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408Y1 - 당구대 - Google Patents

당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408Y1
KR200186408Y1 KR2019990026680U KR19990026680U KR200186408Y1 KR 200186408 Y1 KR200186408 Y1 KR 200186408Y1 KR 2019990026680 U KR2019990026680 U KR 2019990026680U KR 19990026680 U KR19990026680 U KR 19990026680U KR 200186408 Y1 KR200186408 Y1 KR 200186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xing
slab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현
Original Assignee
윤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현 filed Critical 윤동현
Priority to KR2019990026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2Billiard tables adapted to rest on ordinary 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개시된 당구대는 석판의 크기에 관계없이 틀을 규격화 할 수 있고, 틀에 쿠션을 일체로 제작하여 설치 현장에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며, 틀의 수평 부재에포인트를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인트가 고정되는 틀; 상기 틀의 내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쿠션; 상면에 마찰재로 천이 설치되는 석판; 및 수평부 및 수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는 길이 방향으로 장공형 고정구멍이 천공되어 고정나사로 석판에 고정되며 수평부는 폭 방향으로 장공형 고정 구멍이 천공되어 고정 나사로 상기 틀의 저면에 고정되는 앵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글의 수직부 및 수평부와 상기 석판 및 틀의 저면의 사이에는; 그 수직부 및 수평부에 형성된 장공형 고정구멍과 동일한 장공형 고정구멍이 천공된 고무판이 개재되며, 상기 틀의 저면에는; 복수의 고정 너트가 일렬로 고정된 너트 벨트가 고정되고, 그 너트 벨트의 고정 너트들 중에서 하나의 고정 너트를 사용하여 앵글의 수직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당구대{A billard table}
본 고안은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당구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당구대를 지지하는 발통이다.
상기 발통(10)의 수는 당구대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2개, 4개 또는 6개의 발통을 사용한다.
상기 발통(10)의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간(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이 구비되어 상기 발통(10)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부호 20은 상기 발통(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판(20)이다.
상기 석판(20)은 통상적으로 40∼45㎜의 두께를 가지는 3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석판(20)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약 15㎜의 두께를 가지는 고정부재(21)가 고정나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등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석판(20)은 상기 발통(10)의 상부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설치되고, 각각의 석판(20)들 상호간의 접촉면은 호마이카 등의 접착제로 접착된다.
또한 상기 석판(20)의 상면에는 당구공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재인 천(22)이 설치되고, 천(22)의 주연부는, 석판(20)의 측면을 감싼 후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부재(21)에 고정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어 팽팽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부호 30은 상기 석판(20)의 외주연부에 설치되는 틀이다.
상기 틀(30)은 수평 부재(31)와 수직 부재(32)를 구비하여 이들 수평 부재(31) 및 수직 부재(32)의 내면은 동일면을 이루면서 상호간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 부재(31)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인트(31a)가 고정되며, 수직 부재(32)의 내면은 상기 석판(20)의 주연부에 밀착되어 고정나사(25)로 고정된다.
상기 틀(30)의 수평 부재(31)의 내면에는 쿠션(40)이 고정된다.
상기 쿠션(40)은 수평 부재(31)의 내면에 쿠션 보조재(41)가 고정되고, 쿠션보조재(41)에는 쿠션재(42)가 부착되어 쿠션 보조재(41) 및 쿠션재(42)의 외측에 부직포 등의 천(43)이 부착된다.
상기 수평 부재(31)의 간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구대의 길이 방향으로 2,550㎜이고, 폭 방향으로는 1,330㎜이다.
그리고 상기 쿠션(40)의 폭은 55㎜이다.
그러므로 상기 쿠션(40)의 간격은 당구대의 길이 방향으로 2,440㎜이고, 폭방향으로는 1,220㎜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부재(31)에 고정되는 포인트(31a)는 305㎜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있다.
부호 50은 상기 틀(30)의 수직 부재(32)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관이 미려하게하는 장식판이고, 부호 60은 당구대의 모서리부를 덮는 모서리 덮개이다.
이러한 종래의 당구대를 조립 및 설치할 경우에 먼저 바닥면에 발통(10)을 설치하고, 발통(10)의 사이에는 연결간을 설치하여 발통(10)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다음에는 발통(10) 및 연결간의 상면에 3 분할체로 된 석판(20)을 수평으로설치한다.
이 때, 3 분할체의 석판(20)이 수평으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석판(20)의저면에 쐐기 등을 사용하여 석판(20)을 정확하게 수평으로 유지시킨다.
석판(20)이 수평으로 설치되면, 석판(20)이 상호간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다음에는 석판(20)의 상면에 천(22)을 설치하고, 천(22)의 주연부는 석판(20)의 주연부를 감싸고, 석판(20)의 저면 주연부에 고정된 고정부재(21)에 고정핀 등으로 고정하여 천(22)이 팽팽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틀(30)의 수평 부재(31)의 내면에는 쿠션 보조재(41) 및 쿠션재(42)를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 후 쿠션 보조재(41) 및 쿠션재(42)를 천(43)으로 감싸 쿠션(40)을 형성하고, 석판(20)의 외측에 상기 틀(30)의 수직 부재(32)가 밀착되게 설치하여 고정나사(25)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틀(30) 및 쿠션(40)의 고정이 완료되면, 틀(30)의 수직 부재(32)의 외측에 장식판(50)을 고정하고, 틀(30)의 수평 부재(31)의 모서리에 모서리 덮개(60)를 고정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당구대를 조립 및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3 분할체로 이루어지는석판(20)의 크기는 상이하다.
즉, 3 분할체로 이루어지는 석판(20)의 폭은 1,300∼1,360㎜이고, 석판(20)의 길이는 2,550∼2,610mm로서 석판(20)의 크기가 다양하다.
그러므로 상기 틀(30)은 석판(20)의 최대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제작하고 있다.
즉, 폭 1360㎜ 및 길이 2610㎜의 크기를 가지는 석판(20)을 기준으로 하여 틀(30)을 제작하고, 당구대를 조립 및 설치하는 현장에서 석판(20)의 크기에 따라틀(30)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조립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당구대의 조립 및 설치 현장에서 틀(30)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함에 따라 쿠션(40)을 틀(30)과 일체로 제작하지 못하고, 쿠션(40)의 쿠션 보조재(41) 및 쿠션재(42)를 별도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조립 및 설치 현장에서 틀(30)에 고정하여 쿠션(40)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당구대의 조립 및 설치 현장에서 틀(30)에 쿠션 보조재(41) 및 쿠션재(42)를 부착할 경우에 쿠션 보조재(41) 및 쿠션재(42)의 상면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약간의 굴곡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쿠션 보조재(41) 및 쿠션재(42)의 상면을 사포 등으로 매끄럽게 가공한 후 쿠션 보조재(41) 및 쿠션재(42)를 천(43)으로 감싸 쿠션(40)을 형성해야 되는 것으로 당구대를 조립 및 설치하는 데 많은 시간과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석판(20)의 크기에 따라 틀(30)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조립하였으므로 석판(20)의 크기에 따라 당구대의 규격이 상이하였고, 틀(30)의 수평 부재(3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있는 포인트(31a)간의 간격은 정확하게 유지되나, 수평부재(31)의 마지막 위치에 위치하는 포인트(31a)와 쿠션(40)의 내측 끝단까지의 거리가 305㎜보다 크거나 또는 작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석판의 크기에 관계없이 틀을 규격화 할 수 있도록하는 당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틀에 쿠션을 일체로 제작하여 설치 현장에서 간단히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당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틀의 수평 부재에 포인트를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당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구대에 따르면,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인트가 고정되는 틀; 상기 틀의 내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쿠션; 상면에 마찰재로 천이 설치되는 석판; 및 수평부 및 수직부를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는 길이 방향으로 장공형 고정구멍이 천공되어 고정나사로 석판에 고정되며 수평부는 폭 방향으로 장공형 고정 구멍이 천공되어 고정 나사로 상기 틀의 저면에 고정되는 앵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글의 수직부 및 수평부와 상기 석판 및 틀의 저면의 사이에는; 그 수직부 및 수평부에 형성된 장공형 고정구멍과 동일한 장공형 고정구멍이 천공된 고무판이 개재되며, 상기 틀의 저면에는; 복수의 고정 너트가 일렬로 고정된 너트 벨트가 고정되고, 그 너트 벨트의 고정 너트들 중에서 하나의 고정 너트를 사용하여 앵글의 수직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종래의 당구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당구대를 보인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당구대를 보인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당구대의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당구대를 보인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당구대를 보인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당구대에서 틀, 너트 벨트, 고무판 및 앵글을 발췌하여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틀 101 : 포인트
110 : 쿠션 111 : 쿠션 보조재
112 : 쿠션재 113, 141 : 천
120 : 너트 벨트 121, 142 : 고정부재
122 : 고정 너트 130 : 앵글
131 : 수평부 132 : 수직부
133, 134, 151, 161 : 장공형 고정구멍 135 : 고정나사
136 : 절곡부 140 : 석판
150, 160 고무판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당구대를 상세히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당구대를 보인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고,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틀, 너트 벨트, 고무판 및 앵글을 발췌하여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수평 부재로만 이루어지는 당구대의 틀로서 틀(100)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의 포인트(101)가 고정된다.
부호 110은 쿠션 보조재(111), 쿠션재(112) 및 천(1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틀(100)의 내면에 고정되는 쿠션으로서 쿠션(110) 및 틀(100)은 규격화되어 일체로고정 및 제조된다.
부호 120은 고정부재(121)에 복수의 너트(122) 예를 들면, 3개의 너트(122)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간에 밀착되어 일렬로 삽입 고정되는 너트 벨트이다.
상기 너트 벨트(120)는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틀(100)의저면에 폭 방향으로 고정 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등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부호 130은 수평부(131) 및 수직부(132)를 구비하고, 상기 틀(100)을 석판(140)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글이다.
상기 앵글(130)의 수평부(131)에는, 상기 너트 벨트(120)에 고정된 2개 이상의 너트(121)의 간격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장공형 고정 구멍(133)이, 상기 틀(100)에 고정된 너트 벨트(120)와 동일 간격을 가지면서 폭 방향으로 천공되고, 앵글(130)의 수직부(132)에는, 앵글(1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장공형 고정구멍(134)이 천공 즉, 상기 석판(140)을 고정나사(135)로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복수의 장공형 고정구멍(134)이 형성되며, 수직부(134)의 하부는 앵글(13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6)가 형성된다.
부호 150 및 160은 상기 틀(100)과 상기 앵글(130)의 수평부(131)의 사이 및상기 앵글(130)의 수직부(132)과 석판(140)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판이다.
상기 고무판(150)(160)에는 상기 수평부(131) 및 수직부(132)에 형성된 장공형 고정구멍(133) 및 장공형 고정구멍(134)과 동일한 크기 및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기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장공형 고정구멍(151, 161)이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의 도면 설명중 미설명 부호 141은 상기 석판(20)의 상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당구공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재인 천(22)이고, 부호 142는 상기 석판(20)의 저면 모서리부에 고정되어 상기 천(141)을 팽팽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1)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당구대를 먼저 생산 현장에서 틀(100)의 내면에, 쿠션 보조재(111), 쿠션재(112) 및 천(113)으로 이루어지는 쿠션(110)을 일체로 고정함과 아울러 틀(100)의 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너트(121)가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너트 벨트(120)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한다.
그리고 당구대를 설치 현장에서 조립 및 설치할 경우에 먼저 바닥면에 발통을 설치하고, 발통의 사이에 연결간을 설치하여 발통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다음에는 발통 및 연결간의 상면에 복수의 석판(140) 즉, 통상적으로 3 분할체로 이루어지는 석판(140)을 수평으로 설치한다.
이 때, 석판(140)이 수평으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석판(140)의 저면에 쐐기 등을 사용하여 석판(140)을 정확하게 수평으로 유지시킨다.
상기 석판(140)이 수평으로 설치되면, 석판(140)이 상호간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다음에는 석판(140)의 상면에 천(141)을 설치하고, 천(141)의 주연부는 석판(140)의 주연부를 감싸고, 석판(140)의 저면 주연부에 고정된 고정부재(142)에 고정핀 등으로 고정하여 천(141)이 팽팽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석판(140)의 측면에 고무판(160) 및 앵글(130)의 수직부(132)를위치시킨 후 고정 나사(135)를 앵글(130)의 수직부(132) 및 고무판(160)의 장공형고정구멍(134)(161)을 통해 상기 석판(140)에 체결하여 앵글(130) 및 고무판(160)을 고정시킨다.
이 때, 앵글(130)의 수직부(132) 및 고무판(160)에는 장공형 고정구멍(134, 161)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석판(140)에 형성된 체결 구멍에 약간의 오차가 있어도앵글(130) 및 고무판(16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판(160)은, 동일한 석판(140)도 약간의 크기 오차가 있으므로 이 크기 오차를 보상하여 앵글(1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석판(140)에 앵글(130) 및 고무판(160)이 고정되면, 앵글(130)의 수평부(131)의 상부에 고무판(150) 및 틀(100)을 위치시킨 후 앵글(130)의 수평부(131)의 하부에서 고정 나사(135)를 앵글(130)의 수평부(131) 및 고무판(150)을 통해 너트 벨트(120)의 복수의 너트(121)들 중에서 하나의 너트(121)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틀(100)의 고정이 완료되면, 틀(100)에 장식판(170)을 고정하고, 틀(100)이 상호간에 만나는 당구대의 모서리에 모서리 덮개(180)를 고정하여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별도의 너트 벨트(120)를 제조하여 틀(100)의 저면에고정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너트 벨트(120)를 사용하지 않고, 틀(100)의 저면에 복수의 고정 너트를 미리 매설 및 고정한 후 앵글(130)의 수평부(131)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고무판(150)(160)들 대신에 연질의 합성수지를사용하거나 또는 앵글(130)의 수평부(131) 및 수직부(132)를 틀(100) 및 석판(140)에 직접 고정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틀에 쿠션을 일체로 고정함은 물론 크기가 상이한 석판에 관계없이 규격화하여 생산하므로 당구대의 조립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틀에 포인트가 정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인트가 고정되는 틀;
    상기 틀의 내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쿠션;
    상면에 마찰재로 천이 설치되는 석판; 및
    수평부 및 수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는 길이 방향으로 장공형 고정구멍이 천공되어 고정나사로 석판에 고정되며 수평부는 폭 방향으로 장공형 고정 구멍이 천공되어 고정 나사로 상기 틀의 저면에 고정되는 앵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의 수직부 및 수평부와 상기 석판 및 틀의 저면의 사이에는;
    그 수직부 및 수평부에 형성된 장공형 고정구멍과 동일한 장공형 고정구멍이천공된 고무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의 저면에는;
    복수의 고정 너트가 일렬로 고정된 너트 벨트가 고정되고, 그 너트 벨트의 고정 너트들 중에서 하나의 고정 너트를 사용하여 앵글의 수직부를 고정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KR2019990026680U 1999-11-30 1999-11-30 당구대 KR200186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680U KR200186408Y1 (ko) 1999-11-30 1999-11-30 당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680U KR200186408Y1 (ko) 1999-11-30 1999-11-30 당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408Y1 true KR200186408Y1 (ko) 2000-06-15

Family

ID=1959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680U KR200186408Y1 (ko) 1999-11-30 1999-11-30 당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4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968B2 (en) Floor made from individual elements
US20030177728A1 (en) Combination floor pad having composite base boards
CA2199558A1 (en) Holder for vertical steel rebar
KR100614828B1 (ko)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 어깨 받침대용 브리지
KR200186408Y1 (ko) 당구대
US20040238101A1 (en) Stress-free mounting system for sheet material
KR200161705Y1 (ko) 당구대
KR102120382B1 (ko) 시공이 간편한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JPH05302425A (ja) 建築板材取り付け装置
KR200459919Y1 (ko) 천장 마감재의 보강용 지지체 연결구
JP3760861B2 (ja) 二重床の支持脚
JPH06330608A (ja) Oaフロアの床下地構造
JP2003003653A (ja) 二重床構造
JPS6332113Y2 (ko)
JPH0249303Y2 (ko)
KR20220025763A (ko)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KR200304531Y1 (ko) 실내 의자
JPS5927824Y2 (ja) 風呂場用敷材
JPS6011136Y2 (ja) 高反力用ゴム支承
JPH06220981A (ja) 畳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8880A (ko) 표면층을 가진 마루 요소
JP2000220694A (ja) 免震装置の滑り面養生シート
JPH08158600A (ja) ユニット式床材
JPH08151789A (ja) コンクリート型枠
JPH06307062A (ja) フロア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