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694B1 - 당구대 - Google Patents
당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9694B1 KR101369694B1 KR1020130118659A KR20130118659A KR101369694B1 KR 101369694 B1 KR101369694 B1 KR 101369694B1 KR 1020130118659 A KR1020130118659 A KR 1020130118659A KR 20130118659 A KR20130118659 A KR 20130118659A KR 101369694 B1 KR101369694 B1 KR 1013696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frame
- slab
- pin
- coupling
- billiard t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6—Cushions or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당구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당구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H빔을 통해 설치된 복수의 석판과, 상기 복수의 석판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4개의 상부틀을 구비한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에 형성된 각각의 슬릿홈에 삽입되고, 사각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암나사산이 형성된 2개의 지지편과,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단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체결가능한 수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에는 6각형의 스패너 조작부가 형성되며, 양끝단이 상기 슬릿홈에 삽입된 상기 2개의 지지편에 나사체결되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제 1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2개의 지지편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이 서로 잡아당겨져서 서로 밀착고정되고, 상기 결합핀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2개의 지지편이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는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는 남녀노소 누구나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실내스포츠로서, 포켓볼, 3쿠션, 4구, 나인볼등의 게임으로 구분되며, 그러한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게임종목별로 당구대를 구비하여야 한다.
종래의 당구대는 도 1과 같이, 받침대(20)의 상부에 복수의 석판(10)을 연결해서 설치되고, 이 석판(10)에 직물로 된 천을 깔고, 외각 테두리에 상부틀(40)이 설치되며, 석판(10)의 측면을 가리도록 측면커버(5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당구대는 상부틀(40)이 4부분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부틀(40)의 양단이 서로 결합되어, 모서리(c)를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당구대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각 상부틀(40)의 끝단과 근접한 위치의 저면에는 원형의 홈(42)이 형성되고, 이 홈(42)을 연결하는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43)에 사각형의 연결편(46)을 삽입한 후, 연결편(46)의 상부틀양단부 각각과 서로 인접한 상부틀(40)을 볼트(47a,47b)로 체결하여 각 상부틀(40)을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당구대는 도 3과 같이, 석판(10)에 상부틀(40)을 결합하기 하여, 석판(10)에 형성된 관통구에 볼트(61)를 통과시켜, 상부틀(40)과 나사체결함으로써, 석판(10)에 상부틀(40)을 결합고정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상부틀(40)끼리의 결합구조 및, 석판(10)과 상부틀(40)의 결합구조가 적용된 종래의 당구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결합구조가 부셔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으며, 아울러, 당구대 천갈이등을 위해, 주기적으로 각각의 상부틀(40)을 분리해 재결합하거나, 주기적으로 석판(10)과 상부틀(40)을 분리하고 재결합을 하게 되면, 볼트(47a,47b,61)가 상부틀(40)에 나사결합되고 풀림이 반복되어, 나사결합되는 부분에서의 상부틀(40) 손상을 초래하게 되고, 결국에는 볼트(47a,47b,61)가 상부틀(40)에 나사결합되지 못하여 당구대의 수명이 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당구대는 도 4a와 같이, 받침대(20)의 상면에 H빔(70)이 설치되고, 이 H빔(70) 상부에 복수의 석판(10)이 지지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종래의 당구대는 당구공의 정상적인 이동경로를 얻기 위하여, 복수의 석판(10)의 상면 높이가 모두 동일해야 하며, 만약, 임의의 하나의 석판(10) 상면 높이가 다를 경우, 당구대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석판(10)들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도 4a의 Q참조)의 높이가 다를 경우, 당구공이 예상경로와는 다르게 움직이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당구대는 H빔(70)에 높이조절볼트(73)가 나사체되도록 설치되어, 석판(10)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 높이조절볼트(73)를 조여줌으로써, 도 4b와 같이, H빔(70)으로부터 석판(10)이 소정간격(g)만큼 이격되게, 높이조절볼트(73)의 끝단이 석판(10)을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높이조절볼트(73)를 통해, H빔(70) 상에 설치된 복수의 석판(10)의 높이를 조절하여, 복수의 석판(10)의 상면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는 있었으나, 석판(10)의 측단이 소정곡률로 약간 휘어진 경우에는 이러한 높이조절볼트(73)를 사용하더라도 석판(10)을 평평하게 해주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을 뿐 아니라, 반복된 분리와 재결합에 의해서도 수명이 단축되지 않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당구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당구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H빔을 통해 설치된 복수의 석판과, 상기 복수의 석판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4개의 상부틀을 구비한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에 형성된 각각의 슬릿홈에 삽입되고, 사각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암나사산이 형성된 2개의 지지편과,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단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체결가능한 수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에는 6각형의 스패너조작부가 형성되며, 양끝단이 상기 슬릿홈에 삽입된 상기 2개의 지지편에 나사체결되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제 1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2개의 지지편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이 서로 잡아당겨져서 서로 밀착고정되고, 상기 결합핀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2개의 지지편이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은 끝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하면에 상기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이 서로 맞닿은 부분에는 공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에는 상기 슬릿홈과 상기 공구삽입홈을 연결하는 핀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의 양단은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의 핀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2개의 지지편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스패너조작부는 상기 공구삽입홈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석판과 상기 상부틀을 결합하기 위한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일측에 조작레버가 마련된 편심캠; 일단이 상기 편심캠과 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에는 수나나산이 형성된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에 삽입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와셔가 끼워지고 상기 석판에 형성된 관통구에 통과되어, 상기 고정핀의 끝단이 상기 상부틀의 저면에 나사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레버를 일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고정핀이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핀의 끝단에 고정된 상기 상부틀을 끌어당겨주어, 상기 상부틀이 상기 석판에 밀착되어 결합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석판과 상기 H빔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석판을 평평도가 향상되도록 조정하는 평평도 조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평도 조정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의 볼트몸통이 H빔에 형성되 볼트통과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몸통의 끝단 일부가 석판의 저면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몸통에 체결되되, 상기 H빔과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볼트머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석판이 상기 H빔 상면에 말착되어 평평하게 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부틀끼리의 결합 및, 상부틀과 석판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견고해질 뿐 아니라, 반복되는 분리와 재결합에 의해서도 상부틀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 자주 반복되는 천갈이에 의해서도 영구적으로 당구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석판이 휘어진상태에 있을 경우, 석판이 펴지도록 손쉽게 조정해줄 수 있어, 석판이 평평한 상태에서 당구게임을 함으로써, 양호한 당구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당구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당구대에서 각 상부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당구대 일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A-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당구대에서 석판과 상부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당구대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도 1의 당구대에서 받침대에 설치된 H빔상에 복수의 석판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확대부분에서 높이조절볼트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대에서 상부틀 끼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당구대의 일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은 도 5의 B-B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각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서리 결합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대에서 석판과 상부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당구대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a 및 도 8b의 석판/상부틀 결합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대에서, 평평도 조정부재가 H빔 과 석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평평도 조정부재가 H빔과 석판을 결합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평평도 조정부재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평평도 조정부재가 작동하여, 휘어진 석판이 평평하게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당구대에서 각 상부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당구대 일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A-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당구대에서 석판과 상부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당구대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도 1의 당구대에서 받침대에 설치된 H빔상에 복수의 석판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확대부분에서 높이조절볼트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대에서 상부틀 끼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당구대의 일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은 도 5의 B-B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각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서리 결합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대에서 석판과 상부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당구대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a 및 도 8b의 석판/상부틀 결합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대에서, 평평도 조정부재가 H빔 과 석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평평도 조정부재가 H빔과 석판을 결합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평평도 조정부재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평평도 조정부재가 작동하여, 휘어진 석판이 평평하게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2 에는 본 발명의 당구대에 대한 전체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 않고, 본 발명의 당구대가 가지는 특징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당구대 일부의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같은 종래의 당구대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당구대에서, 각 상부틀(40)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상부틀(40)은 끝단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근접위치에 하면으로부터 사각 형태의 슬릿홈(101)이 형성되고, 각 상부틀(40)이 서로 맞닿은 끝단에는 2부분(103a,103b)으로 이루어진 공구삽입홈(103)이 형성되며, 이 슬릿홈(101)과 공구삽입홈(103)을 연결하는 핀삽입공(10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각 상부틀(4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제 1 결합부재(110)를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결합부재(110)는 2개의 지지편(112)과 1개의 결합핀(114)이 한 세트로 구성된다.
2개의 지지편(112) 각각은 사각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내주면에 암나사산(112a)이 형성된다.
결합핀(114)은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핀(114)의 양 끝단에는 각각 상기 체결공(112a)에 체결가능한 수나사산(114a)이 형성되고, 결합핀(114)의 중앙에는 스패너 또는 스패너 사용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6각형으로 형성된 스패너조작부(11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결합부재(110)는 2개의 지지편(112)이 결합핀(114)의 양단에 결합되며, 결합핀(114)의 일방향 회전시, 2개의 지지편(112)이 서로 가까워지며, 결합핀(114)의 타방향 회전시, 2개의 지지편(112)이 서로 멀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즉, 결합핀(114)의 양 끝단에 형성된 수나사산(114a)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2개의 지지편(112)의 암나사산(112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당구대는 2개의 지지편(112) 각각이 서로 연결될 상부틀(40)의 슬릿홈(101)에 각각 삽입되고, 결합핀(114)의 양단이 핀삽입공(105)을 통과하여 슬릿홈(101)에 삽입된 2개의 지지편(112)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이때, 결합핀(114)의 중간에 형성된 스패너조작부(116)는 공구삽입홈(103)을 통해 노출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스패너 공구를 공구삽입홈(103)에 집어 넣어, 결합핀(114)의 스패너 조작부(116)를 체결되는 방향을 돌려줌으로써, 2개의 지지편(112)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서로 인접한 상부틀(40)을 잡아당겨 서로 단단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상부틀(4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고정된다.
한편, 사용자는 천갈이 등을 위해 각 상부틀(40)을 분리해야 할 경우, 스패너 공구를 이용해 손쉽게 스패너 조작부(116)를 역회전시켜 줌으로써, 2개의 지지편(112)이 서로 멀어지게 하여, 서로 인접한 상부틀(40)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고, 천갈이 후, 스패너 조작부(116)를 체결방향을 회전하여, 서로 인접한 상부틀(40)을 손쉽게 다시 재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볼트가 상부틀(40)과 나사체결되는 구성이 아니라, 결합핀(114)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지지편(112)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식에 따라, 인접한 두 상부틀(40)을 서로 단단히 밀착시켜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종래에 비해 견고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분리와 재조립에 의해서도 상부틀(40)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영구적으로 분리와 재결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당구대에서, 석판(10)과 상부틀(40)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석판(10)과 상부틀(4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제 2 결합부재(210)를 구비한다.
조작레버(212)가 마련된 편심캠(213)과, 일단은 상기 편심캠(213)과 힌지핀(2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끝단)은 수나나산(216)이 형성된 고정핀(215)과, 상기 고정핀(215)에 삽입되는 와셔(218)를 포함한다.
편심캠(213)은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고, 편심캠(213)의 후단은 조작레버(2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편심캠(213)과 고정핀(215)은 힌지핀(214)에 으로 연결되어 서로 회전가능하되, 힌지핀(214)이 원형의 편심캠(213)의 중심에 있지 않고 편심되게 형성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고정핀(215)은 와셔(218)가 끼워지고 석판(10)에 형성된 관통구(201)에 통과된 상태로, 고정핀(215)의 끝단이 상부틀(40)의 저면에 나사체결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레버(212)를 화살표 방향(p)으로 돌려주면, 도 8b와 같이, 편심캠(213)이 회전하여, 힌지핀(214)이 와셔(218)와 멀어짐지면서, 동시에, 고정핀(215)이 하단으로 이동하게되고, 이에 따라, 고정핀(215)의 끝단에 고정된 상부틀(40)이 석판(10)쪽으로 끌어당겨져, 상부틀(40)과 석판(10)이 밀착되어 결합고정된다.
한편, 사용자는 천갈이 등을 위해 상부틀(40)을 석판(10)으로부터 분리해야 할 경우, 조작레버(212)를 역방향으로 돌려주면, 상부틀(40)이 석판(10)으로부터 도 8a와 같이 이격분리되어 결합이 해제되고, 천갈이 후, 조작레버(212)를 도 8a의 화살표 방향(p)으로 돌려 손쉽게 재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석판(10)과 상부틀(40)를 볼트로 조이거나 풀어, 결합하고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편심캠(213)을 이용해, 조작레버(212)를 돌려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분리와 재결합이 쉬울 뿐 아니라, 특히, 반복된 분리와 재결합에 의해서도 상부틀(40)와 석판(10)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영구적인 재조립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고정핀(215)의 끝단이 상부틀(40)의 저면에 직접 나사체결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틀(40)에 나사체결로 매립된 너트(미도시)에 고정핀(215)의 끝단이 나사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당구대는 H빔(70)위에 올려진 석판(10')이 휘어진 상태일 경우, 휘어진 석판(10')을 판판하게 펴주어 석판(10')의 평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평평도 조정부재(310,315)는 H빔(70)과 석판(1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볼트(310)와 너트(315)로 이루어진다.
볼트(310)는 볼트몸통(311)이 H빔(70)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 형성된 볼트통과공(301)을 관통하여, 볼트몸통(311)의 끝단일부가 석판(10') 저면에 나사체결되며, 너트(315)는 볼트몸통(311)에 체결된 상태가 되되, H빔(70)과 볼트머리(31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도 11과 같이, 석판(10')이 휘어진 상태에 있을 경우, 너트(315)를 볼트머리(3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11에서 너트(315)가 볼트머리(312)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너트(315)를 볼트몸통(311)에 대해 회전시켜 주면, 휘어진 석판(10')이 H빔(70)쪽으로 당겨지면서, 도 12와 같이 휘어진 석판(10')이 H빔(70) 상면에 밀착되도록 펴지게 됨으로써, 석판(10')의 평평도가 향상 조정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볼트몸통(311)의 끝단이 석판(10') 저면에 직접 나사체결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석판(10')의 저면에 매립된 설치된 너트(미도시)에 볼트몸통(311)의 끝단이 나사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석판
20...받침대
40...상부틀
50...측면커버
101...슬릿홈
103...공구삽입홈
105...핀삽입공
110...제1결합부재
112...지지편
114...결합핀
116...스패너 조작부
210...제2결합부재
212...조작레버
213...편심캠
214...힌지핀
215...고정핀
218...와셔
310...볼트
315...너트
20...받침대
40...상부틀
50...측면커버
101...슬릿홈
103...공구삽입홈
105...핀삽입공
110...제1결합부재
112...지지편
114...결합핀
116...스패너 조작부
210...제2결합부재
212...조작레버
213...편심캠
214...힌지핀
215...고정핀
218...와셔
310...볼트
315...너트
Claims (4)
-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상부에 H빔(70)을 통해 설치된 복수의 석판(10)과, 상기 복수의 석판(10)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4개의 상부틀(40)을 구비한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40)에 형성된 각각의 슬릿홈(101)에 삽입되고, 사각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암나사산이 형성된 2개의 지지편(112)과,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단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체결가능한 수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에는 6각형의 스패너 조작부(116)가 형성되며, 양끝단이 상기 슬릿홈(101)에 삽입된 상기 2개의 지지편(112)에 나사체결되는 결합핀(114)으로 구성된 제 1 결합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114)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2개의 지지편(112)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40)이 서로 잡아당겨져서 서로 밀착고정되고, 상기 결합핀(114)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2개의 지지편(112)이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4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40)은 끝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하면에 상기 슬릿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40)이 서로 맞닿은 부분에는 공구삽입홈(103)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40)에는 상기 슬릿홈(101)과 상기 공구삽입홈(103)을 연결하는 핀삽입공(10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114)의 양단은 상기 인접한 한 쌍의 상부틀(40)의 핀삽입공(105)을 관통하여, 상기 2개의 지지편(112)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스패너 조작부(116)는 상기 공구삽입홈(103)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10)과 상기 상부틀(40)을 결합하기 위한 제 2 결합부재(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부재(210)는,
일측에 조작레버(212)가 마련된 편심캠(213);
일단이 상기 편심캠(213)과 힌지핀(2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끝단)에는 수나나산(216)이 형성된 고정핀(215); 및,
상기 고정핀(215)에 삽입되는 와셔(218);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215)은 상기 와셔(218)가 끼워지고 상기 석판(10)에 형성된 관통구(201)에 통과되어, 상기 고정핀(215)의 끝단이 상기 상부틀(40)의 저면에 나사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레버(212)를 일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고정핀(215)이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핀(215)의 끝단에 고정된 상기 상부틀(40)을 끌어당겨주어, 상기 상부틀(40)이 상기 석판(10)에 밀착되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10)과 상기 H빔(7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석판(10)을 평평도가 향상되도록 조정하는 평평도 조정부재(310,3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평도 조정부재(310,315)는 볼트(310)와 너트(315)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310)의 볼트몸통(311)이 H빔(70)에 형성되 볼트통과공(301)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몸통(311)의 끝단 일부가 석판(10)의 저면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너트(315)는 상기 볼트몸통(311)에 체결되되, 상기 H빔(70)과 상기 볼트(310)의 볼트머리(3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너트(315)를 상기 볼트머리(3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석판(10)이 상기 H빔(70) 상면에 말착되어 평평하게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659A KR101369694B1 (ko) | 2013-10-04 | 2013-10-04 | 당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659A KR101369694B1 (ko) | 2013-10-04 | 2013-10-04 | 당구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9694B1 true KR101369694B1 (ko) | 2014-03-03 |
Family
ID=5064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8659A KR101369694B1 (ko) | 2013-10-04 | 2013-10-04 | 당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96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7264Y1 (ko) * | 2013-10-02 | 2015-05-26 | 이태호 |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2177Y1 (ko) | 2000-01-17 | 2000-08-16 | 강현호 | 당구대 |
KR200328276Y1 (ko) | 2003-07-09 | 2003-09-26 | 정정우 | 당구대 |
KR20040083734A (ko) * | 2003-03-24 | 2004-10-06 | 정봉학 |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
KR20100107122A (ko) * | 2009-03-25 | 2010-10-05 | 정봉학 | 외장판넬의 결합이 용이한 당구대 |
-
2013
- 2013-10-04 KR KR1020130118659A patent/KR1013696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2177Y1 (ko) | 2000-01-17 | 2000-08-16 | 강현호 | 당구대 |
KR20040083734A (ko) * | 2003-03-24 | 2004-10-06 | 정봉학 | 수평조정 및 제조가 용이한 당구대 |
KR200328276Y1 (ko) | 2003-07-09 | 2003-09-26 | 정정우 | 당구대 |
KR20100107122A (ko) * | 2009-03-25 | 2010-10-05 | 정봉학 | 외장판넬의 결합이 용이한 당구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7264Y1 (ko) * | 2013-10-02 | 2015-05-26 | 이태호 |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28188B2 (en) | Method of fastening furniture posts | |
EP2311426B1 (en) | Massage device | |
KR200482829Y1 (ko) | 자석이 내장되는 블록완구의 블록 간 접합을 위한 표면구조 | |
KR101369694B1 (ko) | 당구대 | |
CA2551177A1 (en) | Bone plate | |
JP2008500143A5 (ko) | ||
TWI500551B (zh) | Bicycle quick release structure | |
KR200473602Y1 (ko) | 가구용 다리 조절장치 | |
JP3186719U (ja) | 歩行用下肢装具用の緩み止めボルト | |
EP2980423B1 (en) | Jointing device for connecting panels of furniture pieces with adjustable traction | |
KR101158089B1 (ko) | 조립식 파티션 체결장치 | |
US20050025602A1 (en) | Expansion screw | |
KR200403105Y1 (ko) | 책상의 지압용 발받침 대 | |
US20110159975A1 (en) | Pool table structure | |
TWI650163B (zh) | 具有配重功能的高爾夫球桿頭 | |
CN102258269A (zh) | 可拆分脚的家具 | |
KR20120008227U (ko) | 당구대의 석판과 상판 결합구조 | |
JP7423435B2 (ja) | 粘着固定具及び粘着固定具の設置構造 | |
CN208641680U (zh) | 新型羽毛球拍固定装置 | |
JPH02797Y2 (ko) | ||
KR200393670Y1 (ko) |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 |
JP5511521B2 (ja) | パネル取付品 | |
JP2879748B2 (ja) | 二重床の高さ調節用ボルトおよびそのセット | |
JP7058229B2 (ja) | 締結器具および締結構造 | |
KR200416403Y1 (ko) | 기타 네크의 양방향 조정 철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