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247U - 바닥구조물용 지주 - Google Patents

바닥구조물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247U
KR20180000247U KR2020160004061U KR20160004061U KR20180000247U KR 20180000247 U KR20180000247 U KR 20180000247U KR 2020160004061 U KR2020160004061 U KR 2020160004061U KR 20160004061 U KR20160004061 U KR 20160004061U KR 20180000247 U KR20180000247 U KR 201800002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late
present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513Y1 (ko
Inventor
윤국원
Original Assignee
윤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국원 filed Critical 윤국원
Priority to KR2020160004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1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함은 물론,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하중을 안정적으로 상쇄하여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공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안치되어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마루수단을 가지는 바닥구조물에 적용되는 상기 지주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들의 양단이 억지 끼움 맞춤 결합하여 '육면체'의 '함(函: box)'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을 가지는 '사각' 형상을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개구들을 각각 폐쇄하면서 결합되며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판 및 후면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손잡이공이 각각 형성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닥구조물용 지주{A stand for floor structures}
본 고안은, 공연무대, 좌석바닥 등과 같이 바닥면에 대하여 설치하는 바닥구조물을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함은 물론,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하중을 안정적으로 상쇄하여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공연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바닥구조물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수나 배우들이 공연하도록 된 무대 및 관람석의 다 단계형 바닥은, 지면에 대하여 공간적 범위를 확보하여 공연 내용 및 무대사용 내용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면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무대용 바닥은, 상면이 평편한 면으로 이루어진 판체들을 지면에 대한 소정의 일정한 높이들을 각각 가지도록 하여 전체 무대바닥의 높이를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물론, 무대의 공연 내용에 따라 별도의 작은 무대를 단이 높게 설치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작은 무대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현장에서 목재인 각목과 널판을 일일이 다듬어 무대 위에서 다듬질한 각목과 널판을 못을 박아 기존의 무대 바닥 위에 단이 높은 작은 무대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설치하였던 작은 무대에 사용하였던 목재는 재사용할 수 없어 목재의 낭비가 심하여 비용이 고가로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7-0018968호(명칭: 공연 무대의 덧마루)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로대와 세로대의 내면 상방에 턱과 양단에 접합경사면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경사면의 하방에는 삽착홈과 고정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접합경사면의 하방에는 삽착부와 요입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접합경사면을 대접한 상태에서 삽착홈에 삽착부를 요입부에는 고정부를 삽입하고 가로대의 중간에 중간대를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고, 상기 틀의 턱에 얹힌 상태로 널판을 틀 내경에 삽착하여서 되는 마루블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관체를 경사지게 매설하고, 상기 관체를 통하여 못을 박아 무대바닥에 고정시켜 작은 무대를 구성하는 공연 무대의 덧마루가 기재되어 있다.
즉, 바닥의 상부에 다수의 마루블럭을 연결하여 무대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14491호(명칭: 마루틀 고정장치)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시공바닥면부터 기립상태로 설치되고, 속이 빈 사각의 각관으로 구성되며, 상, 하단에는 지주볼트가 설치되고, 일단 둘레의 전후좌우 면에는 상부 쪽에서 하부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면서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단 이상 형성되는 결합구멍이 내부와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지주와; 지주 하단에 설치된 지주볼트에 결합되어 시공바닥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바닥지지구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지주볼트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저면에 지주볼트의 외주에 부합되는 결합공이 천공되는 주장선과; 개구된 주장선 상부를 덮도록 주장선의 상부에 대응하여 결합되고, 상면에는 방진고무가 결합되는 덮개와; 주장선과 다른 주장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주장선의 측면을 연결하는 보조장선과; 상기 주장선과 보조장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주장선과 보조장선 사이에 장착되면서, 주장선의 측면과 나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정면에 나사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좌, 우 측면과 상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좌, 우 측면의 상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연결브래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와 방진고무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덮개의 상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방진고무의 하부에 결합돌기를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되, 덮개의 결합홈 및 방진고무의 결합돌기는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장선과 연결브래킷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보조장선의 중앙부위에는 연결브래킷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아래로 오목한 요부가 형성되고, 보조장선의 좌, 우 아래쪽 끝단에는 연결브래킷 좌, 우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안쪽으로 휘어진 절곡부가 형성되며, 보조장선의 좌, 우 상부 가장자리에는 연결브래킷의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된 마루틀 고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24347호(명칭: 실외 조립 마루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평연결수단과 저면의 보강수단을 구비한 하부패널 위에 전후좌우로 조립되는 수평연결수단과 저면에 지지용 테두리를 구비하는 상부패널이 조립되고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이 상하연결수단으로 조립되고 상하연결수단에 컵타입 커플링수단과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기초패널에 지면 앵커수단이 포함되고, 지면 앵커수단은 둘레강도를 보강하고 동시에 지면에 지지되어 패널을 지면에 지지시키도록 패널의 저면 둘레에 설치되는 둘레보강벽 및 패널 내면의 강도를 보강하고 동시에 지면에 지지되어 패널을 지면에 지지시키도록 둘레보강벽의 안쪽에 설치되는 내면보강벽를 구비하며, 기초패널에 구비된 수평연결수단은 기초패널의 후면과 우측면의 돌출판, 돌출판에 설치되는 후크, 기초패널의 전면과 좌측면에 패널 내측으로 겹쳐이음판 및 겹쳐이음판에 후크를 끼우도록 설치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기초패널 위에 부설되는 마루패널은 저부에 단열용 복부 공기집이 구비되고 동시에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합성수지 성형물로 제조된 마루패널이고, 복부 공기집은 둘레강도를 보강하도록 패널의 저면 둘레에 설치되는 둘레복부벽과 패널 내면의 강도를 보강하고 동시에 복부공기집을 세분화 하도록 둘레복부벽의 안쪽에 설치되는 내면복부벽을 구비하는 실외 조립 마루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2-0015004호(명칭: 마루바닥 시공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의 가이드홀더에 마루널 지지부재의 나사봉이 끼워지고 상기 나사봉에 나합된 조절너트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마루바닥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더 상단에 하판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하판 상부면에 완충고무 및 상판이 일체로 적층되며 중앙에 가이드홀더와 연통되게 가이드공이 형성된 완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 중앙에 조절너트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마루널 지지부재의 나사봉이 조절너트에 나사결합된채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가이드홀더에 끼워진 마루바닥 시공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7-0018968호(2007.11.25.)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14491호(2011.02.18.)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24347호(2010.12.07.) 4,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2-0015004호(2002.05.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닥구조물은,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지주들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공연중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하중을 안정적으로 상쇄하지 못하여 소음이 발생함에 따라 공연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엇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함은 물론,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하중을 안정적으로 상쇄하여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공연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안치되어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마루수단을 가지는 바닥구조물에 적용되는 상기 지주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들의 양단이 억지 끼움 맞춤 결합하여 '육면체'의 '함(函: box)'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을 가지는 '사각' 형상을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개구들을 각각 폐쇄하면서 결합되며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판 및 후면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손잡이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틀부재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타 틀부재의 단부와 서로 맞춤되게 끼움 결합하도록 된 끼움돌기 및 끼움홈들이 형성된 '판(板: plate)' 형상의 판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 및 상기 후면판과 상기 끼움돌기들은, 길이를 가지는 체결봉이 각각 관통하면서 체결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바닥구조물은, 나무재질의 판재들을 서로 끼움결합과 동시에 나사, 못 등과 같은 체결요소를 통해 고정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각각의 구성들을 신속하게 조립하여 있어, 작업현장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결합부위가 억지 끼움을 통해 1차적으로 결합하여,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하중에 의한 압력에 의해 해체되지 않음으로써, 공연시 발생하는 각종 충격 및 진동하중에 의해 결합된 부위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안전성 및 안정성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개략 정 단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아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주(1)와, 상기 지주(1)의 상부에 안치되어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마루수단(2)을 가지는 바닥구조물(100)에 적용되는 상기 지주에 관한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에 본 실시 예에 의한 지주(1)들을 상기 마루수단(2)들의 연결부위 및 모서리가 위치하는 공간에 배치한 상태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지주(1)의 상부에 상기 마루수단(2)들을 안치하면서 체결하여 공연무대 등과 같은 바닥구조물(10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마루수단(2)은, 상기 지주(1)의 상부에 안치되어 바닥구조물(10)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조립되며 별도의 미 도시된 결속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마루블록(21)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들의 양단이 억지 끼움 맞춤 결합하여 '육면체'의 '함(函: box)'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다수의 판재를 통해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육면체의 '함(函:box)'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안치되는 마루블록(21)에서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하중을 내부의 공간부로 전이한 후, 방출하여 상쇄하도록 됨으로써, 진동소음을 원활하게 방지함은 물론,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을 가지는 '사각' 형상을 틀부재(11)와, 상기 틀부재(11)의 개구들을 각각 폐쇄하면서 결합되며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판(12) 및 후면판(1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전면판(12)과 후면판(13)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운반하도록 된 손잡이공(14)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공(14)을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원활하게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에서, 상기한 틀부재(11)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타 틀부재(11)의 단부와 서로 맞춤되게 끼움 결합하도록 된 끼움돌기(15) 및 끼움홈(16)들이 형성된 '판(板: plate)' 형상의 판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12) 및 상기 후면판(13)과 상기 끼움돌기(15)들은, 길이를 가지는 체결봉(3)이 각각 관통하면서 체결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틀부재(11)가 나무재질의 판재들을 서로 끼움결합과 동시에 나사, 못 등과 같은 체결봉(3)을 통해 고정이 확고히 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각각의 구성들을 신속하게 조립하여 있어, 작업현장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각각의 결합부위가 억지 끼움을 통해 1차적으로 결합하여,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하중에 의한 압력을 원활하게 상쇄하게 되어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함으로써, 공연시 발생하는 각종 충격 및 진동하중에 의해 결합된 부위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안전성 및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를 적용하여 바닥면에 바닥구조물(100)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아, 설치하고자하는 바닥에서 상기 마루수단(2)의 마루블록(21)들이 각각 배치될 때, 서로 연결되는 부위 및 각각의 모서리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본 실시 예에 의한 지주(1)를 배치한다.
이때, 지주(1)의 중심이 상기 마루블록(21)들의 연결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고자하는 바닥에 지주(1)의 배치가 완료되면, 상기 마루블록(21)들을 상기 지주(1)의 상부에 올려놓음과 동시에 미 도시된 상기 결속수단을 통해 상기 마루블록(21)들을 결속하여 고정하면 바닥구조물(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에서 상기한 틀부재(11)의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입구가 좁고 내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결합요홈(4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요홈(41)에 맞춤 결합하는 결합돌기(42)가 형성된 보강판(4)이 상기 틀부재(11)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하여 내구성을 증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4)이 상기 틀부재(11)에 별도의 체결요소를 통해 결합하지 않고, 끼움 결합을 통해 조립되어, 충격 및 진동압력이 인가되더라도, 결합된 부위에서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에서 상기한 틀부재(11)의 내측면과 상기 보강판(4)의 사이공간에는,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탄성적으로 상쇄하도록 된 흡음재(5)가 충진된다.
즉, 상기 흡음재(5)를 통해 무대공연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이 상기 지주(1)로 인가될 때, 상기지주(1)의 내부공간에서 탄성적으로 흡수하여 제거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용 지주(1)에서 상기 틀부재(11)에는, 내부공간에 대하여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6)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개폐문(6)을 통해 내부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때, 비품 등을 수납하도록 함으로서, 공간사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닥구조물요 지주(1)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져 충격 및 진동하중에 원활하게 대응하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 판재들을 서로 끼움결합과 동시에 나사, 못 등과 같은 체결요소를 통해 고정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들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지주 11 : 틀부재
12 : 전면판 13 : 후면판
14 : 손잡이공 15 : 끼움돌기
16 : 끼움홈 2 : 마루수단
21 : 마루블록 3 : 체결봉
4 : 보강판 41 : 결합요홈
42 : 결합돌기 5 : 흡음재
6 : 개폐문 100 : 바닥구조물

Claims (2)

  1.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안치되어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마루수단을 가지는 바닥구조물에 적용되는 상기 지주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들의 양단이 억지 끼움 맞춤 결합하여 '육면체'의 '함(函: box)'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을 가지는 '사각' 형상을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개구들을 각각 폐쇄하면서 결합되며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판 및 후면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손잡이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용 지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틀부재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타 틀부재의 단부와 서로 맞춤되게 끼움 결합하도록 된 끼움돌기 및 끼움홈들이 형성된 '판(板: plate)' 형상의 판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 및 상기 후면판과 상기 끼움돌기들은,
    길이를 가지는 체결봉이 각각 관통하면서 체결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용 지주.
KR2020160004061U 2016-07-14 2016-07-14 바닥구조물용 지주 KR200487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61U KR200487513Y1 (ko) 2016-07-14 2016-07-14 바닥구조물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61U KR200487513Y1 (ko) 2016-07-14 2016-07-14 바닥구조물용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47U true KR20180000247U (ko) 2018-01-24
KR200487513Y1 KR200487513Y1 (ko) 2018-10-01

Family

ID=6128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61U KR200487513Y1 (ko) 2016-07-14 2016-07-14 바닥구조물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321A (ko) * 2021-05-27 2022-12-06 한국전력공사 플로어 패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5921A (ko) * 1996-03-21 1997-10-13 유현식 건물 플로아(floor)용 바닥재
KR20020015004A (ko) 2000-07-19 2002-02-27 가네꼬 히사시 액정디스플레이제조의 장치 및 방법
KR20070018968A (ko) 2004-05-27 2007-02-14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구동용 벨트장치
JP4032035B2 (ja) * 2004-03-22 2008-01-16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床板材の連結金具
KR200439717Y1 (ko) * 2007-11-26 2008-04-29 주식회사 티에스 공연 무대의 덧마루
KR20100124347A (ko) 2008-04-25 2010-11-2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탄소 마르텐사이트계 Cr 함유 강
KR20110014491A (ko) 2009-08-05 2011-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5921A (ko) * 1996-03-21 1997-10-13 유현식 건물 플로아(floor)용 바닥재
KR20020015004A (ko) 2000-07-19 2002-02-27 가네꼬 히사시 액정디스플레이제조의 장치 및 방법
JP4032035B2 (ja) * 2004-03-22 2008-01-16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床板材の連結金具
KR20070018968A (ko) 2004-05-27 2007-02-14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구동용 벨트장치
KR200439717Y1 (ko) * 2007-11-26 2008-04-29 주식회사 티에스 공연 무대의 덧마루
KR20100124347A (ko) 2008-04-25 2010-11-2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탄소 마르텐사이트계 Cr 함유 강
KR20110014491A (ko) 2009-08-05 2011-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321A (ko) * 2021-05-27 2022-12-06 한국전력공사 플로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13Y1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291B1 (ko) 마루 받침장치
KR102284789B1 (ko) 외벽마감장치
KR200487513Y1 (ko) 바닥구조물용 지주
KR101081958B1 (ko) 마루틀 고정장치
KR101902874B1 (ko) 바닥구조물
US10947659B2 (en) Piece of furniture in which a washing machine can be placed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20080083100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루틀 고정장치
KR10185558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US20080202059A1 (en) Floor joist hanger
US20140084123A1 (en) Overhead Storage System
KR100740707B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1810981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학생용 책상
JP4776337B2 (ja) 二重床用収納装置の施工方法
KR100648527B1 (ko) 충격완화용 원목마루 시공방법과 그 원목마루
JP6329803B2 (ja) 床の防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防振床構造
KR200352196Y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0597856B1 (ko) 표면목재 루버 마감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0352197Y1 (ko) 마루널 고정장치
KR200421006Y1 (ko) 거푸집용 인코너 패널 조립체
KR101874110B1 (ko) 서포트 지지대
KR200411151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1081957B1 (ko) 마루틀 고정장치
KR102625912B1 (ko)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0720927B1 (ko) 건축용 바닥패널 설치구조
KR200489100Y1 (ko) 확장형 배관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