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138B1 -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 Google Patents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138B1
KR101966138B1 KR1020170059788A KR20170059788A KR101966138B1 KR 101966138 B1 KR101966138 B1 KR 101966138B1 KR 1020170059788 A KR1020170059788 A KR 1020170059788A KR 20170059788 A KR20170059788 A KR 20170059788A KR 101966138 B1 KR101966138 B1 KR 101966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ar
slab panel
fixing
head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648A (ko
Inventor
장철환
김양수
김동현
안양수
김근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70059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을 시공할 때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고, 시공한 후 빔과 슬라브패널 해체시 빔과 슬라브패널 등이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빔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부에 슬라이딩바가 체결되는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와;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플랜지(310)가 형성되는 고정바(3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바 고정홀더에 체결되어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바(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본 발명은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을 시공할 때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고, 시공한 후 빔과 슬라브패널 해체시 빔과 슬라브패널 등이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철근 구조의 다층 건축물은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로부터 시작되는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을 먼저 만들고, 그 틀의 상단에 천장 슬라브 시공용 판재를 지면에 수평 하게 설치한 후, 상기 틀의 내부와 판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라 불리는 상기 '틀'과 '판재'는 일반적으로 지붕패널이라고 불리는 사각 판상의 패널들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벽체와 슬라브의 시공은 상기 다수의 지붕패널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상면을 갖는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즉, 하나의 벽체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천정이 되는 지붕패널은, 다수의 지붕패널들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막히지 않도록 벽체 거푸집의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도록 결합되고, 두 벽체 거푸집 사이와 상기 지붕패널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지붕패널의 경우 종래에는 목재로 만들어진 것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패널을 이용할 경우에는 패널들 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목재와 함께 철재나 알루미늄 합금(이하 '알루미늄'이라고만 함)과 같은 금속을 사용한 목재-금속 패널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본원출원인이 출원한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제10-2015-57059호 및 제10-2015-57063호)"의 일부 단점을 보완하여 본원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438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57059호 및 제10-2015-570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지붕을 시공할 때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고, 시공한 후 빔과 슬라브패널 해체시 빔과 슬라브패널 등이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빔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부에 슬라이딩바가 체결되는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와;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플랜지(310)가 형성되는 고정바(3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바 고정홀더에 체결되어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바(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는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빔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부에 슬라이딩바가 체결되는 것으로, 빔(10)의 측면에서 가이드턱(11)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턱(110)과;
고정턱을 연결하며 중앙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바 고정홀더를 고정볼트(150)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131)이 형성된 연결프레임(130)과;
고정공의 양측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바의 플랜지(511)를 체결할 수 있도록 1개 이상 구비된 체결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바(500)는 고정바(3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앙에 고정볼트(150)가 삽입되는 삽입공(511-1)과, 체결구(17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체결구머리(171)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출입공(511-2)와,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에 회동시켜 체결하였을 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결구머리(171)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호형상의 장홈(511-3)이 형성된 플랜지(511)와, 슬라이딩바에 체결가능하도록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는 체결봉(513)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바 헤드(510)와;
내측에 형성되어 체결봉(513)이 삽입되는 삽입공(531)과, 외부에 각각 2개 이상 구비되어 높이조절수단(7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533-1)이 형성된 돌출부(533) 및 장홈(535)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봉(5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는 건축물의 지붕을 시공할 때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고, 시공한 후 빔과 슬라브패널 해체시 빔과 슬라브패널 등이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의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 도 7에 첨부한 도면과 같이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빔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부에 슬라이딩바가 체결되는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와;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플랜지(310)가 형성되는 고정바(3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바 고정홀더에 체결되어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바(5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는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빔의 하부에 체결되며, 하부에 슬라이딩바가 체결되는 것으로, 빔(10)의 측면에서 가이드턱(11)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턱(110)과; 고정턱을 연결하며 중앙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바 고정홀더를 고정볼트(150)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131)이 형성된 연결프레임(130)과; 상기 고정공(131)을 통하여 슬라이딩바의 플랜지(511)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 체결구(170)로 구성된다.
상기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는 연결프레임(130)에 체결구(170)를 체결한 후 빔(10)의 측면에서 가이드턱(11)에 고정턱(110)을 일치시킨 후 슬라이딩시켜 적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고정볼트(150)를 이용하여 빔(10)의 하부에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를 고정한 후 그 하부에 슬라이딩바 헤드(510)를 체결한다.
상기 고정바(300)는 슬라이딩바(500)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플랜지(3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바 내측에는 일측이 슬라이딩바에 체결되는 감속수단(330)이 내설되어 슬라이딩바를 하강시킬 때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바(500)는 고정바(3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앙에 고정볼트(150)가 삽입되는 삽입공(511-1)과, 체결구(17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체결구머리(171)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출입공(511-2)와,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에 회동시켜 체결하였을 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결구머리(171)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호형상의 장홈(511-3)이 형성된 플랜지(511)와, 슬라이딩바에 체결가능하도록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는 체결봉(513)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바 헤드(510)와; 내측에 형성되어 체결봉(513)이 삽입되는 삽입공(531)과, 외부에 각각 2개 이상 구비되어 높이조절수단(7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533-1)이 형성된 돌출부(533) 및 장홈(535)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봉(530)으로 구성된다.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 장홈(550) 다시 돌출부, 장홈의 순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는 하는 이유는 나사산이 슬라이딩봉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면 높이조절수단(700)을 원하는 높이로 상하로 이동시킬 때 나사산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때문이다.
상기에 따라 슬라이딩바(500)는 우선 삽입공(511-1)에 고정볼트(150)를 출입공(511-2)에 체결구머리(171)를 일치시킨 후 슬라이딩바 헤드(51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회동시켜 체결구머리(171)가 플랜지(511) 하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후 슬라이딩바 헤드(510)를 회전시켜 호형상의 장홈(511-3)에 체결구몸체(173)가 그 하부에 체결구머리(171)가 위치되도록 하여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에 슬라이딩바 헤드(510)를 고정시킨다.
이후 슬라이딩바 헤드(510) 하부에 구비된 체결봉(513)을 슬라이딩봉(530)의 삽입공(531)에 삽입시켜 볼트 등으로 고정한 후 슬라이딩바 헤드(510) 하부에 슬라이딩봉(530)을 체결한다.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슬라이딩바 고정홀더 110 : 고정턱
130 : 연결프레임
150 : 고정볼트 170 : 체결구
300 : 고정바
500 : 슬라이딩바 510 : 슬라이딩바 헤드
511 : 플랜지 511-1 : 삽입공
511-2 : 출입공 511-3 : 장홈
513 : 체결봉
530 : 슬라이딩봉 533 : 돌출부
535 : 장홈

Claims (3)

  1. 슬라브패널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슬라이딩바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바 고정홀더와, 상기 슬라이딩바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바로 구성된 서포터헤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500)는 중앙에 고정볼트(150)가 삽입되는 삽입공(511-1)과, 체결구(17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체결구머리(171)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출입공(511-2)과,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에 회동시켜 체결하였을 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결구머리(171)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호형상의 장홈(511-3)이 형성된 플랜지(511)와,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는 체결봉(513)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바 헤드(510)와;
    상기 체결봉(513)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높이조절수단(7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531) 및 장홈(535)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봉(5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 고정홀더(100)는 상기 슬라이딩바 헤드(510)의 플랜지(511)에 형성된 출입공(511-2)에 공통으로 체결구(170)가 관통체결되도록 하는 고정공(131)이 형성된 연결프레임(130)과;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빔(10)의 가이드턱(1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턱(110)과;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연장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바 헤드(510)의 삽입공(511-1)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볼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3. 삭제
KR1020170059788A 2017-05-15 2017-05-15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KR101966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788A KR101966138B1 (ko) 2017-05-15 2017-05-15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788A KR101966138B1 (ko) 2017-05-15 2017-05-15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648A KR20180125648A (ko) 2018-11-26
KR101966138B1 true KR101966138B1 (ko) 2019-08-14

Family

ID=6460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788A KR101966138B1 (ko) 2017-05-15 2017-05-15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897B1 (ko) * 2019-01-23 2021-02-17 김상모 플라스틱 폼을 사용한 일방향 장선슬래브 시스템 및 일방향 장선슬래브 시공방법
DE102022112698A1 (de) * 2022-05-20 2023-11-23 Peri Se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mit einer Stütz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389Y1 (ko) 2005-02-25 2005-05-16 (주)거혁건설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110135259A (ko) * 2010-06-10 2011-12-16 (주)거혁산업 서포터의 드럽장치
KR20120106264A (ko) * 2011-03-18 2012-09-26 (주)거혁산업 쇽업쇼바를 구비한 서포터 구조
KR20150057059A (ko) 2013-11-18 2015-05-28 (주)엠아이케이 이십일 고해상도 영상 신호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648A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80B1 (ko) 존치형 서포트를 활용한 슬래브 알루미늄판넬 드롭시공방법 및 드롭장치
AU2014311195B2 (en) A mounting assembly for glass balustrade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KR101966138B1 (ko)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US20140352241A1 (en) Dynamic Concrete Form
AU2013206540B1 (en) An edge-formwork element with integrated channel
KR20170001244U (ko) 빔 브라켓
KR20170044437A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20080074387A (ko)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KR101696779B1 (ko) 건축물 벽체의 마감구조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KR101832180B1 (ko) 원 스탭 드롭방식을 이용한 슬라브패널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RU1059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маяков
JP6782530B2 (ja) 外壁部材の支持具を用いた施工構造
KR100637861B1 (ko)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슬래브 거푸집 구조
WO2018008037A1 (en) Structural element
EP1726728A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EP2834440B1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frame member and installation method
JP2011163095A (ja) アルミ製改装フェンス
JP2014159681A (ja) 間仕切壁
KR20190004153A (ko) 돌출발코니용 갱폼
RU150546U1 (ru) Вентилируемый крепеж деревя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сборный вентилируемый крепеж деревя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0368194Y1 (ko)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RU8246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ей
JP7022930B2 (ja) 壁下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壁下地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