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923A - 조립식 파티션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923A
KR20170139923A KR1020160072535A KR20160072535A KR20170139923A KR 20170139923 A KR20170139923 A KR 20170139923A KR 1020160072535 A KR1020160072535 A KR 1020160072535A KR 20160072535 A KR20160072535 A KR 20160072535A KR 20170139923 A KR20170139923 A KR 2017013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rame
vertical
inner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잇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잇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잇쳐스
Priority to KR102016007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923A/ko
Publication of KR2017013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1L-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조립식 파티션이 개시된다. 상기 조립식 파티션은,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기둥형상의 복수의 수직부재,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수직부재와 하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 평평한 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파티션{Assembled partition}
본 발명은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을 쉽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고 조립된 프레임에 커버를 씌워 파티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칸막이)은 사무실 또는 책상 등의 가구에 부착하여 실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구획함으로써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거나 각 부서 간의 공간을 차단하여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주로 책상의 전방이나 좌우측방에 병풍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다수개의 파티션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함께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파티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필요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파티션을 책상 사이에 끼워 간이로 고정시켜야 하고, 또 다른 예로는 다수개의 파티션을 'ㄱ'자 또는 'ㄷ'자 형태 등으로 연결시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파티션은 간편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고, 설치 후에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파티션은 프레임에 판넬이 결합된 상태로 제작되어 배송되므로 무겁고 배송이나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2796호에 조립식 파티션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조립식 파티션의 경우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은 단면이 원형 구조로 형성되고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각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위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호 접촉되는 밀착면적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각 프레임 부재들간의 체결성 및 고정력이 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티션들은 연결 시 직진성 확보가 어려워 파티션들을 반듯하게 세워진 상태로 연결하기 어렵고, 바닥에서 일정 간격을 띄운 상태로 연결 시 불안정한 상태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으며, 프레임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각각의 부재의 연결부위가 쉽게 뒤틀어짐에 따라 파티션의 형태가 변형되어 프레임이 분리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티션의 형태을 이루는 프레임의 각 부재들 간의 밀착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각 부재들 간의 체결성 및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직진성을 확보하여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은,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기둥형상의 복수의 수직부재,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수직부재와 하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 평평한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부프레임은,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들 중 대응하는 홀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단부에 접하도록 양단이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내부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재는 일자형 평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체결부재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이 대응하는 홀들에 삽입되어 수직부재와 상단부재 또는 수직부재와 하단부재, 수직부재와 내부프레임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는, 일자 형태로 구성되어 수평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내부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재는 또는 상기 제2체결부재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이 대응하는 홀들에 삽입되어 수직부재와 상단부재 또는 수직부재와 하단부재, 수직부재와 내부프레임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수직부재는, 내측 방향을 향해 홈이 형성되도록 세로 방향 긴축의 양측단 일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수직부재의 홈에 내부프레임 또는 체결부재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은, 양단이 절곡 형성되고, 양단 부분이 상기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수직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절곡된 양단에 형성된 홀과 수직부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들 중 대응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을 상기 수직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닥에 접하도록 상기 하단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수직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체결수단을 통해 하단부재에 형성된 홀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은 파티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상단부재, 하단부재,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가 상호간에 결합되는 부분을 평평한 판형 구조로 형성하고 체결 시 밀착면적이 커지도록 체결함으로써 프레임의 연결부위의 체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티션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체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파티션 조립 후 쉽게 형태가 변형되거나 분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에 커버가 결합된 조립식 파티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프레임에 받침대를 결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조립식 파티션에 받침대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의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파티션을 연결대상물에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의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프레임에 커버가 결합된 조립식 파티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은 파티션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의 구성들간의 체결성 및 고정력을 향상시켜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파티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식 파티션(300)은 크게, 프레임(100) 및 커버(2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조립식 파티션(300)의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110) 및 외부프레임(110)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외부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평평한 판형 또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외부프레임(110)은 복수개의 수직부재(111), 상단부재(112) 및 하단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111)는 일자형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두고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재(111)에는 후술하는 내부프레임(120)을 특정 간격마다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재(112)는 후술하는 체결부재(130)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직부재(111)들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단부재(112)와 하단부재(113)는 상기 수직부재(111)의 일단부에 접하도록 양단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도 1에 도시 됨)되어, 상기 상단부재(112)의 양단은 각 수직부재(111)의 일단에 접하고, 상기 하단부재(113)의 양단은 각 수직부재(111)의 타단에 접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단부재(112)는 양단이 절곡되어 ┌┐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단부재(113)는 양단이 절곡되어 └┘자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상단부재(112)와 하단부재(113)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 위치에 따라 상호 호환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상단부재(112) 및 하단부재(113)에는 체결부재(130)와 체결되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외부프레임(110)의 수직부재(111), 상단부재(112) 및 하단부재(112)의 결합에 의해 조립식 파티션(300)의 외형을 이루도록 네모 형태로 완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프레임(120)은 상기 수직부재(111)들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다. 다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120)은 수직부재(111)들 사이뿐 아니라 상기 상단부재(112) 중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부분 사이 또는 하단부재(113) 중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부분 사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직부재(111)에 수평부재(121)가 결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부프레임(120)은 외부가 평평한 판형 또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부재(111)들 각각에 형성된 홈 위치에 내부프레임(120)이 위치되고 후술하는 체결부재(130)를 통해 수직부재(111)를 포함하는 외부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외부프레임(110)과 내부프레임(120)은 타공된 홀에 체결부재(130)를 통해 볼팅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다른 체결수단(볼트 외)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프레임(110)에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들 중 상기 내부프레임(120)에 형성되어 대응하는 홀에 체결수단(예컨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외부프레임(110)에 내부프레임(120)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프레임(120)은 외부프레임(110)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외부프레임(110)의 보강력을 강화시켜 형태 유지를 도모하여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상단부재(112), 하단부재(113), 수직부재(111) 및 수평부재(121)는, 상호간의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 평평한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이 연결되는 부분을 평평한 판형 구조로 형성하여 조립 시 밀착면적이 커지도록 체결함으로써 프레임(100)의 연결부위의 체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체결부재(130)는 상기 외부프레임(110) 및 내부프레임(120)을 상호 결합하여 체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재(130)는 상기 수직부재(111)와 상기 상단부재(112), 하단부재(113)를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131) 및 상기 수직부재(111)와 상기 내부프레임(120)를 연결하기 위한 제2체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체결부재(131)를 통해 상기 수직부재(111)의 양단에 대해 상, 하측 방향으로 상단부재(112)와 하단부재(113)가 배치되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수직부재(111)와 상단부재(112) 또는 하단부재(113)가 결합되고, 상기 제2체결부재(132)를 통해 상기 수직부재(111)의 내측면에 대해 내부프레임(120)이 수평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재(131)와 제2체결부재(132)는 상단부재(112), 하단부재(113)와 수평부재(121)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1체결부재(131)는 일자형의 구조로 형성되고, 제2체결부재(132)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30)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재(112) 및 하단부재(113)는 수직부재(111)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내부프레임(120)은 수직부재(111)의 복수개의 홀 위치 중 대응하는 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부재(112), 하단부재(113), 수직부재(111) 및 내부프레임(120)에 형성된 홀과 체결부재(130)에 형성된 홀이 일치되도록 체결부재(130)를 위치시킨 후 체결수단(예컨대, 볼트)을 이용하여 볼팅결합하여 각각을 서로 연결하도록 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도 1의 프레임에 커버가 결합된 조립식 파티션의 사시도로서, 상기 프레임(100)에는 프레임(100)을 감싸도록 커버(20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200)는 프레임(100)을 감싸 조립식 파티션(300)이 공간을 구획하여 시야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200)는 직물이나 피혁, 합성피혁,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커버(200)는 반투명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이나 재질이 합쳐져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200)는 프레임(100)의 양면을 감싸면서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200)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모서리들에 커버의 앞면과 뒷면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의 상단 양쪽 모서리들에 상기 탈부착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200)를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수단을 이용하여 커버(200)의 상단을 개방한 후 커버(20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프레임(100)에 커버(200)를 결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200)를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방법은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부착수단은 지퍼, 벨크로, 클립, 단추, 버튼, 접착제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커버(200)는 일면에 커버(200) 중 일부분을 분리하기 위한 절개라인(210)이 관통홀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는 외부프레임(110) 또는 내부프레임(120)을 노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커버(200) 중 일부분을 분리하기 위한 절개라인(210)이 관통홀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200)에 형성된 절개라인(210)을 따라 커버(200) 중 일부분을 분리하여 조립식 파티션(300)을 연결대상물에 고정하거나(도 9에 도시 됨) 조립식 파티션(300)들끼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연결대상물이라 함은, 조립식 파티션(300)과 결합되어 조립식 파티션(3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탁자나 책상과 같은 가구 또는 벽에 돌출된 부분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립식 파티션(300)은 상기 프레임(100)을 수직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프레임에 받침대를 결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조립식 파티션에 받침대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140)는 일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하단부재(113)에 설치된다. 조립식 파티션(300)은 받침대(140)를 결합하여 독립식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140)는 상기 하단부재(113)에 안착되는 안착부(141) 및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41)는 받침대(140)의 중간 부분에 해당하며 하단부재(113)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부(141)는 중심부분이 상측으로 절곡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42)는 상기 안착부(141)와 대응되도록 안착부(141)의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41)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하단부재(113)의 두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140)는 체결수단(예컨대, 볼트 등)을 통해 하단부재(113)에 형성된 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41)에 형성된 홀을 통해 받침대(140)는 하단부재(113)와 볼팅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40)는 하단부재(113)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가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200)가 설치된 경우에는 하단부재(113)에 위치된 절개라인(210)을 분리하여 해당 위치에 받침대(14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의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단부재(112)와 하단부재(113)는 상기 수직부재(111)의 상, 하측 단부와 접하도록 일자 형태로 수평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부재(11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되 파티션의 구조에 따라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수직부재(111)보다 상단부재(112)와 하단부재(113)의 길이는 길거나 짧게 유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재(112)와 하단부재(113)을 구성할 경우에는 수직부재(111)와 상단부재(112) 또는 수직부재(111)와 하단부재(113)를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131)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재(131)와 제2체결부재(132)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호 호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체결수단이 대응하는 홀들에 삽입되어 수직부재(111)와 상단부재(112) 또는 수직부재(111)와 하단부재(113), 수직부재(111)와 내부프레임(120)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프레임(120)을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양단이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단부재(112), 하단부재(113) 및 수직부재(111)는 내측 방향을 향해 홈이 형성되도록 세로 방향 긴축의 양측단 일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양측단 일부가 꺾인 'ㄷ'자 형상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공간인 홈에는 내부프레임(120) 및 체결부재(130)가 밀착되어 삽입된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는, 양측단 일부가 꺽인 레일형태의 구조를 갖을 수 있음으로써 내부프레임(120) 및 체결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수직부재(111), 상단부재(112), 하단부재(113) 및 내부프레임(120) 간의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120)은 양단이 수직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이 상기 수직부재(1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 내부프레임(120)을 수직부재(111)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체결부재(132)의 생략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파티션을 연결대상물에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파티션(300)이 연결대상물에 설치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모습의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조립식 파티션(300)은 상기 받침대(140)를 생략하고 복수개의 조립식 파티션(300)으로 구성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유지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립식 파티션(300)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대상물에 조립식 파티션(30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 즉, 클램프(C)를 이용하여 연결대상물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C)는 절개라인(210)을 따라 커버(200) 중 일부분이 분리되어 노출된 외부프레임(110) 또는 내부프레임(120)과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어 조립식 파티션(300)을 연결대상물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클램프(C)는 상기 수평부재(121)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연결대상물(T)에 지지될 수 있는 구성이면 특정 구조의 클램핑수단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지, 연결대상물(T)에 조립식 파티션(300)이 지지된 채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클램프(C)를 이용하여 조립식 파티션(300)과 연결대상물(T)의 전면부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대상물(T)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클램프(C)의 설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클램프(C)의 개수를 정하여 해당 위치의 커버(200) 절개라인(210)을 분리 후 클램프(C)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개의 조립식 파티션(300)을 연결해서 설치하고자 할 경우 각각의 조립식 파티션(300) 사이에는 클립(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클립은 조립식 파티션(300)을 연결하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힌지결합수단, 연결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300)은 평평한 판형 구조의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상호간의 밀착면적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의 연결부위 체결성을 향상시켜 프레임(100)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파티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10: 외부프레임
111: 수직부재 112: 상단부재
113: 하단부재 120: 내부프레임
130: 체결부재 131: 제1체결부재
132: 제2체결부재 140: 받침대
141: 안착부 142: 지지부
200: 커버 210: 절개라인
300: 조립식 파티션

Claims (8)

  1.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기둥형상의 복수의 수직부재,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수직부재와 하단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 평평한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은,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들 중 대응하는 홀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단부에 접하도록 양단이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내부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재는 일자형 평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체결부재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이 대응하는 홀들에 삽입되어 수직부재와 상단부재 또는 수직부재와 하단부재, 수직부재와 내부프레임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는,
    일자 형태로 구성되어 수평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내부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재는 또는 상기 제2체결부재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이 대응하는 홀들에 삽입되어 수직부재와 상단부재 또는 수직부재와 하단부재, 수직부재와 내부프레임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수직부재는,
    내측 방향을 향해 홈이 형성되도록 세로 방향 긴축의 양측단 일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수직부재의 홈에 내부프레임 또는 체결부재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양단이 절곡 형성되고,
    양단 부분이 상기 상단부재, 하단부재 및 수직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부재 및 하단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절곡된 양단에 형성된 홀과 수직부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들 중 대응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을 상기 수직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8. 제1항에 있어서,
    바닥에 접하도록 상기 하단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수직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체결수단을 통해 하단부재에 형성된 홀에 체결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KR1020160072535A 2016-06-10 2016-06-10 조립식 파티션 KR20170139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535A KR20170139923A (ko) 2016-06-10 2016-06-10 조립식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535A KR20170139923A (ko) 2016-06-10 2016-06-10 조립식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23A true KR20170139923A (ko) 2017-12-20

Family

ID=6093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535A KR20170139923A (ko) 2016-06-10 2016-06-10 조립식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9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24B1 (ko) * 2019-01-09 2020-01-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경량 파티션 구조체
KR20210017647A (ko) 2019-08-09 2021-02-17 뷰로맥스 주식회사 사무용 칸막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24B1 (ko) * 2019-01-09 2020-01-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경량 파티션 구조체
KR20210017647A (ko) 2019-08-09 2021-02-17 뷰로맥스 주식회사 사무용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7165A (en) Panel system
US6615550B2 (en) Covered work space arrangement
JP2005517841A (ja) パネルシステム
KR20170139923A (ko) 조립식 파티션
US4561229A (en) Modular screen assembly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4635647B2 (ja) 家具の脚装置
JPH11152825A (ja) 展示用仕切壁のための仕切要素
KR20130007219U (ko) 조립용 파티션
US6170211B1 (en) Demountable wall system
KR101804105B1 (ko)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KR200465616Y1 (ko)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101562796B1 (ko) 조립식 파티션
JP3954359B2 (ja) 共有空間構造体
JP4806752B2 (ja) 天板付家具
JP5630386B2 (ja) デスクの仕切装置
JP6815056B1 (ja) 間仕切り付組立式デスク
KR101887374B1 (ko) 단위 조립형 지주 커넥터 프레임
JPH11318586A (ja) 組み立て式家具
KR20230001722U (ko) 파티션 패널의 다방향 조립구조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JP2009261821A (ja) ワークステーション
JP7449012B2 (ja) 天板及び屋内外装置品
KR20160004426U (ko) 조립식 벽 선반
JP7249128B2 (ja) パネル付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