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276Y1 - 당구대 - Google Patents

당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276Y1
KR200328276Y1 KR20-2003-0022010U KR20030022010U KR200328276Y1 KR 200328276 Y1 KR200328276 Y1 KR 200328276Y1 KR 20030022010 U KR20030022010 U KR 20030022010U KR 200328276 Y1 KR200328276 Y1 KR 200328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support frame
slab
billiard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우
Original Assignee
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우 filed Critical 정정우
Priority to KR20-2003-0022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2Billiard tables adapted to rest on ordinary 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두리틀이 금속제 지지프레임을 매개로 석판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대량생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와 형태를 테두리틀의 변형과 무관하게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당구공과 쿠션 간의 충돌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된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소정 장소에 설치되는 지지대(120)와, 이 지지대(120)의 상부에 수평 설치된 석판(130)과, 이 석판(130)의 외측 둘레부에 볼트(180)를 매개로 고정되어 석판(130)의 상면에 당구공이 구르는 게임공간(201)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완충공간(211)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지지프레임(210)과, 이 지지프레임(210)에 부착되어 외장부를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테두리틀(14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내측면에 부착된 쿠션(160)을 포함하는 당구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당구대 {A billiard table}
본 고안은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판 둘레에 설치되는 테두리틀이 금속제 지지프레임을 매개로 고정되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와 형태를 테두리틀의 변형과 무관하게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당구공과 쿠션 간의 충돌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된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당구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진 받침대(110)의 상부에 지지대(120)가 수평 설치되고, 이 지지대(120)의 상부에 3장의 석판(130)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석판(130)의 둘레부에는 상면이 석판(130)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테두리틀(140)이 설치된다. 상기 테두리틀(140)의 석판(130) 측을 향하는 면 상부에는 쿠션(160)이 부착되고, 상기 석판(130)의 상면과 쿠션(160)의 표면에는 커버용 천(171, 173)이 씌워진다. 상기 테두리틀(140)의 저부에는 측벽틀(150)이 결합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대(120)와 석판(130) 사이에 수평 조절을 위한 다수의 쐐기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당구대에서 실제로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와 형태는 상기 테두리틀(14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테두리틀(140)을 석판(1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볼트(180)를 이용하여 테두리틀(140)을 석판(130)에 결합하였는데, 상기 테두리틀(140)은 합판이나 원목 등의 목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테두리틀(14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규격에 따라 일일이 재단해야 할 뿐 아니라, 재단된 목재에 상기 볼트(180)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볼트결합공(141)을 뚫는 천공작업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테두리틀(140)의 제작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어 당구대의 대량생산에 있어 불리하였으며, 당구대의 설치에 있어서도, 무겁고 긴 테두리틀(140)을 직접 석판(130)의 고정 위치에 배치하여 양측의 볼트결합공(131, 141)을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 등 그 설치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당구대는 사용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습기, 햇볕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상기 테두리틀(140)이 뒤틀리거나 휘어지게 되면,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 및 형태도 변하게 되어 최초 설치시의 규격을 정확하게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타격된 공이 상기 쿠션(160)에 부딪힐 때, 그 충격이 상기 테두리틀(140)에 전달되어 상당히 큰 소음이 발생되므로, 특히 다수의 당구대가 설치된 장소의 경우에 그 소음은 심각한 수준이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테두리틀이 금속제 지지프레임을 매개로 석판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대량생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와 형태를 테두리틀의 변형과 무관하게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당구공과 쿠션 간의 충돌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된 당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당구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당구대의 요부인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15 : 받침대 120 : 지지대
130 : 석판 140 : 테두리틀
150 : 측벽틀 160 : 쿠션
180 : 볼트 182 : 너트
210 : 지지프레임 211 : 완충공간
212 : 내측지지부 213 : 고정구 안착부
214 : 외측지지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소정 장소에 설치되는 지지대(120)와, 이 지지대(120)의 상부에 수평 설치된 석판(130)과, 이 석판(130)의 외측 둘레부에 볼트(180)를 매개로 고정되어 석판(130)의 상면에 당구공이 구르는 게임공간(201)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완충공간(211)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지지프레임(210)과, 이 지지프레임(210)에 부착되어 외장부를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테두리틀(14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내측면에 부착된 쿠션(160)을 포함하는 당구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180)의 헤드부 또는 너트(182)가 삽입되는 고정구 안착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안착부(213)의 양측에는 삽입된 볼트(180)의 헤드부 또는 너트(18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2에 도시된 당구대의 요부인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당구대는, 역사다리꼴 형상 단면을 갖는 목제 받침대(110)와, 이 목제 받침대(110)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 철제 받침대(115)와, 이 철제 받침대(115)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수평 설치된 지지대(120)와, 이 지지대(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면이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된 3장의 석판(130)과, 이 석판(130)의 외각 둘레부를 따라 4각틀 형상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210)과, 이 지지프레임(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부착되어 타격된 공에 대한 완충 및 반사작용을 하는 쿠션(16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외장부를 형성하는 테두리틀(14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목제 받침대(110)의 저면이 지면에 직접 접촉되어 당구대 전체를 떠받히는 구조로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받침대(110)의 하부에 소정 길이의 다리가 복수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종래의 당구대와 동일하게, 상기 석판(130)의 상면과 쿠션(160)의 표면에는 접촉되는 당구공의 표면에 적절한 마찰을 가하기 위한 바닥커버천(171) 및 쿠션커버천(173)이 씌워지며, 상기 바닥커버천(171)의 단부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지지대(120)의 외측단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쿠션커버천(173)의 단부는 쿠션(160)과 지지프레임(210) 사이에 인입되어 고정된다.
본 고안의 주요 특징은 상기 지지프레임(210) 및 그 설치구조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볼트(180) 및 너트(182)를 매개로 석판(130)에 고정되어 석판(130)의 상면에 당구공이 구르는 소정 넓이의 게임공간(201)을 형성하는 것으로,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압출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대량 생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 저부가 석판(130)의 상면에 접촉되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프레임(210)은 하향 개구된 고정구 안착부(213)를 사이에 두고 외측지지부(214) 및 내측지지부(212)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 안착부(213)는 지지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너트(182)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양측에 걸림턱(215)이 형성되어 삽입된 너트(182)가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를 따라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측지지부(214)는 중공의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력에 대한 버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상기 테두리틀(140)이 부착된다. 상기 내측지지부(212)는 단면 형태가 대략 A자형으로 이루어져 그 측면부에 상기 쿠션(160)이 부착되는 쿠션장착부(212a)가 구비되고, 이 쿠션장착부(212a)에는 쿠션(160)의 위치 유지를 위한 돌기(212b)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공간(211)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틀(140)은 원목이나 합판 등의 목재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 포인트 및 외장용 무늬 등이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면에 접합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그 저면에 외장 및 고정용 측벽틀(150)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당구대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석판(130)의 설치까지는 종래와 동일하다. 이후, 수평 설치된 석판(130)의 상면 둘레부에 장방형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프레임(210)을 하나씩 설치한다. 이때, 적절한 개수의 너트(182)를 순차적으로 지지프레임(210)의 고정구 안착부(213) 내측으로 밀어넣으면서 석판(130)에 형성된 각 결합공(131)에 대응되도록 각 너트(182)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결합공(131)을 상향 관통하도록 볼트(180)를 삽입하여 상기 너트(182)에 결합함으로써, 지지프레임(210)을 석판(130)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볼트(180)의 헤드부를 고정구 안착부(213)에 삽입한 후에 볼트(180)를 석판(130)에 관통결합하고, 하측으로 돌출된 볼트(180)의 하단부에 너트(182)를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석판(130)의 결합공(131)에 볼트(180) 또는 너트(182)를 가결합한 상태에서 볼트(180)의 헤드부 또는 너트(182)가 고정구 안착부(213)에 삽입되도록 지지프레임(210)을 밀어 넣은 다음에 가결합된 볼트(180) 또는 너트(182)를 조여 완전히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지지프레임(21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내측면에는 쿠션(160)을 접합하고, 그 외측면에는 테두리틀(140)을 접합함으로써, 당구대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가벼운 지지프레임(210)을 석판(130)에 볼트(180) 및 너트(182)로 고정하고, 고정된 지지프레임(210)에 테두리틀(140)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당구대의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각 테두리틀(140) 마다 석판(130)에 형성된 결합공(131)의 간격에 맞추어 볼트결합공을 천공하는 과정이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테두리틀(140)의 제조공정이 단순한 커팅작업만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테두리틀(140)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당구대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당구대의 설치 시에도, 종래와 같이 무겁고 긴 테두리틀(140)을 이리저리 움직여 석판(130)과 테두리틀(140)의 볼트결합공을 서로 맞출 필요가 없게 되므로, 당구대의 설치가 간편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당구대는 사용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테두리틀(140)에 변형이 발생되어도,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외각틀을 이루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변형 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최초 설치시의 규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10) 내부에 형성된 완충공간(211)에 의해 당구공의 충돌 소음이 완화되므로, 둔탁하고 큰 충격음이 발생되었던 종래의 당구대에 비해 경쾌하고 작은 충돌음만이 발생되어 당구대가 설치된 업소, 가정, 경기장 등의 경기 환경을 개선하고 주변에 미치는 소음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이 석판(130)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180) 및 너트(182)에 의해 고정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석판(130)의 측방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180)에 의해 지지프레임(210)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지지프레임(21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공의 사각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지지부(214)와 대략 A자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내측지지부(212)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외측지지부(214)의 하부에 고정구 안착부(21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너트(182)가 사용되지 않아 볼트(180)의 회전에 의해서만 지지프레임(210)의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고정구 안착부(213)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의 절개구(216)가 형성되어 볼트(180)를 회전시키기 위한 렌찌 등의 공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이 석판(130)의 측방부를 통해 볼트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 그 실질적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완충공간(211) 및 고정구 안착부(213)가 형성된 금속제 지지프레임(210)을 매개로 석판(130)에 테두리틀(140)이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량생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201)의 크기와 형태를 테두리틀(140)의 변형과 무관하게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당구공과 쿠션(160) 간의 충돌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된 당구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소정 장소에 설치되는 지지대(120)와, 이 지지대(120)의 상부에 수평 설치된 석판(130)과, 이 석판(130)의 외측 둘레부에 볼트(180)를 매개로 고정되어 석판(130)의 상면에 당구공이 구르는 게임공간(201)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완충공간(211)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지지프레임(210)과, 이 지지프레임(210)에 부착되어 외장부를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테두리틀(14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내측면에 부착된 쿠션(160)을 포함하는 당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180)의 헤드부 또는 너트(182)가 삽입되는 고정구 안착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안착부(213)의 양측에는 삽입된 볼트(180)의 헤드부 또는 너트(18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KR20-2003-0022010U 2003-07-09 2003-07-09 당구대 KR200328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10U KR200328276Y1 (ko) 2003-07-09 2003-07-09 당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10U KR200328276Y1 (ko) 2003-07-09 2003-07-09 당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276Y1 true KR200328276Y1 (ko) 2003-09-26

Family

ID=4933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010U KR200328276Y1 (ko) 2003-07-09 2003-07-09 당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2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94B1 (ko) 2013-10-04 2014-03-03 이희중 당구대
KR20180000931U (ko) 2016-09-27 2018-04-04 김종현 당구대
KR200487906Y1 (ko) * 2018-03-16 2018-11-19 윤정희 당구대 상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94B1 (ko) 2013-10-04 2014-03-03 이희중 당구대
KR20180000931U (ko) 2016-09-27 2018-04-04 김종현 당구대
KR200487906Y1 (ko) * 2018-03-16 2018-11-19 윤정희 당구대 상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82644A1 (en) Pool table improvements
JP4709941B2 (ja) 建物躯体に外装板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ンカー金物
KR200328276Y1 (ko) 당구대
JP2002315465A (ja) 猫用の遊戯装置
KR101339717B1 (ko) 고정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테이블
KR101248430B1 (ko) 가구용 체결구
KR100505950B1 (ko)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KR200352195Y1 (ko) 마루널 높이 조정 장치
KR100596208B1 (ko) 마루널 고정장치
JP2577746Y2 (ja) 床支持体
KR100433037B1 (ko) 바닥용 깔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02180644A (ja) 床緩衝支持具
KR10050595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당구대
JP5965690B2 (ja) 支柱立設具
JP2006104891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支持脚
JP2557271Y2 (ja) 二重床
KR20120131326A (ko) 밴딩부가 일체로 형성된 완충고무의 받침판 지지 파이프의 제조방법
KR200340443Y1 (ko) 당구대의 수평 조절장치
JP2018053513A (ja) 低床二重床とその施工方法
JPH0643351Y2 (ja) 仮設手摺の支柱体
JP2554770Y2 (ja) 床づか
JPS5832509Y2 (ja) 柔道場等の床下地支持装置
JP2000073551A (ja) 低床用床支持構造
JP2599547Y2 (ja) 床板支持装置
JPH06108568A (ja) 間仕切り壁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