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993Y1 -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993Y1
KR200349993Y1 KR20-2004-0004326U KR20040004326U KR200349993Y1 KR 200349993 Y1 KR200349993 Y1 KR 200349993Y1 KR 20040004326 U KR20040004326 U KR 20040004326U KR 200349993 Y1 KR200349993 Y1 KR 200349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rmwork
wall
support assembly
po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정공
Priority to KR20-2004-0004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5Strip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form sections, e.g. to avoid burring or spilling of lai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둥 또는 벽체를 만들기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부에 배치되어 거푸집을 지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유출을 방지하는데 이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는,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면에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상면이 구비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이동 제한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경사면에 올려질 수 있으며, 거푸집의 하면에 제공된 구멍에 삽입되어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홈이 제공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면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 거푸집의 해체 할 때 받침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거푸집에 고정되는 연결부재가 미끄럼 이동되어 거푸집 해체 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Support of a concrete mold form}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둥 또는 벽체를 만들기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부에 배치되어 거푸집을 지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유출을 방지하는데 이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를 세우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거푸집이 설치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면이 균일하지 못한 이유로 거푸집의 높이를 조절하고 거푸집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거푸집의 하부에 각목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받침대가 설치된다. 통상의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받침대는 상면이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콘크리트 벽체를 만들기 위하여 하부 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단에 콘크리트 거푸집을 적층하여 벽체가 이루어지는데, 콘크리트 타설 후에 벽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거할 때 거푸집의 자중 및 콘크리트의 접착력 등으로 인하여 거푸집의 제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 벽체를 이루는 거푸집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면에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상면이 구비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설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이동 제한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상기 차단부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를 배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의 하단에 별도의 높이 조절 및 수평 조절을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하부 받침 어셈블리의 상면에 경사진 콘크리트 거푸집을 올려놓고 별도의 거푸집 고정수단을 통하여 거푸집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이 경사를 구비한 받침부재에서 밀리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 지지목 등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한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는 경우 콘크리트 거푸집을 고정하고 있던 별도의 거푸집 고정수단을 제거하면 콘크리트 거푸집의 자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거푸집의 경사진 하면이 받침부재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거푸집의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면에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상면이 구비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이동 제한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경사면에 올려질 수 있으며, 거푸집의 하면에 제공된 구멍에 삽입되어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홈이 제공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면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상기 차단부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를 배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의 하면에 별도의 높이 조절 및 수평 조절을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의 경사진 상면에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 하면이 수평을 이루는 콘크리트 거푸집을 올려놓고 별도의 거푸집 고정수단을 통하여 거푸집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이 경사를 구비한 받침부재에서 밀리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 지지목 등을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한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는 경우 콘크리트 거푸집을 고정하고 있던 거푸집 고정수단을 제거하면 콘크리트 거푸집의 자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거푸집의 하단에 결합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연결부재가 받침부재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거푸집의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2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로, 콘크리트 벽체(W)를 이루기 위한 다수의 콘크리트 거푸집(1) 및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의 하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는 콘크리트 바닥면(L)에 배치되며, 그 위에 콘크리트 거푸집(1)이 배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콘크리트 벽체(W)를 이루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는, 목재(각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사면을 가지는 상면부(5a)를 구비한 받침부재(5) 및 상기 받침부재(5)에 결합되어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이동 제한 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이동제한 부재(7)는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콘크리트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부(7a, 7b)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는 편의 상 2개로 이루어지는 차단부(7a, 7b)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차단부(7a, 7b)는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7a, 7b)는 그 선단부(자유단부)가 콘크리트 벽체 쪽으로 휘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7a, 7b)의 선단이 벽체 쪽으로 휘어지는 것은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출될 때 용이하게 콘크리트의 유출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서 거푸집 전체의 높이를 어느 정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5)의 상면부는 벽체 쪽에서 거푸집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5)와 상기 콘크리트 이동 제한 부재(7)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못(P)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 예에 사용되는 거푸집(1)은 상기 받침부재(5)의 상면에 접촉되는 하면이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차단부(7a, 7b)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의 바닥면 양측 또는 중간부 등에 별도의 나무조각 등의 스페이서(S)를 끼워 넣어 수평을 맞춘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를 이루기 위한 거푸집(1)을 상기 받침부재(5)의 상면에 올려놓고 통상의 거푸집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만들 수 있도록 거푸집(1)을 고정한다. 그리고 별도의 고정 지지목(T)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 및 거푸집(1)의 배면을 지지하여 경사진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거푸집(1)의 하면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벽체를 이루도록 콘크리트를 거푸집(1)의 일면 측에 타설한다. 이때,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는 차단부(7a, 7b)에 의하여 아래 부분으로 유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벽체를 이루면, 고정 지지목(T)을 제거하고, 거푸집(1)을 고정한 통상의 고정수단(도시생략)을 제거한다. 그러면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의 받침부재(5)의 경사면과 상기 거푸집(1)의 하면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거푸집(1)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작업자는 거푸집(1)을 단지 거푸집(1)의 배면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거푸집(1)의 해체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의 설명 및 작용 효과는 제1 실시 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제2 실시 예의 콘크리트 이동 제한 부재(7)는 받침부재(5)의 하면에만 배치된다. 상기 제1 실시 예에서는 콘크리트 이동 제한 부재(7)의 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부재(5)의 콘크리트 벽 측 부분과 하단 부분에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제2 실시 예에서는 받침부재(5)의 하부에 상기 콘크리트 이동 제한 부재(7)를 결합한 점이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제2 실시 예는 콘크리트 이동 제한 부재(7)가 받침부재(5)의 어떠한 부분에 결합되어도 관계없이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더욱 간단한 구조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로, 다른 구조의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경사지는 상면을 구비하는 받침부재(5) 및 콘크리트 유출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이동 제한부재(7)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5)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연결부재(11)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재(5) 및 상기 콘크리트 이동 제한부재(7)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조는 그 설명으로 대치하고, 제1 실시 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재(11)는 상기 받침부재(5)의 경사진 상면과 동일한 각도로 하면이 이루어지고, 상면은 수평을 이루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1)는 상면에 거푸집(1)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는 구멍 등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11a)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a)는 중간부에 별도의 고정부재(F)가 삽입되어 거푸집에 고정될 수 있는 홈(11b)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는 여러 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실시 예는 거푸집(1)의 하면이 수평을 이루는 상태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하면이 경사진 거푸집(1)을 제작하지 않고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차단부(7a, 7b)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의 바닥면 양측 또는 중간부 등에 별도의 나무조각 등의 스페이서(S)를 끼워 넣어 수평을 맞춘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1)의 하부에 제공된 구멍에 연결부재(11)의 고정부(11a)를 삽입한 후, 고정부재(F)를 상기 고정부(11a)의 홈(11b)에 끼워 거푸집(1)과 일체로 만든다. 그러면 상기 거푸집(1)의 하부는 실질적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를 이루기 위한 거푸집(1)을 상기 받침부재(5)의 상면에 올려놓고 별도의 거푸집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만들 수 있도록 거푸집(1)을 고정한다. 그리고 별도의 고정 지지목(T)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 및 거푸집(1)의 배면을 지지하여 경사진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거푸집(1)의 하면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벽체를 이루도록 콘크리트를 거푸집(1)의 일면 측에 타설한다. 이때,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는 차단부(7a, 7b)에 의하여 아래 부분으로 유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벽체를 이루면, 고정 지지목(T)을 제거하고, 거푸집(1)을 고정한 통상의 고정수단(도시생략)을 제거한다. 그러면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3)의 받침부재(5)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상기 거푸집(1)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11)의 하면이 이동되면서 거푸집(1)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작업자는 거푸집(1)을 단지 거푸집(1)의 배면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거푸집(1)의 해체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는 기존의 하면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1)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거푸집(1)의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벽체를 이룰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경사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경사진 상면에 안착되는 거푸집의 하면을 경사지게 하거나 또는 하면이 경사진 연결부재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올려놓는 상태로 거푸집을 구성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에 콘크리트 거푸집의 해체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면에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상면이 구비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이동 제한부재;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2.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면에서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상면이 구비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이동 제한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경사면에 올려질 수 있으며, 거푸집의 하면에 제공된 구멍에 삽입되어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홈이 제공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면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20-2004-0004326U 2004-02-19 2004-02-19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200349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326U KR200349993Y1 (ko) 2004-02-19 2004-02-19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326U KR200349993Y1 (ko) 2004-02-19 2004-02-19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993Y1 true KR200349993Y1 (ko) 2004-05-12

Family

ID=4942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326U KR200349993Y1 (ko) 2004-02-19 2004-02-19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99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542A (ko) * 2005-01-27 2006-08-01 (주)대경실업 거푸집용 레모드 및 이를 적용한 레모드 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100758627B1 (ko) 2006-07-04 2007-09-13 박형국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200453357Y1 (ko) * 2008-06-03 2011-05-19 김학율 갱 폼의 콘크리트 흘림 방지대
KR101050398B1 (ko) 2009-07-28 2011-07-19 전미옥 콘크리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장치가 구비된 거푸집
KR20160106948A (ko) * 2015-03-03 2016-09-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누출 방지용 거푸집
CN107587715A (zh) * 2017-09-23 2018-01-16 二十二冶集团天津建设有限公司 铝合金模板根部处理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542A (ko) * 2005-01-27 2006-08-01 (주)대경실업 거푸집용 레모드 및 이를 적용한 레모드 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100758627B1 (ko) 2006-07-04 2007-09-13 박형국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200453357Y1 (ko) * 2008-06-03 2011-05-19 김학율 갱 폼의 콘크리트 흘림 방지대
KR101050398B1 (ko) 2009-07-28 2011-07-19 전미옥 콘크리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장치가 구비된 거푸집
KR20160106948A (ko) * 2015-03-03 2016-09-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누출 방지용 거푸집
KR101674794B1 (ko) * 2015-03-03 2016-11-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누출 방지용 거푸집
CN107587715A (zh) * 2017-09-23 2018-01-16 二十二冶集团天津建设有限公司 铝合金模板根部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5603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resilient support members
US7581709B2 (en) Concrete slab form system
US8857109B1 (en) Tile-ready corner seat
US20090266950A1 (en) Modular Shoring Assembly with Length Adjustable Support
CN101146972A (zh) 瓷砖对正和找平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方法
KR200349993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RU25499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итки
CA2587549A1 (en)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floor assembly
KR200430115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KR200438108Y1 (ko) 거푸집 연결용 앵커 받침대
JP2002276167A (ja) 傾斜構造物設置工法用サポート及び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KR200397233Y1 (ko)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KR200354079Y1 (ko)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KR100559149B1 (ko) 계단구축용 디딤블록
JP4822411B2 (ja) 床構築体の構築方法
JP3465040B2 (ja) 置敷二重床構造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KR101393246B1 (ko) 마루널 고정장치
JP6399677B1 (ja) 型枠レベル調整装置
JP2010236312A (ja) デッキ
KR200306755Y1 (ko) 유로폼 패널 받침대
KR101861327B1 (ko) 존치형 서포트를 축으로 한 슬라브패널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JPH0542119Y2 (ko)
KR200391956Y1 (ko)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KR101879452B1 (ko)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