 높이 조절 받침대
KR101644938B1 (ko) * 2016-02-18 2016-08-02 한장희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KR101704526B1 (ko) *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KR102247735B1 (ko) * 2020-12-11 2021-05-04 (주)퍼맥스 다리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34B1 (ko) 2010-10-25 2012-11-27 김용구 물품용 높이 조절 받침대
KR20120060567A (ko) * 2010-12-02 2012-06-12 윤강암 2단 높이 조절 받침대
KR101644938B1 (ko) * 2016-02-18 2016-08-02 한장희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KR101704526B1 (ko) *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KR102247735B1 (ko) * 2020-12-11 2021-05-04 (주)퍼맥스 다리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8359A (en) Furniture glide
US20210328414A1 (en) Poke-through electrical outlet assembly with leveling bezel
US8850753B2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aver surface over a subsurface
US8453391B2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aver over a subsurface
US2905414A (en) Christmas tree stand
US10196827B2 (en) Supporting system for above-ground flooring
US6886216B2 (en) Caster leg assembly with adjustment locking means
KR101434278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US9930963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with highly flexible use
KR102195469B1 (ko) 테이블 다리용 레벨러
KR102455900B1 (ko) 높이조절 및 수평유지가 가능한 받침 조립체
US5848497A (en) Cluster desk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US6631878B1 (en) Adjustable base support mount for HVAC equipment
KR102482813B1 (ko) 가구 높이 조절장치
US20100051885A1 (en) Lifting Method and Apparatus
EP2434071B1 (en) Height-adjustable floor support
KR20180136194A (ko) 가구 받침다리
JPH11153292A (ja) 高さ調整用足の高さ調整範囲を拡大する装置および同装置を有する高さ調整用足
KR101066110B1 (ko) 높이조절식 테이블
US5071097A (en)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CN216534509U (zh) 一种内置升降调平装置及可调置物柜
KR200375637Y1 (ko) 가구용 바닥 서포트
GB2111379A (en) Improvements in vertical storage units
EP4239143A1 (en) Head with reversible adapter for supporting raised floors
AU2013207651B2 (en) Improve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aver Surface Over a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