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956Y1 -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956Y1
KR200391956Y1 KR20-2005-0012853U KR20050012853U KR200391956Y1 KR 200391956 Y1 KR200391956 Y1 KR 200391956Y1 KR 20050012853 U KR20050012853 U KR 20050012853U KR 200391956 Y1 KR200391956 Y1 KR 200391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ormwork
support member
building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티앤에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앤에이건설 filed Critical (주)티앤에이건설
Priority to KR20-2005-0012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슬래브(slab)의 양생이 완료된 후 이 슬래브의 바닥면에 옹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되 이 거푸집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슬래브 바닥면에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을 수평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아형상의 합성수지재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거푸집이 안착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일단부에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자 앵글형상의 금속재 수평조절대와, 상기 수평조절대의 수평부와 받침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부를 수평상태로 맞추는 판형상의 수평보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balancing device for a structure form}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슬래브(slab)의 양생이 완료된 후 이 슬래브의 바닥면에 옹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되 이 거푸집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로서 내벽, 외벽 등 건물의 뼈대를 이루는 옹벽을 콘크리트로 양생하기 위해서는 슬래브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금속제 내외벽거푸집(일명 '유로폼' 이라 함)을 세우고, 상기 내외벽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을 세울 때에는, 먼저 슬래브 바닥면에 목재로 된 단면 사각 바아형상의 받침부재를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깔아 놓은 후, 상기 각각의 받침부재 상면에 거푸집을 못 등으로 박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슬래브 바닥면이 경사지거나 고르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부재와 슬래브 바닥면 사이에 일정 두께의 나무조각이나 금속편을 이용한 수평보정부재를 끼워 넣어 받침부재의 수평을 맞춘 상태에서 거푸집을 받침부재 상면에 세우게 된다. 또한, 양쪽 받침부재가 상호 대면하는 면에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거푸집과 받침부재 사이의 틈새와 받침부재와 슬래브 사이의 틈새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을 못 등으로 고정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에는 콘크리트가 슬래브 바닥면과 받침부재, 받침부재와 거푸집 사의의 틈새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망을 설치하였으나,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거푸집과 받침부재, 받침부재와 슬래브 사이의 틈새로 콘크리트물기가 스며나가게 됨은 물론 목재로 이루어진 받침부재에 흡수되어 옹벽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옹벽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철망이 옹벽 콘크리트에 부착되어 이를 일일이 제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무게가 무거운 거푸집을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거푸집의 압축하중에 의해 받침부재가 휘어지고 상기 받침부재를 재활용하기 위해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부재가 부러지는 등 손상되어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의 하부를 방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옹벽 콘크리트의 하부가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의 슬래브 바닥면에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을 수평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아형상의 합성수지재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거푸집이 안착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일단부에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자 앵글형상의 금속재 수평조절대와, 상기 수평조절대의 수평부와 받침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부를 수평상태로 맞추는 판형상의 수평보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는 건물의 슬래브(10)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부재(100)와, 상기 받침부재(100)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면에 거푸집(20)이 안착 고정되는 수평조절대(400)와, 상기 수평조절대(400)와 받침부재(100)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조절대(400)의 수평을 맞추는 수평보정부재(50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100)는 사각 바아형태로 이루어져 건물의 슬래브(10) 바닥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안착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압출성형되며 내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량저감 공간부(110)가 마련되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수지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00)의 폭방향 일측면의 상단에는 후술할 수평조절대(400)의 수직부(300)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15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안착홈(150)의 깊이는 수직부(300)의 두께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수직부(300)의 외측면과 받침부재(100)의 일측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수평조절대(400)는 거푸집(20)의 수평을 맞추는 것으로, 금속재를 사용하여 단면“┐”자 앵글형상으로 압출성형된다. 즉, 상기 받침부재(10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되 상면에 거푸집(20)이 안착 고정되는 수평부(200)와, 상기 수평부(200)의 일단부에서 직각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받침부재(100)의 제1안착홈(150)에 밀착되는 수직부(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부(200)의 중앙부에는 수평조절대(400) 및 거푸집(200)을 받침부재(100)에 못을 박기 위한 관통공(210)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0)은 2종류로서 직경이 대략 6mm 정도의 원형공(212)과 장축직경이 대략 80mm인 장공(214)이 교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공(212)은 상기 수평조절대(400)의 수평부(200)를 받침부재(100)에 못을 박아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장공(214)은 수평부(200) 상면에 세워지는 거푸집(20)의 하단부를 받침부재(100)에 못을 박아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부(200)의 타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턱(230)이 마련되어, 수평부(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거푸집(20)이 상기 지지턱(23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평조절대(400)를 금속재로 제작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내충격성이 강한 폴리카아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수평보정부재(500)는 상기 수평조절대(400)의 수평부(200)와 받침부재(100)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부(200)를 수평상태로 맞추는 것으로, ㄷ”자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금속판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이때, 상기 수평보정부재(500)는 개구된측 일단부가 수평부(200)와 받침부재(100) 사이에 개재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후단부를 잡고 수평조절대(400)의 수평, 즉, 수평부(200)의 수평을 맞추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사용시에는, 종래와 같이 슬래브(10)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의 받침부재(100)를 깔아 놓은 상태에서, 수평조절대(400)의 수직부(300)를 받침부재(100)의 제1안착홈(150)에 밀착되도록 수평부(200)를 받침부재(100)의 상면에 올려 놓는다. 이때, 슬래브(10)의 바닥면이 경사져 있을 경우에는 수평조절대(400)의 수평부(200)도 기울어지게 됨으로, 상기 수평보정부재(500)를 수평부(200)와 받침부재(100)사이에 끼워서 수평부(200)의 수평을 정확히 맞추고 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200)의 원형공(212)을 통하여 받침부재(100)에 못을 박아 수평조절대(400)를 고정한다. 이어서 거푸집(20)을 수평부(200) 상면에 올려놓고 통상적으로 거푸집(20)에 형성된 구멍(22)과 수평부(200)에 형성된 장공(214)을 통하여 거푸집(20)을 받침부재(100)에 목을 박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장치는 받침부재(100)가 슬래브(10)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수평조절대(400)는 수직부(300)가 받침부재(100) 일측면 제1안착홈(150)에 밀착된 상태로 수평부(200)가 받침부재(100) 상면에 고정되고, 거푸집(20)은 수평부(200)의 상면에 고정되게 되므로, 거푸집(20)의 하단부는 수평부(200)의 상면에 압축하중에 의해 가압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거푸집(20)의 압축하중에 의하여 합성수지재 받침부재(100) 저면도 슬래브(10) 바닥면에 더욱 밀착되게 되므로, 즉, 슬래브(100)와 받침부재(100), 받침부재(100)외 수평조절대(400)의 수직부(300) 및 수평조절대(400)의 수평부(200)와 거푸집(20)의 하단이 밀착된 상태로 있으므로, 거푸집(20)과 거푸집(20) 사이에 옹벽 콘크리트(30)를 타설하였을 경우에 콘크리트물기가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거푸집(20)의 전체를 금속재로 된 수평조절대(400)의 수평부(200)에 지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받침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1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받침부재(100)와 수평조절대(400)를 재사용하기 위해 분리하더라고 상기 받침부재(100)가 탄성 변형되므로 쉽게 부러지지 않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철망 등을 일일이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실시예 2>
도 3 내지 도 6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발코니(40) 등의 난간턱(4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20)의 수평을 맞추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받침부재(100)의 상면 일단부에는 수직으로 상향 연장 형성된 연장부(13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발코니(40)의 난간턱(42)을 형성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턱(42)의 내측면 하단에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이 오목부(44)에 방수재료를 도포하거나 내뿜어 방수층을 형성하여 방수층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130)의 내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제2안착홈(132)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조절대(400)는 수직부(3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직각으로 하향 연장되지 않고, 직각으로 상향 연장형되어, 상기 수직부(300)가 상기 연장부(130)의 제2안착홈(132)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안착홈(132)의 깊이는 제1안착홈(150)과 마찬가지로 수직부(300)의 두께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수직부(300)의 외측면과 연장부(130)의 일측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연장부(130)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면 난간턱(42)의 내측면 하단에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44)가 형성되므로, 난간턱(42) 하단에 방수층을 형성하더라도 돌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거푸집(20)의 하단부는 수평부(200)의 상면에 압축하중에 의해 가압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거푸집(20)의 압축하중에 의하여 합성수지재 받침부재(100) 저면도 슬래브(10) 바닥면에 밀착되게 되므로, 거푸집(20)과 거푸집(20) 사이에 옹벽 콘크리트(30)를 타설하였을 경우에 콘크리트물기가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어, 옹벽 콘크리트의 하단부 강도를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푸집(20)의 전체를 금속재로 된 수평조절대(400)의 수평부(200)에 지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받침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1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받침부재(100)와 수평조절대(400)를 재사용하기 위해 분리하더라고 상기 받침부재(100)가 탄성 변형되므로 쉽게 부러지지 않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철망 등을 일일이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슬래브 20. 슬래브
40. 난간턱 100. 받침부대
200. 수평부 300. 수직부
400. 수평조절대 500. 수평보정부재

Claims (5)

  1. 건물의 슬래브 바닥면에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을 수평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아형상의 합성수지재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거푸집이 안착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일단부에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단면“┐”자 앵글형상의 금속재 수평조절대와,
    상기 수평조절대의 수평부와 받침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수평부를 수평상태로 맞추는 판형상의 수평보정부재(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대의 수평부 타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면 상단에는 상기 수평조절대의 수직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중량저감 공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일단부에는 상향 연장된 연장부가 길이 방향을따라 길게 일체로 형성되되 내측면 하단에는 상기 수평조절대의 수직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발코니 등의 난간턱 거푸집의 수평을 맞추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KR20-2005-0012853U 2005-05-09 2005-05-09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KR200391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53U KR200391956Y1 (ko) 2005-05-09 2005-05-09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53U KR200391956Y1 (ko) 2005-05-09 2005-05-09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956Y1 true KR200391956Y1 (ko) 2005-08-10

Family

ID=4369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853U KR200391956Y1 (ko) 2005-05-09 2005-05-09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9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64B1 (en) Adjustable height concrete contraction and expansion joints
US2006025416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an exterior wall surface below a debridge of a weep screed
US7673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orner bench in a tiled shower
US11077583B2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CN110886461B (zh) 地板底盘、架空地板系统及该系统的铺设方法
FI106320B (fi) Tukielementti käytettäväksi betonilattioiden valamisessa
CA3115566A1 (en) Beam for formwork systems
KR1011074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
KR200391956Y1 (ko) 건축용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KR101756466B1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966138B1 (ko)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KR200349993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20160064745A (ko) 법면에 시공된 조립식 다기능 안전계단
KR200491057Y1 (ko) 계자난간 조립체
KR100624129B1 (ko) 간편시공이 가능한 마루 바닥재
CN210289122U (zh) 多点锁定式卫生间降板支撑模
EP3587690A1 (en) An adjusting screw,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levelling an out-of-level flooring
KR200388497Y1 (ko) 높이조절식 마루틀
KR102578180B1 (ko)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US8935894B1 (en) Concrete step
KR102149289B1 (ko)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KR200414936Y1 (ko) 거푸집 설치용 합판 받침대
JP2005273364A (ja) 玄関マット用の周枠におけるモルタル床のレベル出し装置、及びレベル出し方法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KR200347936Y1 (ko) 조립식 욕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