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105B1 -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 Google Patents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105B1
KR101804105B1 KR1020170134488A KR20170134488A KR101804105B1 KR 101804105 B1 KR101804105 B1 KR 101804105B1 KR 1020170134488 A KR1020170134488 A KR 1020170134488A KR 20170134488 A KR20170134488 A KR 20170134488A KR 101804105 B1 KR101804105 B1 KR 101804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support
shelf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이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진 filed Critical 이종진
Priority to KR102017013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 A47B57/58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with connection means slidable in a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 전체가 조립 및 절곡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서가에 대한 조립성 향상과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단을 마감하는 상부프레임(10)과; 하단을 마감하는 하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외형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30); 및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30) 사이에 구성되어 복열서가가 구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프레임(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A BOOKSTACK}
본 발명은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 전체가 조립 및 절곡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서가에 대한 조립성 향상과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유치원, 학교 또는 도서관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많은 책 및 장식물 등을 꽂아두거나 진열하기 위한 서가가 설치된다.
특히, 도서관 또는 학교 등의 공공장소 내에 설치된 서가는 복수의 서가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서가 사이를 다니면서 꽂혀있는 책을 찾아 열람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서가는 서가층판의 받침구가 되는 결속편을 끼움고정시키기 위한 결속구멍을, 서가를 형성하는 원목의 통판이나 수겹의 합판으로 된 좌,우측주벽 및 중간주벽에 직접 뚫어 설치하였으므로, 사용시에 서가층판의 하중에 의해 결속구멍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서가의 각 부분을 일체의 목재로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서가 세로변의 폭이 40㎝이상이 되려면 원목의 직경이 상당히 큰 것을 사용, 제재해야만 하고, 그렇게 큰 원목을 사용한다 하여도 얻어지는 판재의 량은 소량이면서 제작공정이 까다로울 수 밖에 없으며, 또한 서가를 형성하는 좌, 우측주벽 및 중간주벽이 통판재이기 때문에 폭이 40㎝이상이면 목재의 성질상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헙성이 있고, 무엇보다도 제작원가가 상당하여 서가를 많이 필요로하는 도서관이나 관공서 등에서는 적지 않은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서가가 전체적으로 원목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하중이 상당하여 취급이 불편하고, 목재를 통째로 가공하여 목재만으로 구성하여야 하므로 자연환경의 보전과 제한된 자원의 활용의 극대화에 부응하지 못할뿐 아니라, 수출이나 장거리 이송을 위해 콘테이너에 실어 해상이나 육로로 운반하는 경우에는 무게가 너무 무거워 선적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공보 제1997-2944호의 서가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격벽(56)으로 분리되고 양측에 삽입부가 형성된 금속재 빔(52)의 양측으로 서가를 형성하는 각주벽이 되는 기둥판(51)이 각각 끼워지게 하며 기둥판(51)과 금속재 빔(52)의 적정위치에 서가층판이 되는 각 받침판(53)을 다단으로 결합설치한 후 금속재 빔(52)의 상,하단부에 상부판(54)과 하부받침판(55)을 조립한 금속재 빔을 연결부재로 사용하는 양면 서가임을 알 수 있다.
즉, 좌,우측주벽 및 중간주벽이 되는 목재로 된 기둥판(51)을 금속재 빔(52)을 사용하여 2개의 기둥판(51)으로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기동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구성이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둥판(51) 역시 목재로 되어 있어 자체 하중이 상당하고, 특히 기둥판(51)에 고정된 받침판(53)의 결속편(고정핀)을 자주 교체하면서 사용함에 따라 기둥판(51)의 결속구 주변을 파괴하게 되어, 결국은 목재에 형성된 결속구가 망가져 기둥판(51)에 받침판(53)을 결속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으며, 육안으로 볼 때 금속재 빔(52)이 넓은 면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미관상도 좋지 못했던 것이다.
종래의 특허 제10-1623938호의 가구 프레임은, 연결 브라켓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1연결홀 및 체결돌기가 삽입 및 고정되는 돌기고정홀이 복수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연결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수평 프레임 및 연결 브라켓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수직 및 수평프레임과 연결 브라켓을 결합하고, 그 선단부에 수직 프레임의 일면에 가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돌기가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과 체결되는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캡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 내측면에 밀착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상부 연결 브라켓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 및 고정패널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가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 단부에 지지부재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부 연결 브라켓이 구성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에 기둥이 형성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외부에서 책의 진열 또는 보관상태를 육안으로 식별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37062호의 서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주벽(10)(20)과 중간주벽(30), 상,하부지지판(40)(42)과 중간층판(44)으로 구성된 서가(1)에 있어서, 수직으로 입설 설치되는 좌,우측주벽(10)(20)과 중간주벽(30)의 전,후방의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끼움홈(11)(3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1)(31)에 끼움돌기(14a)(34a)와 보강재걸림홀(14b)(34b)이 형성된 알루미늄보강재(14)(34)를 끼움 결합시켜 부착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설된 좌, 우측주벽(10)(20)의 내측 및 중간주벽(30)의 양측 중앙부로 삽입홈(13a)(13b)(33a)(33b)이 형성하여 보강지지판걸림홀(16b)(36b)이 형성된 알루미늄보강지지판(16)(36)을 부착하고, 상기 입설된 좌,우측주벽(10)(20)과 중간주벽(30)의 상단 및 하단 내측으로 상,하부지지판(40)(42)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며, 중간부로는 다수의 중간층판(44)이 끼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서가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측벽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돌기가 구성된 받침판 사이에 단순히 끼워 맞춤 정도의 교합구조를 가짐에 따라, 서가의 특성상 장시간 정하중을 받게되고, 이로 인해 받침판보다 상대적으로 돌기에 집중됨에 따라 상기 돌기가 쉽게 파손되는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합해 보면, 종래의 서가들은 외부에서 책의 진열 또는 보관상태를 육안으로 식별되어 외관의 미려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함께, 책을 받침하는 브라켓 또는 받침대의 구조가 단순하여 장시간 진열 또는 보관할 때 상기 브라켓 또는 받침대가 휘어지는 등의 내구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브라켓 또는 받침대가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서가를 조립할 때 상기 브라켓 또는 받침대의 위치를 구별하여야 하는 조립의 불편성과 함께, 위치에 맞춰 브라켓 또는 받침대를 이중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서가들은 양측면 및 중간부분에 기둥이 위치되고, 이 경우, 서적을 조밀하게 진열 또는 보관할 때, 기둥의 두께에 의해 끝단에 밀착되는 서적의 측면이 가려져 제목 등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69301호(2002.03.2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37062호(2003.12.31.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694505호(2017.01.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 전체가 조립 및 절곡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서가에 대한 조립성 향상과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을 마감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단을 마감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외형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복열서가가 구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면과, 상기 상면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하고 양단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공이 형성되는 장측면과, 상기 상면의 타측면 테두리를 형성하고 양단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공이 형성되는 단측면 및 상기 상면의 저면에 구성되는 복수의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 사이에 구성되고, 외부측에 마감처리하는 외부면과, 상기 외부면의 양단 각각에서 내측으로 일정폭 절곡되고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너트가 고정되는 복수의 절곡면과, 상기 복수의 절곡면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 및 상기 체결너트가 커버되도록 지지하는 커버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절곡면 중 하단부에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구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되는 기둥패널과, 상기 기둥패널의 외부측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일정폭 형성되고 상호 대칭되게 고정되는 마감브라켓과, 상기 기둥패널의 외부측의 상단부에 고정된 마감브라켓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부마감패널과, 상기 상부마감패널의 하단에 일정폭 구성되어 외부에서 진열 또는 보관목록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패널과, 상기 식별패널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기둥패널의 하단부에 구성된 마감브라켓에 지지되어 마감처리하는 하부마감패널과, 상기 기둥패널의 양단 측면 각각에 구성되어 마감처리하는 측면마감패널과, 상기 기둥패널의 내부측 상단부에 구성되어 상부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받침브라켓 및 상기 기둥패널의 내부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하부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칸막이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되는 기둥패널과, 상기 기둥패널의 내, 외부측 상단부 각각에 구성되어 상부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받침브라켓 및 상기 기둥패널의 내, 외부측 하단부 각각에 구성되어 하부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의 기둥패널에 구성된 다수의 걸이공을 통해 받침,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구성되고 하단에 보강프레임이 고정되고 상단에 진열 또는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에 양단 각각 지지되어, 상기 받침프레임을 통해 진열 또는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책분리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둥패널은, 양단 각각에 다수의 걸이공이 형성되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의 양단 각각에 일정폭 일체형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상부 및 하부프레임이 체결,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너트는 일단을 상기 절곡부에 삽입한 후 타격에 의해 후 가공처리로 일단이 상기 절곡부에 밀착, 고정되는 인서트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별패널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을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되어 내측에 식별판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양단 각각에 일정깊이 함몰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일정크기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식별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창; 및 상기 장착공간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성되어 기둥패널에 자착됨에 따라 상기 식별판을 안정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자석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프레임은, 양단 각각에 구성되는 복수의 밀착면과; 상기 복수의 밀착면 사이의 중앙에 일정높이 돌출되게 구성되는 중간보강; 및 상기 복수의 밀착면 양단 각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측에 책분리받침대의 상단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책분리받침대는, 상단부에 구성되어 보강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수평안착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평안착부재의 양단 각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안착부재와 와이어로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수평안착부재의 상단을 오므릴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 전체가 조립 및 절곡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서가에 대한 조립성 향상과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일례들을 도시한 서가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일례를 도시한 서가로서,
2a는 사시도, 2b는 좌측주벽 분리 사시도, 2c는 중간주벽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프레임의 도면으로서,
5a는 전개도이고, 5b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기둥패널에 대한 도면으로서,
10a는 분해사시도이고, 10b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상부마감패널 도면으로서,
11a는 전개도이고, 11b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식별패널에 대한 도면으로서,
12a는 사시도이고, 12b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하부마감패널 도면으로서,
13a는 전개도이고, 13b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측면마감패널의 결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프레임의 도면으로서,
15a는 사시도이고, 15b는 단면도이다.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패널에 고정너트의 인서트 과정도.
도 17은 보강프레임 및 책분리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프레임에 책분리받침대의 결합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프레임의 결합 정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프레임의 결합 측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서가(1)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과, 복수의 측면프레임(30) 및 칸막이프레임(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30) 사이에 구성되어 상단부를 마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10)은 복수의 측면프레임(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되는 칸막이프레임(40) 사이사이에 구성되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110)과, 상기 상면(110)의 테두리 중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측면에 구성되는 장측면(120) 및 상기 상면(110)의 테두리 중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측면에 구성되는 단측면(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측면(120)은 제1 내지 제3절곡(122)(124)(126)을 통해 상기 상면(110)의 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절곡(122)은 상부프레임(10)의 측면두께를 형성하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절곡(122)의 양단부에는 측면프레임(30) 및 칸막이프레임(40)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공(128)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절곡(124)은 상기 제1절곡(122)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폭 절곡되어 장측면(120)의 1차 보강력을 지지한다.
상기 제3절곡(126)은 상기 제2절곡(124)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일정높이 절곡되어 장측면(120)의 2차 보강력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3절곡(126)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삽입공(128)을 통해 체결수단이 삽입될 때 상기 제3절곡(126)의 돌출높이에 간섭되지않고 안정적으로 체결이 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반원형상의 노치(129)가 형성된다.
상기 단측면(130)은 제1 및 제4절곡(132)(134)을 통해 상기 상면(110)의 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절곡(132)은 상기 장측면(120)의 제1절곡(122)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제1절곡(132)의 양단부에는 측면프레임(3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공(136)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삽입공(136)은 단측면(130)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상기 단측면(130)과 측면프레임(30)이 밀착되는 부분을 통해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하고, 예컨대, 상기 단측면(130)과 칸막이프레임(40)이 밀착될 경우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되지 않는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측면(130)과 칸막이프레임(40) 사이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4절곡(134)은 상기 제1절곡(132)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폭 절곡되어 단측면(130)의 1차 보강력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4절곡(134)은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에 의해 받침되도록 구성되어, 상부프레임(10)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4절곡(134)은 상기 제1절곡(132)의 양단에서 일정공간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장측면(120)의 제2절곡(124)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상기 장측면(120) 및 단측면(130)의 하단면이 일치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0)에 대한 보강력을 향상시키도록 일정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보강프레임(50)이 구성된다.
상기 보강프레임(50)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양단에 구성되는 복수의 밀착면(52)과, 상기 복수의 밀착면(52) 사이에 구성되고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보강프레임(50)의 자체 보강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중간보강(54) 및 상기 복수의 밀착면(52)의 끝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받침날개(56)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면(52)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상에 밀착되게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한 보강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한다.
예컨대, 상기 상부프레임(10)의 경우 상면(110)의 저면에 상기 밀착면(52)이 밀착된 후 점용접 등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일체화된다.
상기 중간보강(54)은 상기 복수의 밀착면(52) 사이에서 일정높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프레임(50)의 보강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중간보강(54)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날개(56)는 상기 밀착면(52)의 끝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날개(56)의 기울기에 의해 책분리받침대(60)의 상단부분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받침날개(56)와 밀착면(52) 사이에는 절곡시 일정 반경을 가지는 라운딩을 형성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책분리받침대(60)의 일단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50)은 원판을 절곡시킨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책분리받침대(60)는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수평안착부재(62) 및 상기 복수의 수평안착부재(62) 각각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서가(1)에 진열되는 책들의 분리 및 받침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수직부재(64)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안착부재(62)는 상기 보강프레임(50)의 받침날개(56)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고정력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평안착부재(62)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받침날개(56) 각각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보강프레임(50)에서 분리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복수의 수평안착부재(62)를 내측방향으로 오므림에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책분리받침대(60)는 하나의 와이어를 절곡시켜 일체화함에 따라 자체 탄성을 가진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기 측면프레임(30) 사이의 하단에 구성되어, 하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은 'C'형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외부측에 위치되고 일정폭을 가지는 외부면(210)과, 상기 외부면(210)의 양단 각각에서 일정길이 절곡되는 절곡면(220) 및 상기 외부면(210)과 절곡면(220) 사이에 구성되어 하부프레임(20)의 보강력을 지지하는 커버브라켓(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면(210)의 양단 각각에는 측면프레임(30)과 칸막이프레임(40)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 고정되는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삽입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면(220) 중 하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방진구(240)의 일단이 체결, 고정되고록 지지하는 채결너트(222)가 구성된다.
상기 커버브라켓(230)은 상기 외부면(210)과 절곡면(220) 사이 즉, 상기 외부면(210)의 상, 하단에 구성되는 복수의 절곡면(2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절곡면(220)을 받침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하부프레임(20)의 보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커버브라켓(230)은 절곡면(220)에 구성되는 체결너트(22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너트(222)가 위치된 부분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구(240)는 일단이 상기 체결너트(222)에 체결되고 타단에 고무 또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및 흡수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서가(1)에 작용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측면프레임(30)은 서가(1)의 외측면 즉, 좌,우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구성하여 틀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측면프레임(30)은 기둥패널(310)과, 상기 기둥패널(310)의 외부측에 구성되는 상부마감패널(320)과, 식별패널(330)과, 하부마감패널(340) 및 상기 기둥패널(310)의 측면에 구성되는 측면마감패널(350)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패널(310)은 중간판(312)과, 상기 중간판(312)의 양단 각각에 일정폭으로 구성되는 절곡부(314)와, 상기 중간판(312)의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걸이공(316) 및 상기 절곡부(314)의 상부 및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는 고정너트(318)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판(312)은 일정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서가(1)의 전체적인 크기에 맞춰 폭과 길이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중간판(312)과 절곡부(314)은 하나의 원판을 절단 및 절곡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314)는 상기 중간판(312)의 양단 각각에서 연장되고 절곡가공방식에 의해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복수로 겹쳐지는 절곡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기둥패널(310)의 보강력 및 지지력이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314)에는 측면마감패널(350)을 체결수단을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4삽입공(315)이 형성된다.
상기 제4삽입공(315)은 상기 절곡부(3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316)은 상기 중간판(312)의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 사이에 구성되는 받침프레임(70)의 고정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프레임(7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너트(318)는 절곡부(314)의 상,하부 각각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어, 측면프레임(30)에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3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을 절곡부(314)에 삽입시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한 후, 타격 등을 통해 돌출부가 절곡부(314)의 일측에 밀착되면서 압입되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절곡부(314)의 절곡을 지지하면서 상기 절곡부(314)에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인서트고정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마감패널(320)은 측면(322)과, 상기 측면(322)의 테두리 중 길이 긴 부분에 해당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장측면(324), 및 상기 측면(322)의 테두리 중 길이 짧은 부분에 해당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단측면(32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측면(324)은 2번의 절곡가공을 통해 상기 측면(322)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에 일정폭을 가지는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면에 기둥패널(310)에 밀착시킨 후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328)이 구성된다.
상기 단측면(326)은 상기 측면(322)의 테두리에서 일정폭 절곡시켜, 상기 상부마감패널(320)의 보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식별패널(330)은 일정크기로 형성되어 기둥패널(310)의 일측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몸체(332)와, 상기 몸체(332)의 양단 각각에는 자석브라켓(338)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몸체(332)에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측에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알림판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3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32)의 전체에 구성되지 않고, 양단 각각에 일정폭을 가지고 일정깊이 함몰되는 장착공간(3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332)의 일단 즉, 외부에서 식별되는 면에 일정크기를 가지는 표시창(33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334)에 수납된 알림판 등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창(336)에는 상기 수납공간(334)에 수납된 알림판 등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이 형성된다.
상기 자석브라켓(338)은 'ㄷ'형상의 찬넬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33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자석브라켓(338)은 억지끼움맞춤과 함께 점용접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자석브라켓(338)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339)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식별패널(330)이 기둥패널(310)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고정되지 않고 자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식별패널(330)이 기둥패널(310)에 용이하게 자착,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져 상기 식별패널(330)의 수납공간(334)에 알림판 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하부마감패널(340)은 측면(342)과, 상기 측면(342)의 테두리 중 길이 긴 부분에 해당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장측면(344), 및 상기 측면(342)의 테두리 중 길이 짧은 부분에 해당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단측면(34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측면(346)은 2번의 절곡가공을 통해 상기 측면(342)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에 일정폭을 가지는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면에 기둥패널(310)에 밀착시킨 후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348)이 구성된다.
상기 장측면(344)은 상기 측면(342)의 테두리에서 일정폭 절곡시켜, 상기 하부마감패널(340)의 보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마감패널(320)(340) 각각은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무늬모양이 형성된 강화유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외부에서 식별되는 부분이기에 차별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서가(1) 전체의 미려함을 강조하여 장식미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측면마감패널(350)은 반원형의 몸체(352)와, 상기 몸체(352)의 일단에서 일정깊이 함몰되게 구성되어 기둥패널(310)의 절곡부(314)가 안착되는 고정단턱(354) 및 상기 몸체(352)에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314)에 형성된 제4삽입공(315)으로 삽입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패널(31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리브(35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30)에는 상기 기둥패널(310)의 외부측에 위치되는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어 상단 및 하단 각각을 마감처리하는 마감브라켓(360)이 구성된다.
상기 마감브라켓(360)은 일단이 일정높이 돌출되어 기둥패널(310)에 고정되면 돌출높이에 의해 기둥패널(310)에 고정되는 상,하부마감패널(320)(340)의 외부면과 일치하여 미려함을 제공하는 돌출부재(362) 및 상기 돌출부재(362)의 양단 각각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기둥패널(310)의 중간판(312)에 밀착됨에 따라 점용접 등에 의해 상기 중간판(312)에 마감브라켓(36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기둥패널(310)의 내측면의 상단에는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상부받침브라켓(370)이 구성된다.
상기 상부받침브라켓(370)은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기둥패널(310)의 중간판(312)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면(372)과, 상기 밀착면(372)에서 수평으로 일정폭 연장되어 상부프레임(10)의 장측면(120)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연장면(374) 및 상기 연장면(374)에서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연장면(374)에 안착된 상부프레임(10)이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면(376)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패널(310)의 내측면의 하단에는 최하단에 위치되는 받침프레임(70)에 대한 받침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하부마감브라켓(380)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받침브라켓(380)은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기둥패널(310)의 중간판(312)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면(382)과, 상기 밀착면(382)에서 수평으로 일정폭 연장되어 받침프레임(7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장면(384) 및 상기 연장면(384)에서 일정길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보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절곡면(386)으로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프레임(40)은 복수의 측면프레임(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서가(1)의 보관 또는 진열성을 향상시키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칸막이프레임(40)은 생략가능하다.
상기 칸막이프레임(40)은 기둥패널(410)과, 상기 기둥패널(410)의 상단에 구성되는 상부받침브라켓(470) 및 상기 기둥패널(410)의 하단에 구성되는 하부받침브라켓(48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패널(410)은 중간판(412)과, 상기 중간판(412)의 양단 각각에 일정폭으로 구성되는 절곡부(414)와, 상기 중간판(412)의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걸이공(416) 및 상기 절곡부(414)의 상부 및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는 고정너트(418)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기둥패널(410)은 측면프레임(30)의 기둥패널(310)과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받침브라켓(470)은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기둥패널(410)의 중간판(412)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면(472)과, 상기 밀착면(472)에서 수평으로 일정폭 연장되어 상부프레임(10)의 장측면(120)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연장면(474) 및 상기 연장면(474)에서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연장면(474)에 안착된 상부프레임(10)이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면(476)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받침브라켓(480)은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기둥패널(410)의 중간판(412)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면(482)과, 상기 밀착면(482)에서 수평으로 일정폭 연장되어 받침프레임(7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연장면(484) 및 상기 연장면(484)에서 일정길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보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절곡면(486)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프레임(70)은 복수의 측면프레임(30)의 사이, 또는 측면프레임(30)과 칸막이프레임(40) 사이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구성되는 적층구조를 이루어 도서의 진열 또는 보관효율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받침프레임(70)은 받침부(710) 및 지지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7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가(1)의 양면에서 도서의 진열 또는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가(1)의 종류 예컨대, 단열식 서가의 경우에 한쪽으로만 진열 및 보관이 이루어질 경우 하나의 받침부(710)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710)는 받침판(712)과, 상기 받침판(712)의 테두리 중 내측에 위치되는 끝단면에 구성되어 도서 등의 삽입깊이를 제한시키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한계단턱(714) 및 상기 받침판(712)의 나머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받침력을 보강하는 테두리절곡면(716)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712)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50)이 구성됨으로서, 상기 받침판(712)에 안착되는 도서 등에 의한 정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인 받침력이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720)는 받침대(722) 및 고정대(724)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722)는 수평으로 일정폭을 가지는 제1절곡면(7222)과, 상기 제1절곡면(7222)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절곡면(7224) 및 상기 제2절곡면(7224)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일정폭 연장되는 제3절곡면(72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절곡면(7226)에는 받침부(710)가 안착되어 도서 등의 진열 또는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710)에 받침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대(724)는 상기 제2절곡면(7224)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에 형성된 걸이공(316)(416)에 걸림되어 설치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고정대(724)는 몸체(7242) 및 걸림고리(724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7242)는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면(7224)의 내측면에 점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걸림고리(7244)는 상기 몸체(7242)의 일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걸이공(316)(416)에 걸림됨에 따라 설치위치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고리(7244)는 상기 걸이공(316)(416)의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걸이공(316)(416)에 안정적인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722)에 고정되는 고정대(724)는 동일한 간격이 아니라, 상호 일정간격 어긋나는 위치에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중간판(312)(412) 사이에 지지부(72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판(312)(412) 각각에 구성된 걸이공(316)(416)이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선상에 복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지지부(720)에 대한 동일선상의 안착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서가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상부프레임(10)은 상면(1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50)을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보강프레임(50)은 상면(110) 저면에 복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50)은 받침날개(56)가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책분리받침대(60)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일단에 측면프레임(30)의 일단을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30)의 상단부에는 상부받침브라켓(37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상부받침브라켓(370) 상에 상부프레임(10)의 하단이 받침,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장측면(120)에 형성된 제1삽입공(128)을 통해 체결수단의 일단을 삽입시켜, 측면프레임(30)의 기둥패널(310)에 구성된 고정너트(318)에 조임됨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측면프레임(30)의 조립, 고정이 완료된다.
이 경우, 서가(1)의 구조에 따라, 예컨대, '단열서가'일 경우에는 복수의 측면프레임(30) 사이에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이 조립된 구조이고, '복열서가'일 경우에는 복수의 측면프레임(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프레임(40)이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복열서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계속해서, 상부프레임(10)의 일단에 측면프레임(30)이 고정되면,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타단에 칸막이프레임(40)을 밀착시킨다.
즉, 상기 칸막이프레임(40)의 기둥패널(410)의 상단부에 구성된 상부받침브라켓(470)에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제1삽입공(128)을 통해 체결수단의 일단을 삽입시켜 상기 칸막이프레임(40)의 기둥패널(410)에 구성된 고정너트(418)에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측면프레임(30) 및 칸막이프레임(40) 사이에 상부프레임(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30) 및 칸막이프레임(40)에 구성된 상부받침브라켓(370)(470)의 걸림면(376)(476)에 상부프레임(10)의 단측면(130) 내부 일단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더욱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30) 및 칸막이프레임(40)의 하단부에는 하부프레임(20)이 고정된다.
즉, 하부프레임(20)을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외부면(210)에 구성된 제3삽입공(212)을 통해 체결수단의 일단을 삽입시켜 상기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의 기둥패널(310)(410)에 구성된 고정너트(318)(418)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의 사이에 하부프레임(20)이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의 기둥패널(310)(410)에 구성된 절곡부(314)(414)에 측면마감패널(350)을 밀착시켜 고정한다.
즉, 상기 측면마감패널(350)의 고정단턱(354)에 기둥패널(310)(410)의 절곡부(314)(414)가 안착되도록 밀착시킨 후, 상기 절곡부(314)(414)에 형성된 제4삽입공(315)(415)을 통해 체결수단을 삽입시켜 상기 측면마감패널(350)에 구성된 고정리브(356)에 체결, 고정됨에 따라 상기 측면마감패널(350)을 통해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의 마감처리를 완료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과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에 의해 서가(1)의 외형틀을 형성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 사이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받침프레임(70)을 도서 등의 종류와 진열 또는 보관의 목적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설치한다.
즉, 받침프레임(70)의 고정대(724)에 구성된 걸림고리(7244)를 통해 기둥패널(310)(410)에 형성된 걸이공(316)(416)에 걸림시키면서, 상기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 상에 복수의 지지부(72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720) 사이에 받침부(710)를 안착시켜, 전체적인 받침프레임(70)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720)의 받침대(722)에 구성된 제3절곡면(7226)에 받침부(710)의 하단 내측이 받침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720)에 의해 받침부(710)가 안정적으로 받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710)에는 보강프레임(5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보강프레임(50)에 책분리받침대(60)가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책분리받침대(60)에 의해 받침부(710)의 상단에 안착되는 도서 등의 진열 및 보관시에 상기 도서의 안정적인 진열상태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서가는 전체적으로 조립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서가의 조립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서가에 구성되는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 등이 전체적으로 절곡방식으로 이루어져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서가는, 기둥패널의 외측면에 상부 및 하부마감패널 및 식별패널을 구성하여, 상기 기둥패널에 구성된 중간판의 걸이공이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가의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킨다.
또한, 서가는, 양측 및 중앙에 위치한 측면 및 칸막이 프레임이 밀폐형의 철판으로 이루어져 외관의 미려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및 칸막이 프레임에 구성되는 지지부가 일정두께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조밀하게 진열 또는 보관되는 서적이 상기 지지부의 두께만큼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에서 돌출됨으로써, 끝단에 진열 또는 보관되는 서적의 측면에 인쇄된 제목 등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서가의 고정대는 도 22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의 받침대에서 상호 교호되게 구성됨으로써, 좌, 우 방향에 무관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의 편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대는 좌, 우 방향에 무관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하나의 형상으로 제조하여도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제조의 편리성과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서가 10: 상부프레임
110: 상면 120: 장측면
122: 제1절곡 124: 제2절곡
126: 제3절곡 128: 제1삽입공
129: 노치 130: 단측면
132: 제1절곡 134: 제4절곡
136: 제2삽입공 20: 하부프레임
210: 외부면 212: 제3삽입공
220: 절곡면 222: 체결너트
230: 커버브라켓 240: 방진구
30, 40: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 310, 410: 기둥패널
312, 412: 중간판 314, 414: 절곡부
315, 415: 제4삽입공 316, 416: 걸이공
318, 418: 고정너트 320, 340: 상부 및 하부마감패널
322, 342: 측면 324, 344: 장측면
326, 346: 단측면 328, 348: 체결공
330: 식별패널 332: 몸체
334: 수납공간 335: 장착공간
336: 표시창 338: 자석브라켓
339: 자석 350: 측면마감패널
352: 몸체 354: 고정단턱
356: 고정리브 360: 마감브라켓
362: 돌출부재 364: 고정부재
370, 470: 상부받침브라켓 372, 472: 밀착면
374, 474: 연장면 376, 476: 걸림면
380, 480: 하부받침브라켓 382, 482: 밀착면
384, 474: 연장면 386, 486: 절곡면
50: 보강프레임 52: 밀착면
54: 중간보강 56: 받침날개
60: 책분리받침대 62: 수평안착부재
64: 수직부재 70: 받침프레임
710: 받침부 712: 받침판
714: 한계단턱 716: 테두리절곡면
720: 지지부 722: 받침대
7222: 제1절곡면 7224: 제2절곡면
7226: 제3절곡면 724: 고정대
7242: 몸체 7244: 걸림대

Claims (5)

  1. 상단을 마감하는 상부프레임(10)과;
    하단을 마감하는 하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외형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30); 및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30) 사이에 구성되어 복열서가가 구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프레임(4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상면(110)과, 상기 상면(110)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하고 양단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공(128)이 형성되는 장측면(120)과, 상기 상면(110)의 타측면 테두리를 형성하고 양단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공(136)이 형성되는 단측면(130) 및 상기 상면(110)의 저면에 구성되는 복수의 보강프레임(5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 사이에 구성되고, 외부측에 마감처리하는 외부면(210)과, 상기 외부면(210)의 양단 각각에서 내측으로 일정폭 절곡되고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너트(222)가 고정되는 복수의 절곡면(220)과, 상기 복수의 절곡면(220)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 및 상기 체결너트(222)가 커버되도록 지지하는 커버브라켓(230) 및 상기 복수의 절곡면(220) 중 하단부에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체결너트(222)에 체결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구(240)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3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이공(316)이 형성되는 기둥패널(310)과, 상기 기둥패널(410)의 외부측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일정폭 형성되고 상호 대칭되게 고정되는 마감브라켓(360)과, 상기 기둥패널(410)의 외부측의 상단부에 고정된 마감브라켓(36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부마감패널(320)과, 상기 상부마감패널(320)의 하단에 일정폭 구성되어 외부에서 진열 또는 보관목록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패널(330)과, 상기 식별패널(330)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기둥패널(410)의 하단부에 구성된 마감브라켓(360)에 지지되어 마감처리하는 하부마감패널(340)과, 상기 기둥패널(410)의 양단 측면 각각에 구성되어 마감처리하는 측면마감패널(350)과, 상기 기둥패널(410)의 내부측 상단부에 구성되어 상부프레임(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받침브라켓(370) 및 상기 기둥패널(410)의 내부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하부프레임(20)의 상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브라켓(380)으로 구성되며;
    상기 칸막이프레임(4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이공(416)이 형성되는 기둥패널(410)과, 상기 기둥패널(410)의 내, 외부측 상단부 각각에 구성되어 상부프레임(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받침브라켓(470) 및 상기 기둥패널(410)의 내, 외부측 하단부 각각에 구성되어 하부프레임(20)의 상단을 지지하는 하부받침브라켓(480)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 및 칸막이프레임(30)(40)의 기둥패널(310)(410)에 구성된 다수의 걸이공(316)(416)을 통해 받침,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720)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720) 사이에 구성되고 하단에 보강프레임(50)이 고정되고 상단에 진열 또는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부(710)로 구성되는 받침프레임(70)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프레임(50)에 양단 각각 지지되어, 상기 받침프레임(70)을 통해 진열 또는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책분리받침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패널(310)(410)은,
    양단 각각에 다수의 걸이공(316)(416)이 형성되는 중간판(312)(412)과;
    상기 중간판(312)(412)의 양단 각각에 일정폭 일체형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14)(414); 및
    상기 절곡부(314)(414)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상부 및 하부프레임(10)(20)이 체결,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너트(318)(418)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너트(318)(418)는 일단을 상기 절곡부(314)(414)에 삽입한 후 타격에 의해 후 가공처리로 일단이 상기 절곡부(314)(414)에 밀착, 고정되는 인서트방식으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패널(330)은,
    몸체(332)와;
    상기 몸체(332)의 상단을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되어 내측에 식별판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334)과;
    상기 수납공간(334)의 양단 각각에 일정깊이 함몰되는 장착공간(335)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32)의 외부면에 일정크기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식별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창(336); 및
    상기 장착공간(335)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339)이 구성되어 기둥패널(310)에 자착됨에 따라 상기 식별판을 안정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자석브라켓(33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50)은,
    양단 각각에 구성되는 복수의 밀착면(52)과;
    상기 복수의 밀착면(52) 사이의 중앙에 일정높이 돌출되게 구성되는 중간보강(54); 및
    상기 복수의 밀착면(52) 양단 각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측에 책분리받침대(60)의 상단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날개(5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책분리받침대(60)는,
    상단부에 구성되어 보강프레임(5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수평안착부재(62); 및
    상기 복수의 수평안착부재(62)의 양단 각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안착부재(62)와 와이어로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수평안착부재(62)의 상단을 오므릴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직부재(6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KR1020170134488A 2017-10-17 2017-10-17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KR101804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488A KR101804105B1 (ko) 2017-10-17 2017-10-17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488A KR101804105B1 (ko) 2017-10-17 2017-10-17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105B1 true KR101804105B1 (ko) 2017-12-28

Family

ID=6093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88A KR101804105B1 (ko) 2017-10-17 2017-10-17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76B1 (ko) * 2019-11-06 2020-04-08 (주)베스툴 서가
KR102098782B1 (ko) * 2019-11-06 2020-05-26 (주)베스툴 서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97B1 (ko) 2011-07-12 2012-05-03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통기성과 강도가 우수한 선반을 갖는 모빌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97B1 (ko) 2011-07-12 2012-05-03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통기성과 강도가 우수한 선반을 갖는 모빌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76B1 (ko) * 2019-11-06 2020-04-08 (주)베스툴 서가
KR102098782B1 (ko) * 2019-11-06 2020-05-26 (주)베스툴 서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5192A (en) Modular booth display assembly
US10448757B2 (en) Accordion folding display hutch
JP4264260B2 (ja) 組み立て自在モジュラー収納
JP3525943B2 (ja) キャビネット組立体
US20150068998A1 (en) Display Hutch
RU2700822C2 (ru) Шкаф
CA2898056C (en) Improved student desk with book box
KR101804105B1 (ko)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서가
KR101775012B1 (ko)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구
US4318576A (en) Cabinet assembly
US10736438B1 (en) Display shelf lock box
US3250582A (en) Structure for furniture, enclosures and the like
KR20110015912A (ko)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KR101758110B1 (ko) 조립식 수납장
KR20160088742A (ko) 조립식 가구 세트
EP1541065B1 (en) System of ultra light-weight demountable stations, for exhibiting articles and attending customers
KR101393691B1 (ko) 철제 가구
JP6800643B2 (ja) 棚板用支柱
KR20170139923A (ko) 조립식 파티션
JP2002065364A (ja) パネル付きデスク
JP5448259B2 (ja) 書架
US8997425B2 (en)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200472613Y1 (ko) 접이식 자석 학습판
KR101792179B1 (ko) 스크린 설치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