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950B1 -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 Google Patents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950B1
KR100505950B1 KR10-2003-0018305A KR20030018305A KR100505950B1 KR 100505950 B1 KR100505950 B1 KR 100505950B1 KR 20030018305 A KR20030018305 A KR 20030018305A KR 100505950 B1 KR100505950 B1 KR 10050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lab
billiard table
cushion
horizontal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734A (ko
Inventor
정봉학
Original Assignee
정봉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학 filed Critical 정봉학
Priority to KR10-2003-001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9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2Billiard tables adapted to rest on ordinary 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당구대의 제조시 문제시 되고 있는 수평조정이나 사각틀의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과정에서 하자가 발생치 않으며 그 제조과정이 단순하여 작업이 수월하며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수 있는 수평조절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구대의 제조시나 사용과정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수평조정상의 오차발생이나 나 부분적인 외부 충격에 따른 사각틀의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과정에서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으며, 또한 그 제조과정이 단순하여 작업하기에 수월하여 이로인해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수 있는 수평조절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인트가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틀(10)과, 상기 틀(10)의 내측으로 인접되어 설치되어 천을 고정할수 있는 천고정부재(20)와, 상기 틀(10)의 하측에 형성되며 좌측 하방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부(41)가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쿠션부재(30)가 고정결합되는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상기 쿠션부재 지지부재(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돌기부(61)가 상기 삽입홈부(41)에 삽입되어 쿠션부재 지지부재(40)를 지지시켜주며 내측에 형성된 석판(50)을 지지하여 주는 석판버팀부재(60)와, 상기 석판버팀부재(60)와 석판(50)을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제1체결부재(70)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포인트등(80)내에 설치되어 상기 사각형상의 틀(10)과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석판버팀부재(60)간을 관통시켜 일체로 고정 결합 가능케 하는 제2체결부재(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당구대의 제조공정은, 제1체결부재(70)를 사용하여 석판(50)과 석판버팀부재(60)를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석판버팀부재(60)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61)가 쿠션부재 지지부재(40)의 삽입홈부(41)에 삽설되도록 하게 되면 당구대의 조립공정이 거의 완성되어 지게 되고, 이후 수평조절(센터링작업)작업은 하게되는바 쿠션부재지지부재(40)를 돌기부(61)를 힌지점으로 하여 미세각으로 회전시켜 1회작업으 수평조절을 끝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A BILLIARD TABLE WITH EASY MAKING AND HORIZONTAL ADJUSTMENT}
본 발명은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당구대의 제조시 문제시 되고 있는 수평조정이나 사각틀의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과정에서 하자가 발생치 않으며 그 제조과정이 단순하여 작업이 수월하며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수 있는 수평조절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당구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6)의 상부에 석재로된 사각형의 바닥판재(1)가 수평 설치되고, 이 바닥판재(1)의 상면에는 직물지가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형의 바닥판재(1)의 사방 가장자리에는 테두리커버(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커버(3)는 바닥판재(1)의 상부와 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면서 내측 전둘레에는 고무재 등의 쿠션재(2)가 설치되었으며, 상기 테두리커버(3)의 수직부(3b) 외측에서 볼트부재(5)를 수평방향으로 체결시켜 볼트부재(5)가 테두리커버(3)의 수직부(3b)를 수평 관통하여 바닥판재(1)의 측면에 체결된다.
상기 테두리커버(3)의 수직부(3b)로 볼트부재(5)를 수평 체결시킨 뒤에는 테두리커버(3)의 측면에 노출되게 보이는 볼트부재(5)의 머리부가 미감을 해치므로 수직부(3b)의 외측면에 측면커버판(4)을 나사부재로 고정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당구를 칠 때에는 테두리커버(3)에 걸터앉거나 팔굼치를 대고 테두리커버(3)의 수평부(3a)를 누를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테두리커버(3)의 수평부(3a)에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바닥판재(1)의 측면에 테두리커버(3)가 수평방향으로 볼트부재(5)에 의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볼트부재(5)가 하중을 받아 휘어버리므로 바닥판재(1)의 측면과 테두리커버(3)의 연결부위가 벌어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당구공이 굴러서 쿠션재(2)에 부딪혀 힘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쿠션재는 당구공에 받은 만큼의 힘으로 당구공에 반작용을 하여 당구공을 입사각과 반대방향으로 굴러가게 하는데, 상기와 같이 바닥판재(1)의 측면과 테두리커버(3)의 연결부위가 벌어지게 되면 당구공이 쿠션재(2)에 부딪힐 때 쿠션재(2)가 소정폭으로 뒤로 밀리게되어 당구공에 제대로 반작용의 힘을 전달하지 못하여 당구공이 원활히 굴러가지 못하는 문제점과, 상기 쿠션재(2)가 뒤로 밀림으로 인해 당구공이 입사각과 반대방향으로 굴러가지 못하고 굴절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당구공이 쿠션재(2)에 부딪칠 때마다 바닥판재(1)의 측면과 테두리커버(3)가 부딪혀서 떨림음이 발생하여 불쾌감을 주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석재로 제작되며 두께가 비교적 얇은 바닥판재(1)의 측면에 볼트부재(5)를 체결시키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바닥판재(1)의 가장자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와, 바닥판재(1)의 수평방향으로 안전하게 구멍을 뚫어서 테두리커버(3)와 볼트부재(5)로 체결시킨 뒤에도 테두리커버(3)의 상측에 걸터앉거나 또는 기대어서 하중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할 경우에 상기 볼트부재(5)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계속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닥판재(1)가 쉽게 파손되는 폐단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당구대는 제조과정에서나 현장 조립시 다수개의 부품을 본드 결합이나 못등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제조공정이 번거럽고 복잡하며 수평조절(잡기)이 어려워 사용과정에서 외부충격이나 부분적인 하중을 받을 경우에는 사각틀이 비틀어 지거나 수평유지(센터링)를 할수 없어 당구대 사용상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당구대의 제조시나 사용과정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수평조정상의 오차발생이나 나 부분적인 외부 충격에 따른 사각틀의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과정에서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으며, 또한 그 제조과정이 단순하여 작업하기에 수월하여 이로인해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수 있는 수평조절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인트가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틀(10)과, 상기 틀(10)의 내측으로 인접되어 설치되어 천을 고정할수 있는 천고정부재(20)와, 상기 틀(10)의 하측에 형성되며 좌측 하방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부(41)가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쿠션부재(30)가 고정결합되는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상기 쿠션부재 지지부재(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돌기부(61)가 상기 삽입홈부(41)에 삽입되어 쿠션부재 지지부재(40)를 지지시켜주며 내측에 형성된 석판(50)을 지지하여 주는 석판버팀부재(60)와, 상기 석판버팀부재(60)와 석판(50)을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제1체결부재(70)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포인트등(80)내에 설치되어 상기 틀(10)과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석판버팀부재(60)간을 관통시켜 일체로 고정 결합 가능케 하는 제2체결부재(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당구대의 제조공정은, 제1체결부재(70)를 사용하여 석판(50)과 석판버팀부재(60)를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석판버팀부재(60)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61)가 쿠션부재 지지부재(40)의 삽입홈부(41)에 삽설되도록 하게 되면 당구대의 조립공정이 거의 완성되어 지게 되고, 이후 수평조절(센터링작업)작업은 하게되는바 쿠션부재지지부재(40)를 돌기부(61)를 힌지점으로 하여 미세각으로 회전시켜 1회작업으로 수평조절을 끝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구성이 향상된 당구대를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당구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일부분의 구성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조정 및 제작이 용이한 당구대에 있어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인트가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틀(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틀(10)의 내측으로 인접되어 설치되어 천을 고정할수 있는 천고정부재(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틀(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좌측 하방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부(41)가 형성되며, 우측면에는 쿠션부재(30)가 고정 결합되는 쿠션부재 지지부재(4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부재 지지부재(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돌기부(61)가 상기 삽입홈부(41)에 삽입되어 쿠션부재 지지부재(40)를 지지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내측에 형성된 석판(50)을 지지하여 주는 석판버팀부재(6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석판버팀부재(60)와 석판(50)을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제1체결부재(70)가 구비되어 있고, 포인트등(80)내에 설치되어 상기 사각형상의 틀(10)과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석판버팀부재(60)간을 관통시켜 일체로 고정 결합 가능케 하는 제2체결부재(9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당구대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석판버팀부재(60)와 석판(50)에 나사구멍을 천공한후 제1체결부재(70)를 사용하여 석판(50)과 석판버팀부재(60)를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이후 석판버팀부재(60)와 쿠션부재지지부재(40)가 접촉되는 부위에 본드등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고 석판버팀부재(60)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61)를 쿠션부재 지지부재(40)의 삽입홈부(41)에 위치시켜 접착케 한다.
쿠션부재(30)는 본드등을 이용하여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일체로 접착하게 되고,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사각형상의 틀(10)간에도 접착면에 본드등을 도포하여 가압하게 되면 당구대의개략적인 조립작업이 완성되어 진다.
또한, 당구대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포인트등(80)내에서 제2체결부재(90)를 이용하여 사각형상의 틀(10)과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석판버팀부재(60)간을 관통시켜 일체로 고정 결합 할수 있다.
한편, 당구대 제조과정에서나 설치공정에서 수평조절(센터링작업)작업을 반드시 하게 되는데, 제1체결부재(70)에 의해 석판버팀부재(60)와 석판(50)를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시켜준 다음 쿠션부재 지지부재(40)를 돌기부(61)를 힌지점으로 하여 미세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수평조절 작업을 1회 공정으로 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구대는 그 조립공정이 간편하고 이에 따른 부품수도 상대적으로 적어 제조원가를 낮출수 있으며 수평조절 작업시 한공정으로 끝낼수 있어 현장 작업성이 탁월하게 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당구대의 제조시나 사용과정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수평조정상의 오차발생이나 부분적인 외부 충격에 따른 사각틀의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과정에서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으며, 또한 그 제조과정이 단순하여 작업하기에 수월하여 이로인해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당구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서 일부분의 구성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조정 및 제작이 용이한 당구대에 있어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각형상의 틀 20: 천고정부재
30: 쿠션부재 40: 쿠션부재 지지부재
41: 삽입홈부 50: 석판
60: 석판버팀부재 70; 제1체결부재
80: 포인트등 90: 제2체결부재

Claims (2)

  1. 삭제
  2.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인트가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틀(10)과, 상기 틀(10)의 내측으로 인접되어 설치되어 천을 고정할수 있는 천고정부재(20)와, 상기 틀(10)의 하측에 형성되며 좌측 하방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부(41)가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쿠션부재(30)가 고정결합되는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상기 쿠션부재 지지부재(4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돌기부(61)가 상기 삽입홈부(41)에 삽입되어 쿠션부재 지지부재(40)를 지지시켜주며 내측에 형성된 석판(50)을 지지하여 주는 석판버팀부재(60)와, 상기 석판버팀부재(60)와 석판(50)을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제1체결부재(70)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포인트등(80)내에 설치되어 상기 틀(10)과 쿠션부재 지지부재(40)와 석판버팀부재(60)간을 관통시켜 일체로 고정 결합 가능케 하는 제2체결부재(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KR10-2003-0018305A 2003-03-24 2003-03-24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KR10050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305A KR100505950B1 (ko) 2003-03-24 2003-03-24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305A KR100505950B1 (ko) 2003-03-24 2003-03-24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734A KR20040083734A (ko) 2004-10-06
KR100505950B1 true KR100505950B1 (ko) 2005-08-04

Family

ID=3736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305A KR100505950B1 (ko) 2003-03-24 2003-03-24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97B1 (ko) 2009-08-11 2011-06-03 주식회사 강가산 당구대의 쿠션용 틀
KR200470607Y1 (ko) * 2011-09-06 2014-01-02 민상준 당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94B1 (ko) * 2013-10-04 2014-03-03 이희중 당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97B1 (ko) 2009-08-11 2011-06-03 주식회사 강가산 당구대의 쿠션용 틀
KR200470607Y1 (ko) * 2011-09-06 2014-01-02 민상준 당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734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558A (zh) 将板固定到建筑物上的装置与方法
KR100505950B1 (ko)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JP2003160993A (ja) ガラスによる壁面からの水平張り出し構造
JP5191293B2 (ja) 耐震支持具及び取付方法
KR10050595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당구대
KR200402211Y1 (ko) 스톱퍼 및 장식판의 조립식 합성수지재 문틀 구조
KR200328276Y1 (ko) 당구대
CN217379643U (zh) 一种玻璃钢复合木地板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JPH1046785A (ja) 化粧壁板の取付け構造
KR102347310B1 (ko)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AU2009238266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oors
CN217379102U (zh) 一种台盆安装结构及盥洗台
KR19980014359U (ko) 당구대
JP5191290B2 (ja) 耐震支持具及び取付方法
KR102517842B1 (ko) 내진기능을 갖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CN218597380U (zh) 一种墙板连接结构
TWI762427B (zh) 架高地板及其地板組件
JPH084167A (ja) 板ガラスの支持具
JP2949701B2 (ja) 石材の取付構造
KR200186408Y1 (ko) 당구대
JP4655989B2 (ja) 外壁構造
KR200304531Y1 (ko) 실내 의자
JP3955008B2 (ja) 屋外構築物の壁面構造
JP3845846B2 (ja) 木造軸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