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670Y1 -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670Y1
KR200393670Y1 KR20-2005-0015779U KR20050015779U KR200393670Y1 KR 200393670 Y1 KR200393670 Y1 KR 200393670Y1 KR 20050015779 U KR20050015779 U KR 20050015779U KR 200393670 Y1 KR200393670 Y1 KR 200393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crew
support
plate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판식
Original Assignee
최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판식 filed Critical 최판식
Priority to KR20-2005-0015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Chairs or 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Abstract

본 고안은 좌판을 받침간에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체결력을 크게 증대시키고, 또한 이를 통해 나사가 풀리거나 좌판이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구멍(11)이 형성된 좌판(10), 좌판(10)의 전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나사(20)체결로 고정되는 받침간(30), 상기 받침간(3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다리(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나사(20)가 체결되는 좌판(10)과 받침간(30) 사이에 나사공(51)이 구비된 고임부재(50)를 개재하되, 상기 고임부재(50)의 일면에는 좌판(10)의 컬링(12)에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제1곡면홈(52)을 형성하고, 상기 고임부재(50)의 이면에는 받침간(30)에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제2곡면홈(53)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bench connection structure of fabricated chair}
본 고안은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좌판을 받침간에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체결력을 크게 증대시키고, 또한 이를 통해 나사가 풀리거나 좌판이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공공장소,병원 또는 휴게실 등에는 여러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도록 길게 만들어 놓은 장의자가 설치된다.
기존에는 장의자를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까지 운반한 다음 설치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완성된 장의자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차량으로 운반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는 불편함과 적재량이 많아지므로 인해 운반비가 상승하고, 특히 해외수출 시 선적비와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공장에서 제작한 부품을 운반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좌판과 받침간 및 받침다리로 크게 구성된 조립식 의자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의자에 있어서는 좌판을 받침간에 직접 맞대어 밀착시킨 상태에서 단순하게 나사체결을 통해 좌판을 받침간에 연결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좌판과 받침간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좌판을 받침간에 고정시키는 체결력이 취약하여 좌판을 받침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의자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좌판의 연결구조가 취약하였기 때문에, 특히 조립 후 나사를 통해 체결된 연결부위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나사가 풀리거나 좌판이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조립식 의자의 좌판을 받침간에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체결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좌판에 체결된 나사가 풀리거나 좌판이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좌판과 받침간의 연결부 사이에 PVC로 사출된 고임부재를 각각 끼워 나사로 체결하되, 상기 고임부재의 중앙부에는 나사가 끼워지는 나사공을 관통시키고, 상기 고임부재에는 좌판의 컬링과 받침간에 각각 긴밀하게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크게 증대시키는 제1,2곡면홈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11)이 형성된 좌판(10), 좌판(10)의 전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나사(20)체결로 고정되는 받침간(30), 상기 받침간(3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다리(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나사(20)가 체결되는 좌판(10)과 받침간(30) 사이에 나사공(51)이 구비된 고임부재(50)를 개재하되, 상기 고임부재(50)의 일면에는 좌판(10)의 컬링(12)에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제1곡면홈(52)을 형성하고, 상기 고임부재(50)의 이면에는 받침간(30)에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제2곡면홈(53)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판(1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조립식 의자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좌판(1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철판으로 제작되어 좌판부와 등판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좌판(10)의 등판부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구멍(11)들이 형성되며, 좌판(10)의 상부와 하부 및 양측 가장자리에는 후방으로 둥글게 말리는 컬링(12)이 각각 형성되고, 좌판(10)의 전후방 양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나사(20)가 끼워지는 나사공(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나사(20)는 좌판(10)과 받침간(30) 및 고임부재(5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20)는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시머리나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간(3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좌판(10)의 전방과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조립되어 좌판(10)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간(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간(3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나사(20)가 체결되도록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암나사(31)가 태핑으로 가공된다.
상기 받침다리(4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전후방 받침간(3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조립되어 받침간(30)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전후방 받침다리(40)는 원형파이프로 형성되고, 전후방 받침다리(40)에는 연결간(41)이 연결된다.
상기 고임부재(50)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좌판(10)과 받침간(30)의 연결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임부재(50)는 PVC로 사출성형되어 도 3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좌판(10)과 받침간(30)의 연결부에 각각 설치된다.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고임부재(50)의 중앙부에는 나사(20)가 끼워지는 나사공(51)이 형성되고, 고임부재(50)의 일면에는 좌판(10)의 컬링(12)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제1곡면홈(52)이 형성되며, 고임부재(50)의 이면에는 받침간(30)에 긴말하게 밀착되는 제2곡면홈(5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곡면홈(52)과 제2곡면홈(53)은 접촉면적을 한층 더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고임부재(50)를 좌판(10)과 받침간(30)의 연결부 사이에 각각 끼우고, 이 상태에서 고임부재(50)의 나사공(51)과 좌판(10)의 나사공(13) 및 받침간(30)의 암나사(31)를 서로 일치시키는 동시에 고임부재(50)의 제1,2곡면홈(52)(53)을 좌판(10)의 컬링(12)과 받침간(30)에 각각 긴밀하게 밀착시킨 후, 나사공(13)(51)으로 나사(20)를 끼워 암나사(31)에 체결하면 좌판(10)의 조립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고임부재(50)는 좌판(10)과 받침간(30)의 연결부 사이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좌판(10)과 받침간(30)의 연결부 사이에 PVC로 사출된 고임부재(50)가 끼워지고, 고임부재(50)의 제1,2곡면홈(52)(53)이 좌판(10)의 컬링(12)과 받침간(30)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접촉면적이 크게 증대되기 때문에 좌판(10)과 받침간(30)을 한층 더 견고하게 연결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좌판(10)과 받침간(30) 사이로 고임부재(50)가 끼워져 좌판(10)이 한층 더 견고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특히 조립 후 좌판(10)에 체결된 나사(20)가 풀리거나 좌판(10)이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임부재를 사용하여 좌판을 받침간에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체결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좌판에 체결된 나사가 풀리거나 좌판이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정단면도.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임부재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좌판 11 : 구멍
12 : 컬링 20 : 나사
30 : 받침간 40 : 받침다리
50 : 고임부재 51 : 나사공
52 : 제1곡면홈 53 : 제2곡면홈

Claims (1)

  1. 다수개의 구멍(11)이 형성된 좌판(10), 좌판(10)의 전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나사(20)체결로 고정되는 받침간(30), 상기 받침간(3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다리(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나사(20)가 체결되는 좌판(10)과 받침간(30) 사이에 나사공(51)이 구비된 고임부재(50)를 개재하되, 상기 고임부재(50)의 일면에는 좌판(10)의 컬링(12)에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제1곡면홈(52)을 형성하고, 상기 고임부재(50)의 이면에는 받침간(30)에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제2곡면홈(53)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KR20-2005-0015779U 2005-06-02 2005-06-02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KR200393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779U KR200393670Y1 (ko) 2005-06-02 2005-06-02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779U KR200393670Y1 (ko) 2005-06-02 2005-06-02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670Y1 true KR200393670Y1 (ko) 2005-08-25

Family

ID=4369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779U KR200393670Y1 (ko) 2005-06-02 2005-06-02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31U (ko) 2016-06-09 2017-12-19 송 최 조립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31U (ko) 2016-06-09 2017-12-19 송 최 조립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060B1 (en) Chair backrest
KR200393670Y1 (ko)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US5681078A (en) Device having legs and a horizontal plate
KR200269767Y1 (ko) 의자 조립용 파이프 연결부재
US20090056014A1 (en) Support assembly for hammock
KR200393659Y1 (ko) 조립식 의자의 팔걸이 연결구조
KR200246158Y1 (ko) 장난감 정리함
KR200402960Y1 (ko) 가구용 판넬 연결구조체
KR102175267B1 (ko) 의자
JP6258668B2 (ja) 椅子
KR200394115Y1 (ko) 의자용 팔걸이부 체결구조
KR200302430Y1 (ko) 침대다리
KR200319398Y1 (ko)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
KR200459619Y1 (ko) 조립식 의자
KR100632740B1 (ko) 장식장
JPH032209Y2 (ko)
CN211483722U (zh) 一种软包床
KR200393011Y1 (ko) 조립식 의자용 좌판
KR200279138Y1 (ko) 운동장용 조립식 스텐드의 의자 고정장치
JP3614803B2 (ja) 建物の柱の据付構造
KR100352998B1 (ko) 조립식 의자
KR100899580B1 (ko) 의자 탄성조절캡의 조립구조
CA1239576A (en) Consumer assemble antique-production chairs
KR200340796Y1 (ko)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200147288Y1 (ko) 어린이용 조립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