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233Y1 -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7233Y1 KR200397233Y1 KR20-2005-0019115U KR20050019115U KR200397233Y1 KR 200397233 Y1 KR200397233 Y1 KR 200397233Y1 KR 20050019115 U KR20050019115 U KR 20050019115U KR 200397233 Y1 KR200397233 Y1 KR 2003972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ormwork
- fixed
- nut
- extension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건물 등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거푸집판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어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별도의 공구없이 간단하고 간편하게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건물 등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거푸집판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어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별도의 공구없이 간단하고 간편하게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건축물 등과 같이 동일평면의 반복적인 공사가 많은 공사 현장에서는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치수의 크기로 미리 만든 거푸집을 슬래브 위에 조립한 후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벽체의 공사에서 건물의 벽체가 올라가는 슬래브는 일정하게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약간의 경사도를 가지기 마련이며, 이에 따라, 그 위에 조립되는 거푸집의 정확한 수직 및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단이 강구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식의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가 고안되어 왔으나, 종래의 수평 조절 장치는 그 구성이 다소 복잡하여 설치 및 작동상의 번거러움이 내재되어 있으며,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상부대의 높이를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높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대와 그 위의 상부대 사이에 설치되어 간단하고 간편하게 상부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대의 수직부 및 상부대의 수직부의 길이만큼 상부대를 높일 수 있으며, 상부대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함으로써, 거푸집 시공 공사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는 볼트부가 하부대의 연장된 연장판에 고정되며, 상기 볼트부와 나사체결되는 너트부는 상부대에서 연장된 연장판의 삽입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일측에 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이 부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연장판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이 고정 형성되어,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에 의해 너트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대 및 상부대에 고정된 연장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 수단은 중앙에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부재 또는 수도꼭지 타입의 부재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대의 상하 이동시 흔들림없이 보다 안전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대의 수직부의 내면에 접지하는 가이드판이 상부대에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ㄱ'자 형태의 기다란 하부대(20)와 그 위에 올려지는 역시 'ㄱ'자 형태의 기다란 상부대(10)가 서로 맞물려 배치되어 있다. 상부대 위에 거푸집판이 올려져 고정되어야 함으로써, 거푸집벽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부대를 일정한 높이로 수평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하부대(20)는 통상 규격화되어 판매됨으로, 옆으로 연장하기 위해서 연장판(22)이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용 플레이트(24)는 하부대 및 연장판을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용 플레이트(24)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못 등을 박음으로써 바닥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부대(10) 또한 일반적으로 규격화되어 판매됨으로, 옆으로 연장하기 위해서 연장판(14)을 부착하여 측면으로 연장한다. 이는 볼트부 및 너트부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부(30)가 하부대(20)의 연장된 부분인 연장판(22)에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등을 통해서 고정 형성된다.
상기 볼트부(30)와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는 너트부(32)는 연장판(14)의 삽입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있다. 즉, 너트부(32)와 연장판(14)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너트부(32)가 연장판(14)의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있을 뿐이다. 너트부(32)의 측면에는 걸림턱(36)이 고정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너트부(32)가 회전함에 따라 연장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너트부의 상부에는 너트부(3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수단(34)이 부착되는 데, 도 1에서는 회전수단(34)의 일예로 중앙에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즉,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파이프 등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지렛대의 원리로 인하여 손쉽게 너트부(3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회전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회전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에 고정된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너트부를 회전시키면, 너트부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며, 너트부에 고정된 걸림턱이 연장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연장판은 너트부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있을 뿐이므로 너트부가 회전하더라도 연장판은 회전하지 않고 걸림턱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연장판(14)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부대(10)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부대(10)의 수평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부대 위에 올려지는 콘크리트 벽체 형성용 거푸집판의 수평 상태를 손쉽게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대의 일측에는 가이드 판(40)이 형성되어, 상부대가 상승 또는 하강시 흔들림없이 보다 안전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의 수직부(10b) 및 가이드 판(40) 사이에 하부대(20)의 수직부(20b)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부대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가)는 상부대가 아래로 내려진 상태이며, (나)는 너트부의 회전에 의해서 상부대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도시한다.
너트부(32)의 측면에 고정된 걸림턱(36)은 연장판(14)의 위쪽 및 아래쪽에도 설치되어 연장판(14)이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너트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34)으로서, 다수개의 돌기봉이 형성된 수도꼭지 타입의 회전부재가 사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의 (가)는 상부대가 아래로 내려진 상태이며, (나)는 너트부의 회전수단의 회전에 의해서 상부대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서도 상부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대(10)에 가이드판(40)이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너트부를 회전시키는 위한 회전수단(34)으로서 도 3및 도4와 같은 다수개의 돌기봉이 형성된 수도꼭지 타입의 회전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3및 도4에 도시된 부재와 차이점은 상부대(10)의 연장판(14)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 끝단이 아래로 약간 휘어져 있다는 점이다. 돌기봉의 끝단이 아래로 약간 휘어져 있는 이유는 회전수단(34)이 연장판(14)의 하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연장판으로 인하여 회전수단을 회전시키기 불편한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수단을 불편함 없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수단의 끝단이 아래로 약간 휘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와셔(38)는 너트부가 연장판(14)의 구멍에 삽입되어 마찰력없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너트부의 회전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는 볼트부와 너트부의 결합으로써, 너트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간편하게 상부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으로 거푸집판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 제안된 고안은 상부대의 높이를 일정 범위까지만 높일 수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하부대의 수직부의 길이 및 상부대의 수직부의 길이의 합만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대 12: 체결공
14: 연장판
20: 하부대 22: 연장판
24: 고정용 플레이트 30: 볼트부
32: 너트부 34: 회전수단
36: 걸림턱 38: 와셔40: 가이드 판
Claims (3)
-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대(20)의 상에 올려지는 상부대(10)의 수평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부대 위에 올려지는 콘크리트 벽체 형성용 거푸집판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에 있어서,볼트부(30)가 하부대(20)의 연장된 연장판(22)에 고정되며,상기 볼트부(30)와 나사체결되는 너트부(32)는 상부대(10)에서 연장된 연장판(14)의 삽입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일측에 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34)이 부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연장판(14)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36)이 고정 형성되어,상기 회전수단(34)의 회전에 의해 너트부(32)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대(10) 및 상부대에 고정된 연장판(1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수단(34)은 중앙에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부재 또는 다수개의 돌기봉이 형성된 수도꼭지 타입의 부재인 것을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대(10)의 상하 이동시 흔들림없이 보다 안전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대(20)의 수직부(20b)의 내면에 접지하는 가이드 판(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 수평 조절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9115U KR200397233Y1 (ko) | 2005-07-01 | 2005-07-01 |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9115U KR200397233Y1 (ko) | 2005-07-01 | 2005-07-01 |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7233Y1 true KR200397233Y1 (ko) | 2005-09-29 |
Family
ID=4369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9115U KR200397233Y1 (ko) | 2005-07-01 | 2005-07-01 |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723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303B1 (ko) | 2006-07-06 | 2007-06-21 | 오경근 | 거푸집 높이조절장치 |
KR100949166B1 (ko) | 2007-10-09 | 2010-03-23 | 오영재 | 높이가 조절되는 바닥기초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마무리공법 |
-
2005
- 2005-07-01 KR KR20-2005-0019115U patent/KR2003972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303B1 (ko) | 2006-07-06 | 2007-06-21 | 오경근 | 거푸집 높이조절장치 |
KR100949166B1 (ko) | 2007-10-09 | 2010-03-23 | 오영재 | 높이가 조절되는 바닥기초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마무리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3774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 |
KR200394607Y1 (ko) |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 |
KR102138975B1 (ko) |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0397233Y1 (ko) |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 |
KR200397231Y1 (ko) | 건물 벽체 형성용 거푸집판의 수평 조절 장치 | |
KR200492348Y1 (ko) | 팝너트가 체결된 높이조절 지지대 | |
KR200401072Y1 (ko) |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 | |
KR200430115Y1 (ko) |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 |
KR200384367Y1 (ko) | 건축용 서포트 | |
CN215858845U (zh) | 用于高架地板的支撑装置 | |
KR102250673B1 (ko) | 건축용 외장패널 수평조절장치 및 설치방법 | |
WO2015030254A1 (ja) | フロア用支持脚及びその設定方法 | |
KR200415619Y1 (ko) |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 |
KR200349993Y1 (ko) |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 |
KR100843185B1 (ko) |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 |
KR200343286Y1 (ko) | 이동식 건물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 |
KR100745024B1 (ko) |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 |
JP4358157B2 (ja) | デッキの高さ調整機構 | |
KR200388070Y1 (ko) | 조적 보강대 | |
KR100719517B1 (ko) | 천정재 부착용 행거 체결장치 | |
KR200231715Y1 (ko) |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 | |
JP6908811B2 (ja) | ツーバイフォー建物のアンカーガイド工法 | |
JP2014173233A (ja) | 高さ調整機能付き束石 | |
JP7060345B2 (ja) | フロア支持脚 | |
KR20070080033A (ko) | 문틀 고임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92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