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310B1 -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 Google Patents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310B1
KR102347310B1 KR1020200052505A KR20200052505A KR102347310B1 KR 102347310 B1 KR102347310 B1 KR 102347310B1 KR 1020200052505 A KR1020200052505 A KR 1020200052505A KR 20200052505 A KR20200052505 A KR 20200052505A KR 102347310 B1 KR102347310 B1 KR 102347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hole
sphere
bracke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644A (ko
Inventor
최규웅
Original Assignee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3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에서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집성목부재를 메인커넥터와 체결브라켓의 슬라이딩 걸림체결을 통해 기둥부재에 손쉽게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공(110)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10)이 형성된 길이방향 상부 일측면에 커넥터수용홈(120)이 형성된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상기 설치공(110)과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대응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공(210)이 형성된 길이방향 상부 일측면에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마주하는 브라켓수용홈(22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간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리어기둥부재(2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커넥터수용홈(120)과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브라켓수용홈(220)에 수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브라켓수용홈(220)의 하측에 안착되고, 일측면에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락킹연장홈(310)이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설치공(110)과 대응공(210)에 각각 연통되는 패싱홀(320)이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메인커넥터(300); 상기 락킹연장홈(310)에 슬라이딩결합되는 슬라이딩락킹구(430)가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패싱홀(320)과 연통되는 조인트홀(431)이 형성된 체결브라켓(420)이 길이방향 양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홀(431)과 연통되는 빌트인수용홈(4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 사이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체결되어 상부면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의 상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집성목부재(400); 상기 설치공(110), 패싱홀(320), 조인트홀(431), 빌트인수용홈(410), 대응공(2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긴장부재(5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는 인장부위가 상기 설치공(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빌트인인장부(600);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타측을 압박고정한 상태로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긴장재인장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STRUCTURE UNIT OF WOODEN STRUCTURE}
본 발명은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에서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집성목부재를 메인커넥터와 체결브라켓의 슬라이딩 걸림체결을 통해 기둥부재에 손쉽게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각종 건축물은 철근 콘크리트, 조적조 및 철골조로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지만 최근 전통방식 또는 현대식으로 개량하여 목조건축물을 시공하고 있으며, 특히 웰빙에 대한 대중적 인식과 새집증후군 등의 영향에 따라 목재를 이용한 건축물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자연의 어우러짐과 미관을 위해서 관광지나 공원 같은 곳에서 교량, 원두막 등의 건조시에도 목재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구조용 집성재는 작은 크기의 목재를 서로 접착하여 큰 각재를 원하는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치수안정성과 구조신뢰성이 높고, 옹이 등과 같은 목재 특유의 결함을 제거하여 제조하므로 강도를 일반목재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사용용도에 따라 길이나 두께, 폭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목에 비해 뒤틀림, 갈라짐의 변형이 현저하게 적어 구조용의 기둥 및 보로 많이 사용되며,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힘든 대경목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용 집성재를 이용하여 목조 건축물의 기둥부재로 사용하는 경우, 기둥부재를 기초에 정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철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고, 기둥부재와 기초철물을 연결하는 볼트구멍이 헐거워짐은 물론 크랙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에 지붕이 올려지는 구조의 목조 건축물에서는 상기 기둥부재를 주춧돌 위에 촉을 이용해 고정하는 경우 기둥부재가 주춧돌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촉의 역할은 수평이동방지의 역할만 하게 되므로 지진 또는 태풍등의 재난에 의한 횡력 발생시 기둥부재의 이탈로 인한 붕괴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목재의 기둥부재와 목재의 보부재를 연결핀에 의해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충격이 목조 건축물에 가해지는 경우, 목조 건축물의 특성상 상부에 무거운 지붕이 설치됨에 따라 지붕이 경량인 일반 목구조물보다 많은 변위가 발생 될 수밖에 없어 기둥부재와 보부재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핀의 결합위치를 시작으로 보부재의 길이방향인 목재섬유질 방향으로 크랙이 발생되고, 크랙발생 지점이 점착 악화되어 구조체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1379호(출원일: 2001년 04월 26일, 고안의명칭: 목조건축물의 구조체 연결부 구성물)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41183호(출원일: 2016년 05월 04일, 발명의 명칭: 목조건축물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프론트기둥부재와 리어기둥부재 사이에 구조유닛의 보부재로써 사용되는 집성목부재를 상기 프론트기둥부재와 리어기둥부재 사이의 상부에서 하강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집성목부재에 설치된 체결브라켓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와 리어기둥부재에 설치되는 메인커넥터에 슬라이딩 체결되면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적응성 및 시공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공(110)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10)이 형성된 길이방향 상부 일측면에 커넥터수용홈(120)이 형성된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상기 설치공(110)과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대응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공(210)이 형성된 길이방향 상부 일측면에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마주하는 브라켓수용홈(22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간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리어기둥부재(2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커넥터수용홈(120)과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브라켓수용홈(220)에 수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브라켓수용홈(220)의 하측에 안착되고, 일측면에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락킹연장홈(310)이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설치공(110)과 대응공(210)에 각각 연통되는 패싱홀(320)이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메인커넥터(300); 상기 락킹연장홈(310)에 슬라이딩결합되는 슬라이딩락킹구(430)가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패싱홀(320)과 연통되는 조인트홀(431)이 형성된 체결브라켓(420)이 길이방향 양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홀(431)과 연통되는 빌트인수용홈(4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 사이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체결되어 상부면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의 상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집성목부재(400); 상기 설치공(110), 패싱홀(320), 조인트홀(431), 빌트인수용홈(410), 대응공(2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긴장부재(5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는 인장부위가 상기 설치공(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빌트인인장부(600);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타측을 압박고정한 상태로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긴장재인장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긴장재인장부(700)는,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결속나사산(711)이 형성된 중공형 회전바디구(710)와, 외주연에 상기 결속나사산(711)과 대응되는 대응나사산(72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내측에 나사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돌출인장구(720)와, 상기 돌출인장구(7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인장구(72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고긴장부재(500)을 인장고정하는 긴장고정구(7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회전시 상기 돌출인장구(720)가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긴장부재(500)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빌트인인장부(600)는,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상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안착판(610)과, 상기 안착판(6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설치공(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620)와, 상기 헤더구(62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헤더구(62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분할쐐기구(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프론트기둥부재와 각각의 리어기둥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목재빔(47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일측면에 하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결속가이드홈부(451)가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450)과,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측면에 장착되게 설치되되 일측면에 상기 결속가이드홈부(451)에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딩결합되는 락킹돌출편(461)이 하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락킹브라켓(4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락킹구(4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측단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고정공(441)이 형성된 포지션커버구(440)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커넥터(30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포지션커버구(44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포지션홈(3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체결시, 상기 포지션커버구(440)와 상기 포지션홈(350)의 하측면 사이에 공차부(44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하단은 상기 메인커넥터(30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공차부(442)의 간격에 대응하는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기둥부재와 리어기둥부재 사이에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에서 보부재로 사용되는 집성목부재를 메인커넥터와 체결브라켓에 의해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현장적응성 및 시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집성목부재와 기둥부대의 상단 사이에 수평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목조건축물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기둥부재와 집성목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기둥부재와 집성목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커넥터와 체결브라켓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커넥터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브라켓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커넥터와 체결브라켓의 슬라이딩체결에 의해 공차부가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목재빔이 연결브라켓과 락킹브라켓에 의해 집성목부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인장부이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인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인장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인장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성목부재가 다수개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기둥부재와 집성목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기둥부재와 집성목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커넥터와 체결브라켓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커넥터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브라켓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커넥터와 체결브라켓의 슬라이딩체결에 의해 공차부가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목재빔이 연결브라켓과 락킹브라켓에 의해 집성목부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인장부이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인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인장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인장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성목부재가 다수개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은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와 한 쌍의 리어기둥부재(2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부에 장착되는 메인커넥터(300),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체결브라켓(420)이 마련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 사이의 상부에 하강하여 장착되는 집성목부재(400), 상기 집성목부재(4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긴장부재(500),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양측을 인장고정하는 빌트인인장부(600)와 긴장재인장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은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 사이에서 상기 집성목부재(400)을 하강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집성목부재(400)에 설치된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에 설치되는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 체결되면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적응성 및 시공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목조건축물의 기둥과 보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는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공(110)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10)이 형성된 길이방향 상부 일측면에 커넥터수용홈(120)이 형성된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는 설치면에 일정면적을 갖는 기초플레이트(10)를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기초플레이트(10)는 상기 설치면에 앵커볼트(11)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가 상기 기초플레이트(10)의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면에 길이방향 하측이 매설되거나 길이방향 하측을 감싸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매개로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등 시공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수용홈(120)은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으면서 후술되는 상기 메인커넥터(300)와 체결브라켓(4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는 별도의 서브프레임(470)에 의해 길이방향 상부가 상호연결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어기둥부재(200)는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상기 설치공(110)과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대응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공(210)이 형성된 길이방향 상부 일측면에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마주하는 브라켓수용홈(22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간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어기둥부재(200) 또한 설치면에 앵커볼트(11)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기초플레이트(10)의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수용홈(220)은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으면서 후술되는 상기 메인커넥터(300)와 체결브라켓(4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리어기둥부재(100)는 서브목재빔(470)에 의해 길이방향 상부가 상호연결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메인커넥터(300)는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커넥터수용홈(120)과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브라켓수용홈(220)에 수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브라켓수용홈(220)의 하측에 안착되고, 일측면에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락킹연장홈(310)이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설치공(110)과 대응공(210)에 각각 연통되는 패싱홀(320)이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커넥터(300)에는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에 결속되는 결속볼트(330)의 관통설치를 위한 다수개의 볼트설치공(34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락킹연장홈(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립돌출구(3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립돌출구(360)는 단면상 상기 락킹연장홈(310)의 가장자리에서 단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쐐기형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집성목부재(400)는 상기 락킹연장홈(310)에 슬라이딩결합되는 슬라이딩락킹구(430)가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패싱홀(320)과 연통되는 조인트홀(431)이 형성된 체결브라켓(420)이 길이방향 양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홀(431)과 연통되는 빌트인수용홈(4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 사이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체결되어 상부면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의 상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체결브라켓(42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 사이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목조건축물의 기둥부재에 보부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평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브라켓(420)에는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길이방향 단부에 결속되는 결속볼트(330)의 관통설치를 위한 다수개의 볼트설치공(34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락킹구(43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그립돌출구(36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체결편(43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체결편(432)은 단면상 상기 락킹연장홈(310)과 그립돌출구(3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70)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집성목부재(400)을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 사이에 상기 메인커넥터(300)와 체결브라켓(420)의 슬라이딩 체결을 통해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메인커넥터(300)의 하단부가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브라켓수용홈(220)의 하측에 안착되게 설치됨에 따라 목조 건축물의 고중량의 지붕이 상기 집성목부재(400)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집성목부재(400)가 하측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커넥터(300)와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브라켓수용홈(220)의 내측으로 감춰지는 빌트인구조를 갖음에 따라 체결부위의 내구성 증진 및 건축물의 미려함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락킹구(4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측단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고정공(441)이 형성된 포지션커버구(440)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커넥터(30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포지션커버구(440)가 위치될 수 있또록 하는 포지션홈(3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포지션커버구(440)가 상기 포지션홈(35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고정공(441)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결속되는 볼트의 결속력에 의해 상기 그립돌출구(360)와 걸림체결편(432)이 면밀히 밀착되어 상기 메인커넥터(300)와 체결브라켓(420)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메인커넥터(300)와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제조시, 상기 락킹연장홈(310)과 그립돌출구(3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70)에 대응하도록 상기 걸림체결편(43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치수정밀도의 문제로 인해 다소간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포지션커버구(440)의 볼트고정공(441)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결속되는 볼트의 결속력에 의해 상기 걸림체결편(432)이 상기 그립돌출구(360)에 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성목부재(400)와 기둥부재간 결합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체결시, 상기 포지션커버구(440)와 상기 포지션홈(350)의 하측면 사이에 공차부(44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하단은 상기 메인커넥터(30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공차부(442)의 간격에 대응하는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에 상기 메인커넥터(300)와 체결브라켓(420)을 매개로 장착시,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에 장착되는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길이방향 일측과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에 장착되는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길이방향 타측 사이에서 일정한 기울기가 형성되어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부측으로 올라간 부분의 체결브라켓을 상기 공차부(442)의 간격내에서 미세조절하여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수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각각의 프론트기둥부재와 각각의 리어기둥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목재빔(47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일측면에 하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결속가이드홈부(451)가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450)과,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측면에 장착되게 설치되되 일측면에 상기 결속가이드홈부(451)에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딩결합되는 락킹돌출편(461)이 하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락킹브라켓(4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목재빔(47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브라켓(4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장착홈(471)이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장착홈(471)은 상기 서브목재빔(470)의 하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상기 연결브라켓(450)과 락킹브라켓(4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락킹브라켓(460)의 길이방향 하측에는 상기 락킹돌출편(46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락킹브라켓(460)의 측단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지커버구(46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450)의 길이방향 하측에는 상기 지지커버구(46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구수용홈(45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서브목재빔(470)을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측면에 장착시 상기 연결브라켓(450)의 상단이 상기 브라켓장착홈(471)의 상측면에 밀착됨은 물론 상기 지지커버구(462)에 상기 연결브라켓(450)이 지지됨에 따라 고중량의 지붕부재가 상기 서브목재빔(470)에 장착시 상기 서브목재빔(470)의 하부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긴장부재(500)는 상기 설치공(110), 패싱홀(320), 조인트홀(431), 빌트인수용홈(410), 대응공(2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긴장부재(500)는 이형철선, PC강선, 강봉, 다수개의 가다기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고긴장부재(500)는 연신율이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집성목부재(400)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빌트인인장부(600)는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는 인장부위가 상기 설치공(1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빌트인인장부(600)의 인장부위가 상기 설치공(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에 의한 인장부위의 훼손이나 파손등을 방지하여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에 대한 내구성을 장기간 원활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빌트인인장부(600)는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상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안착판(610)과, 상기 안착판(6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설치공(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620)와, 상기 헤더구(62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헤더구(62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분할쐐기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안착판(610)은 일정면적을 갖는 평판형 구조로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상부측면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헤더구(620)는 상기 안착판(610)에서 상기 설치공(1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판(610)에는 상기 헤더구(6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장착통공(6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구(620)의 내경은 상기 안착판(610)방향의 일측에서 상기 설치공(110)방향의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할쐐기구(630)는 상기 헤더구(6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점차 작아지는 상기 헤더구(620)의 내경에 의해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할쐐기구(630)는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아크분할구(631)와, 상기 아크분할구(631)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랩핑구(632)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아크분할구(631)가 상기 탄성랩핑구(632)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고긴장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긴장재삽입공(6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할쐐기구(630)가 상기 헤더구(620)의 점차 작아지는 내경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긴장시 상기 아크분할구(631)의 뒤틀림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압박고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구(620)는 상기 안착판(610)에 길이방향 일측이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상기 안착판(610)에 걸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헤더구(620)가 상기 안착판(610)에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착판(610)에 상기 헤더구(6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홀(431)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홀(431)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걸림단(613)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헤더구(620)에는 상기 안착걸림단(613)에 걸림되는 컨택안착구(621)가 형성되고, 상기 컨택안착구(621)는 상기 안착걸림단(613)에 대응되도록 외주연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컨택안착구(621)가 상기 안착걸림단(613)에 걸림되는 경우 상기 헤더구(620)의 일측단과 상기 안착판(610)의 면부가 동일선상이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긴장재인장부(700)는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타측을 압박고정한 상태로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빌트인인장부(600)과 함께 상기 고긴장부재(500)가 고긴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긴장재인장부(700)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타측을 압박고정한 상태로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인장부위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긴장부재(500)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빌트인인장부(600)에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일측을 압박고정하고,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타측을 상기 긴장재인장부(700)에 압박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인장부(700)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상기 고긴장부재(500)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인장부위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긴장부재(500)를 고긴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긴장재인장부(7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긴장재인장부(700)는,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결속나사산(711)이 형성된 중공형 회전바디구(710)와, 외주연에 상기 결속나사산(711)과 대응되는 대응나사산(72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내측에 나사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돌출인장구(720)와, 상기 돌출인장구(7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인장구(72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고긴장부재(500)을 인장고정하는 긴장고정구(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내측에 상기 돌출인장구(720)를 나사결합하고, 상기 돌출인장구(7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사기 긴장고정구(730)에 의해 상기 고긴장부재(500)을 인장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디구(7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돌출인장구(720)가 상기 결속나사산(711)과 대응나사산(721)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외측으로 빠져 나오면서 상기 고긴장부재(500)을 손쉽게 고긴장시키거나 장기간 사용에 의한 긴장력 손실시 재긴장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이 상측에는 상기 회전바디구(710)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바디지지판(74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바디구(710)는 단면상 원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구를 이용한 용이한 회전조작을 위해 육각 또는 팔각 등 다각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긴장고정구(730)는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할쐐기편(731)과, 상기 분할쐐기편(731)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링(73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분할쐐기편(731)이 상기 탄성링(732)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고긴장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긴장재가압공(7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상기 집성목부재(400) 사이에 보강기둥(490)을 설치하여 상기 메인커넥터(300)와 체결브라켓(420)에 의해 상기 보강기둥(49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강기둥(490)에는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관통설치를 위한 통과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론트기둥부재 110: 설치공
120: 커넥터수용홈 130: 보강대
200: 리어기둥부재 210: 대응공
220: 브라켓수용홈 230: 보강대
300: 메인커넥터 310: 락킹연장홈
320: 패싱홀 350: 포지션홈
360: 그립돌출구 370: 공간부
400: 집성목부재 420: 체결브라켓
430: 슬라이딩락킹구 440: 포지션커버구
450: 연결브라켓 451: 결속가이드홈부
460: 락킹브라켓 470:서브목재빔
480: 단위블록 490: 보강기둥
500: 고긴장부재 600: 빌트인인장부
610: 안착판 620: 헤더구
630: 분할쐐기구 700: 긴장재인장부
710: 회전바디구 720: 돌출인장구
730: 인장고정구 740: 바디지지판

Claims (7)

  1.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공(110)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10)이 형성된 길이방향 상부 일측면에 커넥터수용홈(120)이 형성된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부에 상기 설치공(110)과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대응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공(210)이 형성된 길이방향 상부 일측면에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마주하는 브라켓수용홈(22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프론트기둥부재(100)간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리어기둥부재(2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커넥터수용홈(120)과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브라켓수용홈(220)에 수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커넥터수용홈(120)과 브라켓수용홈(220)의 하측에 안착되고, 일측면에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락킹연장홈(310)이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설치공(110)과 대응공(210)에 각각 연통되는 패싱홀(320)이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메인커넥터(300); 상기 락킹연장홈(310)에 슬라이딩결합되는 슬라이딩락킹구(430)가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패싱홀(320)과 연통되는 조인트홀(431)이 형성된 체결브라켓(420)이 길이방향 양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조인트홀(431)과 연통되는 빌트인수용홈(4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 사이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체결되어 상부면이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와 리어기둥부재(200)의 상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집성목부재(400); 상기 설치공(110), 패싱홀(320), 조인트홀(431), 빌트인수용홈(410), 대응공(2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긴장부재(500);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는 인장부위가 상기 설치공(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빌트인인장부(600);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길이방향 타측을 압박고정한 상태로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긴장재인장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긴장재인장부(700)는, 상기 리어기둥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결속나사산(711)이 형성된 중공형 회전바디구(710)와, 외주연에 상기 결속나사산(711)과 대응되는 대응나사산(72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내측에 나사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돌출인장구(720)와, 상기 돌출인장구(7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인장구(72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고긴장부재(500)을 인장고정하는 긴장고정구(7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회전시 상기 돌출인장구(720)가 상기 회전바디구(71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긴장부재(500)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트인인장부(600)는, 상기 프론트기둥부재(100)의 상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안착판(610)과, 상기 안착판(6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설치공(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620)와, 상기 헤더구(620)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헤더구(62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고긴장부재(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분할쐐기구(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론트기둥부재와 각각의 리어기둥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목재빔(47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일측면에 하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결속가이드홈부(451)가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450)과, 상기 집성목부재(400)의 측면에 장착되게 설치되되 일측면에 상기 결속가이드홈부(451)에 걸림된 상태로 슬라이딩결합되는 락킹돌출편(461)이 하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락킹브라켓(4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락킹구(4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측단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고정공(441)이 형성된 포지션커버구(440)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커넥터(300)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포지션커버구(44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포지션홈(3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메인커넥터(300)에 슬라이딩체결시, 상기 포지션커버구(440)와 상기 포지션홈(350)의 하측면 사이에 공차부(44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하단은 상기 메인커넥터(30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공차부(442)의 간격에 대응하는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6. 삭제
  7. 삭제
KR1020200052505A 2020-04-29 2020-04-29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KR102347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505A KR102347310B1 (ko) 2020-04-29 2020-04-29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505A KR102347310B1 (ko) 2020-04-29 2020-04-29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644A KR20210133644A (ko) 2021-11-08
KR102347310B1 true KR102347310B1 (ko) 2022-01-06

Family

ID=7849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505A KR102347310B1 (ko) 2020-04-29 2020-04-29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3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007B1 (ko) * 2015-05-13 2016-11-18 임광현 목질부재의 포켓 삽입식 결합구조
JP2019214849A (ja) * 2018-06-12 2019-12-19 住友林業株式会社 柱梁接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851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007B1 (ko) * 2015-05-13 2016-11-18 임광현 목질부재의 포켓 삽입식 결합구조
JP2019214849A (ja) * 2018-06-12 2019-12-19 住友林業株式会社 柱梁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644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671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데크로드 구조물
CN101583768A (zh) 用于高性能结构的工程木结构系统
US20170037653A1 (en) Clamps for panel-type fences
US20230220660A1 (en) Construction using bundled tube and threaded stepped dowels
KR102347310B1 (ko)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JP4799107B2 (ja) 木製構造材の仕口構造、横架材、柱脚構造および柱脚金具、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木造建築物の軸組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KR101746782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내진보강형 목조 건축물과 이의 시공방법
KR102188098B1 (ko) 브라켓과 긴장재 수용소켓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188087B1 (ko) 기둥과 보의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구조물
KR102446503B1 (ko) 목재기둥의 직립성이 향상된 목조 구조물
JP2007138506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緊締構造とその接合緊締用金具および柱・梁接合構造用金具
KR102188085B1 (ko) 이중 긴장재 도입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JP2006322205A (ja) 壁式木造建築物
JP2006241753A (ja) 締結具
JP3033880B2 (ja) プレキャストrc柱と集成材梁の仕口構造
KR102261844B1 (ko) 조립식 하이브리드 복합바닥판
JP3152531U (ja) ピアノ線を用いた建造物補強構造
US117078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crushing strength of a timber panel
KR200496256Y1 (ko) 내식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한식구조물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KR20200125125A (ko) 슬라이딩 체결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KR102177939B1 (ko) 내진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연결조립구조
KR102598628B1 (ko) 철근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배치구조 조정 가능한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JP2008163651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緊締構造とその金具
JP3708712B2 (ja) スラブパネルの施工方法
KR200496257Y1 (ko) 견고한 시공이 가능한 목재기둥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