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851A -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 Google Patents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851A
KR20170079851A KR1020150190858A KR20150190858A KR20170079851A KR 20170079851 A KR20170079851 A KR 20170079851A KR 1020150190858 A KR1020150190858 A KR 1020150190858A KR 20150190858 A KR20150190858 A KR 20150190858A KR 20170079851 A KR20170079851 A KR 20170079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connection
adjacent
column
modula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건우
이현복
황문하
최우제
정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9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851A/ko
Publication of KR20170079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러 구조물은, 제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모듈; 제2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모듈; 상기 제1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1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1 설치구와, 상기 제2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2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 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설치구를 연결하는 제1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MODULAR STRUCTURE OF CONNECT TYPE FOR MINIMIZING INSTALLATION WORK IN FIELD}
본 발명은 모듈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듈러 공법(Modular Building System)은 공장에서 제작/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유닛 부품군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건설하는 방법으로서, 유닛 부품에 들어가는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설치 등 주택의 70%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주택은 상자형으로서 공간 유닛 모듈을 상하, 전후, 좌우로 조합하여 주택을 구성하므로 단독주택, 집합주택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154386호 2012.06.15.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닛 모듈을 손쉽게 접합할 수 있는 모듈러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러 구조물은, 제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모듈; 제2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모듈; 상기 제1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1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1 설치구와, 상기 제2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2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 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설치구를 연결하는 제1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닛 모듈은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설치구는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설치구는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과 상기 제1 및 제2 설치구는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기둥의 일단 및 상기 제2 연결기둥의 일단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2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n-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n-1 유닛 모듈; 그리고 상기 제n-1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n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n 유닛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n-1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n-1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n-3) 설치구와, 상기 제n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n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n-2) 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2n-3) 및 제(2n-2) 설치구를 연결하는 제n-1 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단, n은 4,...,k-1,k, k는 정수).
상기 제1 내지 제n 설치홀은 상기 제1 내지 제n 연결기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n 연결기둥은 중공형이고, 상기 제1 내지 제(2n-2) 설치구는 중공형이며,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지 제(2n-2) 설치구와 상기 제1 내지 제n 설치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단이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상부로 노출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하단을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하부에 고정하는 하단고정구; 그리고 상기 고정바의 상단을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상부에 고정하는 상단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n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부인접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상부인접 유닛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n 설치홀의 상단에 삽입되는 제1 상단설치구와, 상기 상부인접 연결기둥에 형성된 상부인접 설치홀의 상단에 삽입되는 제2 상단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상단설치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n 연결기둥과 상기 상부인접 연결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단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단고정구는 상기 상단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의 상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고정구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하부인접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하부인접 유닛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설치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제1 하단설치구와, 상기 하부인접 연결기둥에 형성된 하부인접 설치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제2 하단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하단설치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기둥과 상기 하부인접 연결기둥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단고정구는 상기 하단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의 하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단고정구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설치홀은 상기 제1 내지 제n 연결기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n 연결기둥은 중공형이고, 상기 제1 내지 제(2n-2) 설치구는 중공형이며,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지 제(2n-2) 설치구와 상기 제1 내지 제n 설치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단이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상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단을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하부에 고정하는 하단고정구; 그리고 상기 와이어의 상단을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상부에 고정하는 상단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n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부인접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상부인접 유닛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n 설치홀의 상단에 삽입되는 제1 상단설치구와, 상기 상부인접 연결기둥에 형성된 상부인접 설치홀의 상단에 삽입되는 제2 상단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상단설치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n 연결기둥과 상기 상부인접 연결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단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단고정구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상단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중공형인 상기 제1 상단설치구의 내부와 연통하고 하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내주면을 가지는 삽입홀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하부를 향해 내측경사질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하부인접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하부인접 유닛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설치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제1 하단설치구와, 상기 하부인접 연결기둥에 형성된 하부인접 설치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제2 하단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하단설치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기둥과 상기 하부인접 연결기둥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단고정구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하단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중공형인 상기 제1 하단설치구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내주면을 가지는 삽입홀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부를 향해 내측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단고정구 및 상기 상단고정구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외측에 연결되는 하단지지구;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외측에 연결되는 상단지지구; 그리고 일단이 상기 하단지지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단지지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하단지지구와 상기 상단지지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중간지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지지구는 상기 하단지지구 및 상기 상단지지구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지지구는 상기 제2 내지 제n-1 연결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지지구는, 상기 제2 내지 제n-1 연결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선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러 구조물은, 제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모듈; 상기 제1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기둥과 인접한 제2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모듈; 상기 제2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기둥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제3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3 유닛 모듈; 상기 제3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연결기둥과 인접한 제4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4 유닛 모듈;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둥의 하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고정구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에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사각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 돌출부재; 상기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2 돌출부재; 상기 제3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3 돌출부재; 상기 제4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4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는 외장마감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러 구조물은, 제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모듈; 상기 제1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기둥과 인접한 제2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모듈; 상기 제2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기둥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제3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3 유닛 모듈; 상기 제3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연결기둥과 인접한 제4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4 유닛 모듈;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둥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구;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1 브라켓의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는 제1 고정바; 일단부가 상기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2 브라켓의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는 제2 고정바; 일단부가 상기 제3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3 브라켓의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는 제3 고정바; 일단부가 상기 제4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4 브라켓의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는 제4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구 형상인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고정바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구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삽입구는 상기 체결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및 수평선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브라켓은 회전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지 제4 브라켓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바와 나사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바에 각각 인장력을 인가하는 제1 내지 제4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닛 모듈을 손쉽게 접합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 사이에 설치된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및 제2 연결기둥 사이에 설치된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연결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연결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연결기둥들을 관통하는 고정바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닛 모듈들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고정바의 상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고정바의 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연결기둥들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닛 모듈들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외부에 설치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닛 모듈들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중간지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하단지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17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을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연결플레이트와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 사이에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체결구 및 복수의 고정바들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을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러 구조물은 두 개의 유닛 모듈(1,2)이 좌우로 배치되어 인접한 상태에서, 두 개의 유닛 모듈(4,3)이 유닛 모듈(1,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인접한다. 즉, 네 개의 유닛 모듈(1,2,3,4)은 상하 좌우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접합되어 하나의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며, 인접한 연결기둥(12,22,32,42) 간의 접합을 통해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 사이에 설치된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연결기둥(12,22,32,42)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이며, 각 연결기둥(12,22,32,42)의 내부에 설치홀(12a,22a,32a,42a)이 형성된다. 각 연결기둥(12,22,32,42)은 각형 강관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모듈은 연결플레이트(100) 및 4개의 설치구들(110,120,130,140)을 구비한다. 연결플레이트(100)는 사각 평판 형상이며, 제1 및 제2 설치구들(110,120)은 연결플레이트(10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3 및 제4 설치구들(130,140)은 연결플레이트(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및 제4 설치구들(110,140)은 제1 및 제4 설치구들(110,140)의 사이에 형성된 연결플레이트(100)의 개구를 통해 연통하거나 연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연결플레이트(100)를 관통하는 하나의 관(pipe)일 수 있다(동일선 상에 배치). 또한, 제2 및 제3 설치구들(120,130)은 제2 및 제3 설치구들(120,130)의 사이에 형성된 연결플레이트(100)의 개구를 통해 연통하거나 연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연결플레이트(100)를 관통하는 하나의 관(pipe)일 수 있다(동일선 상에 배치).
연결플레이트(100)는 제1 및 제2 연결기둥(12,22)의 상부에 놓여지며, 제1 및 제2 연결기둥(12,22)의 상단을 덮는다. 제3 및 제4 연결기둥(32,42)은 연결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놓여지며, 연결플레이트(100)는 제3 및 제4 연결기둥(32,42)의 하단을 덮는다. 이때, 제1 및 제2 설치구(110,120)는 제1 및 제2 연결기둥(12,22)의 설치홀(12a,22a)에 각각 삽입되며, 제3 및 제4 설치구(130,140)는 제3 및 제4 연결기둥(32,42)의 설치홀(32a,42a)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제1 및 제4 연결기둥(110,140)은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연결모듈에 의해 고정되며, 제2 및 제3 연결기둥(120,130)은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연결모듈에 의해 고정된다. 특히, 제1 내지 제4 설치구(110,120,130,140)에 의해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12,22,32,42)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및 제2 연결기둥 사이에 설치된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연결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유닛 모듈이 인접한 경우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4개의 기둥이 인접하나, 유닛 모듈이 인접하지 않는 경우(모듈러 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된 유닛 모듈) 상하에 위치하는 2개의 기둥만이 인접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4 연결기둥(12,42)이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모듈이 제1 연결기둥(12)과 제4 연결기둥(42) 사이에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도 2 및 도 3)에서 제2 및 제3 설치구(120,130)가 생략되고 연결플레이트(100)의 크기가 축소된 형태에 해당한다.
도 6은 연결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유닛 모듈이 인접한 경우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4개의 기둥이 인접하나, 8개의 유닛 모듈이 인접한 경우 8개의 기둥이 인접한다(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4개의 유닛 모듈의 전면에 4개의 유닛 모듈이 놓인 경우).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모듈은 연결플레이트(100) 및 8개의 설치구들(12,22,32,42,52,62,72,82)을 구비한다. 연결플레이트(100)는 사각 평판 형상이며, 설치구들(12,22,52,62)은 연결플레이트(10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설치구들(32,42,72,82)은 연결플레이트(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설치구들(12,42)은 설치구들(12,42)의 사이에 형성된 연결플레이트(100)의 개구를 통해 연통하거나 연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연결플레이트(100)를 관통하는 하나의 관(pipe)일 수 있다(동일선 상에 배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구들(22,32,52,62,72,82)의 경우에도 서로 연통하거나 연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연결플레이트(100)를 관통하는 하나의 관(pipe)일 수 있다(동일선 상에 배치). 각 설치구들은 연결기둥의 설치홀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기둥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연결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개의 유닛 모듈이 동일한 높이에 인접한 경우, 유닛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모듈은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설치구들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모듈은 연결플레이트(10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설치구들(12,22,52,62)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플레이트(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설치구들을 생략할 수 있다. 각 설치구들(12,22,52,62)은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기둥의 설치홀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기둥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4개의 유닛 모듈이 동일한 높이에 인접한 경우, 유닛 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모듈은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설치구들을 생략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연결모듈을 상하반전시킨 경우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연결기둥들을 관통하는 고정바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닛 모듈들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고정바의 상단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고정바의 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러 구조물의 층수가 증가할 경우, 인접한 유닛 모듈만을 접합하는 것으로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없으며, 전체 모듈러 구조물의 최상부 유닛 모듈부터 최하부 유닛 모듈까지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접합 과정과 구조가 필요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연결기둥들(12,22,32,42,212,222,232,242)의 내부는 중공형이며, 설치구들(110,120,130,140,310,320,330,340)의 내부도 중공형이다. 하나의 고정바(또는 라운드바)(400)는 최하부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12)부터 설치구들(110,140,310,340) 및 최상부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242)을 관통하며, 또 하나의 고정바(또는 라운드바)(400)는 최하부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222)부터 설치구들(120,130,320,330) 및 최상부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232)을 관통한다. 고정바(400)의 상단 및 하단은 최하부 유닛 모듈의 하부 및 최상부 유닛 모듈의 상부로 노출된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부 유닛 모듈들의 연결기둥(242,232)을 접합하는 연결모듈은 상단연결플레이트(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설치구들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단설치구들(510,520)은 상단연결플레이트(50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각 연결기둥(242,232)의 설치홀(242a,232a)에 삽입되어 연결기둥(242,232)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바(400)의 상단은 상단연결플레이트(500)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단고정구(130,140)는 고정바(40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나사체결되어 고정바(400)를 상단연결플레이트(500) 상에 고정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부 유닛 모듈들의 연결기둥(12,22)을 접합하는 연결모듈은 하단연결플레이트(6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설치구들을 생략할 수 있으며, 하단설치구들(610,620)은 하단연결플레이트(6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각 연결기둥(12,22)의 설치홀(12a,22a)에 삽입되어 연결기둥(12,22)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바(400)의 하단은 하단연결플레이트(600)의 하부로 노출되며, 하단고정구(630,640)는 고정바(400)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바(400)를 하단연결플레이트(600) 상에 고정한다.
결론적으로, 고정바(400)가 최상부 유닛 모듈부터 최하부 유닛 모듈까지 관통한 상태에서, 상단고정구(130,140) 및 하단고정구(630,640)를 순차적으로 고정바(400)에 체결하여, 복수의 연결기둥들을 하나의 연결기둥과 같이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닛 모듈 간의 결속력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접합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최상부 유닛 모듈이 n층에 위치하는 제n 유닛 모듈인 경우(n=4,5,...k-1,k, k는 정수), 제n 유닛 모듈은 제n-1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n 연결기둥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n-1 유닛 모듈은 제n-1 연결기둥을 포함한다. 이때, 제n-1 유닛 모듈과 제n 유닛 모듈은 양자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모듈에 의해 접합되며, 연결모듈은 제n-1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n-1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n-3) 설치구와, 제n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n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n-2) 설치구, 그리고 제(2n-3) 및 제(2n-2) 설치구를 연결하는 제n-1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n=4일 때, 연결모듈은 제3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3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5 설치구와, 상기 제4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4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6 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5 및 제6 설치구를 연결하는 제3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도 11 및 도 12는 연결기둥들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닛 모듈들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러 구조물의 층수가 증가할 경우, 인접한 유닛 모듈만을 접합하는 것으로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없으며, 전체 모듈러 구조물의 최상부 유닛 모듈부터 최하부 유닛 모듈까지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접합 과정과 구조가 필요하다.
앞서 설명한 고정바(400)와 마찬가지로, 와이어(W)는 최하부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12)부터 설치구들(110,140,310,340) 및 최상부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242)을 관통하며, 또 하나의 고정바(또는 라운드바)(400)는 최하부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222)부터 설치구들(120,130,320,330) 및 최상부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232)을 관통한다. 와이어(W)의 상단 및 하단은 최하부 유닛 모듈의 하부 및 최상부 유닛 모듈의 상부로 노출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부 유닛 모듈들의 연결기둥(242,632)을 접합하는 연결모듈은 상단연결플레이트(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설치구들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단설치구들(510,520)은 상단연결플레이트(50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각 연결기둥(242,632)의 설치홀(642a,632a)에 삽입되어 연결기둥(242,632)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단연결플레이트(500)는 상단설치구들(510,520)의 내부와 각각 연통되는 삽입홀(500a)을 가지며, 상단고정구(700)는 삽입홀(500a) 상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홀(500a)은 하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내주면을 가지며, 상단고정구(700)는 하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외주면을 가진다. 상단고정구(700)는 와이어(W)에 의해 관통된 상태이며, 삽입홀(500a)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다. 즉, 상단고정구(70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이며, 삽입홀(500a)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면, 삽입홀(500a)의 내주면에 의해 상단고정구(700)의 외주면이 가압되어 와이어(W)가 상단고정구(700)에 의해 압착되므로, 와이어(W)가 상단고정구(70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쐐기(wedge) 효과). 다시 말해, 와이어(W)를 당길 경우, 상단고정구(700)가 삽입홀(500a)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져 와이어(W)를 더욱 세게 압착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부 유닛 모듈들의 연결기둥(12,22)을 접합하는 연결모듈은 하단연결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설치구들을 생략할 수 있으며, 하단설치구들(610,620)은 하단연결플레이트(6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각 연결기둥(12,22)의 설치홀(12a,22a)에 삽입되어 연결기둥(12,22)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하단연결플레이트(600)는 하단설치구들(610,620)의 내부와 각각 연통되는 삽입홀(600a)을 가지며, 하단고정구(800)는 삽입홀(600a) 상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홀(600a)은 상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내주면을 가지며, 상단고정구(800)는 상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외주면을 가진다. 하단고정구(800)는 와이어(W)에 의해 관통된 상태이며, 삽입홀(600a)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다. 즉, 하단고정구(80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이며, 삽입홀(600a)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면, 삽입홀(600a)의 내주면에 의해 하단고정구(800)의 외주면이 가압되어 와이어(W)가 하단고정구(800)에 의해 압착되므로, 와이어(W)가 하단고정구(80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쐐기(wedge) 효과). 다시 말해, 와이어(W)를 당길 경우, 하단고정구(800)가 삽입홀(600a)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져 와이어(W)를 더욱 세게 압착한다.
와이어(W)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공자는 상단고정구(700)를 삽입홀(500a)에 삽입하고 와이어(W)를 상단고정구(70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와이어(W)를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상단고정구(700)를 삽입홀(500a)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이후, 하단고정구(800)를 삽입홀(500a)에 삽입하고 와이어(W)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하단고정구(800)에 관통시킨 후 와이어(W)를 놓는 방법으로 하단고정구(800)를 삽입홀(600a) 상에 고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와이어(W)는 최상부 유닛 모듈부터 최하부 유닛 모듈까지 관통하여, 복수의 연결기둥들을 하나의 연결기둥과 같이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닛 모듈 간의 결속력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접합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3은 외부에 설치된 와이어(또는 하이텐션바)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닛 모듈들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모듈러 구조물은 단위를 이루는 유닛 모듈이 동일 높이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하로 배치되며, 도 13은 동일 높이에 네 개의 유닛 모듈이 배치되고 상하로 네 개의 유닛 모듈이 배치된 형태의 모듈러 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16개의 유닛 모듈).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한 유닛 모듈만을 접합하는 것으로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없으며, 전체 모듈러 구조물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접합 과정과 구조가 필요하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지지구(352)는 모듈러 구조물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유닛 모듈(또는 최하부 유닛 모듈)의 제1 연결기둥(312)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단지지구(354)는 최상부 유닛 모듈의 최상부 연결기둥(442)의 상단에 고정된다. 중간지지구(356,358)는 하단지지구(352)와 상단지지구(354)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플레이트(100)에 고정된다. 와이어(또는 하이텐션바)(W1)는 모듈러 구조물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와이어(W1)의 하단은 하단지지구(352)에 고정되고 와이어(W1)의 상단은 상단지지구(354)에 고정된다. 중간지지구(356,358)는 와이어(W1)의 양단 사이를 각각 지지하며, 중간지지구(356)는 중간지지구(358) 보다 높이가 낮고 하단지지구(352) 및 상단지지구(354) 보다 높이가 높다.
와이어(W1)는 모듈러 구조물의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 모듈들을 수직 방향으로 접합하여, 유닛 모듈 간의 결속력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접합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1)는 미적인 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수평지지구(452,454)는 모듈러 구조물의 상단 양측에 위치하는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에 고정되며, 수평지지구(456,458)는 수평지지구(452,454) 사이에 배치되며, 모듈러 구조물의 내측에 위치하는 유닛 모듈의 연결기둥에 고정된다. 와이어(W2)는 모듈러 구조물의 상측을 따라 배치되며, 와이어(W2)의 양단은 수평지지구(452,454)에 고정되며, 수평지지구(456,458)는 와이어(W2)의 양단 사이를 각각 지지한다. 수평지지구(456)는 수평지지구(458) 보다 높이가 낮고 수평지지구(452,454) 보다 높이가 높다.
와이어(또는 하이텐션바)(W2)는 모듈러 구조물의 상측에 위치하는 유닛 모듈들을 수평 방향으로 접합하여, 유닛 모듈 간의 결속력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접합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2)는 미적인 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중간지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지지구(358)는 연결플레이트(100)에 고정된다. 중간지지구(358)는 수직판과 수평판(359)을 가지며, 수직판과 수평판(359)은 서로 교차한다. 수직판은 몸체(358a) 및 연결구(358b), 그리고 관통구(358c)를 구비하며, 연결구(358b)의 폭은 몸체(358a) 및 관통구(358c)에 비해 작다. 수평판(35)은 수직판의 굽힘 강성을 증가시킨다. 와이어(W1)는 관통구(358c)에 형성된 관통홀들(h1,h2)을 차례로 관통하며, 중간지지구(358)에 의해 지지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하단지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단지지구(352)는 지지바(352a) 및 홀더(352b)를 구비하며, 지지바(352a)는 제1 연결기둥(312)의 하단에 고정된다. 홀더(352b)는 지지바(352a)의 선단에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블레이드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와이어(W1)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스토퍼(S)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지지구(352)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단지지구(354)는 하단지지구(352)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며, 와이어(W1)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스토퍼(S)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하단지지구(352)에 의해 지지된다.
도 16 및 17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을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기둥(12,22,32,42)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연결플레이트(900)는 체결구(f)를 통해 각 연결기둥(12,22,32,42)에 고정된다.
연결플레이트(900)는 사각 평판 형상이며, 제1 및 제2 연결기둥(12,22)의 상단을 덮고, 제3 및 제4 연결기둥(32,42)의 하단을 덮는다. 연결플레이트(900)는 체결구(f)를 통해 각 연결기둥(12,22,32,42)에 고정되며, 각 연결기둥(12,22,32,42)은 연결플레이트(900)를 통해 상호 접합된다. 따라서, 네 개의 유닛 모듈(1,2,3,4)은 상하 좌우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접합되어 하나의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며, 인접한 연결기둥(12,22,32,42) 간의 접합을 통해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연결플레이트와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 사이에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부재(712,722)가 제1 및 제2 연결기둥(12,22)의 상단 외측면에 고정되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3 및 제4 돌출부재(732,742)가 제3 및 제4 연결기둥(32,42)의 하단 외측면에 고정되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기둥(12,22)의 상단 외측면과 제3 및 제4 연결기둥(32,42)의 하단 외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712,722,732,742)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900)는 사각 평판 형상이며, 체결구(f)를 통해 제1 내지 제2 돌출부재(712,722,732,742)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즉,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712,722,732,742)(또는 각 연결기둥(12,22,32,42))는 연결플레이트(900)를 통해 상호 접합된다. 따라서, 네 개의 유닛 모듈(1,2,3,4)은 상하 좌우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접합되어 하나의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며, 인접한 연결기둥(12,22,32,42) 간의 접합을 통해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연결플레이트(900)와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12,22,32,42) 사이의 공간은 외장마감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712,722,732,742)는 외장마감을 통해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체결구 및 복수의 고정바들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을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내지 제4 브라켓(791,792,793,794)은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712,722,732,742) 상에 설치되며, 각각 관통홀을 가진다. 고정바들(781,782,783,784)의 일단은 관통홀을 관통하며, 각 일단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가진다.
체결구(780)는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712,722,732,742)의 중앙에 설치되거나, 제1 및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12,22)와 제3 및 제4 연결기둥의 하단부(32,4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체결구(780)는 고정바들(781,782,783,784)의 타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들을 가지며, 삽입구들은 고정바들(781,782,783,784)의 타단과 마찬가지로 구 형상이다. 고정바들(781,782,783,784)의 일단은 삽입구 내에서 회전가능하므로, 고정바들(781,782,783,784)은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다.
시공자는 고정바들(781,782,783,784)의 일단을 제1 내지 제4 브라켓(791,792,793,794)의 관통홀에 관통시킨 후, 고정바들(781,782,783,784)의 타단을 삽입구에 각각 삽입한다. 이후, 고정바들(781,782,783,784)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너트(N)를 체결한 상태에서, 너트(N)를 회전하면 고정바들(781,782,783,784)에 인장력이 인가되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712,722,732,742)(또는 각 연결기둥(12,22,32,42))는 상호 접합된다. 따라서, 네 개의 유닛 모듈(1,2,3,4)은 상하 좌우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접합되어 하나의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며, 인접한 연결기둥(12,22,32,42) 간의 접합을 통해 안정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회전판(795,796,797,798)은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712,722,732,742)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브라켓(791,792,793,794)은 제1 내지 제4 회전판(795,796,797,798)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회전판(795,796,797,798)을 회전하여 제1 내지 제4 브라켓(791,792,793,794)의 관통홀을 정렬한 상태에서 고정바들(781,782,783,784)의 일단을 제1 내지 제4 브라켓(791,792,793,794)의 관통홀에 관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6)

  1. 제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모듈;
    제2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모듈; 및
    상기 제1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1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1 설치구와, 상기 제2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2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 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설치구를 연결하는 제1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모듈러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 모듈은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설치구는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설치구는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과 상기 제1 및 제2 설치구는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모듈러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기둥의 일단 및 상기 제2 연결기둥의 일단을 덮는, 모듈러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2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n-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n-1 유닛 모듈; 및
    상기 제n-1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n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n 유닛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n-1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n-1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n-3) 설치구와, 상기 제n 연결기둥에 형성된 제n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n-2) 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2n-3) 및 제(2n-2) 설치구를 연결하는 제n-1 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모듈러 구조물(단, n은 4,...,k-1,k, k는 정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설치홀은 상기 제1 내지 제n 연결기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n 연결기둥은 중공형이고,
    상기 제1 내지 제(2n-2) 설치구는 중공형이며,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지 제(2n-2) 설치구와 상기 제1 내지 제n 설치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단이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상부로 노출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하단을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하부에 고정하는 하단고정구; 및
    상기 고정바의 상단을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상부에 고정하는 상단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n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부인접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상부인접 유닛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n 설치홀의 상단에 삽입되는 제1 상단설치구와, 상기 상부인접 연결기둥에 형성된 상부인접 설치홀의 상단에 삽입되는 제2 상단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상단설치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n 연결기둥과 상기 상부인접 연결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단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단고정구는 상기 상단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듈러 구조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상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고정구와 나사결합되는, 모듈러 구조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하부인접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하부인접 유닛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설치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제1 하단설치구와, 상기 하부인접 연결기둥에 형성된 하부인접 설치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제2 하단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하단설치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기둥과 상기 하부인접 연결기둥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단고정구는 상기 하단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모듈러 구조물.
  9.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하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단고정구와 나사결합되는, 모듈러 구조물.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설치홀은 상기 제1 내지 제n 연결기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n 연결기둥은 중공형이고,
    상기 제1 내지 제(2n-2) 설치구는 중공형이며,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지 제(2n-2) 설치구와 상기 제1 내지 제n 설치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단이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상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단을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하부에 고정하는 하단고정구; 및
    상기 와이어의 상단을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상부에 고정하는 상단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n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부인접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상부인접 유닛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n 설치홀의 상단에 삽입되는 제1 상단설치구와, 상기 상부인접 연결기둥에 형성된 상부인접 설치홀의 상단에 삽입되는 제2 상단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상단설치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n 연결기둥과 상기 상부인접 연결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단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단고정구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상단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중공형인 상기 제1 상단설치구의 내부와 연통하고 하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내주면을 가지는 삽입홀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하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모듈러 구조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하부인접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하부인접 유닛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 설치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제1 하단설치구와, 상기 하부인접 연결기둥에 형성된 하부인접 설치홀의 하단에 삽입되는 제2 하단설치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하단설치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기둥과 상기 하부인접 연결기둥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연결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단고정구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하단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중공형인 상기 제1 하단설치구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내주면을 가지는 삽입홀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부를 향해 내측경사진, 모듈러 구조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구 및 상기 상단고정구는 탄성 재질인, 모듈러 구조물.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유닛 모듈의 외측에 연결되는 하단지지구;
    상기 제n 유닛 모듈의 외측에 연결되는 상단지지구; 및
    일단이 상기 하단지지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단지지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하단지지구와 상기 상단지지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중간지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지지구는 상기 하단지지구 및 상기 상단지지구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모듈러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상기 제2 내지 제n-1 연결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모듈러 구조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상기 제2 내지 제n-1 연결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선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모듈러 구조물.
  18. 제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모듈;
    상기 제1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기둥과 인접한 제2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모듈;
    상기 제2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기둥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제3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3 유닛 모듈;
    상기 제3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연결기둥과 인접한 제4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4 유닛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둥의 하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고정구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에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 구조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사각 평판 형상인, 모듈러 구조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 돌출부재;
    상기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2 돌출부재;
    상기 제3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3 돌출부재; 및
    상기 제4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4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기둥의 상단부 측면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모듈러 구조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부재는 외장마감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모듈러 구조물.
  22. 제1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모듈;
    상기 제1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기둥과 인접한 제2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모듈;
    상기 제2 유닛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기둥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제3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3 유닛 모듈;
    상기 제3 유닛 모듈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연결기둥과 인접한 제4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제4 유닛 모듈;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 및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둥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구;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1 브라켓의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는 제1 고정바;
    일단부가 상기 제2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2 브라켓의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는 제2 고정바;
    일단부가 상기 제3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3 브라켓의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는 제3 고정바; 및
    일단부가 상기 제4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4 브라켓의 관통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는 제4 고정바를 포함하는, 모듈러 구조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구 형상인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고정바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삽입구를 가지는, 모듈러 구조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삽입구는 상기 체결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및 수평선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모듈러 구조물.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브라켓은 회전가능한, 모듈러 구조물.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구조물은,
    상기 제1 내지 제4 브라켓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바와 나사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바에 각각 인장력을 인가하는 제1 내지 제4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 구조물.
KR1020150190858A 2015-12-31 2015-12-31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KR20170079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858A KR20170079851A (ko) 2015-12-31 2015-12-31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858A KR20170079851A (ko) 2015-12-31 2015-12-31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297A Division KR101865607B1 (ko) 2017-07-20 2017-07-20 외장와이어를 통해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KR1020170092296A Division KR101878229B1 (ko) 2017-07-20 2017-07-20 체결구 및 브라켓을 통해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KR1020170166245A Division KR20170137026A (ko) 2017-12-05 2017-12-05 현장작업 최소화를 위한 모듈러 구조물의 인장체결 구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851A true KR20170079851A (ko) 2017-07-10

Family

ID=5935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858A KR20170079851A (ko) 2015-12-31 2015-12-31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851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732A (zh) * 2019-06-13 2019-09-27 中国矿业大学 一种模块化集装箱建筑连接节点
KR102112600B1 (ko) * 2018-12-13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7910B1 (ko) * 2020-04-29 2021-04-08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KR102237909B1 (ko) * 2020-04-29 2021-04-08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중목구조 모듈유닛
KR102237911B1 (ko) * 2020-04-29 2021-04-08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적층패널형 모듈유닛
CN112627336A (zh) * 2020-12-11 2021-04-09 天津大学 一种可拆卸式锥头螺栓钢结构模块建筑单元间连接节点
KR102302428B1 (ko) * 2020-12-01 2021-09-16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KR20210133644A (ko) * 2020-04-29 2021-11-08 휴인 주식회사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KR20210133628A (ko) * 2020-04-29 2021-11-08 휴인 주식회사 목재기둥의 직립성이 향상된 목조 구조물
CN114182985A (zh) * 2020-09-15 2022-03-15 纳米及先进材料研发院有限公司 一种用于模块化组装合成建筑的可逆自锁互连系统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600B1 (ko) * 2018-12-13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122307A1 (ko) *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284732A (zh) * 2019-06-13 2019-09-27 中国矿业大学 一种模块化集装箱建筑连接节点
CN110284732B (zh) * 2019-06-13 2024-02-27 中国矿业大学 一种模块化集装箱建筑连接节点
KR102237910B1 (ko) * 2020-04-29 2021-04-08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KR102237909B1 (ko) * 2020-04-29 2021-04-08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중목구조 모듈유닛
KR102237911B1 (ko) * 2020-04-29 2021-04-08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적층패널형 모듈유닛
KR20210133644A (ko) * 2020-04-29 2021-11-08 휴인 주식회사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KR20210133628A (ko) * 2020-04-29 2021-11-08 휴인 주식회사 목재기둥의 직립성이 향상된 목조 구조물
CN114182985A (zh) * 2020-09-15 2022-03-15 纳米及先进材料研发院有限公司 一种用于模块化组装合成建筑的可逆自锁互连系统
KR102302428B1 (ko) * 2020-12-01 2021-09-16 휴인 주식회사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CN112627336A (zh) * 2020-12-11 2021-04-09 天津大学 一种可拆卸式锥头螺栓钢结构模块建筑单元间连接节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9851A (ko)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CN108292828B (zh) 用于开关柜结构的机架
US20160060865A1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878229B1 (ko) 체결구 및 브라켓을 통해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KR20140001993U (ko) 시공성이 우수한 마루틀 지지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여 시공된 시스템 마루
KR101865607B1 (ko) 외장와이어를 통해 현장의 설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합방식을 채택한 모듈러 구조물
AU2015349624A1 (en) Assembly of modules for a structure
KR20150047701A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JP2004183244A (ja) 壁構造体
KR20160027595A (ko) 골조 모듈러 구조물
KR20170137026A (ko) 현장작업 최소화를 위한 모듈러 구조물의 인장체결 구조시스템
JP6213892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200481764Y1 (ko) 각 파이프형의 조립식 물탱크용 보조 베이스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조립식 물탱크 시스템
KR20170139923A (ko) 조립식 파티션
JP6279952B2 (ja) 柵ビームの支柱取付金具
CN210686536U (zh) 安装定位件、框架组件及显示屏
JP2020076282A (ja) 建物の接合構造
JP2019065668A (ja)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474849B1 (ko) 개별 외장 패널 탈부착용 브라켓
JP5419311B1 (ja) 外装用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取付工法
JP5038926B2 (ja) フェンス及びフェンス構造
JP2013002171A (ja) 建築用補強金物
KR20060131066A (ko) 프레임 조립용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