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197Y1 - 마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마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197Y1
KR200352197Y1 KR20-2004-0006684U KR20040006684U KR200352197Y1 KR 200352197 Y1 KR200352197 Y1 KR 200352197Y1 KR 20040006684 U KR20040006684 U KR 20040006684U KR 200352197 Y1 KR200352197 Y1 KR 200352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tepped
pedestal
coupling groov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정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진 filed Critical 정호진
Priority to KR20-2004-0006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1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5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이트 바닥의 상측에 일정한 높이로 사전에 설정되는 마루널의 고정 구조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공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금속재 마루 받침대 상측으로 횡설되는 마루널의 진동 및 충격등에 가일층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루널 외부에 직결나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한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콘크리이트 바닥(100) 상측으로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양측 단차부(120)가 볼트(130)로서 결합되는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중앙 양측으로 내부에 받침대 결합홈(150)이 형성되는 단턱(160)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 결합홈(150)의 내부에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마루 받침대(170)일단이 긴밀하게 삽입되어 고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금속재 마루받침대(170)의 상측으로 횡설되는 일측 마루널(200a)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단턱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결합홈(220) 하측에는 단차부(230)가 형성되는 한편, 이와 결합되는 타측 마루널(200b)의 단부에는 일단이 개구된 개구부(240)가 형성되고, 개구부(240) 하측에는 단턱(250)이 돌출 설치되어 일측 마루널(200a)의 단턱 결합홈(220)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단턱(250)의 후방에는 직결나사(260)가 체결되어 금속재 마루 받침대(170)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직결나사(260)가 체결된 단턱(250)에는 일측 마루널(200a)의 상단부가 덮혀져 결합토록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마루널 고정장치{A Combine Device of Floor}
본 고안은 학교 교실이나 체육관, 무용실 등의 바닥재로 사용하는 마루널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콘크리이트 바닥 상측으로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를 개재하여 중앙의 양측 단턱내에 받침대 결합홈이 형성되는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가 착설되고, 상기 받침대 결합홈의 내부에는 금속재로 구성된 사각형 마루 받침대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마루 받침대의 상측에는 마루널이 횡설되도록 함으로 인하여, 콘크리이트 바닥의 상측에 일정한 높이로 사전에 설정되는 마루널의 고정 구조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공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금속재 마루 받침대 상측으로 횡설되는 마루널의 진동 및 충격등에 가일층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루널 외부에 직결나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한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또는 체육관, 무용실 등의 바닥재로 사용하는 마루널에 있어서는 목재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목재 자채의 성질에 의해 마루널의 시공 후 마루 하부구조의 부패, 뒤틀림이나 갈라짐등과 같은 변형으로 인하여 상기 마루널의 손상이 가중되며, 오래 사용하지 못하고 재차 마루널 및 이를 고정하는 하부구조 역시 재차 시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체육관, 무용실 등의 바닥재로 사용하는 마루널에 있어서는 마루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이 구비되지 않게되어, 경기중 운동선수의 움직임 동작에 의한 소음, 충격이나 진동등에 의해 운동선수의 부상은 물론, 마루널 및 마루 하부구조가 쉽게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최근에는 상기와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다수의 베이스판을 설치한 후, 상기 베이스판의 가이드홀더에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받침홀더를 결합하고, 상기 받침홀더에 마루널 고정목이 삽입된 마루널 지지부재를 안착시킴으로써, 마루바닥을 신속하게 시공하는 마루널 시공 시스템이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16250호에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 양단에는 받침 플랜지(13)가 형성되는 마루널 지지부재(10)의 내부에 마루널 고정목(11)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마루널 지지부재(10)의 상측에는 마루(F)가 못(S)으로서 상기 마루널 고정목(11)과 체결토록 되며, 상기 마루널 지지부재(10)의 저부에는 이를 안정되게 받쳐주고 저면에 높낮이조절을 위한 나사봉(21)이 부착된 다수개의 받침홀더(20)가설치되며, 상기 나사봉(21)에 나사 결합되고 저부에 가이드홀더(51)의 상단에 끼워지는 끼움홈(31)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형성된 조절레버(32)의 회전정도에 따라 받침홀더(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구(30)가 설치되고, 상기 나사봉(21)에 잠금편(40)이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높낮이 조절구(30)를 하방으로 조여주어 풀림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나사봉(21)이 끼워지는 가이드 홀더(51)가 콘크리트 바닥면(1)의 베이스판(50)상측으로 입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철재 마루널 시스템은, 콘크리트 바닥면(1)에 상측으로 가이드 홀더(51)가 입설된 베이스판(50)이 착설된 후, 상기 가이드 홀더(51) 상측에는 상,하판(64)(61)을 개재하여 내부에 완충고무(62)가 착설되고, 상기 가이드 홀더(51) 상측에는 높낮이 조절구(30)를 개재하여 나사봉(21)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높낮이 조절구(30)를 통해 나사봉(21)이 융착 결합된 받침홀더(20) 및 마루널 지지부재(10)가 승하강하여 마루(F)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고, 잠금편(40)에 의해 상기 나사봉(21)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마루널 지지부재(10)의 상측에 횡설되어 시공되는 마루(F)에 있어서는, 마루널 지지부재(10)의 내부에 마루널 고정목(11)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루널 고정목(11)과 마루(F)를 못(S)으로서 고정시키는 관계로, 운동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등이 마루(F)에 전해지게 될 경우, 심한 소음을 유발하게 되며, 이와 못으로서 고정되는 마루널 고정목(11)에도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마루널 고정목(11)의 파손(크랙)등이 발생하고, 상기 못(S)이 마루(F)에 돌출되어 자칫 운동선수가 부상을 입게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베이스판(50) 상측으로 입설되는 가이드 홀더(51) 상측에는 나사봉(21)과 체결되는 너트를 개재하여 잠금편(40)과 내부에 완충고무가 내설된 상,하판(64)(61)이 높낮이 조절구(30)가 용접에 의해 고정토록 됨으로써, 이의 설치가 극히 어렵게 됨은 물론, 상기 나사봉(21)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등에 의해 상기 용접부위가 쉽게 떨어지게 되어 수평유지 및 완충작용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철재 마루널 시스템의 시공시, 복잡한 구성에 의해서 제작 및 시공이 극히 어렵게 됨은 물론, 시공기간의 지연과 시공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특히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에서 마루(F)의 높이가 비교적 낮은 교실등과 갖은 마루에서는 상기 마루널 시스템을 적용시키지 못하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크리이트 바닥 상측으로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를 개재하여 중앙의 양측 단턱내에 받침대 결합홈이 형성되는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가 착설되고, 상기 받침대 결합홈의 내부에는 금속재로 구성된 사각형 마루 받침대 일단이 긴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마루 받침대의 상측에는 마루널이 횡설되도록 하여, 콘크리이트 바닥의 상측에 일정한 높이로 사전에 설정되는 비교적 높이가 낮은 마루널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공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물론, 상기 금속재 마루 받침대 상측으로 횡설되는 마루널의 진동 및 충격등에 가일층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루널 외부에 직결나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마루널의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마루널 고정장치의 정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인 마루널과 마루 받침대를 체결하는 직결나사의 결합상태 요부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마루널 고정부의 정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마루널 고정부의 정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마루널 고정부의 정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콘크리이트 바닥 110...패드부
120...단차부 130...볼트
140...베이스 플레이트 150...받침대 결합홈
160...단턱
170,170',170",170'"...마루 받침대
200,200a,200b...마루널 220...단턱 결합홈
230...단차부 240...개구부
250...단턱 260...직결나사
261...경사부 262...나사부
270...마루널 결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콘크리이트 바닥면에 볼트로서 착설되는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마루널이 착설되는 마루 받침대가 설치되는 마루널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 상측에는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를 개재하여, 중앙 양측 으로 내부에 받침대 결합홈이 형성되는 단턱이 돌출 설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단차부가 각각 형성되는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받침대 결합홈의 내부에는 일단이 긴밀하게 삽입되어 고정토록 금속재로 구성된 사각형 마루 받침대;
일측 마루널의 단부에는 단턱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결합홈 하측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이와 결합되는 타측 마루널의 단부에는 일단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하측에는 단턱이 돌출 설치되어 일측 마루널의 단턱 결합홈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단턱의 후방에는 직결나사가 체결되어 금속재 마루 받침대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직결나사가 체결된 단턱에는 타측 마루널의 상단부가 덮혀져 결합토록 설치되는 마루널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마루널 고정장치의 정단면 구조도 및 도 5는 본 고안인 마루널과 마루 받침대를 체결하는 직결나사의 결합상태 요부 구조도로서, 콘크리이트 바닥(100) 상측으로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양측 단차부(120)가 볼트(130)로서 결합되는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중앙 양측으로 내부에 받침대 결합홈(150)이 형성되는 단턱(160)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 결합홈(150)의 내부에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마루 받침대(170)일단이 긴밀하게 삽입되어 고정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루 받침대(170)는 그 하측이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는 형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재 마루받침대(170)의 상측으로 횡설되는 마루널(200)은, 일측 마루널(200a)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단턱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결합홈(220) 하측에는 단차부(230)가 형성되는 한편, 이와 결합되는 타측 마루널(200b)의 단부에는 일단이 개구된 개구부(240)가 형성되고, 개구부(240) 하측에는 단턱(250)이 돌출 설치되어 일측 마루널(200a)의 단턱 결합홈(220)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단턱(250)의 후방에는 직결나사(260)가 체결되어 금속재 마루 받침대(170)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직결나사(260)가 체결된 단턱(250)에는 일측 마루널(200a)의 상단부가 덮혀져 결합토록 마루널 결합부(270)가 설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마루널(200b)의 단턱(250)과 금속재 마루 받침대(17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직결나사(260)는, 하단부에 경사부(26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61) 상측으로 나사부(262)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크리이트 박닥(100)의 상측에 일정한 높이로 설정되는 마루널(200)을 시공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의 상측에는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착설하여 수평을 맞춘후, 그 상부에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140)를 착설하며, 상기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그 양측에 수평으로 연설된 양측 단차부(120)가 볼트(130)로서 콘크리이트 바닥(100)과 체결되는 동작에 의해 고정토록 된다.
이에따라, 상기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콘크리이트 바닥(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부(110)를 통해 수평이 유지되면서, 흔들림이나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일 없이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완충기능을 갖도록 고무재로 구성되어 그 중앙 양측으로 내부에 받침대 결합홈(150)이 형성되는 단턱(160)이 돌출 설치됨으로써, 상기 받침대 결합홈(150)의 내부에 금속재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마루 받침대(170)일단이 긴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받침대 결합홈(15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마루 받침대(17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마루 받침대(170)의 상측에는 마루널(200)이 횡설되어,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일정하게 설정된 높이로 마루널(200)을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금속재로 구성된 사각형 형상의 마루 받침대(170) 상측으로 횡설되는 마루널(200)은, 일측 마루널(200a)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단턱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결합홈(220) 하측에는 단차부(230)가 형성되는 관계로, 이와 결합되는 타측 마루널(200b)의 단부에 일단이 개구된 개구부(24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단턱(250)이 상기 일측 마루널(200a)의 단턱 결합홈(220) 내부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턱(250)의 후방에는 직결나사(260)가 체결되어 금속재 마루 받침대(170)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직결나사(260)가 체결된 단턱(250)에는 일측 마루널(200a)의 상단부가 덮혀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직결나사(260)의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이에따라 충격 및 진동등에 의해 상기 직결나사(260)의 풀림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마루널(200b)의 단턱(250)과 마루 받침대(17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직결나사(26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직결나사(260)의 하단부에 경사부(26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61) 상측으로 나사부(26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직결나사(260)를 통한 마루널(200b)과 마루 받침대(170)를 체결시, 상기 금속재 마루 받침대(170)를 직결나사(260)의 경사부(261) 하단부를 통하여 구멍을형성한 후, 재차 나사부(262)를 통하여 나사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른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마루널 고정부의 정단면 구조도로서,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과 사각형 형상의 금속재 마루 받침대(170')가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직접 볼트(130)로서 고정토록 마루 받침대(170') 상면에 볼트 삽통홀(171)이 형성된 후, 상기 마루 받침대(170') 상측에 마루널(200)이 직결나사(260)로서 고정되어 횡설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마루널 고정부의 정단면 구조도로서,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의 상측에 양측으로 단차부(120)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마루 받침대(170")가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볼트(130)로서 고정되고, 상기 사각형 형상의 마루 받침대(170") 상측에는 마루널(200)이 직결나사(260)로서 고정되어 횡설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마루널 고정부의 정단면 구조도로서,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에는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상부 양측으로 단차부(120)가 형성되어 마루널(200)이지지 고정되는 마루 받침대(170'")가 볼트(130)로서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마루널 고정장치에 의하면, 콘크리이트 바닥의 상측에 일정한 높이로 사전에 설정되는 마루널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공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금속재 마루 받침대 상측으로 횡설되는 마루널의 진동 및 충격등에 가일층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루널 외부에 직결나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이트 바닥에서 마루까지의 비교적 높이가 낮은 마루널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콘크리이트 바닥(100)에 볼트(130)로서 착설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상측으로 마루널(200)이 착설되는 마루 받침대가 설치되는 마루널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 상측에는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중앙 양측으로 내부에 받침대 결합홈(150)이 형성되는 단턱(160)이 돌출 설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단차부가 각각 형성되는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170);
    상기 받침대 결합홈(150)의 내부에는 일단이 긴밀하게 삽입되어 고정토록 금속재로 구성된 사각형 마루 받침대(170);
    일측 마루널(200a)의 단부에는 단턱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결합홈(220) 하측에는 단차부(230)가 형성되며, 이와 결합되는 타측 마루널(200b)의 단부에는 일단이 개구된 개구부(240)가 형성되고, 개구부(240) 하측에는 단턱(250)이 돌출 설치되어 일측 마루널(200a)의 단턱 결합홈(220)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단턱(250)의 후방에는 직결나사(260)가 체결되어 마루 받침대(170)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직결나사(260)가 체결된 단턱(250)에는 일측 마루널(200a)의 상단부가 덮혀져 결합토록 설치되는 마루널 결합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널(200b)의 단턱(250)과 금속재 마루 받침대(17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직결나사(260)는, 하단부에 경사부(26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61) 상측으로 나사부(2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의 상측에는 사각형 형상의 금속재 마루 받침대(170')가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직접 볼트(130)로서 고정토록 상기 마루 받침대(170') 상면에 볼트 삽통홀(171)이 형성되며, 상기 마루 받침대(170') 상측에 마루널(200)이 직결나사(260)로서 고정되어 횡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의 상측에는 양측으로 단차부(120)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마루 받침대(170")가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볼트(130)로서 고정되고, 상기 사각형 형상의 마루 받침대(170") 상측에는 마루널(200)이 직결나사(260)로서 고정되어 횡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이트 바닥(100)에는 수평 조절을 위한 패드부(110)를 개재하여, 상부 양측으로 단차부(120)가 형성되어 마루널(200)이 지지 고정되는 마루 받침대(170'")가 볼트(130)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KR20-2004-0006684U 2004-03-11 2004-03-11 마루널 고정장치 KR200352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684U KR200352197Y1 (ko) 2004-03-11 2004-03-11 마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684U KR200352197Y1 (ko) 2004-03-11 2004-03-11 마루널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350A Division KR100596208B1 (ko) 2004-03-11 2004-03-11 마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197Y1 true KR200352197Y1 (ko) 2004-06-04

Family

ID=4934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684U KR200352197Y1 (ko) 2004-03-11 2004-03-11 마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19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36B1 (ko) 2006-05-08 2007-05-1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방진 완충구조를 구비한 마루판 받침목
KR100717138B1 (ko) 2006-05-04 2007-05-1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방진 완충구조를 구비한 마루판 받침목
KR101742074B1 (ko) * 2016-08-19 2017-05-31 (주)다정하이테크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220105750A (ko) * 2021-01-21 2022-07-28 정춘식 데크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38B1 (ko) 2006-05-04 2007-05-1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방진 완충구조를 구비한 마루판 받침목
KR100717136B1 (ko) 2006-05-08 2007-05-1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방진 완충구조를 구비한 마루판 받침목
KR101742074B1 (ko) * 2016-08-19 2017-05-31 (주)다정하이테크 데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220105750A (ko) * 2021-01-21 2022-07-28 정춘식 데크 구조물
KR102472085B1 (ko) * 2021-01-21 2022-12-13 정춘식 데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291B1 (ko) 마루 받침장치
KR200352197Y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0596208B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0740707B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1644938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루 받침장치
KR200352196Y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1881477B1 (ko) 마루 받침장치
KR200352195Y1 (ko) 마루널 높이 조정 장치
KR200459321Y1 (ko) 목재바닥용 마루틀 고정장치
KR100499910B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1876058B1 (ko) 조립식 마루판 고정장치
JP3101929U (ja) 自動販売機の設置台
KR101400768B1 (ko) 방진지지구조체
KR200316250Y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200415619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KR20040011974A (ko) 드럼세탁기 설치대 및 드럼세탁기와 설치대 조립구조
JPH0133703Y2 (ko)
KR101081957B1 (ko) 마루틀 고정장치
KR200328276Y1 (ko) 당구대
KR102550227B1 (ko) 진열장용 면진받침시스템
JPS588825Y2 (ja) 床下地装置
JP3375303B2 (ja) 傾斜床面用防振架台
KR20180000247U (ko) 바닥구조물용 지주
JP2557271Y2 (ja) 二重床
JP2007107209A (ja) 床受け部材および二重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